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9년 북한 선원 강제 북송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북한 선원 강제 북송 사건은 대한민국 해군이 동해상에서 나포한 북한 선원 2명을 동료 선원 16명을 살해한 혐의로 북한에 강제 북송한 사건이다. 문재인 정부는 이들이 흉악범죄자이며 북한이탈주민 보호법상 보호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북송을 결정했다. 그러나 이 결정은 한국 전쟁 휴전 이후 귀순 의사를 밝힌 북한 주민을 강제 북송한 첫 사례이자, 국제법 위반 및 인권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고발과 검찰 수사가 시작되었으며, 강제 북송 과정의 위법성과 진실 규명을 위한 조사가 진행되었다.

2. 사건 전개

북한의 주장과 한국의 조사에 따르면, 해당 선원들은 김책항에서 북한에 붙잡힌 선원 1명과 함께 다른 선원 16명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 1명이 김책항에서 붙잡힌 후 나머지 2명이 배를 타고 월남을 시도했고, 배에서는 핏자국이 발견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에게 북송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기회를 주지 않고 강제 북송했다.[27][28]

문재인 정부동해에서 탈북한 우범성(23세, 1997년생, 함경북도 청진시 출신)과 김현욱(22세, 1996년생, 함경북도 청진시 출신)을 구속, 이들이 어선 내에서 동료 16명을 살해한 후 탈북했다고 발표했다. 판문점을 통해 이들을 북한으로 강제 북송한 것은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한국이 귀순을 인정하지 않고 북한으로 강제 북송한 첫 사례였으며, 국제법 위반에 따른 인권 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 강제 북송은 한국 국민에게 알리지 않고 은밀하게 진행되었으나, 강제 북송 당일 오전에 국회에 출석했던 김유근 (전 청와대 안보실 제1차장)이 공동경비구역 대대장으로부터 스마트폰 SMS로 보고받은 내용이 언론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알려졌다.

2. 1. 나포 및 강제 북송

2019년 11월, 대한민국 해군은 동해 상에서 북한 선원 2명을 나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이 동료 선원 16명을 살해하고 도주한 것으로 판단했다.[5] 나포 5일 만에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강제 추방되었다.[5]

대한민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이들 2명은 다른 남자 1명과 함께 가혹한 대우를 받은 것이 이유가 되어 선장을 살해했으며, 이후 3명은 북한으로 돌아갔지만, 1명이 항구에서 경찰에 구속되었기 때문에 나머지 2명은 어선으로 한국으로 도망치려 했다.[5]

문재인 정부는 이들을 대한민국의 안전 보장을 위협하는 범죄자로 취급하여 군사 분계선의 판문점에서 북한 측으로 인도했다.[5] 이는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한국이 귀순을 인정하지 않고 북한으로 강제 북송한 첫 사례였다.[5]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2019년 11월 26일 개최될 한국- ASEAN 특별 정상회의에 김정은을 초청하는 것이었다. 11월 5일에는 북한에 어부 송환 의사를 전달하는 통지문을 보냈고, 같은 날 김정은에게 초청장도 북한에 보냈다고 한다.

2. 2. 강제 북송의 배경

문재인 정부는 이들이 16명을 살해한 흉악범죄자이며, 대한민국의 사법 체계 내에서 재판받을 권리가 없다고 판단했다.[27][28] 북한이탈주민 보호법에 따르면 범죄를 저지르고 도피한 자는 보호 조치를 하지 않을 수 있으나, 북송을 할 수 있다고 명시된 것은 아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 주민도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한다. 헌법상으로는 북한 주민도 한국에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있지만, 북한에서 저지른 범죄를 한국에서 재판한 전례는 없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2019년 11월 말 한국 ASEAN 특별 정상회의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하려던 상황이었다. 같은 해 11월 5일, 북한에 송환 의사를 전달하는 통지문과 김정은 초청장을 같은 날 발송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강제 북송 결정에 정치적 의도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3. 문재인 정부의 주장 (2019년)

