맨위로가기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은 2018년 2월 8일부터 25일까지 대한민국 평창에서 열린 대회로, 남자, 여자, 믹스더블 종목에서 총 13개국이 참가했다. 남자부에서는 미국이, 여자부에서는 스웨덴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믹스더블에서는 캐나다가 우승했다. 특히,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영미!" 유행어를 낳는 등 국민적인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러시아 선수단의 도핑 문제와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의 팀 킴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경기는 10개국이 참가하여 스웨덴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컬링 열풍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믹스더블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믹스더블은 남녀 혼성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캐나다가 금메달, 스위스가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컬링 대회 - 2016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2016년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는 2016년에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컬링 대회 - 2017년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을, 러시아가 은메달을, 스코틀랜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6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컬링 - 1924년 동계 올림픽 컬링
    1924년 동계 올림픽 컬링은 영국, 스웨덴, 프랑스가 참가한 리그전으로 영국이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프랑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컬링 - 1998년 동계 올림픽 컬링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컬링이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어 스위스와 캐나다가 각각 남자부와 여자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를 계기로 대한민국 컬링이 성장하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여자 컬링 대표팀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픽토그램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픽토그램
개최지강릉 컬링 센터
날짜2018년 2월 8일 ~ 2월 25일
참가 선수116명
참가 국가13개국
세부 종목3개 (남자 1, 여자 1, 혼성 1)
이전 대회2014년
다음 대회2022년
남자 컬링
여자 컬링
혼성 2인조 컬링
관련 항목
예선예선
통계통계
토너먼트
남자남자
여자여자
혼성 2인조혼성 2인조

2. 경기 일정

컬링 경기는 개막식 전날인 2월 8일부터 대회 마지막 날인 2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4] 모든 시간은 한국 표준시(UTC+09:00) 기준이다.[12]

날짜
종목
8일 (목)9일 (금)10일 (토)11일 (일)12일 (월)13일 (화)14일 (수)15일 (목)16일 (금)17일 (토)18일 (일)19일 (월)20일 (화)21일 (수)22일 (목)23일 (금)24일 (토)25일 (일)
남자 토너먼트colspan="2"|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준결
여자 토너먼트colspan="2"|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예선준결
믹스더블예선예선예선예선준결


2. 1. 경기 방식

4인조 남녀 경기는 10개국, 믹스 더블(혼성 2인조) 경기는 8개국이 참가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라운드 로빈 (예선): 2월 14일부터 21일까지 10개 팀(4인조), 혹은 8개 팀(믹스 더블)이 풀 리그 방식으로 예선 라운드 로빈을 진행하여 상위 4개 팀 혹은 3개 팀 + 타이브레이크 승리 팀이 준결승에 진출한다.
  • 준결승: 라운드 로빈 상위 4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한다.
  • 결승 및 3-4위전: 준결승 승리 팀은 결승, 패배 팀은 3-4위전을 치러 메달 색깔을 결정한다.


믹스더블 경기에서는 준결승 마지막 한 자리를 놓고 타이브레이크 경기를 진행했다. 2월 11일에 진행된 타이브레이크 경기에서는 노르웨이중국에 9-7로 승리했다.

3. 참가국

2018년 동계 올림픽에는 총 13개국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AR) 포함)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권을 획득했다.

다음은 출전국 목록이다. 일부 선수는 남녀 4인조 경기와 믹스더블(혼성 2인조) 경기에 모두 출전했기 때문에, 각국 올림픽 위원회(NOC)가 실제로 올림픽에 파견한 선수 수는 이 목록과 다를 수 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출전국
국가선수 수
7
12
10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AR)7
10
10
11
10
5
10
7
12
2



출전 자격은 2016년과 2017년 세계 컬링 선수권 대회의 성적을 통해 주어지는 출전 자격 점수와, 2017년 12월 개최된 올림픽 예선 대회를 통해 결정되었다. 개최국인 대한민국을 제외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 점수로 7개국, 예선 대회로 2개국이 추가로 출전권을 획득했다. 러시아는 도핑 문제로 인해 올림픽 참가가 금지되었지만, 선수들은 개인 자격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으로 참가했다.

