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서남단에 위치한 군으로, 서해와 노령산맥에 접하며 구릉지가 넓고 갯벌과 습지가 발달했다. 2013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고인돌 유적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주요 유적으로는 선운사, 고창읍성, 무장읍성 등이 있으며, 매년 고창 모양성 축제, 청보리밭 축제, 산딸기·수박 축제 등이 열린다.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며, 서울 관악구 등 국내 여러 도시 및 중국 짜오좡시 등 국외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창군 - 고창읍
고창읍은 전라북도 고창군의 중심지로서 고창읍성, 고창 고인돌 유적 등의 역사 유적지와 월곡휴양림, 방장산 등의 자연 명소가 있으며, 고창공용버스터미널을 통해 교통의 중심지 역할과 고창초등학교, 고창고등학교, 전북대학교 고창캠퍼스 등 다양한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고창군 - 고창군의 행정 구역
고창군의 행정 구역은 전라북도 고창군의 1읍 13면 체계를 설명하며, 각 읍·면별 법정리, 인구, 세대수, 면적과 함께 1895년부터 현재까지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을 포함하는 문서이다. - 고창군의 행정 구역 - 흥덕군
흥덕군은 백제 시대 상칠현에서 시작하여 신라, 고려 시대를 거쳐 흥덕현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창군에 편입되어 소멸되었으며, 이는 일제의 식민통치 수단으로 지역 자치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고창군의 행정 구역 - 무장군
무장은 백제 시대에 무송현과 장사현이 병합된 지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태종 때 두 고을을 병합하여 칭하고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고창군에 병합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무주군
무주군은 전라북도 동부에 위치한 소백산맥 서쪽의 산지가 많은 군으로, 금강 상류 지역에 해당하며, 신라의 무풍과 백제의 주계를 합쳐 지명이 유래되었고, 태권도원, 덕유산 국립공원 등의 관광지와 축제가 열린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순창군
순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군으로, 섬진강 유역의 순창분지에서 생산되는 고추장을 비롯한 장류가 유명하며, 강천산 군립공원과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고창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고창군 |
한글 표기 | 고창군 |
한자 표기 | 高敞郡 |
로마자 표기 | Gochang-g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och'ang-gun |
지역 | 호남 |
방언 | 전라 |
면적 | 606.90km² |
인구 (2024년 9월) | 53,151명 |
인구 밀도 | 88명/km² |
행정 구역 | 1읍 13면 |
읍 | 1 |
면 | 13 |
![]() | |
![]() | |
행정 | |
군수 | 심덕섭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정읍시·고창군) |
군청 소재지 | 고창읍 중앙로 245 (교촌리) |
공식 홈페이지 | 고창군청 |
상징물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동백꽃 |
군조 | 비둘기 |
추가 정보 | |
![]() | |
![]() | |
![]() |
2. 지리
고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서남단에 위치하며, 서북쪽은 황해와 접하고, 동남쪽으로는 노령산맥이 전라남도와 도계를 이룬다. 동경 126도 26분에서 126도 46분, 북위 35도 18분에서 35도 34분 사이에 위치하며, 동서로 31km, 남북으로 31.5km이다. 동북쪽으로 정읍시, 북쪽으로 부안군, 동남쪽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남쪽으로 영광군과 인접한다.[12]
2. 1. 지형
