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예선은 총 310명의 선수에게 출전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출전권은 FIS(국제스키연맹) 포인트에 따라 A, B 기준이 적용되었으며, 각 국가별 최대 20명(남녀 각 최대 12명)까지 출전이 가능했다. 쿼터 배정은 A, B 기준 충족 선수, 상위 300위 및 30위 국가, 잔여 쿼터 배분, IOC 특별 고려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러시아 선수들의 쿼터 반납으로 재배정이 이루어졌으며, 에스토니아, 프랑스, 체코 등 여러 국가가 추가 출전 가능성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예선 - 2018년 동계 올림픽 노르딕복합 예선
2018년 동계 올림픽 노르딕 복합 예선은 국제스키연맹 랭킹을 기준으로 선수 자격 요건과 출전권 배정 과정을 거쳐, 2016년 7월부터 2018년 1월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각국은 최대 5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예선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예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예선은 2017-18 ISU 쇼트트랙 월드컵 랭킹을 기준으로 출전권을 배분하며,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쿼터를 획득하고, 종목별 출전 선수 수는 제한된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50km 클래식은 평창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센터에서 2018년 2월 24일에 진행되었으며, 이보 니스카넨이 금메달, 알렉산더 볼슈노프가 은메달, 안드레이 라르코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스프린트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여자 스프린트에서는 스티나 닐손이 금메달, 마이켄 카스페르센 팔라가 은메달, 율리야 벨로루코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총 68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예선부터 결승까지 경쟁을 펼쳤다. - 올림픽 크로스컨트리에 관한 - 193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193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는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스웨덴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남자 18km는 에릭 아우구스트 라르손, 50km는 엘리스 비클룬드, 4 x 10km 계주는 핀란드 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크로스컨트리에 관한 - 192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1924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프랑스 샤모니에서 남자 18km와 50km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두 종목 모두 금메달을 획득, 토르레이프 하우그는 2관왕을 달성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예선 | |
---|---|
대회 정보 | |
종목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세부 종목 | 거리 스프린트 |
올림픽 | 2018년 동계 올림픽 |
개최지 | 대한민국 평창군 |
본문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관련 문서 |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 예선 |
거리 종목 | |
프리스타일 | 남자 여자 |
스키애슬론 | 남자 여자 |
클래식 | 남자 여자 |
릴레이 | 남자 여자 |
스프린트 종목 | |
개인 | 남자 여자 |
팀 | 남자 여자 |
관련 정보 | |
예선 | 예선 |
출전 자격 시스템 | 국제 스키 연맹 |
2. 출전권 부여 규정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종목 출전권은 국제스키연맹(FIS) 포인트 기준에 따라 A기준과 B기준으로 나뉘어 부여되었다.
- A기준: FIS 거리종목 포인트 100위 내 선수는 거리 및 스프린트 종목에 출전할 수 있었다. 120위 이내 선수들은 스프린트 전 종목, 300위까지의 선수는 일부 거리종목(여자 10km, 남자 15km)에 출전 가능했다.
- B기준: A기준을 충족하는 선수가 없는 국가는 남녀 각 1명씩 스프린트 종목이나 10km 프리(여자)/15km 프리(남자) 종목에 출전할 수 있었다. (기본 쿼터). 단, 2018년 1월 22일까지 FIS 거리종목 포인트 300위 이내여야 했다.
쿼터 배정은 B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에 남자 1명, 여자 1명씩(기본 쿼터) 주어졌다. 이후 FIS 포인트 목록 상위 300위 안에 든 선수가 있는 국가에는 추가 쿼터, 상위 30위 이내 선수 보유국에는 최대 4개까지 추가 쿼터가 부여되었다. 남은 쿼터는 2018년 1월 22일 기준 올림픽 쿼터 배정 명단에 따라 배분되었으며, 한 국가 최대 쿼터(20명) 도달 시 해당 국가 선수들은 건너뛰었다.
