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시아 지역의 최종 예선으로, 2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이 6팀씩 두 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리그전을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란, 대한민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시리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은 6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진행했다.[6]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고, 각 조 3위 팀은 4차 예선(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6]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는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진출했다.
2. 진행 방식
리그 형식에서 각 조의 팀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6]3. 참가국 및 시드 배정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16년 4월 1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렸다.[2][3] 시드는 2016년 4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정해졌으며,(괄호 안은 FIFA 랭킹)[4] 12개 팀은 6개의 포트로 나뉘었다.[5]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포트 6
각 조는 6개의 포트에서 각각 1팀씩 배정받았으며, 경기 일정은 각 팀의 포트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었다.
3. 1. 참가국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는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진출했다.
3. 2. 시드 배정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16년 4월 1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렸다.[2][3] 시드는 2016년 4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정해졌으며,(괄호 안은 FIFA 랭킹)[4] 12개 팀은 6개의 포트로 나뉘었다.[5]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포트 5 | 포트 6 |
---|---|---|---|---|---|
각 조는 6개의 포트에서 각각 1팀씩 배정받았으며, 경기 일정은 각 팀의 포트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었다.
3. 3. 조 추첨 결과
wikitable
4. 경기 결과
색상 기준 | |
---|---|
style="background:#ccffcc; width:30px;"| | 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
style="background:#ccccff; width:30px;"| |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 |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
리그 형식에서 각 조의 팀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규정 20.6조 및 20.7조):[6]
#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
# 전체 골 득실차
# 전체 득점
# 동률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동률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동률 팀 간의 경기에서 득점한 골
# 동률 팀 간의 경기에서 원정 골 (홈 앤 어웨이 리그 형식에서 두 팀 간의 동률인 경우에만 해당)
# 페어플레이 점수
#* 첫 번째 옐로 카드: -1점
#* 경고 누적 퇴장(두 번째 옐로 카드): -3점
#* 직접적인 레드 카드: -4점
#* 옐로 카드 및 직접적인 레드 카드: -5점
# FIFA 조직위원회가 추첨
승점이 같은 팀이 2개 이상일 경우에는, 다음 순서로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규정 조항 20.6 및 20.7 참조[16]).
# 골 득실차
# 총 득점
# 해당 팀 간 승점
# 해당 팀 간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 득점 수
# 해당 팀 간 원정 다득점 (비교 대상이 2팀일 때)
# 중립 지역에서의 경기 (FIFA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4. 1. A조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A조는 2016년 9월 1일부터 2017년 9월 5일까지 진행되었다. 이란이 6승 4무 무패로 1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고, 대한민국이 4승 3무 3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시리아는 3승 4무 3패로 조 3위를 기록하여 4차 예선에 진출했다. 우즈베키스탄, 중국, 카타르는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경기 결과 | |||||||||||
---|---|---|---|---|---|---|---|---|---|---|---|
colspan="2" | | 이란 | 대한민국 | 시리아 | 우즈베키스탄 | 중국 | 카타르 | |||||
이란 | 1 - 0 | 2 - 2 | 2 - 0 | 1 - 0 | 2 - 0 | ||||||
대한민국 | 0 - 0 | 1 - 0 | 2 - 1 | 3 - 2 | 3 - 2 | ||||||
시리아 | 0 - 0 | 0 - 0 | 1 - 0 | 2 - 2 | 3 - 1 | ||||||
우즈베키스탄 | 0 - 1 | 0 - 0 | 1 - 0 | 2 - 0 | 1 - 0 | ||||||
중국 | 0 - 0 | 1 - 0 | 0 - 1 | 1 - 0 | 0 - 0 | ||||||
카타르 | 0 - 1 | 3 - 2 | 1 - 0 | 0 - 1 | 1 - 2 |
- 2016년 9월 1일, 대한민국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중국을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우즈베키스탄은 분요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시리아를 1-0으로 이겼고, 이란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카타르를 2-0으로 꺾었다.
- 2016년 9월 6일, 중국은 선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이란과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시리아는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말레이시아 투안쿠 압둘 라만 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과 0-0으로 비겼다.[21] 카타르는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우즈베키스탄에 0-1로 패했다.
- 2016년 10월 6일, 대한민국은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카타르를 3-2로 꺾었다. 중국은 산시 스타디움에서 시리아에 0-1로 패배했고, 우즈베키스탄은 분요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이란에 0-1로 졌다.
- 2016년 10월 11일, 우즈베키스탄은 분요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중국을 2-0으로 이겼다. 이란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을 1-0으로 꺾었고, 카타르는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시리아를 1-0으로 이겼다.
- 2016년 11월 15일, 대한민국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우즈베키스탄을 2-1로 이겼다. 중국은 투오동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카타르와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시리아는 말레이시아 투안쿠 압둘 라만 스타디움에서 이란과 0-0으로 비겼다.