고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의 서남단에 위치한다. 서북쪽은 황해와 접하며, 동남쪽으로는 노령산맥이 이어지면서 전라남도와 도계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으로 구릉지가 넓고 충적지가 좁다. 군의 북부에는 선운산 도립공원이 위치해 있다. 동경은 126도 26분으로부터 126도 46분에 이르고, 북위는 35도 18분으로부터 35도 34분이며 고창군의 길이는 동서로 31km, 남북으로 31.5km이다. 동북쪽으로 정읍시, 북쪽으로 부안군, 동남쪽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남쪽으로 영광군과 인접한다. 서북부 일대는 황해에 접하고 있다.[12]군내 해안과 북쪽 부안군 사이의 곰소만에는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선운산도립공원 일대에는 숲이 많다. 산악 지역에는 운곡습지와 철새 도래지이자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동림저수지 등의 담수 습지가 산재해 있다.[6] 특히 해안가 고창·부안 갯벌은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며, 황새, 검은머리갈매기, 저어새, 흑조, 큰고니, 쇠제비갈매기, 큰기러기, 참매, 흰물떼새, 검은갯줄기, 흰털발말똥가리, 민물도요, 검은머리갈매기, 붉은어깨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등의 조류와 바지락, 가무락조개 등의 패류가 서식하고 있다.[6][7] 군 지역과 그 주변 해역을 포함한 67152ha는 2013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6] 해안 갯벌 외에도 남미사슴, 서울개구리, 황조롱이, 붉은배새매 등이 서식하는 운곡습지는 람사르 협약에도 등록되어 있다.[7][8]
2. 2. 기후
고창군의 평균 기온은 13.2°C, 연 강수량은 1,225.5mm로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 속한다. 평균 최고 기온은 18.6°C이며, 평균 최저 기온은 8.6°C이다.월 | 최고 기온 기록 (℃) | 평균 최고 기온 (℃) | 평균 기온 (℃) | 평균 최저 기온 (℃) | 최저 기온 기록 (℃) | 강수량 (mm) | 강수 일수 (≥ 0.1 mm) | 상대 습도 (%) | 일조 시간 (시간) |
---|---|---|---|---|---|---|---|---|---|
1월 | 17.3°C | 4.5°C | 0°C | -4.4°C | -18.1°C | 31.1 | 11.2 | 77.7 | 149.9 |
2월 | 22.1°C | 7°C | 1.8°C | -2.8°C | -15.6°C | 33.1 | 8.3 | 74.6 | 155.8 |
3월 | 27.3°C | 12.6°C | 6.3°C | 0.6°C | -5.2°C | 47.0 | 7.1 | 72.8 | 220.9 |
4월 | 28.9°C | 18.4°C | 11.9°C | 6°C | -2.3°C | 83.8 | 9.7 | 73.5 | 217.3 |
5월 | 34.2°C | 24.3°C | 17.9°C | 12.2°C | 3°C | 69.6 | 8.0 | 75.0 | 243.2 |
6월 | 33.5°C | 27.2°C | 22°C | 18°C | 10.6°C | 89.0 | 8.4 | 82.3 | 179.5 |
7월 | 36.6°C | 29.7°C | 25.6°C | 22.6°C | 16.2°C | 284.6 | 14.8 | 86.6 | 150.6 |
8월 | 37.7°C | 30.8°C | 26.3°C | 22.8°C | 15.1°C | 285.2 | 13.2 | 85.1 | 184.0 |
9월 | 36.1°C | 26.4°C | 21°C | 16.6°C | 7.7°C | 123.8 | 9.4 | 84.6 | 177.3 |
10월 | 31.6°C | 21°C | 14.8°C | 9.5°C | -0.5°C | 76.1 | 6.2 | 80.0 | 199.1 |
11월 | 27.8°C | 14.4°C | 9.1°C | 4.2°C | -5.4°C | 59.1 | 9.5 | 77.8 | 145.6 |
12월 | 19.7°C | 6.6°C | 2.1°C | -2°C | -12.9°C | 43.1 | 13.9 | 77.5 | 133.2 |
연 | 37.7°C | 18.6°C | 13.2°C | 8.6°C | -18.1°C | 1225.5 | 79.0 | 2156.4 |
2. 3. 생태