2. 1. 출전 선수
이번 대회에서는 총 310명의 선수에게 출전권이 부여된다. 한 국가당 최대 20명까지 출전권을 받을 수 있으며, 남녀 선수 각각 최대 12명까지 출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 성별에서 12명의 선수가 출전하면, 다른 성별에서는 최대 8명의 선수만 출전할 수 있다.[1]출전권 부여 과정에는 A기준과 B기준이 있다.[1]
- A기준: FIS 거리종목 포인트 100위 내에 든 선수는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종목 모두, 혹은 둘 중 하나에 출전할 수 있다. 120위 이내의 선수들은 스프린트 전 종목에 참가할 수 있으며, 이후 300위까지의 선수는 일부 거리종목 (여자 10km, 남자 15km)에 출전 가능하다.[1]
- B기준: A기준만으로는 한 명의 선수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국가의 경우, 남녀당 한 명씩은 스프린트 종목이나 10km 프리 (여자)/15km 프리 (남자) 종목에 출전시킬 수 있는데 이를 기본쿼터 (basic quota)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2018년 1월 22일까지의 경기에서 FIS 거리종목 포인트 300위 이내에 든 선수여야 한다. 기준 시점은 2016년 7월부터였다.[1]
2. 2. FIS 포인트 기준
국제스키연맹(FIS)의 포인트 기준에 따라 출전 자격이 결정된다. A 기준과 B 기준으로 나뉜다.- '''A 기준''': FIS 거리종목 포인트 100위 내에 든 선수는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종목 모두, 혹은 둘 중 하나에 출전할 수 있다. 120위 이내의 선수들은 스프린트 전 종목에 참가할 수 있으며, 이후 300위까지의 선수는 일부 거리종목 (여자 10km, 남자 15km)에 출전 가능하다.
- '''B 기준''': A 기준만으로는 한 명의 선수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국가의 경우, 남녀당 한 명씩은 스프린트 종목이나 10km 프리 (여자)/15km 프리 (남자) 종목에 출전시킬 수 있는데 이를 기본쿼터(basic quota)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2018년 1월 22일까지의 경기에서 FIS 거리종목 포인트 300위 이내에 든 선수여야 한다. 기준 시점은 2016년 7월부터였다.
최대 100 FIS 거리 포인트를 가진 선수는 스프린트/거리 종목 모두 또는 하나에 출전할 수 있다. 최대 120 FIS 스프린트 포인트를 가진 선수는 스프린트 종목과 여자 10km 또는 남자 15km 경기에 출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거리 포인트가 300 FIS 포인트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A 기준을 충족하는 선수를 보유하지 않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스프린트 종목 또는 여자 10km 프리스타일/남자 15km 프리스타일 종목에 각 성별당 1명의 선수(기본 쿼터라고 함)를 출전시킬 수 있다. 이들은 2018년 1월 22일 예선 종료 시점에 최대 300 FIS 거리 점수를 획득해야 한다. 예선 기간은 2016년 7월에 시작되었다.
2. 3. 쿼터 배정 방식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에는 총 310명의 선수가 참가할 수 있으며, 한 국가당 최대 20명(남녀 각각 최대 12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출전권은 A기준과 B기준으로 나뉜다.- A기준: FIS 거리종목 포인트 100위 내 선수는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종목 모두 또는 둘 중 하나에 출전할 수 있다. 120위 이내 선수들은 스프린트 전 종목, 300위까지의 선수는 일부 거리종목(여자 10km, 남자 15km)에 출전 가능하다.
- B기준: A기준을 충족하는 선수가 없는 국가의 경우, 남녀 각 1명씩 스프린트 종목이나 10km 프리(여자)/15km 프리(남자) 종목에 출전 가능하다 (기본 쿼터). 단, 2018년 1월 22일까지 FIS 거리종목 포인트 300위 이내여야 한다.
쿼터 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 기본 쿼터
: B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NOC는 남자 1명과 여자 1명씩 총 2명의 선수 출전권을 받는다.
; 포인트 목록 상위 300위
: 어느 종목이든 남녀 선수 중 한 명 이상이 300위 안에 들면 기본 쿼터 외에 남녀 추가 쿼터 1개가 더 부여된다.
; 포인트 목록 상위 30위
: 어느 종목이든 남녀 선수 중 한 명 이상이 30위 안에 들면 기본 쿼터 외에 남녀 추가 쿼터가 최대 4개까지 부여된다.
; 남은 쿼터
: 남은 쿼터는 2018년 1월 22일 기준 올림픽 쿼터 배정 명단에 따라 배분된다. 전체 쿼터가 310명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며, 한 국가가 최대 쿼터(20명)에 도달하면 해당 국가 선수들은 건너뛴다. 이 명단은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양 종목 상위 500위까지의 선수들로 구성된다.
참고: 한 선수가 여러 기준을 충족해도 쿼터는 하나만 부여된다. 예를 들어 한 국가의 선수가 세 기준을 모두 만족해도 쿼터는 3개가 아닌 1개만 주어진다.
