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경기는 2023년 9월 22일부터 10월 6일까지 중국 항저우와 원저우에서 열렸다. 조별 리그는 2023년 7월 27일에 조 추첨이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E조에 속해 필리핀, 미얀마, 홍콩을 상대로 3전 전승을 거두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4로 패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4-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은 2023년 중국 항저우시를 비롯한 7개 경기장에서 23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우즈베키스탄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여자 아시안 게임 축구 토너먼트
연도2022
개최 기간2023년 9월 21일 – 2023년 10월 6일
참가 팀 수16
대륙1
경기장 수5
도시 수2
총 경기 수28
총 득점 수154
총 관중 수182,775
이전 대회2018
다음 대회2026
결과
우승 횟수3
최다 득점 선수김경영 (12골)

2. 일정

''모든 시간대는 중국 표준시 (UTC+8)를 따른다.''

조별 리그조별 리그8강8강전준결승준결승전동메달동메달 결정전결승금메달 결정전



경기/날짜화 19수 20목 21금 22토 23일 24월 25화 26수 27목 28금 29토 30일 1월 2화 3수 4목 5금 6토 7
여자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8강준결승동메달결승colspan="2"|


3. 참가국 및 시드 배정

대회 조 추첨은 2023년 7월 27일에 진행되었다. 각 팀들은 이전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의 성적을 바탕으로 3개의 포트에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인 중국은 자동으로 A1 위치에 배정되었다.[1] 이란캄보디아는 기권했다.[2][3]

포트 1
(시드 1~5)
포트 2
(시드 6~8, 비시드 2팀)
포트 3
(비시드)


4. 경기 장소

해당 대회는 항저우원저우 2개 도시의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항저우원저우
시후상청위항룽완루청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상청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린핑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원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수용 인원: 51,971수용 인원: 13,500수용 인원: 10,200수용 인원: 50,000수용 인원: 18,000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상청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5.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과 5개 조 중 2위 팀 상위 3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조 추첨은 2023년 7월 27일 중국 항저우에서 진행되었다.[4]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C조에 배정되었던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 캄보디아는 대회 시작 전 기권했다. 대한민국은 E조에 편성되어 필리핀, 미얀마, 홍콩과 경쟁하였다.

각 조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A조'''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중국 (H)2200220+226결선 토너먼트 진출
2우즈베키스탄21016603결선 토너먼트 진출
3몽골2002022-220



'''B조'''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중화 타이베이220031+26결선 토너먼트 진출
2태국21011103결선 토너먼트 진출
3인도200213-20



'''C조'''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200170+176결선 토너먼트 진출
2싱가포르2002017-170
캄보디아00000000기권



'''주:''' C조는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 캄보디아의 기권으로 2팀만 경기를 치렀다.

'''D조'''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일본3300230+239결선 토너먼트 진출
2베트남32018806
3네팔3012111-101
4방글라데시3012215-131



'''E조'''

E조에서는 대한민국이 조 1위, 필리핀이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미얀마는 3위, 홍콩은 4위를 기록했다. 자세한 경기 결과 및 최종 순위는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5. 1. 대한민국 조별 리그 경기 결과 (E조)

대한민국은 E조 조별 리그에서 3전 전승, 13득점 1실점을 기록하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 vs 미얀마'''

2023년 9월 22일 19시 30분(UTC+8),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미얀마와의 첫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3-0으로 승리했다. 이은영이 전반 24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후반 15분에는 지소연이, 후반 23분에는 전은하가 추가 골을 기록했다. 관중은 3,234명이었으며, 주심은 두무흐 알바카르 (레바논)였다.

'''필리핀 vs 대한민국'''

2023년 9월 25일 19시 30분(UTC+8), 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필리핀과 두 번째 경기를 치렀다. 대한민국은 볼든에게 전반 8분 선제골을 내주었으나, 전반 12분 천가람의 동점 골, 전반 44분 손화연의 역전 골로 앞서 나갔다. 후반에는 지소연이 7분 만에 페널티킥 골을 성공시켰고, 손화연이 후반 11분과 25분에 연달아 골을 넣어 해트트릭을 완성하며 5-1 대승을 거두었다. 관중은 2,974명이었고, 주심은 고이즈미 아사카 (일본)였다.

'''대한민국 vs 홍콩'''

2023년 9월 28일 19시 30분(UTC+8), 원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콩과의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5-0으로 승리했다. 문미라가 전반 29분과 추가시간 1분에 골을 넣었고, 후반 2분과 25분에는 문은주가 득점했다. 후반 7분에는 홍콩 수비수 우치위의 자책골도 나왔다. 관중은 22,083명이었으며, 주심은 레티리 (베트남)였다.