군내 해안과 북쪽 부안군 사이의 곰소만에는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선운산도립공원 일대에는 숲이 많다. 산악 지역에는 운곡습지와 철새 도래지이자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동림저수지 등의 담수 습지가 산재해 있다.[6] 특히 해안가 고창·부안 갯벌은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며, 황새, 검은머리갈매기, 저어새, 흑조, 큰고니, 쇠제비갈매기, 큰기러기, 참매, 흰물떼새, 검은갯줄기, 흰털발말똥가리,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등의 조류와 바지락, 가무락조개 등의 패류가 서식하고 있다.[6][7] 군 지역과 그 주변 해역을 포함한 67152ha는 2013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6] 해안 갯벌 외에도 남미사슴, 서울개구리, 황조롱이, 붉은배새매 등이 서식하는 운곡습지는 람사르 협약에도 등록되어 있다.[7][8]3. 역사
고창은 고대 마한 시대 54개 소국 중 하나였던 모로비리가 있던 곳이다. 백제 시대에는 모량부현 또는 모량현이라 불렸고, 신라 통일 이후에는 고창현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고창군, 무장군, 흥덕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896년 전라남도 고창군·무장군·흥덕군이 되었다. 1906년 전라북도로 이속되었다.[14] 1914년 4월 1일 고창군, 무장군, 흥덕군을 고창군으로 통폐합하였다.[15] 1935년 3월 1일 오산면, 석곡면, 벽사면을 폐지하여 인접 면에 분할 편입하였다.[16] 1955년 7월 1일 고창면을 고창읍으로 승격하였다.[17] (1읍 13면)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으로 고창군, 무장군, 흥덕군의 대부분이 합병되어 고창군이 발족하면서 다음과 같은 면이 설치되었다.(17면)[9]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고창군 천북면, 천남면, 산내면 일부, 오동면 일부, 고사면 일부 | 고창면 |
고창군 고사면 일부, 수곡면 | 고수면 |
고창군 오동면 일부, 오서면 | 오산면 |
고창군 대아면, 산내면 일부 | 아산면 |
무장군 일동면, 이동면 | 무장면 |
무장군 탁곡면, 백석면 | 석곡면 |
무장군 동음치면, 와공면 | 공음면 |
무장군 상리면, 하리면 | 상하면 |
무장군 오리동면, 청해면 | 해리면 |
무장군 성동면, 원송면 | 성송면 |
무장군 대제면, 대사면, 장자산면 | 대산면 |
무장군 심원면 | 심원면 |
흥덕군 현내면, 북면 | 흥덕면 |
흥덕군 일동면, 이동면 일부 | 성내면 |
흥덕군 일남면, 이남면 | 신림면 |
흥덕군 일서면, 이서면 | 벽사면 |
흥덕군 부안면 | 부안면 |
1916년 4월 1일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일부가 대산면에 편입되고, 대산면 일부가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으로 편입되는 행정구역 변경이 있었다. 1935년 3월 1일에는 오산면이 고창면과 고수면에, 석곡면이 아산면과 무장면에, 벽사면이 흥덕면, 신림면, 부안면에 분할 편입되었다. (14면)
1955년 7월 1일 고창면이 고창읍으로 승격되었고,[10] 1973년 7월 1일 신림면 일부가 흥덕면에 편입되었다. 1987년 1월 1일에는 성내면 일부가 정읍군 소성면에, 고수면 일부가 고창읍에, 상하면 일부가 해리면에, 신림면 일부가 흥덕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3. 1. 주요 유적
고창은 한국에서 고인돌 유적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도산리, 상갑리, 마산리의 고인돌 중 일부는 남방식이고, 나머지 전라북도 지역의 고인돌 대부분은 북방식이다. 이는 선사 시대 고창 지역에 다양한 문화가 공존했음을 보여준다.이 지역의 주요 유적지로는 선운사와 고창읍성이 있다. 선운사는 전라북도를 대표하는 불교 사찰 중 하나이다. 동백꽃으로 유명하며, 대웅전과 지장보살상 등 여러 불교 유물을 보유하고 있다.
고창읍성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보존된 읍성이다. 조선 초기에 일본 침략으로부터 고창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이 읍성은 읍성을 밟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무장면 성내리의 무장읍성 또한 주목할 만하다. 무장읍성은 남문과 토축 성벽이 원형대로 남아있다.
