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조별 리그
2024년 조별 리그 조 추첨은 2024년 6월 22일에 진행되었다.[8]
경기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UTC-4) 기준이다.
각 조에서 2팀 이상의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우선 순위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18]
# 조별 리그에서의 득실차
# 조별 리그에서의 총 득점
# 해당 팀 간의 승점
# 해당 팀 간의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총 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 (경고 및 퇴장 처분 횟수에 따름)
- 경고(옐로 카드): -1점
- 2번째 경고(옐로 카드) = 레드 카드: -3점
- 퇴장 처분(레드 카드): -4점
- 경고(옐로 카드) 후 퇴장 처분(레드 카드): -5점
# 추첨
A조에서는 나이지리아와 에콰도르가 8강에 진출했다. 개최국 도미니카 공화국은 1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3 | 3 | 0 | 0 | 9 | 1 | +8 | 9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2 | 에콰도르/Ecuadores | 3 | 2 | 0 | 1 | 6 | 4 | +2 | 6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 | 도미니카 공화국/República Dominicanaes | 3 | 0 | 1 | 2 | 1 | 4 | -3 | 1 | 조별 리그 탈락 |
4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3 | 0 | 1 | 2 | 2 | 9 | -7 | 1 | 조별 리그 탈락 |
2024년 10월 16일, 산티아고데로스카바예로스의 에스타디오 시바오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뉴질랜드는 나이지리아에 1-4로 패했다. 색슨이 뉴질랜드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고, 나이지리아는 모슈드, 아데고케, 압두르와하브, 아포라비가 득점했다. 같은 날, 도미니카 공화국은 에콰도르에 0-2로 패했다. 발베르데가 에콰도르의 두 골을 모두 기록했다.
10월 19일, 나이지리아는 에콰도르를 4-0으로 꺾었다. 모슈드가 페널티킥으로 두 골, 치디와 에피온이 각각 한 골씩 추가했다. 도미니카 공화국과 뉴질랜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브리토가 도미니카 공화국의 골을, 메르세데스가 뉴질랜드의 자책골을 기록했다.
10월 22일, 나이지리아는 산토도밍고의 펠릭스 산체스 올림픽 경기장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을 1-0으로 이겼다. 모슈드가 경기 막판 결승골을 넣었다. 같은 날, 에콰도르는 뉴질랜드를 4-0으로 대파했다. 아르볼레다, 치우치올로(2골), 모란이 득점했다.
B조에서는 스페인과 미국이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1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팀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스페인es | 3 | 0 | 0 | 10 | 2 | +8 | 9 |
미국영어 | 2 | 0 | 1 | 8 | 3 | +5 | 6 |
콜롬비아es | 0 | 1 | 2 | 2 | 5 | -3 | 1 |
대한민국한국어 | 0 | 1 | 2 | 1 | 11 | -10 | 1 |
2024년 10월 16일, 대한민국은 콜롬비아와의 첫 경기에서 케이시 페어/Casey Phair영어의 페널티킥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엘라 마르티네스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스페인은 미국을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19일, 스페인은 대한민국을 5-0으로 대파했다. 콜롬비아는 미국에 0-2로 패했다.
10월 22일, 미국은 대한민국을 5-0으로 완파하며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같은 날 스페인은 콜롬비아를 2-1로 꺾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잉글랜드가 8강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별 리그에서 3전 전승을 거두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3 | 3 | 0 | 0 | 11 | 1 | +10 | 9 | 결선 토너먼트 |
2 | 잉글랜드영어 | 3 | 2 | 0 | 1 | 6 | 6 | 0 | 6 | 결선 토너먼트 |
3 | 케냐영어 | 3 | 1 | 0 | 2 | 2 | 6 | -4 | 3 | 탈락 |
4 | 멕시코es | 3 | 0 | 0 | 3 | 4 | 10 | -6 | 0 | 탈락 |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D조에서는 일본과 폴란드가 8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는 2024년 10월 17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일본은 잠비아를 상대로 4-1 승리, 브라질을 상대로 2-1 승리, 폴란드와는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잠비아전에서는 스즈키의 자책골,신조의 2골,사토의 페널티킥 골, 오타의 골로 4-1 승리를 거두었다. 브라질전에서는 주주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사토와 후루타의 연속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폴란드는 일본과의 0-0 무승부, 잠비아를 상대로 2-0 승리, 브라질과의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잠비아전에서는 비르바스와 아라시니에비츠가 골을 기록했다.
