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 예술, 영상, 광고, 출판, 간행물, 체육, 관광 관련 업무 및 국정 홍보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공보처 설치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8년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를 통합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소관 사무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관련 업무이며, 장관을 포함하여 여러 실·국과 소속 기관, 자문위원회를 두고 있다. 또한, 한류 진흥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며, 역대 장관의 명단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논란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노태강
노태강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을 역임했으며 2017년에 임명되었다.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조윤선
조윤선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여성가족부 장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김앤장 변호사, 한나라당 대변인,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
---|---|
기본 정보 | |
![]() | |
![]() | |
설립일 | 2008년 2월 29일 |
관할 | 대한민국 정부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
이전 부처 | 문화공보부 (1968–1990) 문화부 (1990–1993) 문화체육부 (1993–1998) 문화관광부 (1998–2008) 정보통신부 (디지털 콘텐츠 업무, 1994–2008) 국정홍보처 (1999–2008) |
웹사이트 | mcst.go.kr |
주요 담당자 | |
장관 | 유인촌 |
제1차관 (문화, 예술, 종교 담당) | 용호성 |
제2차관 (체육, 관광, 정책 홍보 담당) | 장미란 |
산하 기관 | |
산하 기관 | 문화재청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Munhwacheyukgwan-gwangbu |
한글 표기 | 문화체육관광부 |
한자 표기 | 文化體育觀光部 |
약칭 | 문체부 |
모토 | |
모토 | 문화융성을 통한 창조경제 및 국민행복 실현 |
모토 (영문) | Realizing a Creative Economy and National Happiness through Cultural Prosperity |
예산 정보 (2018년) | |
세입 | 2조 4478억 4551만 1000원 |
세출 | 5조 2578억 1638만 8000원 |
조직 정보 | |
직원 수 | 694명 |
장관 | 유인촌 |
제1차관 | 전병극 |
제2차관 | 장미란 |
2. 연혁
- 1948년 7월 17일: 공보처 설치.[25]
- 1955년 2월 7일: 공보실로 개편.[26]
- 1960년 7월 1일: 국무원사무처 공보국으로 개편.[27]
- 1961년 6월 22일: 국무원사무처 공보국과 방송관리국을 통합하여 공보부 설치.[28]
- 1968년 7월 24일: 문화공보부로 개편. 문교부로부터 출판·저작권 기타 문화·예술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음.[29]
- 1982년 3월 20일: 문교부로부터 체육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아 체육부 설치.[30]
- 1990년 1월 3일: 문화공보부를 문화부와 공보처로 분리.[31]
- 1990년 12월 27일: 체육부를 체육청소년부로 개편.[32]
- 1993년 3월 6일: 문화부와 체육청소년부를 통합하여 문화체육부 설치.[33]
- 1994년 12월 23일: 문화체육부가 교통부로부터 관광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음.[34]
- 1998년 2월 28일: 문화체육부를 문화관광부로, 공보처를 공보실로 개편. 공보처의 방송행정·출판·간행물 및 해외홍보에 관한 사무는 문화관광부로 이관.[35]
- 1999년 5월 24일: 문화관광부로부터 일부 소관사무를 이관받아 공보실을 국정홍보처로 개편. 문화관광부의 해외문화홍보에 관한 사무를 문화재청(현재의 국가유산청)에 이관.[36]
- 2008년 2월 29일: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를 통합하여 문화체육관광부 설치. 정보통신부로부터 디지털콘텐츠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음.[37]
- 2013년 3월 23일: 디지털콘텐츠에 관한 사무를 미래창조과학부로, 해양 레저스포츠에 관한 사무를 해양수산부로 이관.[38]
- 2013년 12월 23일: 정부세종청사로 이전.[39]
3. 소관 사무
문화·예술·영상·광고·출판·간행물·체육·관광 관련 업무와 국정에 대한 홍보 및 정부 발표 관련 업무를 관장한다.[20]
4. 조직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체육관광부)는 장관, 제1·2차관, 차관보, 실·국, 정책관·심의관실, 담당관실·과 등으로 구성된다. 장관은 문화체육관광부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며, 국무회의에 참석하여 발언하고, 소관 사무에 관하여 국회에 출석하여 답변한다. 제1차관은 주로 문화, 예술, 콘텐츠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제2차관은 체육, 관광, 홍보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차관보는 차관을 보좌하며, 특정 분야의 정책을 담당할 수 있다.[21]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40][41][42][43][44][45]
실·국 | 정책관·심의관실 | 담당관실·과 |
---|---|---|
장관 산하 하부조직 | ||
대변인실 | 홍보담당관실ㆍ디지털소통팀 | |
감사관실 | 감사담당관실 | |
장관정책보좌관실 | ||