고창읍성 내 공붕루 부근에는 신재효의 집터 일부가 남아 있다. 고창 오거리 당산, 사동, 고수면 일대에는 고려청자부터 조선백자, 일제강점기까지 이어진 도자기 생산 유적이 산재해 있다. 부안면 수동리에는 분청사기 생산 유적이 있으며, 사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부안면 보안리에는 김성수 가옥이 있는데, 이는 당시 지역 유지의 전형적인 가옥 형태를 보여준다.
4. 행정 구역
고창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3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창군의 면적은 607.72km2이다. 2013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28,414세대 60,522명이고, 그 중 36.6%가 고창읍에 거주한다. 과거 1966년에는 195,603명으로 인구가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하였다.[13]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2) |
---|---|---|---|---|
고창읍 | 高敞邑 | 8,697 | 22,164 | 42.5km2 |
고수면 | 古水面 | 1,271 | 2,494 | 45.58km2 |
아산면 | 雅山面 | 1,601 | 3,054 | 74.73km2 |
무장면 | 茂長面 | 1,700 | 3,352 | 43.78km2 |
공음면 | 孔音面 | 1,474 | 2,922 | 50.06km2 |
상하면 | 上下面 | 1,447 | 2,864 | 32.96km2 |
해리면 | 海里面 | 1,650 | 3,171 | 39.53km2 |
성송면 | 星松面 | 1,110 | 2,039 | 36.25km2 |
대산면 | 大山面 | 2,052 | 4,003 | 43.84km2 |
심원면 | 心元面 | 1,379 | 2,889 | 40.07km2 |
흥덕면 | 興德面 | 1,849 | 3,625 | 33.39km2 |
성내면 | 星內面 | 1,185 | 2,242 | 30.84km2 |
신림면 | 新林面 | 1,274 | 2,450 | 40.9km2 |
부안면 | 富安面 | 1,723 | 3,253 | 53.35km2 |
고창군 | 高敞郡 | 26,982 | 60,158 | 607.72km2 |
연도 | 총인구(명) |
---|---|
1966년 | 196,377 |
1969년 | 188,789 |
1972년 | 180,391 |
1975년 | 176,369 |
1978년 | 162,805 |
1981년 | 144,716 |
1984년 | 132,919 |
1987년 | 119,042 |
1990년 | 101,090 |
1993년 | 95,569 |
1996년 | 84,941 |
1999년 | 78,228 |
2002년 | 73,875 |
2005년 | 65,050 |
2008년 | 60,774 |
2011년 | 60,683 |
2014년 | 60,204 |
2015년 | 59,812 |
2016년 | 59,602 |
2017년 | 59,806 |
2018년 | 59,063 |
2019년 | 56,991 |
2020년 | 55,604 |
2021년 | 54,512 |
5. 인구
고창군의 면적은 607.72km2이다. 2013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28,414세대 60,522명이고, 그 중 36.6%가 고창읍에 거주한다. 과거에는 195,603명의 인구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하였다.[13]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고창읍 | 高敞邑 | 8,697 | 22,164 | 42.50 |
고수면 | 古水面 | 1,271 | 2,494 | 45.58 |
아산면 | 雅山面 | 1,601 | 3,054 | 74.73 |
무장면 | 茂長面 | 1,700 | 3,352 | 43.78 |
공음면 | 孔音面 | 1,474 | 2,922 | 50.06 |
상하면 | 上下面 | 1,447 | 2,864 | 32.96 |
해리면 | 海里面 | 1,650 | 3,171 | 39.53 |
성송면 | 星松面 | 1,110 | 2,039 | 36.25 |
대산면 | 大山面 | 2,052 | 4,003 | 43.84 |
심원면 | 心元面 | 1,379 | 2,889 | 40.07 |
흥덕면 | 興德面 | 1,849 | 3,625 | 33.39 |
성내면 | 星內面 | 1,185 | 2,242 | 30.84 |
신림면 | 新林面 | 1,274 | 2,450 | 40.90 |
부안면 | 富安面 | 1,723 | 3,253 | 53.35 |
고창군 | 高敞郡 | 26,982 | 60,158 | 607.72 |
연도 | 총인구 |
---|---|
1966년 | 196,377명 |
1969년 | 188,789명 |