브라질은 잠비아를 1-0으로 이겼지만, 일본에 1-2로 패하고, 폴란드와 0-0으로 비기면서 조 3위로 탈락했다. 잠비아전에서는 주주가 골을 기록했다.
잠비아는 브라질, 폴란드, 일본에게 모두 패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일본 | 3 | 2 | 1 | 0 | 6 | 2 | +4 | 7 |
2 | 폴란드 | 3 | 1 | 2 | 0 | 2 | 0 | +2 | 5 |
3 | 브라질 | 3 | 1 | 1 | 1 | 2 | 2 | 0 | 4 |
4 | 잠비아 | 3 | 0 | 0 | 3 | 1 | 7 | -6 | 0 |
6. 1. A조
A조에서는 나이지리아와 에콰도르가 8강에 진출했다. 개최국 도미니카 공화국은 1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3 | 3 | 0 | 0 | 9 | 1 | +8 | 9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2 | 에콰도르/Ecuadores | 3 | 2 | 0 | 1 | 6 | 4 | +2 | 6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 | 도미니카 공화국/República Dominicanaes | 3 | 0 | 1 | 2 | 1 | 4 | -3 | 1 | 조별 리그 탈락 |
4 | 뉴질랜드/New Zealand영어 | 3 | 0 | 1 | 2 | 2 | 9 | -7 | 1 | 조별 리그 탈락 |
2024년 10월 16일, 산티아고데로스카바예로스의 에스타디오 시바오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뉴질랜드는 나이지리아에 1-4로 패했다. 한나 색슨(색슨)이 뉴질랜드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고, 나이지리아는 모슈드, 아데고케, 압두르와하브, 아포라비가 득점했다. 같은 날, 도미니카 공화국은 에콰도르에 0-2로 패했다. 발베르데가 에콰도르의 두 골을 모두 기록했다.
10월 19일, 나이지리아는 에콰도르를 4-0으로 꺾었다. 모슈드가 페널티킥으로 두 골, 치디와 에피온이 각각 한 골씩 추가했다. 도미니카 공화국과 뉴질랜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브리토가 도미니카 공화국의 골을, 메르세데스가 뉴질랜드의 자책골을 기록했다.
10월 22일, 나이지리아는 산토도밍고의 펠릭스 산체스 올림픽 경기장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을 1-0으로 이겼다. 모슈드가 경기 막판 결승골을 넣었다. 같은 날, 에콰도르는 뉴질랜드를 4-0으로 대파했다. 아르볼레다, 치우치올로(2골), 모란이 득점했다.
6. 2. B조
B조에서는 스페인과 미국이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1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팀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3 | 0 | 0 | 10 | 2 | +8 | 9 |
| 2 | 0 | 1 | 8 | 3 | +5 | 6 |
| 0 | 1 | 2 | 2 | 5 | -3 | 1 |
| 0 | 1 | 2 | 1 | 11 | -10 | 1 |
2024년 10월 16일, 대한민국은 콜롬비아와의 첫 경기에서 케이시 페어/Casey Phair영어의 페널티킥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엘라 마르티네스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스페인은 미국을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19일, 스페인은 대한민국을 5-0으로 대파했다. 콜롬비아는 미국에 0-2로 패했다.
10월 22일, 미국은 대한민국을 5-0으로 완파하며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같은 날 스페인은 콜롬비아를 2-1로 꺾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
6. 3. C조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잉글랜드가 8강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별 리그에서 3전 전승을 거두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3 | 3 | 0 | 0 | 11 | 1 | +10 | 9 | 결선 토너먼트 |
2 | 잉글랜드영어 | 3 | 2 | 0 | 1 | 6 | 6 | 0 | 6 | 결선 토너먼트 |
3 | 케냐영어 | 3 | 1 | 0 | 2 | 2 | 6 | -4 | 3 | 탈락 |
4 | 멕시코es | 3 | 0 | 0 | 3 | 4 | 10 | -6 | 0 | 탈락 |
6. 4. D조
202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D조에서는 일본과 폴란드가 8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는 2024년 10월 17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일본은 잠비아를 상대로 4-1 승리, 브라질을 상대로 2-1 승리, 폴란드와는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잠비아전에서는 스즈키의 자책골,신조의 2골,사토의 페널티킥 골, 오타의 골로 4-1 승리를 거두었다. 브라질전에서는 주주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사토와 후루타의 연속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폴란드는 일본과의 0-0 무승부, 잠비아를 상대로 2-0 승리, 브라질과의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잠비아전에서는 비르바스와 아라시니에비츠가 골을 기록했다.
