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77은 59번째 소수이며, 17번째 슈퍼 소수이다. 소수의 역수 합이 2보다 큰 가장 작은 소수이며, 유클리드 수 510511의 가장 큰 소인수이기도 하다. 레이지 케이터러 수열의 일원이며, 페린 수이기도 하다. 277은 3 × 8 직사각형을 정사각형으로 채우는 방법의 수, 단위 원판에 근을 갖는 7차 모닉 다항식의 개수, 체스판에서 나이트가 여섯 번의 이동으로 도달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수, 시컨트 함수의 테일러 급수의 다섯 번째 항의 분자, 자기 수 등의 특징을 갖는다. 한국에서는 국보 제277호(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보물 제277호(부안 내소사 동종), 사적 제277호(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로 지정되어 있으며, 방송 채널 번호로도 사용된다. 일본 국도 제277호선이 존재하며, 277년 또는 기원전 277년과 같이 연도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77 | |
---|---|
기본 정보 | |
수 | 277 |
소수 여부 | 예 |
2. 수학적 성질
277은 59번째 소수이다.[1] 앞의 소수는 271, 다음 소수는 281이다. 17번째 슈퍼 소수이다.[3] 정규 소수이다.[1] 소수 ''p''까지의 소수의 역수 합이 2보다 큰 가장 작은 소수이다.[2] 유클리드 수 510511 = 2 × 3 × 5 × 7 × 11 × 13 × 17 + 1의 가장 큰 소인수이다.[5] 레이지 케이터러 수열의 일원으로서, 팬케이크를 23번 잘라 얻을 수 있는 최대 조각 수이다.[6] 페린 수이다.[7][8] 3 × 8 직사각형을 정사각형으로 채우는 방법의 수이다.[9] 모든 근이 단위 원판에 있는 277개의 7차 모닉 다항식이 있다.[10] 무한 체스판에서 나이트가 여섯 번의 이동으로 도달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수이다.[11] 시컨트 함수의 테일러 급수의 다섯 번째 항의 분자이다.[12] 자기 수이다.[13] 각 자릿수의 합이 16인 10번째 수이며, 각 자릿수의 제곱의 합이 102가 되는 최소의 수이다. 서로 다른 두 제곱수의 합(92 + 142)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세 제곱수의 합(42 + 62 + 152, 33 + 53 + 53)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1. 소수로서의 성질
277은 59번째 소수이며, 앞의 소수는 271, 다음 소수는 281이다.[1] 277은 정규 소수이다.[1] 또한, 17번째 슈퍼 소수로, 277의 소수 순번인 59도 소수이다.[3] 59도 슈퍼 소수(17번째 소수)이며, 17도 슈퍼 소수(7번째 소수)이다. 그러나 7은 네 번째 소수이고, 4는 소수가 아니다. 따라서 277은 슈퍼-슈퍼-슈퍼 소수이지만 슈퍼-슈퍼-슈퍼-슈퍼 소수는 아니다.[4] 소수 ''p''까지의 소수의 역수 합이 2보다 큰 가장 작은 소수이다.[2] 유클리드 수 510511 = 2 × 3 × 5 × 7 × 11 × 13 × 17 + 1의 가장 큰 소인수이다.[5]어떤 수를 그 자릿수의 합에 더해도 277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277은 자기 수이다. 다음 소수 자기 수는 367에서야 나타난다.[13] 277은 피타고라스 삼조의 빗변의 길이이다. ().
277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277 = 92 + 142
- 277 = 42 + 62 + 152
- 277 = 33 + 53 + 53
2. 2. 기타 수학적 성질
277은 59번째 소수이며, 정규 소수이다.[1] 앞의 소수는 271, 다음 소수는 281이다. 59 역시 소수이므로, 277은 슈퍼 소수이다.[3] 약수의 합은 278이다.277은 피타고라스 삼조의 빗변의 길이이다. (1152 + 2522 = 2772)
277은 소수 ''p''까지의 소수의 역수 합이 2보다 큰 가장 작은 소수이다.[2] 유클리드 수 510511 = 2 × 3 × 5 × 7 × 11 × 13 × 17 + 1의 가장 큰 소인수이다.[5]
레이지 케이터러 수열의 일원으로서, 277은 팬케이크를 23번의 직선 칼질로 얻을 수 있는 최대 조각의 수를 나타낸다.[6] 또한 페린 수이며, 이십각형에서 극대 독립 집합의 수를 센다.[7][8] 3 × 8 직사각형을 정수 변을 가진 정사각형으로 채우는 방법은 277가지가 있으며,[9] 정수 계수를 가지고 모든 근이 단위 원판에 있는 277개의 7차 모닉 다항식이 있다.[10] 무한 체스판에서, 나이트가 주어진 시작 위치에서 정확히 여섯 번의 이동으로 도달할 수 있는 정사각형은 277개이다.[11]
277은 시컨트 함수의 테일러 급수의 다섯 번째 항의 분자로 나타난다.[12]
:
어떤 수를 그 자릿수의 합에 더해도 277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277은 자기 수이다. 다음 소수 자기 수는 367에서야 나타난다.[13]
은 순환마디 길이가 69인 순환 소수이다. 역수가 순환 소수가 되는 수 중 순환마디가 69가 되는 최소의 수이다.
277 + 772 = 1049 이고, 277을 역순으로 배열한 772를 더하면 1049로 소수가 된다.
3. 한국에서의 사용
3. 1. 문화재
대한민국의 국보 제277호는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277호는 부안 내소사 동종이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277호는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이다.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은 진보 성향의 언더우드의 동료인 헨리 아펜젤러를 기리는 건물이다.3. 2. 방송
B tv의 일본 공영 방송인 NHK WORLD JAPAN 채널 번호이다. U+ TV의 STB 상생방송 채널 번호이다.4. 기타
일본 국도 제277호선은 홋카이도 히야마군 에사시정에서 후타미군 야쿠모정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연도는 277년, 기원전 277년이 있다. 연초부터 277일째는 10월 4일이다.
참조
[1]
OEIS
[2]
OEIS
[3]
OEIS
[4]
간행물
An order of primeness, F(p)
http://borve.org/pri[...]
2013-09-11
[5]
OEIS
[6]
OEIS
[7]
OEIS
[8]
논문
The number of maximal independent sets in connected graphs
[9]
OEIS
[10]
OEIS
[11]
OEIS
[12]
OEIS
[13]
OE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