제1차관 산하 하부조직 | ||
기획조정실 | 정책기획관실 | 기획혁신담당관실ㆍ재정담당관실ㆍ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ㆍ양성평등정책담당관실ㆍ데이터정책팀 |
비상안전기획관실 | ||
colspan=2 | | 운영지원과 | |
문화예술정책실 | 문화정책관실 | 문화정책과ㆍ국어정책과ㆍ전통문화과ㆍ국제문화과 |
예술정책관실 | 예술정책과ㆍ공연전통예술과ㆍ시각예술디자인과ㆍ예술인지원팀 | |
지역문화정책관실 | 지역문화정책과ㆍ문화기반과ㆍ도서관정책기획단ㆍ문화예술교육과 | |
종무실 | 종무1담당관실ㆍ종무2담당관실 | |
콘텐츠정책국 | 문화산업정책과ㆍ영상콘텐츠산업과ㆍ게임콘텐츠산업과ㆍ대중문화산업과ㆍ한류지원협력과 | |
저작권국 | 저작권정책과ㆍ저작권산업과ㆍ저작권보호과ㆍ문화통상협력과 | |
미디어정책국 | 미디어정책과ㆍ방송영상광고과ㆍ출판인쇄독서진흥과 | |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 복원협력과ㆍ복원시설과 | |
청와대관리활용추진단 | 청와대관리활용기획과 | |
제2차관 산하 하부조직 | ||
차관보 | ||
국민소통실 | 소통정책관실 | 소통정책과ㆍ소통협력과ㆍ소통지원과 |
소통지원관실 | 콘텐츠기획과ㆍ여론과ㆍ분석과 | |
디지털소통관실 | 디지털소통정책과ㆍ디지털소통기획과ㆍ정책포털과ㆍ디지털소통제작과 | |
체육국 | 체육정책과ㆍ체육진흥과ㆍ스포츠산업과ㆍ국제체육과ㆍ장애인체육과ㆍ스포츠유산팀 | |
관광정책국 | 관광정책과ㆍ국내관광진흥과ㆍ국제관광과ㆍ관광기반과ㆍ관광산업정책과ㆍ융합관광산업과ㆍ관광개발과 |
4. 1. 소속기관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국악고등학교, 국립국악중학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국립전통예술중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중앙도서관, 해외문화홍보원,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국립장애인도서관 등이 있다.국립중앙극장,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정책방송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책임운영기관이다.
4. 2. 소속 자문위원회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는 다양한 분야의 정책 자문을 위한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주요 위원회는 다음과 같다.위원회명 | 설치 근거 |
---|---|
관광진흥개발기금운용위원회 | 관광진흥개발기금법 제6조 |
관광숙박대책위원회 |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 제16조 |
국어심의회 | 국어기본법 제13조 |
국제경기대회유치심사위원회 | 국제경기대회지원법시행령 제3조 |
도서관자료심의위원회 | 도서관법 시행령 제13조의3 |
등록취소심의위원회 | 뉴스통신진흥에관한법률 제9조의4 |
박물관미술관학예사운영위원회 |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시행령 제6조 |
세종학당정책협의회 | 국어기본법 제19조의2 |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 신문등의진흥에관한법률시행령 제12조 |
이스포츠진흥자문위원회 | 이스포츠진흥에 관한 법률 제9조 |
정기간행물자문위원회 | 잡지등 정기간행물진흥에 관한 법률 제9조 |
지역신문발전위원회 |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 제7조 |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 콘텐츠산업진흥법 제29조 |
한국어교원자격심사위원회 | 국어기본법시행령 제13조 |
5. 한류 진흥
문화체육관광부는 1990년대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한국에 새로운 성장 분야가 필요함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투자하고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6]
김대중 대통령은 제조업과 같은 전통적인 산업 부문과 동일한 수준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지원하는 산업 정책을 제시했다. 콘서트홀과 시각 효과 기술을 포함한 K팝을 지원하기 위해 인프라와 기술에 투자가 이루어졌다. 또한, 정부의 노래방 규제는 K팝을 선호했다.[7] 정부는 한국 대중문화를 홍보하면 사람들의 국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사업과 관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8]
2012년 문화관광부는 한류를 지속하기 위한 자문위원회를 설립했다.[8] 2013년에는 한류 지원에 2.8억달러을 배정했다.[10]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의 “수출 주도형 경제 발전”과 연결시켜 한류 예산을 정당화했는데, 2012년 당시 한류의 가치를 832억달러로 추산했으며 그중 52.599999999999994억달러는 K팝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했다.[10]
일부 K팝 업계 관계자들은 문화체육관광부가 K팝을 직접 지원하지 않고 한글, K-드라마, 한국 음식, 패션, 스포츠, 전통 민속 음악과 같은 관련 산업만 키우는 것을 비판했다.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은 한류 예산에 포함시켜 줄 것을 정부에 로비해왔다.[10]
6. 역대 장관
번호 | 사진 | 성명 | 재임 기간 | 대통령 | |
---|---|---|---|---|---|
취임 | 퇴임 | ||||
44 | ![]() | 유인촌 | 2008년 2월 29일 | 2011년 1월 26일 | 이명박 |
45 | ![]() | 정병국 | 2011년 1월 27일 | 2011년 9월 16일 | |
46 | ![]() | 최광식 | 2011년 9월 17일 | 2013년 3월 10일 | |
47 | ![]() | 유진룡[12][13][14] | 2013년 3월 11일 | 2014년 7월 16일 | 박근혜 |
48 | ![]() | 김종덕[15] | 2014년 8월 20일 | 2016년 9월 4일 | |
