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다이너스티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4개국이 참가했다. 일본이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MVP는 미우라 가즈요시, 득점왕은 다카기 다쿠야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중국 - 중국남방항공 3943편 추락 사고
중국남방항공 3943편 추락 사고는 1992년 광저우발 구이린행 여객기가 엔진 추력 불균형으로 통제력을 잃고 추락하여 탑승자 141명 전원이 사망한 사고로, 조종사 과실과 자동 추력 조절 장치 오작동 가능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 1992년 중국 - 92공식
92공식은 1992년 양안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되 해석은 각자 다르다는 구두 합의로, 교류의 기반이 되었으나 해석과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양안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92년 8월 - 1992년 하계 올림픽
1992년 하계 올림픽은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IOC 위원장의 고향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어 화살 성화 점화 방식이 처음 사용되었고 배드민턴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NBA 드림팀 출전과 대한민국 금메달 획득으로 장식되었다. - 1992년 8월 - 우리별 1호
우리별 1호는 1992년 대한민국 최초로 발사된 인공위성으로, 한국과학기술원과 서리 대학교의 협력으로 개발되었으며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를 탑재하여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한민국이 세계 22번째 위성 운영 국가가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의 남녀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한 국제 축구 대회이다.
1992년 다이너스티컵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다이너스티컵 |
개최 연도 | 1992년 |
개최국 | 중국 |
개최 기간 | 8월 22일 ~ 8월 29일 |
참가 팀 수 | 4 |
참가 대륙 연맹 수 | 1 |
개최 도시 수 | 1 |
경기장 수 | 1 |
결과 | |
우승팀 | 일본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대한민국 |
3위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위팀 | 중국 |
통계 | |
총 경기 수 | 7 |
총 득점 수 | 19 |
총 관중 수 | 280000 |
경기당 득점 | 2.71 |
경기당 관중 수 | 40000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 선수 | 다카기 다쿠야 |
최다 득점 | 4 |
최우수 선수 | 미우라 가즈요시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90 |
다음 대회 | 1995 |
2. 경기장
경기장 | 위치 | 수용 인원 |
---|---|---|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 | 베이징 | 66,161명 |
3. 참가국
4. 리그전
1992년 8월 22일부터 8월 29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4개국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리그전 결과, 일본과 대한민국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결승전에 진출했다.
4. 1. 대회 순위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일본 | 5 | 3 | 2 | 1 | 0 | 6 | 1 | +5 |
2 | 대한민국 | 4 | 3 | 1 | 2 | 0 | 3 | 1 | +2 |
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3 | 0 | 2 | 1 | 4 | 7 | -3 |
4 | 중국 | 1 | 3 | 0 | 1 | 2 | 2 | 6 | -4 |
4. 2. 일정 및 결과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9)을 따른다.1992년 8월 22일부터 26일까지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에서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4개국이 참가하는 다이너스티컵 축구 대회가 열렸다.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 | 3 | 2 | 1 | 0 | 6 | 1 | 7 | |
2 | 3 | 1 | 2 | 0 | 3 | 1 | 5 | |
3 | 3 | 0 | 2 | 1 | 4 | 7 | 2 | |
4 | 3 | 0 | 1 | 2 | 2 | 6 | 1 |
4. 2. 1. 1992년 8월 22일
