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44년은 서기 244년에 해당하며, 각국의 연호, 기년, 사건, 문화, 탄생, 사망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위나라의 조상이 한중을 침공했으나 격퇴되었고, 유주자사 관구검이 고구려를 침입했다. 신라에서는 석우로에게 서불한 벼슬을 내렸다. 로마 제국에서는 고르디아누스 3세가 사망하고 필리푸스 아라부스가 황제로 즉위했다. 또한, 플로티노스가 로마로 돌아와 신플라톤주의 학파를 세웠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44년 | |
---|---|
기본 정보 | |
기년법 | 갑신년(甲申年) 을유년(乙酉年) |
간지 | 갑신년, 을유년 |
육십간지 | 갑신, 을유 |
2. 연호
3. 기년
지역 | 국가 | 군주 | 재위 기간 |
---|---|---|---|
위 | 소제(少帝) | 5년 | |
촉 | 후주(後主) | 22년 | |
오 | 대제(大帝) | 23년 | |
신라 |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 | 15년 | |
고구려 | 동천왕(東川王) | 18년 | |
백제 | 고이왕(古爾王) | 11년 | |
구분 | 내용 | ||
간지 | 갑자 | ||
일본 | 진구 황후 섭정 44년, 황기 904년 | ||
중국 | 위: 정시 5년, 촉한: 연희 7년, 오: 적오 7년 | ||
조선 | 고구려: 동천왕 18년, 신라: 조분왕 15년, 백제: 고이왕 11년, 단기 2577년 | ||
기타 | 불멸기원 787년, 유대력 4004년 - 4005년 |
4. 사건
- 위나라의 조상이 한중을 침공했으나 왕평, 비의에게 격퇴되었다.
- 위나라 유주자사 관구검이 고구려를 침입하였다.
- 음력 1월, 신라는 이찬 석우로에게 벼슬을 내려 서불한(舒弗邯)으로 삼고, 지병마사(知兵馬事)를 겸하게 하였다.
- 고구려-위 전쟁이 고구려와 중국의 조위 사이에서 벌어졌다.
- 고르디아누스 3세 황제가 페르시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사망하고, 필리푸스 아랍스가 새로운 로마 황제가 되었다.[1]
- 사산 제국의 샤푸르 1세가 로마의 안티오크를 점령했다.
- 고트족이 로마 제국의 메시아를 약탈하고 파괴했다.
- 2월 11일경 – 미시케 전투: 샤푸르 1세와 그의 이란군은 로마군을 격파한다.[1]
- 싱스 전투: 촉한이 중국 국가 조위를 격파하였다.[1]
- 오의 연호 '적오 7년'(244)의 기년명이 새겨진 화문대신수경이 효고현 다카라즈카시 아구라 고총에서 출토되었다.[1]
4. 1. 한국
- 244년 위나라의 조상이 한중을 침공했으나 왕평, 비의에게 격퇴되었다.
- 같은 해 위나라 유주자사 관구검이 고구려를 침입하였다.
- 음력 1월 신라는 이찬 석우로에게 벼슬을 내려 서불한(舒弗邯)으로 삼고, 지병마사(知兵馬事)를 겸하게 하였다.
- 고구려-위 전쟁이 고구려와 중국의 조위 사이에서 벌어졌다.
4. 2. 중국
위나라 조상이 한중을 침공했으나 왕평, 비의에게 격퇴되었다.[1] 관구검이 고구려를 침입하여 고구려-위 전쟁이 일어났다.[1] 싱스 전투에서 촉한이 조위를 격파하였다.[1] 오의 연호 '적오 7년'(244)의 기년명이 새겨진 화문대신수경이 효고현 다카라즈카시 아구라 고총에서 출토되었다.[1]4. 3. 로마 제국
고르디아누스 3세 황제가 페르시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사망하고, 필리푸스 아랍스가 새로운 로마 황제가 되었다.[1]2월 11일 – 고르디아누스 3세 황제는 메소포타미아 자이타에서 반란을 일으킨 군인들에게 살해당했다. 카르케미쉬에 그의 유해를 기리는 묘가 세워졌다.
아랍의 필리푸스(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는 공동 황제를 자처하고 사산 제국과 논란이 많은 평화를 맺어 그들의 영토에서 철수하고 샤푸르에게 금 50만달러을 지급했다. 사산 제국은 아르메니아를 점령했다.
아랍의 필리푸스는 로마 원로원에 의해 새로운 로마 황제로 인정받아 ''아우구스투스(Augustus)'' 칭호를 받았다. 그는 6세의 아들 필리푸스에게 ''카이사르(Caesar)'' 칭호를 수여하며 왕위 계승자로 삼고, 그의 형제 프리스쿠스에게 동부 속주에 대한 최고 권한 (''rector Orientis'')을 부여하며, 그의 출생지 속주에 있는 샤흐바 (시리아) 도시 건설을 시작했다.
오스로에네의 봉신인 상부 메소포타미아 왕국은 로마 제국에 흡수되었고, 마지막 통치자는 아브가르 (XI) 파르하트 바르 마'누였다.
플로티노스는 그리스의 철학자로 고르디아누스 3세의 살해로 인한 유혈 사태를 피해 안티오크로 향했다. 그는 로마로 돌아와 자신의 신플라톤주의 학파를 설립하고 제자인 포르피리오스, 카스트리키우스 피르무스, 알렉산드리아의 유스토키우스 등을 끌어들였다.
244–249년 – 필리푸스 아랍스 흉상 (로마 바티칸 박물관, 브라치오 누오보).
로마 데나리우스의 은 함량은 필리푸스 1세 치하에서 28%에서 0.5%로 감소했는데, 이는 고르디아누스 3세 치하에서 크게 떨어진 수치이다.
5. 문화
6. 탄생
7. 사망
- 2월 11일 - 고르디아누스 3세, 로마 제국 황제 (* 225년)
- 조순, 조위의 왕자 (* 231년)
- 갈현 (혹은 '''소선'''), 중국 도교 신자 (* 164년)
- 장승 (혹은 '''중사'''), 중국 장군 (* 178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