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4개국이 참가하여 일본의 가시마와 도요타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일본이 4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중국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AFC 클럽 랭킹에 따라 참가 자격이 배정되었고,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알힐랄 SFC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22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소마 유키가 MVP를,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시미즈 리사가 MVP를 수상하였다. - 2022년 일본 - 아베 신조 피살 사건
2022년 7월 8일, 일본 전 총리 아베 신조가 참의원 선거 유세 중 총격으로 사망한 이 사건은 범인의 구 통일교에 대한 원한에서 비롯되어 일본 사회 내 통일교의 정치적 영향력 논란을 증폭시켰다. - 2022년 일본 -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2022년 7월 10일에 실시되었으며, 공직 선거법 개정으로 의석수가 늘고, 아베 신조 전 총리 암살 사건 등 여러 변수 속에서 자민당이 의석을 늘리고 개헌에 우호적인 정당들이 과반수를 확보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연도 | 2022년 |
다른 이름 | EAFF E-1 サッカー選手権 2022 (EAFF E-1 삿카 센슈켄 2022) |
![]() | |
개최국 | 일본 |
개최 기간 | 2022년 7월 19일 ~ 7월 26일 |
참가 팀 수 | 4 |
하위 연맹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2 |
우승국 | 일본 |
우승 횟수 | 4회 |
준우승국 | 중국 |
3위 | 대한민국 |
4위 | 중화 타이베이 |
총 경기 수 | 6 |
총 득점 | 16 |
총 관중 수 | 4951 |
최다 득점 선수 | 13명의 선수 (각 1골) |
최우수 선수 | 시미즈 리사 |
최우수 골키퍼 | 야마시타 아야카 |
이전 시즌 | 2019 |
다음 시즌 | 2025 |
2. 참가국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10개국 중 FIFA 랭킹을 바탕으로 상위 4개국이 본선대회에 배정되었다.
결승 대회 |
---|
valign=top| |
wikitext
3. 경기장
제8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 가시마와 도요타시에서 열린다.미정 미정 수용인원: 명
3. 1. 경기장 정보
wikitext
제8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 가시마와 도요타시에서 열린다.
미정 |
---|
미정 |
수용인원: 명 |
4. 선수 명단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각국 선수 명단은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대회 결과
5. 1. 순위
5. 2. 경기 일정 및 결과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이며, 일본 표준시 (UTC+9)를 따른다.'''1차전'''
2022년 7월 19일 16시에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일본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2-1로 승리하였다. 일본은 미야자와가 전반 33분에, 나가노가 후반 20분에 득점하였고, 대한민국은 지소연이 후반 14분에 득점하였다. 관중 수는 2200명이었고, 주심은 빤사 차이사닛이었다.
2022년 7월 20일 15시 30분에 도요타 스타디움(도요타)에서 열린 중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2-0으로 승리하였다. 중국은 장린옌이 전반 12분에, 쑤신윈이 전반 22분에 자책골을 기록하여 득점하였다. 관중 수는 100명이었고, 주심은 예디타 미라비도바였다.
'''2차전'''
2022년 7월 23일 15시 30분에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일본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 일본이 4-1로 승리하였다. 일본은 지바가 전반 14분에, 우에노가 전반 45+2분에, 창수신이 후반 12분에 자책골로, 스가사와가 후반 27분에 득점을 기록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쑤신윈이 전반 8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수는 1,051명이였고, 주심은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였다.
2022년 7월 23일 19시 00분에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중국과 대한민국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중국은 왕린린이 후반 31분에 득점하였고, 대한민국은 최유리가 전반 34분에 득점하였다. 관중수는 352명이였고, 주심은 케이트 야체비치였다.
'''3차전'''
2022년 7월 26일 16:00,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4-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이 연달아 터지면서 중화 타이베이를 4:0으로 크게 이겼다. 이날 경기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콜린 벨 감독 부임 이후 최다 점수 차 승리 기록을 새로 썼다. 이 경기의 심판은 미얀마의 아이 테인 테인이 맡았다.
같은 날 19:20,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일본과 중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의 심판은 태국의 빤사 차이사닛이 맡았다.
5. 2. 1. 1차전
2022년 7월 19일 16시에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일본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2-1로 승리하였다. 일본은 미야자와 히나타가 전반 33분에, 나가노 후카가 후반 20분에 득점하였고, 대한민국은 지소연이 후반 14분에 득점하였다. 관중 수는 2200명이었고, 주심은 빤사 차이사닛이었다.2022년 7월 20일 15시 30분에 도요타 스타디움(도요타)에서 열린 중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2-0으로 승리하였다. 중국은 장린옌이 전반 12분에, 쑤신윈이 전반 22분에 자책골을 기록하여 득점하였다. 관중 수는 100명이었고, 주심은 예디타 미라비도바였다.
5. 2. 2. 2차전
{{축구 경기 정보|날짜 = 2022년 7월 23일
|시간 = 15:30 UTC+9
|팀1 =
|득점 = 4 - 1
|리포트 =
|팀2 =
|골1 = 지바 레미나 우에노 마미 장쑤신 스가사와 유이카
|골2 = 쑤신윈
|경기장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관중수 = 1051
|심판 =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
}}
{{축구 경기 정보
|날짜 = 2022년 7월 23일
|시간 = 19:00 UTC+9
|팀1 =
|득점 = 1 - 1
|리포트 =
|팀2 =
|골1 = 왕린린
|골2 = 최유리
|경기장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관중수 = 352
|심판 = 케이트 야체비치
}}
5. 2. 3. 3차전
2022년 7월 26일 16:00 UTC+9,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4-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이 연달아 터지면서 중화 타이베이를 4:0으로 크게 이겼다. 이날 경기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콜린 벨 감독 부임 이후 최다 점수 차 승리 기록을 새로 썼다. 이 경기의 심판은 미얀마의 아이 테인 테인이 맡았다.
같은 날 19:20 UTC+9,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가시마)에서 열린 일본과 중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의 심판은 태국의 빤사 차이사닛이 맡았다.
6. 우승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우승 |
---|
style="background:#FFE4E1"| |
제8대 동아시아 챔피언 (4회 우승) |
2008년・2010년・2019년・2022년 |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8년, 2010년, 2019년에 이어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7. 최종 순위
8. 득점 선수
'''1골'''
'''1자책골'''
- 장치란 (대한민국전)
- 장쑤신 (일본전)
- 쑤신윤 (중화인민공화국전)
8. 1. 1골
8. 2. 1자책골
장치란 (대한민국전)장쑤신 (일본전)
쑤신윤 (중화인민공화국전)
참조
[1]
웹사이트
Announcement on the date of the 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2022 Final China PR
https://eaff.com/new[...]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021-12-17
[2]
웹사이트
【開催地変更】EAFF E-1 サッカー選手権2022 決勝大会 日本開催のお知らせ
https://www.jfa.jp/n[...]
Japan Football Association
2022-04-19
[3]
웹사이트
64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s://eaff.com/new[...]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022-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