브라질은 잠비아를 1-0으로 이겼지만, 일본에 1-2로 패하고, 폴란드와 0-0으로 비기면서 조 3위로 탈락했다. 잠비아전에서는 주주가 골을 기록했다.
잠비아는 브라질, 폴란드, 일본에게 모두 패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일본 | 3 | 2 | 1 | 0 | 6 | 2 | +4 | 7 |
2 | 폴란드 | 3 | 1 | 2 | 0 | 2 | 0 | +2 | 5 |
3 | 브라질 | 3 | 1 | 1 | 1 | 2 | 2 | 0 | 4 |
4 | 잠비아 | 3 | 0 | 0 | 3 | 1 | 7 | -6 | 0 |
7.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으며, 무승부 시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렸다.[9][18]
조 | 조 1위 | 조 2위 | A조 | Nigeria영어 | Ecuadores |
---|
B조 | Spaines | United States영어 |
---|
C조 | PR Korea한국어 | England영어 |
---|
D조 | Japan일본어 | Polandpl |
---|
'''8강전'''
2024년 10월 26일, 시바오 FC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미국의 경기에서 미국이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폴란드를 1-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10월 27일, 펠릭스 산체스 올림픽 경기장에서는 스페인이 에콰도르를 5-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일본과 잉글랜드는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잉글랜드가 4-1로 승리하며 4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준결승전'''
2024년 10월 3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산티아고 데 로스 카바예로스의 시바오 FC 경기장에서 열린 미국과의 준결승전에서 1-0 승리를 거두었다.
2024년 10월 31일, 스페인은 산토도밍고의 펠릭스 산체스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잉글랜드와의 준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했다.
'''3-4위전'''
2024년 11월 3일 산토도밍고의 펠릭스 산체스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3-4위전에서 미국이 잉글랜드를 3-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
2024년 11월 3일 산토도밍고의 펠릭스 산체스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스페인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정규시간이 1-1로 끝났고,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이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통산 3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U-17 여자 월드컵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7. 1. 8강전
2024년 10월 26일, 시바오 FC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미국의 경기에서 미국이 케네디 풀러와 킴미 아스카니오의 득점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최림종의 결승골로 폴란드를 1-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10월 27일, 펠릭스 산체스 올림픽 경기장에서는 스페인이 파우 코멘다도르의 해트트릭과 셀리아 세구라의 멀티골로 에콰도르를 5-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일본과 잉글랜드는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잉글랜드가 4-1로 승리하며 4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7. 2. 준결승전
2024년 10월 3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산티아고 데 로스 카바예로스의 에스타디오 시바오 우니베르시타리오에서 열린 미국과의 준결승전에서 로은향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이날 경기의 주심은 루마니아의 알리나 페슈 심판이 맡았으며, 2,408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2024년 10월 31일, 스페인은 산토도밍고의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펠릭스 산체스에서 열린 잉글랜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알바 세라토, 파우 코멘다도르, 자라 쇼의 자책골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이날 경기의 주심은 일본의 고이즈미 아사카 심판이 맡았으며, 2,97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7. 3. 3-4위전
2024년 11월 3일 산토도밍고의 펠릭스 산체스 경기장에서 열린 3-4위전에서 미국이 잉글랜드를 3-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풀러가 전반 24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맥캐먼이 후반 72분에 추가골을, 패델스키가 후반 추가시간 90+2분에 쐐기골을 기록했다. 이날 경기의 관중은 3,971명이었으며, 심판은 볼리비아의 알레한드라 퀴스베르트가 맡았다.
7. 4. 결승전
2024년 11월 3일 산토도밍고의 에스타디오 펠릭스 산체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스페인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존 일총의 선제골과 세구라의 동점골로 정규시간이 1-1로 끝났고,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이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통산 3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U-17 여자 월드컵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이날 경기에는 18,410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심판은 브라질의 다이아네 무니즈가 맡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