3. 1. 출전 자격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토너먼트 출전 자격은 두 가지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각 국가는 2016년과 2017년 세계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의 성적을 통해 출전 자격 점수를 획득하여 팀을 출전시킬 수 있었다.[3] 또한 2017년 12월에 개최된 올림픽 예선 대회를 통해 출전 자격을 얻을 수도 있었다.[3] 7개 국가는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 점수를 통해, 2개 국가는 예선 대회를 통해 출전 자격을 얻었다.[3]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자동으로 출전 자격을 얻어, 컬링 토너먼트에는 성별당 총 10개의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3] 혼성 2인조 경기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세계 믹스 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의 성적을 통해 출전 자격 점수를 획득한 상위 7개 팀과 개최국인 대한민국이 출전 자격을 얻었다.[3]

2016년과 2017년의 세계 선수권 대회 순위를 점수로 환산하여, 개최국인 대한민국을 제외한 상위 7개국이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한다. 4인조 남녀 컬링은 나머지 2개국을 세계 최종 예선에서 결정한다. 믹스 더블은 8개국이 경쟁하므로 세계 최종 예선은 열리지 않는다. 영국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웨일스로 나뉘어 출전하므로, 스코틀랜드의 점수를 영국 대표의 것으로 한다. 나머지 2개국을 결정하는 세계 최종 예선에는, 점수에 따라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한 국가 중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 선수권 대회에 한 번이라도 출전한 적이 있는 국가/지역과, 퍼시픽 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한 적이 있는 국가/지역이 참가 자격을 갖는다.

러시아는 도핑 문제로 인해 평창 올림픽 참가가 제외되었으므로, 선수들은 개인 자격(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으로 출전했다.

순위123456789101112
포인트141210987654321



Key
style="background-color: #cfc; width: 1.5em;"|세계 선수권 대회 결과로 출전이 확정된 국가
style="background-color: #ffc; width: 1.5em;"|최종 예선에 출전하는 국가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 100%;"

| style="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float: left; margin-right: 1em;" |

남자부 출전국 및 출전 자격
예선 대회쿼터국가
개최국1
세계 선수권 포인트7
세계 최종 예선2
Total10



| style="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남자부 세계 선수권 포인트
순위국가2014201520162017합계
1출전출전141428
2출전출전71219
3출전출전10919
4출전출전9615
5출전출전41014
6출전출전6713
7출전출전8513
8출전-12-12
9출전출전-88
10-출전5-5
11-출전-44
12출전-134
13출전출전314
14---22
15--2-2
16출전출전--0



|}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100%;"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여자부 출전국 및 출전 자격
예선 대회쿼터국가
개최국1
세계 선수권 포인트7
세계 최종 예선2
합계10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여자부 세계 선수권 포인트
순위국가2014201520162017합계
1출전출전91423
2출전출전101222
3출전출전14519
4출전출전81018
5출전출전7815
6출전출전4913
7출전-6713
8-출전12-12
9출전출전347
10출전--66
11출전출전516
12--134
13출전출전-22
14-출전2-2
15-출전--0
16출전---0



|}

4. 결과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의 세부 종목별 최종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미국스웨덴스위스
여자스웨덴대한민국일본
믹스더블 (혼합 복식)캐나다스위스노르웨이[13]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가 믹스더블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의 멜도니움 검출로 4위인 노르웨이 팀이 동메달을 승계받았다.[13]


일본 대 한국, 승부가 결정되는 순간

경기 결과 요약

4. 1.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1102
21001
1001
40112
50101
60011
0011
합계3339


4. 2. 종목별 결과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
존 슈스터
타일러 조지
맷 해밀턴
존 랜즈타이너
조 폴로

니클라스 에딘
오스카르 에릭손
라스무스 브라노
크리스토페르 순드그렌
헨리크 레크

브누아 슈바르츠
클라우디오 페츠
페터 데 크루츠
발렌틴 타너
도미니크 메르키
여자
안나 하셀보리
사라 맥매너스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소피아 마베리스
옌니에 볼린

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후지사와 사쓰키
요시다 지나미
스즈키 유미
요시다 유리카
모토하시 마리
믹스더블 (혼합 복식)
캐슬린 로스
존 모리스

제니 페레
마르틴 리오스

크리스틴 스카슬린
망누스 네드레고텐[13]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가 믹스더블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의 도핑 샘플에서 멜도니움이 검출되어 4위인 노르웨이 팀이 동메달을 승계받았다.[13]

