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는 아녜스 바르다 감독의 1962년 프랑스 영화이다. 타로 카드를 통해 불길한 예언을 들은 가수 클레오가 불안과 공포 속에서 5시부터 7시까지 두 시간 동안 겪는 심리 변화를 따라간다. 실존주의적 주제와 여성의 자아 찾기를 다루며, 프랑스 누벨바그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022년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목록에서 1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녜스 바르다 감독 영화 - 방랑자 (1985년 영화)
    아녜스 바르다 감독의 1985년 프랑스 영화 《방랑자》는 상드린 보네르가 연기한 18세 소녀 모나의 방랑과 비극적인 죽음을 가상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보여주며 자유, 고독, 사회 부적응 문제를 탐구하여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 아녜스 바르다 감독 영화 -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은 아녜스 바르다와 JR이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사람들의 대형 초상 사진을 제작하여 벽에 붙이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누벨 바그 - 장피에르 멜빌
    장피에르 멜빌은 프랑스 레지스탕스 출신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로, 《사무라이》, 《붉은 원》 등 미니멀리스트 누아르 영화를 제작했으며,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누벨 바그 - 알랭 레네
    알랭 레네는 1922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한 프랑스의 영화감독으로, 기억과 시간의 복잡성을 탐구하며 마르그리트 뒤라스 등과의 협업을 통해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했고, 《히로시마 내 사랑》 등 다수의 작품으로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다.
  • 미셸 르그랑 영화 음악 - 쉘부르의 우산
    《쉘부르의 우산》은 1964년 프랑스 뮤지컬 영화로, 1957년부터 1963년까지의 쉘부르를 배경으로 우산 가게 소녀 쥬느비에브와 자동차 정비공 기의 사랑과 이별을 알제리 전쟁을 배경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 미셸 르그랑 영화 음악 - 삼총사 (1973년 영화)
    리처드 레스터 감독의 영화 《삼총사》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마이클 요크, 올리버 리드, 프랭크 핀레이, 리처드 체임벌린 등이 출연하여 왕비의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되찾기 위한 달타냥과 삼총사의 모험을 그리고 있으며, 라켈 웰치가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Cléo de 5 à 7
프랑스어 제목Cléo de 5 à 7
영어 제목Cléo from 5 to 7
한국어 제목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극장 개봉 포스터
장르누벨바그
제작
감독아녜스 바르다
제작자조르주 드 보르가르
각본아녜스 바르다
출연코린 마르샹
앙투안 부르세이에
도미니크 다브레
도로테 블랑크
미셸 르그랑
음악미셸 르그랑
촬영장 라비에
편집자니느 베르노
개봉
프랑스1962년 4월 11일
미국1962년 9월 4일
일본1963년 5월 24일
기타 정보
제작사Athos Films
Ciné-Tamaris
배급사동화사 (일본)
상영 시간90분
제작 국가프랑스
이탈리아
언어프랑스어

2. 줄거리

타로 카드 점을 보고 충격을 받은 클레오는 카페에서 하녀 앙젤과 만나 타로 카드 결과를 이야기하며, 암에 걸렸다면 자살할 의향이 있다고 말하며 운다.[6] 클레오와 앙젤은 모자 쇼핑을 하고 집으로 돌아가던 중, 알제리 전쟁에 대한 뉴스 보도를 듣는다.[6] 집에 돌아온 클레오는 연인을 만나지만, 그는 바쁜 일 때문에 곧 떠난다.[6]

이후 피아니스트 밥과 작곡가 모리스가 리허설을 위해 그녀의 집에 도착한다.[6] 하지만 클레오는 "Sans toi"라는 노래를 부른 후, 노래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조롱하는 것처럼 느껴져 모두가 자신을 망치고 아무도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떠난다.[6]

카페로 가는 길에 클레오는 거리 공연자를 지나친다.[6] 카페의 주크박스에서 자신의 노래를 틀어놓고 주변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지켜보지만, 아무도 반응하지 않는다.[6] 이후 조각 스튜디오에서 옛 친구 도로테를 만나, 그녀에게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으며 불치병에 걸릴까 두렵다고 말한다.[6]