49 | ![]() | 조윤선[16][17][18] | 2016년 9월 5일 | 2017년 1월 20일 | |
50 | ![]() | 도종환[19] | 2017년 6월 16일 | 2019년 4월 2일 | 문재인 |
51 | 박양우 | 2019년 4월 3일 | 2021년 2월 10일 | ||
52 | ![]() | 황희 | 2021년 2월 11일 | 2022년 5월 12일 | |
53 | ![]() | 박보균 | 2022년 5월 13일 | 2023년 10월 7일 | 윤석열 |
54 | ![]() | 유인촌 | 2023년 10월 7일 | 현직 |
7.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논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당시 문화체육관광부는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최순실 씨와 관련된 인사들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주요 직책에 임명되고, 이권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특히,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은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당시 장관이었던 조윤선이 해임되고, 여러 관련자들이 처벌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국정농단"으로 규정하고,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ttp://www.mcst.go.k[...]
2011-07-23
[2]
웹사이트
Lee O Young
http://koreanliterat[...]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3]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cst.go.k[...]
2014-01-01
[4]
웹사이트
Location
https://web.archive.[...]
2014-01-01
[5]
웹사이트
About MCST: History
http://mcst.go.kr/e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990-01-03
[6]
서적
The Birth of Korean Cool: How One Nation Is Conquering the World Through Pop Culture
Picador
2014-08-05
[7]
웹사이트
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ade K-Pop a Thing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NPR)
2015
[8]
웹사이트
How Korean Bureaucrats Turned K-Pop into a National Symbol
https://www.pri.org/[...]
PRI
2013
[9]
웹사이트
공공누리
https://www.kogl.or.[...]
2023-08-24
[10]
웹사이트
K-Pop in Korea: How the Pop Music Industry is Changing a Post-Developmental Society
https://cross-curren[...]
Cross Currents
2013
[11]
웹사이트
Greetings from the Director
http://www.kocis.go.[...]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13-01-20
[12]
웹사이트
Minister profile
http://www.mcst.go.k[...]
ROK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13]
뉴스
Yoo Jin-ryong, a respected and seasoned cultural bureaucrat
http://english.yonha[...]
Yonhap
2013-02-13
[14]
뉴스
Troubling revelations about Seoul's 'Shadow President': The Korea Herald columnist
http://www.straitsti[...]
2016-10-27
[15]
뉴스
Park taps art professor as culture minister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4-08-03
[16]
뉴스
Park's trusted confident named new culture minister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6-08-16
[17]
웹사이트
Minister profile
http://www.mct.go.kr[...]
ROK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18]
뉴스
Culture Minister Resigns After Arrest
http://english.chosu[...]
2017-01-23
[19]
뉴스
Do Jong-hwan,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n the first anniversary of his inauguration
http://news.khan.co.[...]
2018-06-10
[20]
법률
政府組織法
[21]
법률
문화체육관광부とその所属機関職制
2019-05-07
[22]
법률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23]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08
[24]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08
[25]
법률
[26]
법률
[27]
법률
[28]
법률
[29]
법률
[30]
법률
[31]
법률
[32]
법률
[33]
법률
[34]
법률
[35]
법률
[36]
법률
법률 제5982호
[37]
법률
법률 제8852호
[38]
법률
법률 제11690호
[39]
뉴스
문화체육관광부 정부세종청사 입주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7-08-04
[40]
기타
[41]
기타
[42]
기타
[43]
기타
[44]
기타
[45]
기타
[46]
기타
[47]
기타
[48]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