4. 2. 1. 남자

5-2○
10-4○
8-6●
3-10●
2-7○
7-2○
11-4○
7-3○
9-57승 2패니클라스 에딘2style="text-align: left;" |●
2-5-●
7-9○
6-4●
6-8○
7-4○
7-6○
8-4○
5-3○
8-36승 3패케빈 쿠이3style="text-align: left;" |●
4-10○
9-7-○
10-4○
8-4●
5-8○
11-7●
2-8●
9-10○
9-55승 4패존 슈스터4style="text-align: left;" |○
10-3○
8-6●
4-8●
5-6-○
7-5●
7-8○
6-5●
4-7○
9-75승 4패페터 데 크루즈5style="text-align: left;" |●
6-8●
4-6●
4-10-○
6-5○
10-3●
5-11○
6-5○
7-6○
7-65승 4패카일 스미스6style="text-align: left;" |○
7-2●
4-7○
8-5●
3-10●
5-7-○
7-5●
4-6●
4-6○
10-84승 5패토마스 울스루드7style="text-align: left;" |●
2-7●
6-7●
7-11○
11-5○
8-7●
5-7-○
10-4○
8-6●
8-94승 5패김창민8style="text-align: left;" |●
4-11●
4-8○
8-2●
5-6●
5-6○
6-4●
4-10-○
6-5○
6-44승 5패양각우수9style="text-align: left;" |●
3-7●
3-5○
10-9●
6-7○
7-4○
6-4●
6-8●
5-6-●
4-63승 6패조엘 레토르나10style="text-align: left;" |●
5-9●
3-8●
5-9●
6-7●
7-9●
8-10○
9-8●
4-6○
6-4-2승 7패라스무스 스티야네타이브레이크colspan=15 |


4. 2. 2. 여자

7-6○
7-4●
5-7○
12-5○
8-6○
7-5○
9-6○
11-2○
9-38승 1패김은정2style="text-align: left;" |●
6-7-○
8-6●
4-5○
8-4○
7-6○
8-7○
9-6○
5-4○
9-37승 2패안나 하셀보리3style="text-align: left;" |●
4-7●
6-8-○
8-6○
8-7○
6-5○
8-7●
4-7○
10-3○
7-66승 3패이브 뮤어헤드4style="text-align: left;" |○
7-5○
5-4●
6-8-●
6-7●
3-8●
4-8○
10-5○
10-5○
8-55승 4패후지사와 사츠키5style="text-align: left;" |●
5-12●
4-8●
7-8○
7-6-○
7-5○
7-2●
4-10●
6-7○
10-74승 5패왕빙위6style="text-align: left;" |●
6-8●
6-7●
5-6○
8-3●
5-7-○
10-8○
11-3○
9-8●
8-94승 5패레이첼 호먼7style="text-align: left;" |●
5-7●
7-8●
7-8○
8-4●
2-7●
8-10-○
6-5○
11-2○
6-44승 5패실바나 티린초니8style="text-align: left;" |●
6-9●
6-9○
7-4●
5-10○
10-4●
7-9●
5-6-○
7-6○
10-74승 5패니나 로스9style="text-align: left;" |●
2-11●
4-5●
3-10●
5-10○
7-6●
8-9●
2-11●
6-7-○
8-72승 7패빅토리아 모이세예바10style="text-align: left;" |●
3-9●
3-9●
6-7●
5-8●
7-10○
9-8●
4-6●
6-7●
7-8-1승 8패마들렌 뒤퐁타이브레이크colspan=15 |


1234567891011합계
align="left"301020010018
align="left"020101002107


12345678910합계
align="left"020102302X10
align="left"001020020X5


12345678910합계
align="left"01010001115
align="left"10101000003


12345678910합계
align="left"002110301X8
align="left"100001010X3



순위국가
1
2
3
4
5
6
7
8
9
10


4. 2. 3. 믹스더블

믹스더블(혼합 복식)에서는 캐슬린 로스와 존 모리스가 출전한 캐나다 팀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제니 페레와 마르틴 리오스가 출전한 스위스 팀은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크리스틴 스카슬린과 망누스 네드레고텐이 출전한 노르웨이 팀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13]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팀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가 멜도니움 양성 반응을 보여 실격되어 4위인 노르웨이 팀이 동메달을 승계 받았다.[5]

2월 8일부터 13일까지 총 10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예선 라운드 로빈을 진행하여 상위 3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노르웨이와 중국이 타이브레이크 경기를 치렀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순위

! 국가/지역

!

!

!

!

!

!

!

!

! 승패

! 선수

|- style="background-color:#ccffcc"

| 1|| style="text-align: left;" | 캐나다|| - ||○
7-2||○
8-2||○
10-4||○
6-9||○
7-3||○
6-4||○
8-2||6승 1패

|케이틀린 로스
존 모리스

|- style="background-color:#ccffcc"

| 2|| style="text-align: left;" | 스위스||●
2-7|| - ||○
9-8||○
7-5||●
5-6||○
6-4||○
9-4||○
7-6||5승 2패

|제니 페레
마르틴 리오스

|- style="background-color:#ccffcc"

| 3|| style="text-align: left;"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2-8||●
8-9|| - ||○
6-5||○
4-3||○
6-5||●
3-9||○
7-5||4승 3패

|아나스타시야 브리즈갈로바|브리즈갈로바ru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크루셸니츠키ru