영화관에서 그들은 장 뤽 고다르와 안나 카리나가 출연하는 무성 코미디 영화를 감상한다.[6] 영화관을 나오면서 클레오는 실수로 거울을 깨뜨리는데, 이것을 불길한 징조로 여긴다.[6]

도로테를 내려준 후, 클레오는 택시 운전사에게 몽수리 공원으로 가달라고 한다.[6] 공원에서 알제리 전쟁에서 휴가를 나온 군인 앙투안은 클레오에게 말을 걸고, 클레오는 자신의 진짜 이름이 플로렌스이며 자신의 병을 두려워한다고 말한다.[6] 앙투안은 그녀의 검사 결과를 받기 위해 병원에 가는 것을 허락한다면 자신도 그녀와 함께 기차역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한다.[6]

병원에서 클레오가 검사 결과를 받기로 한 의사는 이미 퇴근했지만, 차를 타고 지나가면서 검사 결과가 양성이지만 상태가 너무 심각하지 않으며 2개월의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6] 앙투안은 떠나고 싶지 않고 클레오와 함께 있고 싶어 하고, 그녀는 그에게 지금 자신이 함께 있다고 말한다.[6] 클레오는 자신의 두려움이 사라진 것 같고 행복해 보이며, 그들은 서로에게 미소를 짓는다.[6]

3. 등장인물


  • '''클레오''' (Corinne Marchand|코린 마르샹프랑스어): 파리에서 떠오르는 팝 가수이다.
  • '''앙투안''' (Antoine Bourseiller|앙투안 부르세이에프랑스어): 알제리 전쟁에 참전하는 군인이다.
  • '''앙젤''' (Dominique Davray|도미니크 다브리프랑스어): 클레오를 돌보는 매니저이다.
  • '''도로테''' (Dorothée Blanck|도로시 블랑크프랑스어): 클레오의 친구로 누드 모델 일을 한다.
  • '''밥''' (Michel Legrand|미셸 르그랑프랑스어): 클레오의 노래를 작곡하는 작곡가이다.
  • '''아나 카리나''' (Anna Karina|아나 카리나프랑스어): 무성영화 배우이다.
  • '''장뤽 고다르''' (Jean-Luc Godard|장뤽 고다르프랑스어): 무성영화 배우이다.
  • 호세 루이스 데 빌라롱가: 클레오의 연인 호세 역
  • 로이 페이엔: 이르마 역
  • 세르주 코르베르: 모리스 역
  • 레몽 코셰티에: 라울 역
  • 로베르 포스테크: 발리노 의사 역
  • 장 샹피옹: 카페 주인 역
  • 장-피에르 타스테: 카페 웨이터 역
  • 르네 뒤샤토: 모자 판매원 역
  • 뤼시엔 마르샹: 택시 운전사 역

3. 1. 주요 인물


  • '''클레오 빅투아르''' (Corinne Marchand|코린 마르샹프랑스어): 젊고 아름다운 팝 가수. 암 진단 결과를 기다리며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낀다.
  • '''앙투안''' (Antoine Bourseiller|앙투안 부르세이에프랑스어): 알제리 전쟁에 참전하는 군인. 몽수리 공원에서 우연히 클레오를 만나 그녀의 불안을 다독여준다.
  • '''앙젤''' (Dominique Davray|도미니크 다브리프랑스어): 클레오의 매니저이자 그녀를 돌보는 인물.
  • '''도로테''' (Dorothée Blanck|도로시 블랑크프랑스어): 클레오의 친구. 조각가의 누드 모델로 일한다.
  • '''밥''' (Michel Legrand|미셸 르그랑프랑스어): 클레오의 노래를 작곡하는 피아니스트.