1972년 | 180,391명 |
1975년 | 176,369명 |
1978년 | 162,805명 |
1981년 | 144,716명 |
1984년 | 132,919명 |
1987년 | 119,042명 |
1990년 | 101,090명 |
1993년 | 95,569명 |
1996년 | 84,941명 |
1999년 | 78,228명 |
2002년 | 73,875명 |
2005년 | 65,050명 |
2008년 | 60,774명 |
2011년 | 60,683명 |
2014년 | 60,204명 |
2015년 | 59,812명 |
2016년 | 59,602명 |
2017년 | 59,806명 |
2018년 | 59,063명 |
2019년 | 56,991명 |
2020년 | 55,604명 |
2021년 | 54,512명 |
6. 정치
(소스 내용이 없으므로, 정치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문화
고창은 다양한 축제로 유명하다. 고창 모양성 축제는 조선 단종 원년(1453년)에 쌓은 고창읍성에서 열리는 축제이다. 전라도와 제주도 백성들이 힘을 합쳐 외침을 막기 위해 쌓은 이 성은 한국에서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자연석 성곽으로 꼽힌다. 성곽을 따라 걷는 답성놀이는 유명한 민속놀이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다.
청보리밭 축제는 매년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고창군 공음면 학원농장에서 열린다. 넓은 보리밭은 사진작가와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며, 2004년부터 지역 주민과 고창군청이 협의하여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방문객들은 보리밭 걷기, 전통 음식 만들기, 민속놀이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고창에서는 매년 6월 중순에 산딸기와 수박 축제가 열린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산딸기와 수박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산딸기와 수박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을 맛볼 수 있다. 또한, 풍천장어 시식과 잡기 체험도 함께 즐길 수 있다.
7. 1. 축제
'''고창 모양성 축제'''
고창읍성(모양성)은 조선 단종 원년(1453년) 전라도와 제주도 21개 현의 백성들이 힘을 합쳐 외침을 막기 위해 쌓은 성이다. 이 성은 한국에서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자연석 성곽이다.
모양성 축조와 관련된 많은 전설과 풍습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답성놀이이다. 사람들은 손바닥만 한 돌을 머리에 이고 1684m 길이의 성곽을 따라 걷는다. 성곽을 한 바퀴 돌면 다리 병이 낫고, 두 바퀴 돌면 건강하게 장수하며, 세 바퀴 돌면 승천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는 성곽을 돌면 땅이 굳어지고 비상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담고있다. 매년 많은 사람들이 이 민속놀이에 참여한다.
'''청보리밭 축제'''
청보리밭 축제는 매년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고창군 공음면 학원농장에서 열린다.
넓은 보리밭은 사진작가와 여행객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질서 유지, 불편 해소, 지역 문화 소개 등을 위해 행정의 개입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이유로 2004년부터 지역 주민과 고창군청이 협의하여 축제를 개최하게 되었다.
낮은 구릉에 조성된 보리밭을 주제로 한 최초의 경관농업축제이다. 보리밭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풍경은 매년 수십만 명의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방문객들은 보리밭 걷기, 보리를 이용한 전통 음식 만들기, 보리피리 만들기, 줄타기, 투호, 널뛰기 등 민속놀이를 체험할 수 있다.
보리밥, 떡, 전통 과자, 고추장 등 보리를 이용한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으며, 다채로운 문화 공연과 전통 공연도 즐길 수 있다. 축제 기간에는 국제 경관농업 사진 전시회와 관광·농업 관련 국제 학술대회 등이 열린다. 또한 보리와 함께 고창의 특산물인 산딸기 등도 판매된다.