3. 쿼터 배정 현황
2018년 1월 26일 기준 쿼터 배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6][2]
국가 | 남자 | 여자 | 추가 출전 선수 | 선수 |
---|---|---|---|---|
1 | 1 | |||
1 | 1 | 2 | ||
1 | 1 | 2 | ||
2 | 2 | 2 | 6 | |
2 | 2 | 3 | 7 | |
2 | 2 | 5 | 9 | |
1 | 1 | |||
1 | 1 | |||
1 | 1 | |||
1 | 1 | 2 | ||
1 | 1 | 2 | ||
2 | 1 | 3 | ||
2 | 2 | 7 | 11 | |
1 | 1 | 2 | ||
2 | 2 | 4 | ||
1 | 1 | |||
2 | 2 | 4 | ||
2 | 2 | 6 | 10 | |
1 | 1 | |||
1 | 1 | |||
2 | 2 | 3 | 7 | |
2 | 2 | 15 | 19 | |
2 | 2 | 9 | 13 | |
2 | 2 | 12 | 16 | |
1 | 1 | 2 | 4 | |
1 | 1 | 2 | ||
1 | 1 | 2 | ||
2 | 1 | 3 | ||
1 | 1 | |||
1 | 1 | 2 | ||
1 | 1 | |||
2 | 2 | 11 | 15 | |
1 | 1 | 2 | ||
2 | 2 | 3 | 7 | |
1 | 1 | |||
1 | 2 | 3 | ||
1 | 1 | |||
1 | 1 | |||
2 | 1 | 3 | ||
1 | 1 | 2 | ||
1 | 1 | |||
1 | 1 | |||
1 | 1 | 2 | ||
1 | 1 | |||
1 | 1 | |||
2 | 1 | 3 | ||
2 | 2 | 16 | 20 | |
1 | 1 | |||
2 | 2 | 3 | 7 | |
1 | 1 | |||
2 | 1 | 3 | ||
2 | 2 | 8 | 12 | |
1 | 1 | |||
2 | 2 | 1 | 5 | |
2 | 2 | 4 | 8 | |
2 | 2 | 4 | ||
2 | 2 | |||
2 | 2 | 16 | 20 | |
2 | 2 | 9 | 13 | |
1 | 1 | 2 | ||
1 | 1 | |||
1 | 1 | |||
2 | 1 | 3 | ||
2 | 2 | 4 | ||
2 | 2 | 16 | 20 | |
총 65개 NOC | 93 | 69 | 151 | 313 |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기존 할당량에 3개의 추가 출전 선수 자격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선수 3명(남자 2명, 여자 1명)의 참가를 허용하기로 결정했다.[3][4]
3. 1. 국가별 쿼터
2018년 1월 26일 기준,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종목 출전권 재분배 후의 국가별 쿼터는 다음과 같다.[2] 대한민국은 남자 2명, 여자 2명으로 총 4명의 선수가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국가 | 남자 | 여자 | 추가 출전 선수 | 총 선수 |
---|---|---|---|---|
1 | 1 | |||
1 | 1 | 2 | ||
1 | 1 | 2 | ||
2 | 2 | 2 | 6 | |
2 | 2 | 3 | 7 | |
2 | 2 | 5 | 9 | |
1 | 1 | |||
1 | 1 | |||
1 | 1 | |||
1 | 1 | 2 | ||
1 | 1 | 2 | ||
2 | 1 | 3 | ||
2 | 2 | 7 | 11 | |
1 | 1 | 2 | ||
2 | 2 | 4 | ||
1 | 1 | |||
2 | 2 | 4 | ||
2 | 2 | 6 | 10 | |
1 | 1 | |||
1 | 1 | |||
2 | 2 | 3 | 7 | |
2 | 2 | 15 | 19 | |
2 | 2 | 9 | 13 | |
2 | 2 | 12 | 16 | |
1 | 1 | 2 | 4 | |
1 | 1 | 2 | ||
1 | 1 | 2 | ||
2 | 1 | 3 | ||
1 | 1 | |||
1 | 1 | 2 | ||
1 | 1 | |||
2 | 2 | 11 | 15 | |
1 | 1 | 2 | ||
2 | 2 | 3 | 7 | |
1 | 1 | |||
1 | 2 | 3 | ||
1 | 1 | |||
1 | 1 | |||
2 | 1 | 3 | ||
1 | 1 | 2 | ||
1 | 1 | |||
1 | 1 | |||
1 | 1 | 2 | ||
1 | 1 | |||
1 | 1 | |||
2 | 1 | 3 | ||
2 | 2 | 16 | 20 | |
1 | 1 | |||
2 | 2 | 3 | 7 | |
1 | 1 | |||
2 | 1 | 3 | ||
2 | 2 | 8 | 12 | |
1 | 1 | |||
2 | 2 | 1 | 5 | |
2 | 2 | 4 | 8 | |
2 | 2 | 4 | ||
2 | 2 | |||
2 | 2 | 16 | 20 | |
2 | 2 | 9 | 13 | |
1 | 1 | 2 | ||
1 | 1 | |||
1 | 1 | |||
2 | 1 | 3 | ||
2 | 2 | 4 | ||
2 | 2 | 16 | 20 |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기존 할당량에 3개의 추가 출전 선수 자격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선수 3명(남자 2명, 여자 1명)의 참가를 허용하기로 결정했다.[3][4]