문재인 정부는 북한의 주장 및 한국의 조사 결과, 해당 선원들이 다른 선원 16명을 살해한 혐의가 있으며 배에서 핏자국이 발견되었다는 점을 들어 이들이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27][28] 따라서 탈북자가 아닌 범죄자로 취급, 판문점(군사 분계선의 비무장 지대)에서 북한 측으로 인도했다.[5]

정의용(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은 탈북 어민이 일반적인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강제 북송의 법적 근거를 제시했다.[10][11] 그 근거로 난민법 제19조 제3항(대한민국 입국 전 국외에서 중대한 비정치적 범죄를 저지른 경우 난민 불인정 가능)과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살인 등 중대한 비정치적 범죄자는 보호 대상자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음)를 들었다.[10][11]

4. 윤석열 정부의 재조사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국민의힘 후보)이 당선된 후, 윤석열 정부문재인 정부의 탈북자 강제 북송 사건을 "반인도적인 범죄 행위"로 규정하고 재조사에 착수했다.[13] 국가정보원서훈 (문재인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장) 등을 직권남용 및 허위 공문서 작성 혐의로 형사 고발했고, 검찰은 국가정보원 주도의 정부 합동 조사 과정에 대해 수사를 시작했다.[11]

통일부는 탈북자가 헌법상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는 점과 북송 후 탈북자가 받을 처벌을 고려할 때 송환 조치는 부적절하다고 표명했고,[19] 강제 북송 당시의 사진과 영상을 공개하며, 사실상 의견을 뒤집었다.[19] 태영호(국민의힘)는 영상 공개를 요구했고, 2022년 7월 18일에는 강제 북송 당시의 영상도 공개되었다.[4] 영상에는 북한으로 인도될 것을 알아차린 우범선(탈북자 중 한 명)[2][3]판문점 군사 분계선 앞에서 저항하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었다.[4]

국민의힘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탈북자 2명이 선원 16명을 살해했다"는 내용이 허위였다는 증언이 나왔다고 발표했다. 한기호(국민의힘 소속, 태스크포스(북한 주민 강제 북송 문제 등의 조사를 진행하는 단체) 단장)는 증언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강제 북송된 탈북자 2명에게 살해된 선원 16명"은 함경북도김책시에서 탈북하려던 5세대 주민 16명을 지칭하며, 처음부터 어선에는 16명이 승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25]

4. 1. 수사 착수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문재인 정부 시절 강제 북송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고발이 접수되었고, 검찰의 수사가 시작되었다.[31][32]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국민의힘 후보)이 당선된 후,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탈북자 강제 북송 사건을 "반인도적인 범죄 행위"로 규정하고 조사에 착수했다.[13]

국가정보원은 2022년 7월 6일 서훈 (문재인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장) 등을 직권남용 및 허위 공문서 작성 혐의로 형사 고발했다.[11][15][16][17][18] 국가정보원이 검찰에 제출한 고발장에 따르면, 서훈 등은 2019년 11월 3일 시작된 정부 합동 조사를 통상 2주 이상 걸림에도 불구하고[14] 부당하게 조기 종료하고, "살인 혐의에 대한 강제 수사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조사 보고서 내용을 삭제하여 다음날 통일부에 전달했으며, 이 과정에서 "귀순"을 "월경"으로 바꾼 혐의가 있다.[11]

검찰은 국가정보원 주도의 정부 합동 조사 과정에 대해서도 수사를 시작했다.[11]

4. 2. 증거 공개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문재인 정부 시절 강제 북송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고발이 접수되었고 위법성에 대해 검찰의 수사가 시작되었다.[31][32]

7월 11일, 통일부는 탈북자가 헌법상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는 점과 북송 후 탈북자가 받을 처벌을 고려할 때 송환 조치는 부적절하다고 표명했고,[19] 12일에는 강제 북송 당시의 사진을 공개했다.[20][21] 크리스 스미스(미국 하원 의원)는 사진을 보고 "북한 정권과 문재인 정권이 공모했다"며 "충격을 받았고 경악했다"고 말했다.[8] 영국 상하원 의원 7명과 인권 문제 전문가로 구성된 '북한 문제에 관한 초당파 의원 모임'은 문재인 정부의 강제 북송을 비난하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고, 7월 15일에 서한 내용을 공개했다.[22]