1992년 8월 22일,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다이너스티컵 첫 경기에서 대한민국과 일본은 0:0으로 비겼다.[1] 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중국과 북한이 2:2로 비겼다.[1] 중국은 쉬훙(65분)과 가오훙보(89분)가 득점하였고,[1] 북한은 최원남(41분)과 김종성(75분)이 득점하였다.[1]경기 | 팀 1 | 점수 | 팀 2 | 득점 (팀 1) | 득점 (팀 2) | 관중 수 | 심판 |
---|---|---|---|---|---|---|---|
1 | 대한민국 | 0 - 0 | 일본 | 50,000명 | 니자르 와티 (시리아) | ||
2 | 중국 | 2 - 2 | 북한 | 쉬훙 (65), 가오훙보 (89) | 최원남 (41), 김종성 (75) | 55,000명 | 아흐메드 이브라힘 하킴 (아랍에미리트) |
4. 2. 2. 1992년 8월 24일
1992년 8월 24일,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첫 번째 경기는 중국과 일본의 경기로, 일본이 후쿠다 마사히로와 다카기 다쿠야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태국의 피롬 안쁘라세릿 심판이 주관하였으며, 60,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두 번째 경기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남북전이었다. 대한민국은 전반 22분 홍명보의 골로 앞서갔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후반 89분 최영선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결국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이 경기는 시리아의 니자르 와티 심판이 주관하였으며, 역시 60,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경기 | 결과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중국 vs 일본 | 0 – 2 |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 | 60,000명 | 피롬 안쁘라세릿 (태국) |
대한민국 v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1 |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 | 60,000명 | 니자르 와티 (시리아) |
4. 2. 3. 1992년 8월 26일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중국어 日本일본어과의 경기는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에서 열렸으며, 김종성이 전반 13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쿠다가 32분, 다카기가 34분과 46분에 연속골을, 미우라가 74분에 추가골을 넣어 일본이 4-1로 승리했다.[1] 심판은 홍콩 출신의 새뮤얼 천얌밍이 맡았고, 관중 수는 20,000명이었다.같은 날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경기는 박현용이 전반 19분, 정재권이 후반 73분에 골을 넣어 대한민국이 2-0으로 승리했다. 경기는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에서 열렸으며, 바레인 출신의 모하메드 알리 알마지드가 심판을 맡았고, 관중 수는 20,000명이었다.
5. 결승전
1992년 8월 29일, 베이징에서 다이너스티컵 결승전 한일전이 열렸다. 일본과 대한민국이 맞붙은 이 경기에서, 정재권이 전반 32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 82분 나카야마가 동점골을 넣었다. 연장전에서 일본의 다카기가 96분에 추가골을 넣었으나, 바로 다음 분 김정혁이 다시 동점골을 넣어 2-2가 되었다.[1]
승부차기에서 일본은 하시라타니, 이하라, 미우라, 기타자와가 모두 성공시킨 반면, 대한민국은 김정혁과 이상윤만 성공시키고 최강희와 고정운이 실축하여 일본이 4-2로 승리하였다.[1]
이 우승은 일본 대표팀에게 있어 전후 첫 국제 공식 대회 우승이었다.[1]
6.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일본 | 4 | 2 | 2 | 0 | 8 | 3 | +5 | 6 |
2 | 대한민국 | 4 | 1 | 3 | 0 | 5 | 3 | +2 | 5 |
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4 | 7 | -3 | 2 |
4 | 중국 | 3 | 0 | 1 | 2 | 2 | 6 | -4 | 1 |
7. 수상 내역
8. 선수 득점 기록
이 대회에서는 다카기 다쿠야|다카기 다쿠야일본어가 3골로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 그 외에 후쿠다 마사히로|후쿠다 마사히로일본어, 정재권, 김종성 (1964년)|김종성한국어이 각각 2골, 미우라 가즈요시|미우라 가즈요시일본어, 나카야마 마사시|나카야마 마사시일본어, 홍명보, 박현용, 김정혁 (축구인)|김정혁한국어, 최원남, 최영선, 쉬훙|쉬훙중국어, 가오훙보|가오훙보중국어가 각각 1골을 기록했다.
8. 1. 3골
선수 | 득점 |
---|---|
다카기 다쿠야|다카기 다쿠야일본어 | 3 |
후쿠다 마사히로|후쿠다 마사히로일본어 | 2 |
정재권 | 2 |
김종성 (1964년)|김종성한국어 | 2 |
미우라 가즈요시|미우라 가즈요시일본어 | 1 |
나카야마 마사시|나카야마 마사시일본어 | 1 |
홍명보 | 1 |
박현용 | 1 |
김정혁 (축구인)|김정혁한국어 | 1 |
최원남 | 1 |
최영선 | 1 |
쉬훙|쉬훙중국어 | 1 |
가오훙보|가오훙보중국어 | 1 |
8. 2. 2골
8. 3. 1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