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5 외제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5 외제니아는 1857년 헤르만 골드슈미트가 발견한 소행성이다. 나폴레옹 3세의 부인 외제니 드 몽티조 황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지름 약 214 km의 F형 소행성으로 탄소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8년에는 프티 프랭스, 2004년에는 S/2004 (45) 1이라는 두 개의 위성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7년 발견한 천체 - NGC 20
  • 1857년 발견한 천체 - 46 헤스티아
    46 헤스티아는 직경 약 124km의 소행성으로, 21.040 ± 0.001 시간의 주기를 갖는 광도 곡선이 생성되었으며, 질량 추정치는 연구마다 차이를 보인다.
  • F형 소행성 - 704 인테람니아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으로, 초거대 망원경 관측 결과 지름 약 332km의 타원체 형태이며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얼음 천체로 추정된다.
  • F형 소행성 - 1815 베토벤
    1815 베토벤은 카를 빌헬름 라인무트가 발견하여 독일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이름을 딴, 약 5년 7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외태양계 주 소행대 소행성이다.
  • 어린 왕자 - 46610 베시두즈
    1993년 홋카이도에서 발견된 소행성 46610 베시두즈는 소행성대에 위치하며 3년 5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고, 《어린 왕자》의 B612를 기리기 위해 16진법 변환 시 B612가 되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지름 약 2.064km, 표면 알베도 0.262를 가진다.
  • 어린 왕자 - 프티프랭스
    프티프랭스는 지름 13km의 소행성으로, 외제니 황후의 아들인 제국 공자를 기리고 소설 《어린 왕자》의 어린 왕자를 암시하며, 45 에우게니아를 5일 주기로 공전한다.
45 외제니아
기본 정보
45 외제니아 VLT (2021), 디컨볼루션됨
명명외제니 황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다른 이름1941 BN
소행성 분류주 소행성대
형용사외제니아의
발견
발견자H. 골트슈미트
발견일1857년 6월 27일
MPC 이름(45) Eugenia
궤도 특성
궤도 기준점2005년 11월 26일 (JD 2453701.5)
긴반지름406.897 Gm (2.720 AU)
근일점373.488 Gm (2.497 AU)
원일점440.305 Gm (2.943 AU)
궤도 이심률0.082
공전 주기1638.462 d (4.49 a)
궤도 경사6.610°
승교점 경도147.939°
근일점 인수85.137°
평균 근점 이각45.254°
물리적 특성
위성프티-프랭스
S/2004 (45) 1
크기232 × 193 × 161 km (Baer)
크기 (IRAS)305 × 220 × 145 km
평균 반지름94 ± 1 km
질량5.8 ± 0.1 × 10¹⁸ kg
밀도1.66 ± 0.07 g/cm³
표면 중력0.017 m/s²
탈출 속도0.071 km/s
자전 주기0.2375 d (5.699 h)
자전축 기울기117 ± 10°
극 황도 좌표 (위도)-30 ± 10°
극 황도 좌표 (경도)124 ± 10°
알베도0.065 (계산됨)
알베도 (IRAS)0.040 ± 0.002
분광형F
절대 등급7.46

2. 발견

1857년 6월 28일 아마추어 천문학자 헤르만 골드슈미트가 외제니아를 발견하였다.[10] 골드슈미트는 파리 아파트 6층에 설치한 4인치 조리개 망원경을 사용했다.[8] 외제니아는 45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며, 궤도 요소는 1857년 7월 빌헬름 포스터가 세 번의 관측을 통해 계산하였다.[9]

외제니아는 나폴레옹 3세의 부인 외제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이는 12 빅토리아를 제외하면 전설 속 인물이 아닌 실존 인물의 이름을 딴 최초의 사례이다.[11]

3. 물리적 성질

지름이 약 214km인 큰 소행성이다. F형 소행성에 속하며, 탄소로 구성되어 있어 보다 어둡다. 253 마틸데처럼 밀도는 특이할 만큼 낮으며, 이는 외제니아가 단결정체가 아니라 "돌무더기"에 가까움을 가리킨다.[12] 수분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다.[12] 광도곡선 분석을 통해 외제니아의 극이 오차범위 10° 내로 황도 좌표계 (β, λ) = (-30°, 124°)를 가리키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13] 따라서 자전축 기울기는 117°으로, 역방향 자전을 한다.