태영호(국민의힘)는 영상 공개를 요구했고, 7월 18일에는 강제 북송 당시의 영상도 공개했다.[4][13][19][23] 영상에는 북한으로 인도될 것을 알아차린 우범선(탈북자 중 한 명)[2][3]이 판문점 군사 분계선 앞에서 웅크리거나, 피투성이가 될 때까지 머리를 땅에 찧는 등 처절하게 저항하고, 경찰청 경비국 대테러과 소속 특공대원[8]에 의해 끌려가듯이 북한 측으로 연행되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었다.[4][13][19][23]

통일부는 사건 당시 강제 북송의 정당성을 강조했지만, 2022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당시 사진과 영상을 잇따라 공개하고, 탈북자 2명에게 망명 의사가 있었다는 것을 강조하는 등, 사실상 의견을 뒤집었다고 평가받고 있다.[19] 또한 강제 북송 직전에 담당 부처인 통일부에 파견되었던 A(통일부 장관 법률 보좌관・검사)와 법률 해석 담당 부처인 법무부가 강제 북송에 법적 근거가 없다는 취지로 경고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1]

4. 3. 국민의힘의 주장

2022년 7월 20일, 국민의힘은 "탈북자 2명이 어선 내에서 선원 16명을 살해했다"는 문재인 정부의 발표가 허위였다는 증언이 나왔다고 발표했다.[25] 한기호(국민의힘 소속, 태스크포스(북한 주민 강제 북송 문제 등의 조사를 진행하는 단체) 단장)는 증언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25][11]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강제 북송된 탈북자 2명에게 살해된 선원 16명"은 함경북도김책시에서 탈북하려던 5세대 주민 16명을 지칭하며, 처음부터 어선에는 16명이 승선하지 않았다고 한다.[25] 북한으로 강제 북송된 탈북자 2명은 이들 16명의 탈북을 도우려 했던 탈북 브로커였다고 한다.[25][11] 즉, "탈북자 2명이 16명을 살해했다"는 것은 해당 탈북 브로커 2명을 한국에서 강제 북송시키기 위해 북한이 꾸며낸 거짓말이며, 문재인 정부는 이를 합동 심문으로 확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25][11]

탈북 브로커 2명과 함께 탈북하려던 주민 16명은 승선 전에 북한 당국에 체포되었으며, 생사는 불분명하다.[25] 또한 오징어잡이 어선에는 북한 당국이 동승하여 24시간 감시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조업이 불가능하며, 17톤의 오징어잡이 어선에는 통상 약 10명이 승선한다고 한다.[25]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잠자고 있는 선원을 1명씩 불러내 살해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오징어잡이는 야간에 이루어지므로 선실에서 취침하고 있었다는 내용에 모순이 발생하며, 거짓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25]

만약 어선 내에서 16명이나 살해된 사건이 사실이라면, 혈흔의 흔적 등이 조금이라도 남아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선박 증거 인멸을 위해 북한에 즉시 반환한 어선(해군 제1함대 항구로 예인되었다[1])의 소독에 입회한 검열관은 "혈흔의 흔적은 없었다"고 진술했다고 한다.[1][8]

5. 법적, 윤리적 논란

한국의 조사 및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해당 선원들은 김책항에서 북한에 붙잡힌 선원 1명과 함께 다른 선원 16명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 이후 1명이 김책항에서 붙잡혔고, 나머지 2명은 배를 타고 월남을 시도했으며, 배에서는 핏자국이 발견되었다.[27][28]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에게 북송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기회를 주지 않고 강제 북송했다.

문재인 정부의 이러한 결정은 일부 사람들과 단체로부터 반인권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7][28] 북한이탈주민 보호법에 따르면 범죄를 저지르고 도피한 자는 보호 조치를 하지 않을 수 있으나, 북송을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규정은 없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 주민도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해왔다. 살인 혐의에 대한 북한의 주장은 정황상 가능성이 있지만, 제대로 된 조사나 재판 없이 내려진 일방적인 주장이므로 진위 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 헌법상 북한 주민도 한국에서 재판받을 권리가 있으나, 북한에서 저지른 범죄를 한국에서 재판한 전례는 없다.

