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DDoS 공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3 DDoS 공격은 악성 코드를 P2P 파일 공유 사이트에 삽입하여 유포한 사건이다. 당초 하드 디스크 파괴 시점을 4일 또는 7일로 계획했으나, DDoS 공격의 피해가 미미하자 3월 7일로 앞당겨 파괴를 시작하도록 하고, 보호나라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명령을 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컴퓨팅 - 웹소켓
웹소켓은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 전이중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HTTP 핸드셰이크를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실시간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며, 양방향 통신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된다. - 서비스 거부 공격 - 2011년 재보궐선거 사이버테러 사건
2011년 재보궐선거 사이버테러 사건은 2011년 10월 26일 재보궐선거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웹사이트에 발생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사건으로,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의 비서 공현민이 공격을 주도하여 관련자들이 처벌받았으며, 정치적 파장을 일으켜 최구식 의원의 사퇴와 한나라당의 쇄신으로 이어졌다. - 서비스 거부 공격 - 슬래시닷 효과
슬래시닷 효과는 인기 웹사이트의 언급으로 인해 특정 웹사이트에 갑자기 많은 사용자가 몰려 접속 불능 상태가 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는 대역폭 초과나 서버 과부하로 발생하고, 콘텐츠 미러링 등의 방법으로 완화한다. - 2011년 대한민국 - 한진중공업 사태
한진중공업 사태는 2010년 12월, 400명 규모의 정리해고 발표로 시작되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고, 노동자 권익 보호와 관련된 전국적인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2011년 대한민국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3·3 DDoS 공격 | |
---|---|
개요 | |
명칭 | 3·3 DDoS 공격 |
발생일 | 2011년 3월 3일 |
유형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
공격 대상 | 대한민국 정부 기관 언론사 웹사이트 금융기관 웹사이트 포털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
공격 상세 | |
공격 방법 | 악성코드 감염을 통한 DDoS 공격 |
악성코드 | 파일명: h.dll, w.dll, d.dll 등 기능: DDoS 공격, 시스템 파괴 |
시스템 파괴 | 악성코드 감염 후 일주일 뒤 PC 시스템 파괴 |
피해 규모 | |
웹사이트 마비 | 공격 대상 웹사이트 접속 장애 발생 |
개인 정보 유출 | 일부 웹사이트에서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 제기 |
대응 | |
정부 | DDoS 대응팀 가동, 악성코드 분석 및 백신 개발 |
백신 업체 | 악성코드 제거 백신 긴급 배포 |
사용자 | 백신 설치 및 PC 검사, 의심스러운 파일 실행 금지 |
추가 정보 | |
관련 뉴스 | <3.3 디도스 공격> 악성코드, 일주일 뒤 PC 망가뜨려 |
2. 전파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악성코드는 개인 대 개인(P2P) 파일 공유 사이트인 쉐어박스와 슈퍼다운에 올라온 일부 파일에 삽입돼 유포됐다.[2]
2. 1. 악성코드 유포 경로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악성코드는 P2P 파일 공유 사이트인 쉐어박스와 슈퍼다운에 올라온 일부 파일에 삽입돼 유포됐다.[2]3. 계획 수정
공격자들은 디도스 공격의 피해가 크지 않자, 당초 4일 또는 7일 후에 하드 디스크가 파괴되도록 한 공격 계획을 수정했다.[3] 공격 시작일을 3월 7일로 앞당기고, 보호나라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명령을 내렸다.[3]
3. 1. 공격 시점 변경
당초 계획은 4일 혹은 7일 후 하드 디스크가 파괴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었으나, 디도스 공격의 피해가 크지 않자 일주일을 앞당겨 3월 7일에 파괴를 시작하도록 하는 명령과 보호나라 사이트 접속을 막는 명령을 내렸다.[3]3. 2. 보호나라 사이트 접속 차단
공격자들은 디도스 공격에 큰 피해가 없자, 3월 7일에 하드 디스크 파괴를 시작하도록 하는 명령과 함께 보호나라 사이트 접속을 막는 명령을 내렸다.[3]참조
[1]
뉴스
"<3.3 디도스 공격> 악성코드, 일주일 뒤 PC 망가뜨려"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1-03-12
[2]
뉴스
"'3.3 디도스'제 2차 디도스 대란 일어나나"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1-03-04
[3]
뉴스
디도스 하드디스크 파괴…안전모드 부팅해야
https://www.ajunews.[...]
아주경제
2024-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