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66년은 서진 태시 2년, 오 감로 2년/보정 원년에 해당하며, 병술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서진이 낙랑군을 지배하고, 백제가 신라의 봉산성을 침략했으나 격퇴당했으며, 사마염이 조위를 멸망시키고 서진을 건국했다. 또한 왜의 여왕 이여가 서진에 사자를 파견했고, 로마 제국은 고트족의 침략을 받았으며, 팔미라 제국은 사산 제국을 침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66년 | |
---|---|
266년 | |
달력 | |
로마 숫자 | CCLXVI |
간지 | 병인(丙寅)년 |
육십간지 | 43 |
단기 | 2699년 |
일본 | 응신 천황 7년 (応神天皇7年) |
황기 | 926년 |
기타 | 율리우스력: 266년 로마 건국: 1019년 |
연대표 | |
200년대 | 200년대 210년대 220년대 230년대 240년대 250년대 260년대 270년대 280년대 290년대 |
260년대 | 260년 261년 262년 263년 264년 265년 266년 267년 268년 269년 |
3세기 | 3세기 |
사건 | |
문화 | 응신 천황, 이소노카미 신궁을 참배한다. (일본) |
2. 연호
국가 | 연호 |
---|---|
서진 | 태시 2년 |
오 | 감로 2년, 보정 원년 |
일본 | 신공 황후 섭정 66년[1], 황기 926년 |
고구려 | 중천왕 19년 |
신라 | 미추왕 5년 |
백제 | 고이왕 33년 |
단기 | 2599년 |
불멸기원 | 809년 |
유대력 | 4026년 - 4027년 |
2. 1. 중국
2. 2. 한국
2. 3. 일본
3. 기년
나라 | 연호 |
---|---|
서진 | 무제 2년 |
오 | 말제 3년 |
신라 | 미추 이사금 5년 |
고구려 | 중천왕 19년 |
백제 | 고이왕 33년 |
구분 | 내용 |
간지 | 병술 |
일본 | 신공 황후 섭정 66년, 황기 926년 |
중국 | 서진 : 태시 2년, 오 : 감로 2년, 보정 원년 |
조선 | 고구려 : 중천왕 19년, 신라 : 미추왕 5년, 백제 : 고이왕 33년, 단기 2599년 |
불멸기원 | 809년 |
유대력 | 4026년 - 4027년 |
4. 사건
- 서진이 낙랑군을 지배하였다.
- 음력 8월, 백제가 신라 봉산성(烽山城)을 침략했으나, 성주 직선(直宣)이 이끄는 200명의 장사(壯士)에 의해 격퇴되었다. 신라 왕은 직선에게 일길찬 벼슬을 내리고 병사들에게 후한 상을 내렸다.
- 고구려 동천왕이 양맥을 정벌하였다.
- 조위가 고구려 동천왕에게 요동 지역에서의 군사 행동 중단을 요구했다.
- 2월 4일 - 사마염이 중국 조위의 마지막 황제 조환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조위가 멸망하였다. 사마염은 진나라를 건국하고, 2월 8일에 초대 황제가 되었다. 그는 수도를 낙양에 정하고, 그의 남성 친족들에게 제국 전역에 독립적인 군사 지휘권을 부여하였다.
- 왜의 여왕 이여가 서진에 사자를 파견하였다. (진서)
- 발레리아누스 황제 통치 하에 로마 제국이 고트족의 침략을 받았다. 팔미라의 왕 오다에나투스는 페르시아를 침공하여 수도 크테시폰 성벽까지 두 번이나 접근했지만 점령에 실패했다. 그는 동방에서의 승리 이후 스스로를 "왕 중의 왕"으로 칭했다.[2][3]
- 이 해 전후로 강력한 열대 화산 폭발이 일어나 이듬해 나일강 범람이 평년보다 적게 발생했다.[4]
- 코르마크 막 에어트의 대왕 통치가 종료되었다(추정).
4. 1. 한국
- 서진이 낙랑군을 지배하였다.
- 음력 8월, 백제가 신라 봉산성(烽山城)을 침략했으나, 성주 직선(直宣)이 이끄는 200명의 장사(壯士)에 의해 격퇴되었다. 신라 왕은 직선에게 일길찬 벼슬을 내리고 병사들에게 후한 상을 내렸다.
4. 2. 중국
- 서진이 낙랑군을 지배하였다.[1]
- 음력 8월, 백제가 신라의 봉산성(烽山城)을 침략해 오자, 성주 직선(直宣)이 장사(壯士) 200명을 거느리고 나아가 이들을 치니, 백제군이 패하여 달아났다. 신라 왕은 이를 듣고 직선에게 벼슬을 내려 일길찬으로 삼고, 사졸(士卒)들에게 후하게 상을 내렸다.[1]
- 고구려 동천왕이 양맥을 정벌하였다.[1]
- 조위가 고구려 동천왕에게 요동 지역에서의 군사 행동 중단을 요구했다.[1]
- 2월 4일 - 사마염이 중국 조위의 마지막 황제 조환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조위가 멸망하였다. 사마염은 진나라를 건국하고, 2월 8일에 초대 황제가 되었다. 그는 수도를 낙양에 정하고, 그의 남성 친족들에게 제국 전역에 독립적인 군사 지휘권을 부여하였다.[1]
- 왜의 여왕 이여가 서진에 사자를 파견하였다.(진서)[1]
4. 3. 로마 제국
발레리아누스 황제 통치 하에 로마 제국이 고트족의 침략을 받았다.[1] 팔미라의 왕 오다에나투스는 페르시아를 침공하여 수도 크테시폰 성벽까지 두 번이나 접근했지만 점령에 실패했다. 그는 동방에서의 승리 이후 스스로를 "왕 중의 왕"으로 칭했다.[2][3]4. 4. 아일랜드
코르마크 막 에어트의 대왕 통치가 종료되었다(추정).5. 탄생
- 갈레리아 발레리아: 로마 황후이자 갈레리우스의 아내 (315년 사망)
- 왕돈 ('''처중'''): 중국 장군이자 군벌 (324년 사망)
- 조적 ('''사지'''): 중국 장군이자 고문 (321년 사망)
6. 사망
- 왕진, 중국의 장군이자 정치가였다.
- 왕번, 중국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다. (228년 출생)
참조
[1]
서적
Who's Who in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2]
서적
Babylonia Judaica in the Talmudic Period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n antiquity: Mass emigration due to water scarcity
https://www.scienced[...]
2021-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