탈북민 출신 영화 제작자 정성산은 강제 북송된 2명이 주범이 아니라고 주장했으며,[29][30] 2명의 살인 가담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형이 확실시되는 북한으로 송환한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5. 1. 국제법 위반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이탈주민 보호법에 따라 범죄를 저지르고 도피한 자는 보호 조치를 하지 않을 수 있지만, 북송을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규정은 없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 주민도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해당 선원들에게 북송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기회를 주지 않고 강제 북송했다.[27][28]

헌법상 북한 주민도 대한민국에서 재판받을 권리가 있지만, 북한에서 저지른 범죄를 한국에서 재판한 전례는 없다. 또한, 2명의 살인 가담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형이 확실시되는 북한으로 송환한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탈북민 출신 영화 제작자 정성산은 강제 북송된 2명이 주범이 아니라고 주장했다.[29][30]

문재인 정부는 이들이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판단하여 범죄자로 취급하고 판문점(군사 분계선의 비무장 지대)을 통해 북한으로 인도했다.[5] 이는 한국이 판문점에서 북한인을 강제 북송한 첫 사례이며, 남북 간 범죄인 인도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다.[5]

송환 후 이들은 황해북도 사리원시국가보위성 산하 시설에서 50일간 고문을 받고 처형되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2][9] 김책시 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3일 이내에 총살형에 처해졌다는 소문이 퍼져 있다고 한다.[25]

정의용(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은 "탈북 어민은 일반적인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것 같다"며 강제 북송의 법적 근거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난민법 제19조 제3항과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를 근거로 제시했다.[10][11]

5. 2. 대한민국 헌법 위반

대한민국 헌법은 북한 주민도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한다.[27][28] 따라서 이들에게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재판받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헌법상 북한 주민도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하지만, 북한에서 저지른 범죄를 한국에서 재판한 전례가 없다는 점이 법적 쟁점으로 떠올랐다.

5. 3. 인권 침해

한국의 조사 및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해당 선원들은 김책항에서 북한에 붙잡힌 선원 1명과 함께 다른 선원 16명을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 1명이 김책항에서 붙잡힌 후 나머지 2명이 배를 타고 월남을 시도했고, 배에서는 핏자국이 발견되었다.[27][28]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에게 북송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기회를 주지 않고 강제 북송했다.

일부 사람들과 단체들은 문재인 정부의 선원 북송 결정이 반인권적이라고 비판했다.[27][28] 북한이탈주민 보호법에 따르면 범죄를 저지르고 도피한 자는 보호 조치를 하지 않을 수 있으나, 북송을 할 수 있다고 규정된 것은 아니다. 보호 조치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일부 필요한 보호를 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 주민도 대한민국 국민으로 보았다. 살인범이라는 북한의 주장은 정황상 살인 가능성은 있지만, 제대로 된 조사나 재판이 이루어지지 않은 일방적 주장이므로 진위 여부를 알 수 없다. 헌법상 북한 주민도 한국에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있지만, 실제로는 북한에서 저지른 범죄를 한국에서 재판한 전례는 없다.

정성산은 강제 북송된 2명이 주범이 아니라고 주장했다.[29][30] 또한, 2명이 살인에 가담한 정도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형이 확실한 북한으로 송환한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송환 후 2명은 황해북도 사리원시국가보위성 산하 시설에서 50일간 고문을 받았으며, 송환 2개월 후 처형되었다고 보도되었다.[2][9] 그러나 김책시에서 약 40일간 생활한 북한 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강제 북송 후 3일 이내에 총살형에 처해졌다는 소문이 퍼져 있다고 한다.[25]

6. 관련자 처벌 및 진상 규명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문재인 정부 시절 강제 북송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고발이 접수되었고, 검찰의 수사가 시작되었다.[31][32] 2022년 7월 18일, 한국 변호사 단체와 인권 단체는 문재인을 살인, 국제형사범죄법 위반, 직무 유기, 직권 남용, 불법 체포 감금 등 5가지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형사 고발했다.[8][24] 이들은 문재인을 강제 북송의 "최고 지시자"로 지목하고, 북한으로 강제 송환 시 대다수가 처형될 것을 언급하며 "살인의 미필적 고의가 있다"고 주장했다.[24]