- 2017년 3월 23일, 중국은 허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을 1-0으로 꺾었다. 시리아는 말레이시아 항 제밧 스타디움에서 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이겼고, 카타르는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이란에 0-1로 패했다.
- 2017년 3월 28일, 대한민국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시리아를 1-0으로 꺾었다. 이란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중국을 1-0으로 이겼고, 우즈베키스탄은 분요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카타르를 1-0으로 이겼다.
- 2017년 8월 31일, 중국은 우한 스포츠 센터에서 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이겼다. 대한민국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이란과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시리아는 말레이시아 항 제밧 스타디움에서 카타르를 3-1로 이겼다.
- 2017년 9월 5일, 카타르는 칼리파 국제경기장에서 중국에 1-2로 패했다. 이란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시리아와 2-2로 비겼고, 우즈베키스탄은 분요드코르 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과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4. 2. B조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B조에서는 대한민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태국이 참가했다.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일본 | 10 | 6 | 2 | 2 | 17 | 7 | +10 | 20 |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
2 | 사우디아라비아 | 10 | 6 | 1 | 3 | 17 | 10 | +7 | 19 |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
3 | 오스트레일리아 | 10 | 5 | 4 | 1 | 16 | 11 | +5 | 19 |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진출 |
4 | 아랍에미리트 | 10 | 4 | 1 | 5 | 10 | 13 | -3 | 13 | 탈락 |
5 | 이라크 | 10 | 3 | 2 | 5 | 11 | 12 | -1 | 11 | 탈락 |
6 | 태국 | 10 | 0 | 2 | 8 | 6 | 24 | -18 | 2 | 탈락 |
- 2016년 9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는 퍼스 오벌에서 열린 이라크와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아랍에미리트에게 1-2로 패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태국을 1-0으로 이겼다.
- 2016년 9월 6일, 이라크는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1-2로 패했다.[22] 이 경기는 이라크 내전으로 인해 중립 지역에서 열렸다. 태국은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일본에 0-2로 졌다. 아랍에미리트는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0-1로 패했다.
- 2016년 10월 6일,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이라크를 2-1로 이겼다. 아랍에미리트는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에서 태국을 3-1로 이겼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오스트레일리아와 2-2로 비겼다.
- 2016년 10월 11일, 오스트레일리아는 도클랜즈 스타디움에서 일본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라크는 샤히드 다스트게르디 경기장에서 태국을 4-0으로 대파했다.[22] 사우디아라비아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아랍에미리트를 3-0으로 이겼다.
- 2016년 11월 15일,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2-1로 이겼다. 태국은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오스트레일리아와 2-2로 비겼다. 아랍에미리트는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에서 이라크를 2-0으로 이겼다.
- 2017년 3월 23일, 이라크는 샤히드 다스트게르디 경기장에서 오스트레일리아와 1-1로 비겼다.[22] 태국은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0-3으로 패했다. 아랍에미리트는 하자 빈 자예드 경기장에서 일본에 0-2로 졌다.
- 2017년 3월 28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 아랍에미리트를 2-0으로 이겼다.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태국을 4-0으로 대파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이라크를 1-0으로 이겼다.
- 2017년 6월 8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애들레이드 오벌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3-2로 이겼다.[23]
- 2017년 6월 13일, 태국은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아랍에미리트와 1-1로 비겼다. 이라크는 샤히드 다스트게르디 경기장에서 일본과 1-1 무승부를 거두었다.[22]
- 2017년 8월 29일, 아랍에미리트는 하자 빈 자예드 경기장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2-1로 이겼다.
- 2017년 8월 31일,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2-0으로 이겼다. 태국은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이라크에 1-2로 패했다.
- 2017년 9월 5일, 오스트레일리아는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에서 태국을 2-1로 이겼다. 이라크는 암만 국제경기장에서 아랍에미리트를 1-0으로 이겼다.[22] 사우디아라비아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일본을 1-0으로 이겼다.
5. 득점 순위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55경기에서 총 120골이 터졌으며, 이 중 3골은 자책골이었다.
5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토미 유리치, 이라크의 모한나드 압둘라힘, 사우디아라비아의 나와프 알아베드, 아랍에미리트의 아흐메드 칼릴이 있다.
4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일본의 하라구치 겐키, 카타르의 하산 알하이도스,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맙쿠트가 있다.
3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매슈 레키, 밀레 예디나크,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 시리아의 마흐무드 알마와스, 오마르 크르빈이 있다.
2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중국의 가오린, 이란의 사르다르 아즈문, 이라크의 사드 압둘아미르, 일본의 아사노 다쿠마, 구보 유야, 사우디아라비아의 모하메드 알살라위, 야흐야 알셰흐리, 대한민국의 기성용, 구자철, 태국의 티라신 댕다, 우즈베키스탄의 마라트 비크마예프가 있다.