'''산딸기·수박 축제'''
고창에서는 매년 6월 중순에 산딸기와 수박 축제가 열린다. 축제 기간 동안 방문객들은 산딸기와 수박을 특별 할인된 가격으로 살 수 있다. 산딸기 음료와 술, 산딸기를 이용한 전통 과자와 젤리 등 가공식품, 수박 샐러드 등 다양한 제품을 맛볼 수 있다. 옹기 컬링, 산딸기 활쏘기, 수박 쏘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즐길 수 있다.
또한, 산딸기술과 잘 어울리는 풍천장어 시식과 풍천장어 잡기 체험도 함께 진행된다.
7. 2. 특산물
고창에서는 매년 6월 중순에 산딸기와 수박 축제가 열린다. 축제 기간 동안 방문객들은 산딸기와 수박을 특별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산딸기 음료와 술, 산딸기를 이용한 전통 과자와 젤리 등 가공식품, 수박 샐러드 등 다양한 제품을 맛볼 수 있다. 그리고 옹기 컬링, 산딸기 활쏘기, 수박 쏘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또한, 산딸기술과 잘 어울리는 풍천장어 시식과 풍천장어 잡기 체험도 함께 진행된다.
8. 교통
서해안고속도로가 고창군을 지나며, 고창 분기점, 고창 나들목, 고창 휴게소, 선운사 나들목이 있다.
8. 1.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가 고창군을 지난다. 고창 분기점, 고창 나들목, 고창 휴게소, 선운사 나들목이 있다.9. 자매 도시
고창군은 국내외 여러 도시 및 기관과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하고 있다.
이름 | 자매결연일 | 비고 | |
---|---|---|---|
서울 강남구 | 2005년 4월 28일 | 행정교류 협약체결 기관 | |
고창함 | 2007년 5월 30일 | 자매결연기관 | |
경기도 안산시 | 2008년 4월 25일 | 행정교류 협약체결 기관 | |
고려안암병원 | 2011년 7월 13일 | 행정교류 협약체결 기관 | |
원광대학교 | 2013년 9월 5일 | 행정교류 협약체결 기관 | |
전라남도 완도군 | 2013년 10월 30일 | 행정교류 협약체결 기관 |
9. 1. 국내 자매 도시
이름 | 자매결연일 | |
---|---|---|
서울특별시 관악구 | 1996년 6월 7일 | |
부산광역시 동래구 | 1997년 6월 28일 | |
경상북도 상주시 | 1999년 9월 2일 |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03년 2월 13일 |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13년 2월 5일 | |
경상북도 고령군 | 2013년 7월 24일 |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18년 11월 9일 |
9. 2. 국외 자매 도시
이름 | 자매결연일 | 비고 | |
---|---|---|---|
중국 산동성 짜오좡시 | 2005. 10. 24. | 枣庄市|짜오좡시중국어 | |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 2009. 5. 16. | ||
몽골 투아이막 밧솜브리솜 | 2009. 10. 26. | ||
중국 하남성 신양시 | 2010. 3. 30. |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2012. 4. 2. | ||
중국 강소성 타이저우시 | 2019. 5. 15. | 泰州市|타이저우시중국어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3]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웹사이트
高敞、和順、江華の支石墓群跡
https://kotobank.jp/[...]
세계遺産詳解
2022-08-15
[6]
웹사이트
Gochang Biosphere Reserve, Republic of Korea
https://en.unesco.or[...]
2023-02-06
[7]
웹사이트
Gochang and Buan Tidal Flat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6
[8]
웹사이트
Ungok Wetland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6
[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0]
법률
법률 제35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55-06-29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웹인용
고창군의 위치
https://web.archive.[...]
2011-08-06
[13]
웹인용
고창군의 인구
https://web.archive.[...]
2011-08-06
[14]
뉴스
六郡移付
http://viewer.nl.go.[...]
대한매일신보
2022-01-25
[1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6]
법률
도령 제1호
1935-01-30
[17]
법률
법률 제35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55-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