3. 2. 세부 쿼터 배정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종목의 세부 쿼터 배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2]기준 | 나라당 참가선수 | 총 선수 | 출전국 |
---|---|---|---|
상위 300위 | 2 | 58 | 오스트레일리아 (AUS), 오스트리아 (AUT), 벨라루스 (BLR), 불가리아 (BUL), 캐나다 (CAN), 중국 (CHN), 크로아티아 (CRO), 체코 (CZE), 에스토니아 (EST), 핀란드 (FIN), 프랑스 (FRA), 독일 (GER), 아이슬란드 (ISL), 이탈리아 (ITA), |
기본쿼터 | 1 | 33 | 안도라 (AND), 아르헨티나 (ARG), 아르메니아 (ARM), 벨기에 (BEL), 버뮤다 (BER), 볼리비아 (BOL),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IH), 브라질 (BRA), 칠레 (CHI), 콜롬비아 (COL), 덴마크 (DEN), |
IOC 특별 고려 | 2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PRK) |
총합 | 93 |
기준 | 나라당 참가선수 | 총 선수 | 출전국 |
---|---|---|---|
상위 300위 | 2 | 48 | 오스트레일리아 (AUS), 오스트리아 (AUT), 벨라루스 (BLR), 캐나다 (CAN), 중국 (CHN), 크로아티아 (CRO), 체코 (CZE), 에스토니아 (EST), 핀란드 (FIN), 프랑스 (FRA), 독일 (GER), |
기본쿼터 | 1 | 22 | |
IOC 특별 고려 | 1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PRK) |
총합 | 70 |
나라별 선수 | 총합 | 출전국 |
---|---|---|
16 | 48 | 노르웨이 (NOR), 스웨덴 (SWE), 미국 (USA) |
15 | 15 | 핀란드 (FIN) |
12 | 12 | 독일 (GER) |
11 | 11 | 이탈리아 (ITA) |
9 | 18 | 프랑스 (FRA), 스위스 (SUI) |
8 | 8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AR) |
7 | 7 | 캐나다 (CAN) |
6 | 6 | 체코 (CZE) |
5 | 5 | 벨라루스 (BLR) |
4 | 4 | 슬로베니아 (SLO) |
3 | 12 | 오스트리아 (AUT), 에스토니아 (EST), 카자흐스탄 (KAZ), 폴란드 (POL) |
2 | 4 | 오스트레일리아 (AUS), 영국 (GBR) |
1 | 2 | 슬로바키아 (SVK) |
총합 | 151 |
독일은 총 3개의 쿼터를 반납했으며, 오스트리아와 일본이 각각 1개씩 가져갔다. 이후 러시아 팀이 8개를 반납했다.
3. 3. 참가 가능성 국가
총 열다섯 명 분의 쿼터가 재배정되었다. 특히 러시아 출신 선수들의 대거 탈락으로 8명분을 반납한 데 대해 재배정이 실시되었다. 굵은 글씨는 쿼터를 배정받은 국가, 취소선은 쿼터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표명한 국가이다.참가 가능 국가 | |
---|---|
참조
[1]
웹사이트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https://data.fis-ski[...]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2017-12-06
[2]
웹사이트
Olympic quota list
https://data.fis-ski[...]
2017-12-06
[3]
웹사이트
North Korea will send 22 athletes to Pyeongchang
https://www.bbc.com/[...]
BBC.com
2018-01-20
[4]
웹사이트
Cross-Country and Alpine Skier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o compete in PyeongChang 2018
http://www.fis-ski.c[...]
fis-ski.com
2018-01-26
[5]
웹인용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chang 2018
http://comiteolimpic[...]
국제 크로스컨트리 연맹
2016-03-09
[6]
웹인용
Olympic quota list
https://data.fis-ski[...]
2017-12-06
[7]
웹인용
North Korea will send 22 athletes to Pyeongchang
http://www.bbc.com/s[...]
BBC.com
2018-01-20
[8]
웹인용
Cross-Country and Alpine Skier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o compete in PyeongChang 2018
http://www.fis-ski.c[...]
fis-ski.com
2018-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