1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팀 케이힐, 잭슨 어빈, 마시모 루옹고, 톰 로기치, 트렌트 세인스버리, 중국의 하오쥔민, 우시, 위다바오, 위하이, 이란의 레자 구차네자드, 잘랄 호세이니, 알리레자 자한바크슈, 이라크의 아이멘 후세인, 마흐디 카밀, 아흐메드 야신 가니, 저스틴 메람, 일본의 혼다 게이스케, 이데구치 요스케, 가가와 신지, 기요타케 히로시, 곤노 야스유키, 오카자키 신지, 오사코 유야, 야마구치 호타루, 요시다 마야, 카타르의 아크람 아피프, 세바스티안 소리아, 알리 아사달라,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알모아셰르, 타이시르 알자심, 살렘 알다우사리, 파하드 알무왈라드, 나세르 알샴라니, 오마르 하우사위, 대한민국의 홍정호, 황희찬, 지동원, 이청용, 남태희, 손흥민, 시리아의 아흐마드 알살레, 태국의 타나 차나붓, 몽콘 톳끄라이, 뽁끌라오 아난, 아랍에미리트의 이스마일 마타르, 우즈베키스탄의 오딜 아흐메도프,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예고르 크리메츠, 오타베크 슈쿠로프가 있다.
자책골은 중국의 정즈(대한민국 전), 이라크의 아흐마드 이브라힘 칼라프(태국 전), 태국의 톤분 께사랏(사우디아라비아 전)이 기록했다.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ExCo approves expanded AFC Asian Cup finals
http://www.the-afc.c[...]
AFC
2014-04-16
[2]
웹사이트
2018 FIFA World Cup: Asian Qualifying Round 3 line up complete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6-03-30
[3]
웹사이트
Stage set for Russia 2018 Asian qualifiers Final Round draw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6-04-10
[4]
웹사이트
FIFA/Coca-Cola World Ranking – April 2016 (AFC)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6-04-07
[5]
웹사이트
Iran remain No. 1 in Asia, Australia the big movers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6-04-07
[6]
웹사이트
Regulations – 2018 FIFA World Cup Russia
http://resources.fif[...]
FIFA.com
[7]
웹사이트
Iran hold by Syria in FIFA World Cup qualifier
http://www.tehrantim[...]
Tehran Times
2016-11-15
[8]
웹사이트
AFC deny Iraq's demand to play Saudi Arabia in Iran
http://www.goal.com/[...]
Goal.com
2016-04-29
[9]
웹사이트
Australia, Japan to go head-to-head following Asian draw
https://www.fifa.com[...]
FIFA.com
2016-04-12
[10]
웹사이트
Football: FIFA replaces Qatari referee for UAE World Cup qualifier; Singaporean steps in
http://www.channelne[...]
2017-06-12
[11]
웹사이트
ExCo approves expanded AFC Asian Cup finals
http://www.the-afc.c[...]
AFC
2014-04-16
[12]
웹사이트
FIFA/Coca-Cola World Ranking – April 2016 (AFC)
http://www.fifa.com/[...]
FIFA
2016-04-07
[13]
웹사이트
Iran remain No. 1 in Asia, Australia the big movers
http://www.the-afc.c[...]
AFC
2016-04-08
[14]
웹사이트
Stage set for Russia 2018 Asian Qualifiers Final Round draw
http://www.the-afc.c[...]
AFC
2016-04-10
[15]
웹사이트
Australia, Japan to go head-to-head following Asian draw
http://www.fifa.com/[...]
FIFA
2016-04-12
[16]
웹사이트
Regulations – 2018 FIFA World Cup Russia
http://www.fifa.com/[...]
FIFA.com
[17]
웹사이트
W杯最終予選、16年ホームゲームは3試合とも埼スタ開催
http://web.gekisaka.[...]
ゲキサカ
2016-06-17
[18]
웹사이트
AFC deny Iraq's demand to play Saudi Arabia in Iran
http://www.goal.com/[...]
Goal.com
2016-04-29
[19]
웹사이트
Australia, Japan to go head-to-head following Asian draw
http://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16-04-12
[20]
웹인용
2018 FIFA World Cup Russia™, Qualifiers, Asia, Road to Russia - FIFA.com
http://www.fifa.com/[...]
2017-03-27
[21]
문서
시리아는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말레이시아에서 치렀다.
[22]
문서
이라크는 [[이라크 내전 (2014년 - 현재)|이라크 내전]]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과의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이란에서 치렀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홈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란과의 [[이란-사우디아라비아 대리 전쟁|정치적 분쟁]]을 이유로 이란에서 경기를 치르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중립 지대인 말레이시아에서 치렀으며, 아랍에미리트와의 홈 경기는 아랍에미리트가 [[2017년 카타르 외교 위기]]의 여파로 인해 이란에서 경기를 치르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중립 지대인 요르단에서 치렀다.
[23]
문서
오스트레일리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2017년 6월 13일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관계로 일정이 변경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