'''최종 순위'''

순위경기승점비고
1대한민국3300131+129결선 토너먼트 진출
2필리핀320176+16결선 토너먼트 진출
3미얀마310216-53
4홍콩300319-80


6. 결선 토너먼트

()우즈베키스탄2023년 9월 30일원저우대한민국1–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준결승전2023년 10월 3일린핑중국3–4일본2023년 10월 3일상청우즈베키스탄0–8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동메달전2023년 10월 6일황룡중국7–0우즈베키스탄금메달전2023년 10월 6일황룡일본4–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 1. 8강전: 대한민국 v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23년 9월 30일 16시 30분(UTC+8), 원저우원저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2022년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8강전 경기가 열렸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상대로 경기를 치렀다. 많은 관심을 모았던 남북 대결이었으나,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한 공격력에 밀려 1-4로 패배하며 준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이날 경기는 6,171명의 관중이 지켜보았으며, 태국의 차이사닛 판사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경기 초반인 전반 11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안명성의 자책골로 대한민국이 1-0으로 앞서 나갔다. 그러나 전반 20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리학이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경기는 1-1 원점이 되었다. 후반 들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세가 이어졌다. 후반 36분(81분) 안명성이 득점하며 1-2로 역전했고, 후반 45분(90분) 리학이 추가골을 넣어 1-3으로 점수 차를 벌렸다. 경기 종료 직전인 후반 추가시간 5분에는 김경영이 페널티킥 득점까지 성공시키며 최종 스코어 1-4로 경기가 마무리되었다.

6. 2. 준결승전 및 결승전

2023년 10월 3일 18:00, 항저우상청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우즈베키스탄을 8-0으로 크게 이겼다. 홍성옥이 9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김경영이 18분(페널티킥), 46분, 63분, 83분에 골을 넣어 총 5골을 기록했다. 안명성(45+2'), 리학(50'), 김혜영(90+1')도 득점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8-0 대승에 기여했다. 경기는 10,402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베트남의 레 티 리 심판이 주관했다.[1]

같은 날 20:00, 항저우린핑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또 다른 준결승전에서는 일본이 개최국 중국을 4-3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나카시마(12'), 다니카와(31'), 지바(35'), 고가(43')가 전반에만 4골을 몰아넣었다. 중국은 왕린린(20')이 한 골을 만회했고, 후반 들어 장린옌(55')과 양리나(61')가 추가골을 넣으며 추격했지만 점수 차를 극복하지 못했다. 경기는 8,006명의 관중이 지켜봤으며, 대한민국김유정 심판이 주관했다.[2]

2023년 10월 6일 20:00, 항저우의 황룡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결승전이 열렸다.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4-1로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은 전반 10분 나카시마의 골로 앞서갔으나, 전반 38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경영에게 동점골을 허용하여 전반을 1-1로 마쳤다. 후반에 일본은 공세를 펼쳐 오사와(66'), 다니카와(69'), 지바(72')가 연달아 득점하며 4-1로 승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은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37,166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키르기스스탄의 베로니카 베르나츠카야 심판이 주관했다.[3]

7. 최종 순위

wikitext

최종 순위
순위국가비고
1-- 일본금메달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메달
3-- 중화인민공화국동메달
4-- 우즈베키스탄3·4위전 패배
5-8-- 대한민국8강 진출
-- 중화 타이베이
-- 태국
-- 필리핀

8. 대한민국 대표팀 평가 및 과제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를 통해 젊은 선수들의 성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나, 강팀과의 경기에서는 여전히 전력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8강전[1] 패배는 수비 조직력과 골 결정력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명확히 드러냈다. 향후 FIFA 여자 월드컵이나 AFC 여자 아시안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전술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선수 개개인의 기량을 더욱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angzhou 2022: Football https://www.hangzhou[...] 2023-08-02
[2] 뉴스 Women's football team withdraws from Asian Games - Khmer Times https://www.khmertim[...] 2023-09-14
[3] 뉴스 Iranian Women's football team withdraws from Asian Games - Footballdokht https://footballdokh[...] 2023-09-14
[4] 웹인용 Hangzhou 2022: Football https://www.hangzhou[...] 2023-08-02
[5] 뉴스 Women’s football team withdraws from Asian Games - Khmer Times https://www.khmertim[...] 2023-09-14
[6] 뉴스 Iranian Women’s football team withdraws from Asian Games - Footballdokht https://footballdokh[...] 2023-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