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8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2018년 10월 25일부터 10월 29일까지 전라북도(주개최지: 익산시)에서 개최되었다. "비상하라 천년전북, 하나되라 대한민국"을 구호로 선수 5,800명, 임원 및 관계자 2,700명 등 총 8,500명이 참가했다. 절단 및 기타장애, 시각장애, 지적장애, 청각장애, 뇌성마비 등 다양한 종별의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마스코트는 서동과 선화였다. 양궁, 육상, 배드민턴, 보치아 등 다양한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최우수 선수상(MVP)은 충청북도 소속 수영 선수 정사랑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장애인 스포츠 - 2018년 동계 패럴림픽
    2018년 3월 9일부터 18일까지 대한민국 평창군와 강릉시 일대에서 개최된 제12회 동계 패럴림픽은 49개국 567여 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6개 종목에서 기량을 겨뤘으며, 대한민국은 장애인 아이스하키 동메달 획득을 포함하여 종합 16위를 기록했다.
  • 2018년 장애인 스포츠 - 2018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
    2018년 장애인 아시안 게임은 2018년 10월 6일부터 10월 13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아시아 장애인 스포츠 대회로, 43개국이 참가하여 18개 종목, 506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개회식 공동 입장과 일부 종목 남북 단일팀 구성으로 평화와 화합을 보여주었다.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1987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1987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서울 일대 경기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육상, 탁구 등과 더불어 9개의 구기 종목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1981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1981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육상, 수영 등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된 장애인 체육 대회로, 대한민국 장애인 체육 발전과 인식 개선에 기여했으나, 세부 정보는 현재 확인이 어렵다.
  •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 관한 - 1987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1987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서울 일대 경기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육상, 탁구 등과 더불어 9개의 구기 종목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 관한 - 1981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1981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육상, 수영 등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된 장애인 체육 대회로, 대한민국 장애인 체육 발전과 인식 개선에 기여했으나, 세부 정보는 현재 확인이 어렵다.
2018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대회 정보
연도2018년
종류하계
대회제38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 도시전라북도
모토비상하라 천년전북, 하나되라 대한민국
참가 선수단17
참가 선수8,500
종목26
개·폐막식
개막식2018년 10월 25일 (익산 종합운동장)
폐막식2018년 10월 29일 (익산 실내체육관)
개회 선언정헌율 익산시장
주 경기장익산종합운동장

2. 대회 개요

이번 대회는 2018년 10월 25일부터 10월 29일까지 전라북도 익산시를 주 개최지로 하여 열렸다. 대회 구호는 '비상하라 천년전북, 하나되라 대한민국'이며, 徐童|서동중국어과 善花|선화중국어를 모티브로 한 마스코트가 사용되었다.

구분내용
대회명칭제38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기간2018년 10월 25일 ~ 2018년 10월 29일
개최지전라북도 (주개최지 : 익산시)
참가인원8,500명 (선수 5,800명, 임원 및 관계자 2,700명)
종별절단 및 기타장애, 시각장애, 지적장애, 청각장애, 뇌성마비


2. 1. 대회 상징

徐童|서동중국어과 善花|선화중국어를 모티브로 한 마스코트는 화합과 축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비상하라 천년전북, 하나되라 대한민국'이라는 구호는 전라북도의 역사성과 미래 지향적인 가치를 담아, 선수들의 열정과 국민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3. 종목

2018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정식 종목은 다음과 같다.


3. 1. 정식 종목

양궁

육상

배드민턴

보치아

사이클

휠체어 펜싱

골볼

론볼

역도

유도

사격

축구

수영

탁구

배구

농구

휠체어 테니스

휠체어 럭비

볼링

조정

골프

댄스스포츠

요트

당구

태권도

게이트볼

4. 경기장

종목소재지경기장종별세부 종목비고
골볼전주시전주비전대학교 문화체육관시각장애
농구군산시군산월명체육관지적장애
군산대학교 체육관지체장애
당구전주시전주대학교 체육관지체장애/청각장애
론볼익산시익산 론볼 전용경기장지체장애/뇌성마비
휠체어럭비전주시전주화산체육관지체장애
배구고창군고창군립체육관지체장애
배드민턴익산시김동문배드민턴체육관지체장애/지적장애/청각장애/뇌성마비
보치아부안군부안실내체육관지체장애/뇌성마비
볼링익산시남부탑볼링센터전종별
사격임실군전라북도종합사격장지체장애
사이클전주시전주자전거경륜장전종별
수영전주시완산수영장전종별
양궁임실군전라북도 양궁장지체장애
역도김제시김제실내체육관전종별
요트부안군부안요트경기장지제장애
유도정읍시정읍국민체육센터시각장애/청각장애
육상익산시익산종합운동장전종별트랙/필드
익산일원전종별마라톤
조정군산시금강하구언지체장애/시각장애/지적장애/뇌성마비
축구익산시금마축구공원 축구장청각장애
배산체육공원 축구장지적장애
수도산체육공원시각장애
전주시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뇌성마비
탁구익산시익산실내체육관
휠체어테니스완주군완주테니스장지체장애
파크골프진안군진안 파크골프장지체장애/지적장애
휠체어펜싱익산시원광대학교 문화체육관지체장애
태권도무주군무주 태권도원전종별
게이트볼전주시전주 게이트볼장전종별


5. 최우수 선수상 (MVP)

최우수 선수상은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취재 기자단의 투표로 결정된다.

2018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최우수 선수상(MVP)은 충청북도 소속 수영 선수 정사랑이 수상하였다. 정사랑 선수는 7/8등급 및 지체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이 대회에서 6관왕을 달성하였다.

6. 대한민국 장애인 체육의 발전과 과제

대한민국 장애인 체육은 1960년대부터 태동하여 1988년 서울 패럴림픽 개최를 계기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여전히 장애인 체육 참여율은 저조하며, 시설 및 예산 부족, 전문 인력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장애인 체육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장애인 생활체육 지원 확대, 장애인 전문 체육 선수 육성, 장애인 체육 시설 확충 등을 주요 정책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장애인 체육 예산 확대 및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장애인 체육 예산은 전체 체육 예산의 1% 수준에 불과하며, 장애인 체육 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장애인 체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으로 인해 장애인들이 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장애인 체육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장애인 체육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장애인들이 차별 없이 체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를 통한 장애인 체육 홍보 강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 체육 프로그램 확대, 장애인 체육 스타 육성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장애인 체육은 단순한 스포츠 활동을 넘어, 장애인의 건강 증진, 사회 참여 확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대한민국 장애인 체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 체육계, 장애인 단체, 그리고 국민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