4. 위성

외제니아는 두 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1998년 11월,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에 있는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으로 외제니아를 공전하는 작은 위성이 발견되었다. 이는 지상 망원경으로 발견된 최초의 소행성 위성이다. 이 위성은 프티프랭스로 명명되었다.[4]

2007년 4월 7일 국제천문연맹 회보(IAUC) 8817호에서, 유럽 남방 천문대 소속 파라날 천문대의 8.2m VLT에서 관측된 또 다른 위성 S/2004 (45) 1의 발견이 발표되었다.

외제니아의 위성
이름직경
(km)
궤도
경사각
(도)
이심률궤도
반장경
(km)
공전
주기
(일)
S/2004 (45) 16???700km?2?
I프티 프랭스
S/1998 (45) 1
138.00.011184km4.766


4. 1. 프티프랭스

1998년 11월,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의 캐나다 프랑스 하와이 망원경에서 외제니아를 도는 작은 위성을 발견했다. 이는 지상 망원경으로 발견한 최초의 소행성 위성이다. 위성의 지름은 약 13km로 외제니아에 비해 많이 작고, 외제니아 주위를 약 5일 주기로 공전한다.[14]

발견자들은 이 위성의 이름을 "프티프랭스"(Petit-Prince, "(45) 외제니아 I 프티프랭스"라고도 불린다)로 지었다. 프티프랭스는 프랑스 황태자 나폴레옹 외젠을 가리키지만, 발견자들은 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 왕자의 주인공 어린 왕자를 뜻한다고도 밝혔다.[14]

4. 2. S/2004 (45) 1

외제니아의 두 번째 위성 S/2004 (45) 1은 지름이 6km로, 프티프랭스보다 외제니아에 더 가깝게 공전한다.[15] 2004년 2월 칠레의 초거대 망원경(VLT)에서 촬영한 사진 세 장을 분석하여 발견되었다.[16] 2007년 3월 7일 프랑크 마르키스와 동료들은 이 위성이 외제니아를 700km 거리에서 4.7일 주기로 공전한다고 발표했다.[15]

외제니아의 위성
이름직경
(km)
궤도
경사각
(도)
이심률궤도
반장경
(km)
공전
주기
(일)
S/2004 (45) 16???700km?4.7
I프티 프랭스
S/1998 (45) 1
138.00.011184km4.766


5. 위성 표

(km)궤도
경사각
(도)이심률궤도
반장경
(km)공전
주기
(일)S/2004 (45) 16???700?2?I프티 프랭스
S/1998 (45) 1138.00.011,1844.766


참조

[1] OED Eugenia
[2] 논문 VLT/SPHERE imaging survey of the largest main-belt asteroids: Final results and synthesis
[3] 웹사이트 Calculated Water Concentrations on C Class Asteroids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08-05-22
[4] 문서 "On a Permanent Name for Asteroid S/1998(45)1" http://www.boulder.s[...] 2000-05-26
[5] 학술지 S/2004 (45) 1
[6] 웹사이트 IMCCÉ Breaking News http://www.imcce.fr/[...] 2019-04-30
[7] 웹사이트 小惑星日本語表記索引 : 1 - 50 http://planetary.jp/[...] 일본惑星協会 2019-03-24
[8] 저널 Memoir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https://books.google[...] Priestley and Weale 2010-08-13
[9] 저널 New Planet (45) 1857-07
[10]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https://archive.org/[...] Springer
[11] 서적 The life and science of Léon Foucault: the man who proved the earth rotat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인용 Calculated Water Concentrations on C Class Asteroids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08-05-22
[13] 저널 Models of Twenty Asteroids from Photometric Data http://www.rni.helsi[...] 2017-04-30
[14] 문서 "On a Permanent Name for Asteroid S/1998(45)1" http://www.boulder.s[...] 2000-05-26
[15] IAUC IAUC 8817 http://adsabs.harvar[...]
[16] 웹인용 IMCCÉ Breaking News http://www.imcce.fr/[...] 2018-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