|-style="background:#ffffcc"

| 4|| style="text-align: left;" | 노르웨이||○
9-6||○
6-5||●
3-4||●
3-9|| - ||○
8-3||●
3-10||○
7-6||4승 3패

|크리스틴 스카슬리엔
마그누스 네드레고튼

|- style="background:#ffffcc"

| 5|| style="text-align: left;" | 중국||●
4-10||●
5-7||●
5-6|| - ||○
9-3||○
8-7||○
6-4||○
10-5||4승 3패

|왕루이|왕루이중국어
바더신|바더신중국어

|-

| 6||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3-7||●
4-6||●
5-6||●
7-8||●
3-8|| - ||○
9-1||○
9-4||2승 5패

|장혜지|장혜지한국어
이 기정|이기정한국어

|-

| 7|| style="text-align: left;" | 미국||●
4-6||●
4-9||○
9-3||●
4-6||○
10-3||●
1-9|| - ||●
5-7||2승 5패

|Rebecca Hamilton|레베카 해밀턴영어
Matt Hamilton (curler)|맷 해밀턴영어

|-

| 8|| style="text-align: left;" | 핀란드||●
2-8||●
6-7||●
5-7||●
5-10||●
6-7||●
4-9||○
7-5|| - ||1승 6패

|Oona Kauste|오나 카우스테fi
Tomi Rantamäki|토미 란타마키fi

|-

! colspan=15 style="background-color:#EAECF0;" | 타이브레이크

|-style="text-align:left;

| colspan=15 |

12345678합계
노르웨이030104019
중국201020207



|}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
1캐나다
2스위스
3노르웨이
4중국
5대한민국
6미국
7핀란드
실격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5. 논란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 '팀 킴'과 관련된 논란과 러시아 도핑 스캔들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5. 1. 러시아 도핑 스캔들

러시아 선수단의 조직적인 도핑 사실이 밝혀지면서, 러시아는 국가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하고 개인 자격(OAR)으로만 참가했다. 믹스더블 종목에 참가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는 도핑 검사에서 멜도니움 양성 반응을 보여 동메달을 박탈당했다.[13]

2월 13일에 진행된 믹스더블 동메달 결정전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는 노르웨이에게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이후 도핑 위반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12345678합계비고
align="left" |00202000
align="left" |21020111도핑 위반으로 실격



최종 순위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는 실격 처리되었고, 4위였던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순위국가
1
2
3
4
5
6
7
실격


5. 2.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 '팀 킴' 논란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민적인 영웅으로 떠오른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 '팀 킴'(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은 올림픽 이후 지도부(김경두 전 대한컬링경기연맹 부회장, 김민정·장반석 감독)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폭로했다.[1] 팀 킴은 지도부가 상금을 횡령하고 선수들에게 폭언과 욕설을 일삼았으며, 사생활까지 통제했다고 주장했다.[1]

이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문화체육관광부경상북도의 합동 감사를 통해 팀 킴의 주장이 대부분 사실로 드러났다.[1] 김경두 일가는 컬링계에서 영구 제명되었으며, 이 사건은 대한민국 스포츠계의 고질적인 문제점(지도자의 권위주의, 파벌주의, 폭력, 비리 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Gangneung Curling Centre http://www.pyeongcha[...] PyeongChang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8 Olympic & Paralympic Winter Games 2016-04-10
[2] 뉴스 New disciplines added to Pyeongchang 2018 but snowboard parallel slalom cut to accommodate them http://www.insidethe[...] 2016-04-10
[3] 웹사이트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http://comiteolimpic[...] World Curling Federation 2016-04-10
[4] 웹사이트 Developing Mixed Doubles ahead of Olympic debut http://www.worldcurl[...] World Curling Federation 2016-11-10
[5] 웹사이트 Russian curler stripped of Winter Olympics medal after an anti-doping rule violation https://www.theguard[...] 2018-02-22
[6] 웹사이트 Gangneung Curling Centre http://www.pyeongcha[...] 平昌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組織委員会 2016-04-10
[7] 뉴스 New disciplines added to Pyeongchang 2018 but snowboard parallel slalom cut to accommodate them http://www.insidethe[...] 2016-04-10
[8] 웹사이트 Championship Overview http://www.worldcurl[...] 世界カーリング連盟 2016-04-11
[9] 문서 Men Medallists https://www.pyeongch[...]
[10] 문서 Women Medallists https://www.pyeongch[...]
[11] 문서 Mixed Doubles Medallists https://www.pyeongch[...]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pyeongch[...] 2017-12-12
[13] 웹인용 Russian curler stripped of Winter Olympics medal after admitting doping https://www.theguard[...] 가디언 2018-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