2022년 7월 20일까지 문재인 정부 당시 청와대가 강제 북송 당시 국가정보원 등이 제출한 보고서의 제목을 변경하고, 탈북자 2명이 망명을 요구할 때의 진술 내용이 기록된 다른 보고서를 무단으로 파기한 사실이 밝혀졌다.[14] 탈북자 2명은 합동 조사 시 한국으로의 망명 희망을 자필로 작성한 "보호 신청서"를 당국에 제출했고, 국가정보원은 이 문서에 "망명자 확인 자료"라는 제목을 붙여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제출했으나, 안보실은 제목을 "선원 송환 보고서"로 변경했다고 하며, 은폐 의혹이 제기되었다.[14]

7. 남북 관계 및 국제 사회의 반응

이 사건은 남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를 증폭시킬 수 있다고 평가된다.

문재인 정부동해에서 탈북한 우범성과 김현욱을 구속했다고 발표했다. 문재인 정부는 이 두 사람이 어선 내에서 동료 16명을 살해한 후 탈북했다고 발표했으며,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강제 북송했다. 이는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한국이 귀순을 인정하지 않고 북한으로 강제 북송한 첫 사례였으며, 국제법 위반에 따른 인권 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27][28]

문재인친북 성향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문재인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2019년 11월 26일에 개최될 한국 ASEAN 특별 정상회의에 김정은을 초청하는 것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11월 5일에 북한에 어부 송환 의사를 전달하는 통지문을 보냈고, 같은 날 김정은에게 초청장도 함께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정부의 북한 선원 강제 북송 결정은 국제법 위반에 따른 인권 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27][28] 일부 사람들과 단체 등은 문재인 정부의 이 결정이 반인권적이라고 비판하였다.

7. 1. 남북 관계

이 사건은 남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를 증폭시킬 수 있다고 평가된다.

문재인 정부동해에서 탈북한 우범성(남성, 23세, 1997년생, 함경북도청진시 출신)과 김현욱(남성, 22세, 1996년생, 함경북도 청진시 출신)을 구속했다고 발표했다. 문재인 정부는 이 두 사람이 어선 내에서 동료 16명을 살해한 후 탈북했다고 발표했으며,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강제 북송했다. 이는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한국이 귀순을 인정하지 않고 북한으로 강제 북송한 첫 사례였으며, 국제법 위반에 따른 인권 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27][28]

문재인친북 성향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문재인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2019년 11월 26일에 개최될 한국 ASEAN 특별 정상회의에 김정은을 초청하는 것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11월 5일에 북한에 어부 송환 의사를 전달하는 통지문을 보냈고, 같은 날 김정은에게 초청장도 함께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7. 2. 국제 사회