3. 2. 조연


  • 호세 루이스 데 빌라롱가 : 호세, 클레오의 연인 역
  • 세르주 코르베르 : 모리스 역
  • 레몽 코셰티에 : 라울 역
  • 로베르 포스테크 : 발리노 의사 역
  • 장 샹피옹 : 카페 주인 역
  • 장-피에르 타스테 : 카페 웨이터 역
  • 르네 뒤샤토 : 모자 판매원 역
  • 뤼시엔 마르샹 : 택시 운전사 역
  • 아나 카리나 : 무성영화 배우 역
  • 장뤽 고다르 : 무성영화 배우 역

4. 주제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는 실존주의적인 주제를 다루며, 여성의 시선과 자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장 뤽 고다르, 안나 카리나, 에디 콘스탄틴, 장 클로드 브리아리 등이 카메오로 출연했으며, 미셸 르그랑은 음악 감독이자 극 중 밥 역으로 출연했다.

본 작품은 제15회 칸 영화제에 정식 출품되었다.[6] 영화는 흑백으로 제작되었으나, 타로점 장면은 컬러로 표현되었다.

4. 1. 실존주의적 고찰: 죽음과 삶의 의미

영화는 클레오가 암 진단 결과를 기다리는 2시간 동안 겪는 심리적 변화를 통해 죽음과 삶의 의미에 대한 실존주의적 질문을 던진다.[6] 특히, 죽음의 공포 앞에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은 죽음, 절망 (실존적 위기)에 대한 논의와 의미 있는 인생을 이끌어가는 것을 다룬다. 본 작품은 강하게 여성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은 어떻게 인식되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등장하는 거울은 자기 소외를 상징한다.

4. 2. 여성의 시선과 자아 찾기

영화는 여성 감독의 시선으로, 타인의 시선에 갇혀 대상화되던 여성이 주체적인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묘사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거울은 자기 소외를 상징하며,[6] 영화 속에서 클레오는 실수로 거울을 깨뜨리는데, 이를 불길한 징조로 여기기도 한다.[6] 클레오가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끊임없이 확인하는 장면은, 외모에 대한 사회적 압박과 여성의 불안정한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6]

5. 영화 기법 및 특징

아녜스 바르다 감독은 이 영화에서 다양한 영화 기법과 특징들을 선보였다. 우선, 영화 초반 타로 점 장면은 흑백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으로 컬러로 촬영하여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6]

누벨바그 영화의 특징을 살려, 즉흥 연기와 현장 촬영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특히 파리 시내 곳곳의 풍경을 생생하게 담아내어 영화의 배경을 더욱 현실감 있게 묘사했다.

영화 속 삽입된 음악은 등장인물의 심리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셸 르그랑이 작곡하고 직접 밥 역으로 출연하여 ''피아니스트 밥''을 연주함으로써 영화의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6. 평가 및 영향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는 2002년 《사이트 앤 사운드》 잡지의 역대 위대한 영화 비평가 투표에서 289위에 처음 등장했다. 2012년 비평가 투표에서는 207위로 상승했고, 2022년 투표에서는 14위에 올라 여성 감독의 영화 중 세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클레어 드니의 《아름다운 나의 별》이 7위, 샹탈 아케르만의 《잔 디엘만, 23, 퀘 드 코메르스, 1080 브뤼셀》이 1위).[4]

2019년 BBC 투표에서는 84개국 368명의 영화 전문가가 참여하여 제인 캠피온의 《피아노》에 이어 여성 감독이 연출한 영화 중 두 번째로 위대한 영화로 선정되었다.[4]

리뷰 애그리게이터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5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2%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6/10이다. 웹사이트의 비평가 평가는 다음과 같다.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는 프랑스 누벨바그의 아름답게 촬영된 하이라이트를 대표하며, 시대의 매력을 담아내면서도 서사적 관습에서 벗어난다."[5]

참조

[1] 서적 Cléo de 5 à 7 British Film Institute
[2] 웹사이트 Cleo from 5 to 7 http://en.unifrance.[...] unifrance.org 2014-03-17
[3]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Cléo from 5 to 7 http://www.festival-[...] 2009-02-22
[4]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films directed by women https://www.bbc.com/[...] 2021-01-15
[5] 웹사이트 Cleo From 5 to 7 (1961)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2-02-16
[6]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Cléo from 5 to 7 http://www.festival-[...] 2009-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