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경기는 2023년 9월 22일부터 10월 6일까지 중국 항저우와 원저우에서 열렸다. 조별 리그는 2023년 7월 27일에 조 추첨이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E조에 속해 필리핀, 미얀마, 홍콩을 상대로 3전 전승을 거두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4로 패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4-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은 2023년 중국 항저우시를 비롯한 7개 경기장에서 23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우즈베키스탄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여자 아시안 게임 축구 토너먼트 |
연도 | 2022 |
개최 기간 | 2023년 9월 21일 – 2023년 10월 6일 |
참가 팀 수 | 16 |
대륙 | 1 |
경기장 수 | 5 |
도시 수 | 2 |
총 경기 수 | 28 |
총 득점 수 | 154 |
총 관중 수 | 182,775 |
이전 대회 | 2018 |
다음 대회 | 2026 |
결과 | |
우승 횟수 | 3 |
최다 득점 선수 | 김경영 (12골) |
2. 일정
''모든 시간대는 중국 표준시 (UTC+8)를 따른다.''
조별 리그 | 조별 리그 | 8강 | 8강전 | 준결승 | 준결승전 | 동메달 | 동메달 결정전 | 결승 | 금메달 결정전 |
경기/날짜 | 화 19 | 수 20 | 목 21 | 금 22 | 토 23 | 일 24 | 월 25 | 화 26 | 수 27 | 목 28 | 금 29 | 토 30 | 일 1 | 월 2 | 화 3 | 수 4 | 목 5 | 금 6 | 토 7 | |
---|---|---|---|---|---|---|---|---|---|---|---|---|---|---|---|---|---|---|---|---|
여자 | 조별 리그 | 조별 리그 | 조별 리그 | 8강 | 준결승 | 동메달 | 결승 | colspan="2"| |
대회 조 추첨은 2023년 7월 27일에 진행되었다. 각 팀들은 이전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의 성적을 바탕으로 3개의 포트에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인 중국은 자동으로 A1 위치에 배정되었다.[1] 이란과 캄보디아는 기권했다.[2][3]
해당 대회는 항저우와 원저우 2개 도시의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조별 리그는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과 5개 조 중 2위 팀 상위 3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조 추첨은 2023년 7월 27일 중국 항저우에서 진행되었다.[4]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C조에 배정되었던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 캄보디아는 대회 시작 전 기권했다. 대한민국은 E조에 편성되어 필리핀, 미얀마, 홍콩과 경쟁하였다.
3. 참가국 및 시드 배정
포트 1
(시드 1~5)포트 2
(시드 6~8, 비시드 2팀)포트 3
(비시드)
4. 경기 장소
항저우 원저우 시후 상청 위항 룽완 루청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상청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린핑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원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수용 인원: 51,971 수용 인원: 13,500 수용 인원: 10,200 수용 인원: 50,000 수용 인원: 18,000
5. 조별 리그
각 조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A조'''
'''B조'''
'''C조'''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2 0 0 17 0 +17 6 결선 토너먼트 진출 2 싱가포르 2 0 0 2 0 17 -17 0 – 캄보디아 0 0 0 0 0 0 0 0 기권
'''주:''' C조는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 캄보디아의 기권으로 2팀만 경기를 치렀다.
'''D조'''
'''E조'''
E조에서는 대한민국이 조 1위, 필리핀이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미얀마는 3위, 홍콩은 4위를 기록했다. 자세한 경기 결과 및 최종 순위는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5. 1. 대한민국 조별 리그 경기 결과 (E조)
대한민국은 E조 조별 리그에서 3전 전승, 13득점 1실점을 기록하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 vs 미얀마'''
2023년 9월 22일 19시 30분(UTC+8),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미얀마와의 첫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3-0으로 승리했다. 이은영이 전반 24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후반 15분에는 지소연이, 후반 23분에는 전은하가 추가 골을 기록했다. 관중은 3,234명이었으며, 주심은 두무흐 알바카르 (레바논)였다.
'''필리핀 vs 대한민국'''
2023년 9월 25일 19시 30분(UTC+8),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필리핀과 두 번째 경기를 치렀다. 대한민국은 볼든에게 전반 8분 선제골을 내주었으나, 전반 12분 천가람의 동점 골, 전반 44분 손화연의 역전 골로 앞서 나갔다. 후반에는 지소연이 7분 만에 페널티킥 골을 성공시켰고, 손화연이 후반 11분과 25분에 연달아 골을 넣어 해트트릭을 완성하며 5-1 대승을 거두었다. 관중은 2,974명이었고, 주심은 고이즈미 아사카 (일본)였다.
'''대한민국 vs 홍콩'''
2023년 9월 28일 19시 30분(UTC+8), 원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콩과의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5-0으로 승리했다. 문미라가 전반 29분과 추가시간 1분에 골을 넣었고, 후반 2분과 25분에는 문은주가 득점했다. 후반 7분에는 홍콩 수비수 우치위의 자책골도 나왔다. 관중은 22,083명이었으며, 주심은 레티리 (베트남)였다.
'''최종 순위'''
6. 결선 토너먼트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