문재인 정부의 북한 선원 강제 북송 결정은 국제법 위반에 따른 인권 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27][28] 일부 사람들과 단체 등은 문재인 정부의 이 결정이 반인권적이라고 비판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文在寅政権の嘘が明らかになった脱北漁師強制送還事件の解けない疑問 南北境界線を監視している韓国海軍経由の亡命事例がほとんどないのはなぜか(1/6) {{!}} JBpress (ジェイビープレス) https://web.archive.[...] 2022-07-28
[2] 웹사이트 北朝鮮が処刑"映像の男性"…米国で公開「2人とも20代」(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9-18
[3] 웹사이트 「北に強制送還された脱北漁師は22歳のウ・ボムソン氏と23歳のキム・ヒョンウク氏」-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web.archive.[...] 2022-09-26
[4] 웹사이트 文在寅政権が強制送還していた脱北者、引き渡し時に激しく抵抗…処刑した北は「捕まるだけ」と宣伝 : 読売新聞オンライン https://web.archive.[...] 2022-07-18
[5] 웹사이트 船内で同僚16人殺害か 北朝鮮人漁師を強制送還=韓国 https://web.archive.[...] BBC 2022-07-28
[6] 웹사이트 同僚16人殺害の北朝鮮人らの強制送還、人権団体が韓国を非難 写真1枚 国際ニュース:AFPBB News https://web.archive.[...] 2021-02-25
[7] 웹사이트 また韓国の失敗。脱北希望漁師を北に戻す冷徹政治に非難殺到 - まぐまぐ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5-20
[8] 웹사이트 韓国弁護士団体、殺人などの容疑で文前大統領告発 {{!}} "Japan In-depth"[ジャパン・インデプス] https://web.archive.[...] 2022-07-21
[9] 웹사이트 「50日間も拷問され処刑」文在寅政権が北朝鮮に送った2人(高英起)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1-12-25
[10] 웹사이트 韓国検察、脱北漁民強制送還は「違法」に重点…板門店で抵抗する映像が決定的(1) {{!}} Joongang Ilbo {{!}} 中央日報 https://web.archive.[...] 2022-07-27
[11] 웹사이트 韓国検察、脱北漁民強制送還は「違法」に重点…板門店で抵抗する映像が決定的(2) {{!}} Joongang Ilbo {{!}} 中央日報 https://web.archive.[...] 2022-07-21
[12] 웹사이트 韓国大統領選、尹錫悦氏の当選確定 | 共同通信 https://web.archive.[...] 2022-03-13
[13] 웹사이트 【映像公開】腕を引っ張り…脱北希望者を強制送還|テレ朝news-テレビ朝日のニュースサイト https://web.archive.[...] 2022-07-18
[14] 웹사이트 脱北漁師の「亡命報告」を受けた青瓦台、「送還報告」に変更-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web.archive.[...] 2022-07-21
[15] 웹사이트 韓国国情院が元院長らを告発「事実曲げたと判明」政権交代後の調査で: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eb.archive.[...] 2022-07-20
[16] 웹사이트 北朝鮮人権団体 元政府高官らを告発 {{!}} 聯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7-27
[17] 웹사이트 徐薫、朴智元元国家情報院長を捜査…韓国検察、文政権全体を標的に {{!}} Joongang Ilbo {{!}} 中央日報 https://web.archive.[...] 2022-07-16
[18] 웹사이트 韓国情報機関 元同機関トップ2人を告発=北朝鮮巡る2事件で {{!}} 聯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7-11
[19] 웹사이트 北朝鮮住民強制送還時の映像公開 地面に頭打ち付ける姿も=韓国統一部 {{!}} 聯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7-27
[20] 웹사이트 韓国政府“強制送還”の写真公開「文在寅政権の説明と異なる」 https://web.archive.[...] 2022-07-13
[21] 웹사이트 「前政権、嫌がる北朝鮮船員を強制送還」 尹政権、写真公開し批判: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eb.archive.[...] 2022-07-20
[22] 웹사이트 英議員ら、尹大統領に「脱北漁師強制送還の真相究明」求める書簡-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web.archive.[...] 2022-07-20
[23] 웹사이트 漆黒を照らす:/143 衝撃映像公開 脱北漁民送還の真相は? /大阪 {{!}} 毎日新聞 https://web.archive.[...] 2022-07-27
[24] 웹사이트 追い詰められる文前大統領、韓国で始まった前政権の〝大清算〟 脱北者を強制送還、殺人容疑などで告発 「追及から逃げられない」識者(1/2ページ) - イザ! https://web.archive.[...] 2022-07-27
[25] 웹사이트 強制送還の北朝鮮住民は「16人殺害していない」=韓国与党が主張     {{!}} 聯合ニュース https://web.archive.[...] 2022-07-27
[26] 문서 http://m.bluetoday.n[...]
[27] 문서 국제인권기구 “북한 어민 강제북송은 국제법 위반” https://www.joongang[...]
[28] 문서 대한변호사협회 "北선원 강제 북송은 반인권적…북주민이탈법 정비해야" https://news.naver.c[...]
[29] 문서 "군대도 못간 영양실조 北 2명이 살인했다고?" https://news.naver.c[...]
[30] 문서
[31] 문서 文정부, 위법성 알고도 강제북송 정황..."법적책임 묻는 것 가능" https://n.news.naver[...]
[32] 문서 검찰, '강제북송' 문재인 전 대통령 고발사건 배당 https://n.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