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biography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utobiography''는 애슐리 심슨의 데뷔 앨범으로, 2004년 7월 20일에 발매되었다. 심슨이 지난 3년간 겪은 일들을 일기 쓰듯 담아낸 이 앨범은 사랑과 이별에 대한 가사를 주로 담고 있으며, 언니 제시카 심슨의 팝 음악과는 달리 록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앨범은 "Pieces of Me"와 "Shadow", "La La" 등의 싱글을 통해 홍보되었으며, 리얼리티 쇼인 《The Ashlee Simpson Show》의 방영과 앨범 발매 시기에 맞춘 광고 출연 등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쳤다. 평론가들의 평가는 엇갈렸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미국에서 2004년 여성 아티스트의 데뷔 앨범 중 가장 높은 판매고를 올렸으며,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슐리 심슨의 음반 - I Am Me
애슐리 심슨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I Am Me는 록과 팝의 혼합 장르에 80년대 음악의 영향을 받은 사운드와 삶의 경험을 담은 가사를 특징으로 한다. - 애슐리 심슨의 음반 - Bittersweet World
애슐리 심슨이 2008년에 발매한 세 번째 정규 앨범인 Bittersweet World는 70-80년대 신스팝과 뉴 웨이브 영향을 받아 팀발랜드, 채드 휴고 등 다양한 프로듀서와 협업하여 "Outta My Head (Ay Ya Ya)" 등의 곡을 수록했지만, 평론가들의 엇갈린 평가와 함께 이전 앨범보다 낮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 2004년 데뷔 음반 - Taxi Driver
Taxi Driver는 실험적인 사운드와 사회 비판적인 가사로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켜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음반"과 "최우수 팝 음반"을 수상하고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 선정된 대한민국의 음악가가 발표한 음반이다. - 2004년 데뷔 음반 - Instant Pig
Instant Pig는 음반 정보, 수록곡 목록, 반응 및 평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총 15개의 트랙이 수록되어 있고 모든 곡은 DJ 클래지가 작곡했다. - 영어 음반 - Overexposed
2012년 발매된 마룬 5의 네 번째 정규 음반 《Overexposed》는 전작의 부진을 극복하고 팝적인 음악적 시도와 다양한 장르 융합을 통해 "One More Night", "Payphone" 등의 히트곡을 내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비평가들에게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영어 음반 - MONOCROM
MONOCROM은 신해철과 크리스 샹그리디가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으로, 락, 테크노에 국악을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으며, 앨범 《MONOCROM》을 발표하고 수록곡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는 밴드 크래쉬가 리메이크했으며, 크리스 샹그리디는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Autobiography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Autobiography |
종류 | 정규 음반 |
가수 | 애슐리 심슨 |
![]() | |
발매일 | 2004년 7월 20일 |
녹음 장소 | 헨슨 레코딩 스튜디오, 할리우드 |
장르 | 팝 록 팝 펑크 틴 팝 버블검 팝 |
길이 | 44분 01초 |
레이블 | 게펜 |
프로듀서 | 존 섐크스 |
싱글 | |
싱글 1 | Pieces of Me |
싱글 1 발매일 | 2004년 5월 17일 |
싱글 2 | Shadow |
싱글 2 발매일 | 2004년 9월 14일 |
싱글 3 | La La |
싱글 3 발매일 | 2004년 11월 8일 |
기타 정보 | |
다음 음반 | I Am Me |
다음 음반 발매 연도 | 2005년 |
2. 배경
심슨은 앨범의 12곡을 쓰는 과정을 일기를 쓰는 것과 비슷하다고 묘사했으며, 앨범 가사는 주로 사랑과 이별을 다루고, 특히 당시 남자친구였던 조쉬 헨더슨과의 결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5][6] 앨범은 팝 요소뿐만 아니라 록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언니 제시카 심슨의 팝 지향적인 음악과는 대조적이다. 심슨은 언니나 힐러리 더프와 같은 팝 가수처럼 음악을 만들고 싶지 않았으며, 크리시 하인드와 조안 제트와 같은 음악가를 자신의 영향력으로 언급했다.[9] 앨범의 라이너 노트에는 밴드 굿 샬롯의 벤지 매든과 조엘 매든이 감사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국제 보너스 트랙으로 발매된 "Harder Everyday"라는 곡 작업을 함께 했다.[10]
2. 1. 음반 계약 과정
2004년 인터뷰에서 심슨은 음반 계약을 찾기 시작했을 때 음반사들이 자신을 만나려 하지 않았는데, 이는 단순히 언니 제시카 심슨처럼 되고 싶어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언니의 음반사인 컬럼비아 레코드와는 계약하고 싶지 않았는데, 언니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음악 때문에 계약을 맺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51] 결국 심슨은 2003년 게펜과 계약을 맺었다. 노래 공동 작곡가로서의 역할에 대해 심슨은 가사에 많은 아이디어를 냈다고 말하며, "노래의 전체적인 컨셉을 생각해냅니다. 저에게 작곡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제가 항상 해왔고, 항상 하고 싶었던 일이며, 음반을 만들고 싶었던 큰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그래서 제 레이블은 정말 놀라웠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정말 저에게 많은 부분을 허락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많은 것을 쓸 수 있었습니다."라고 언급했다.[6] 앨범 제작에 대해 심슨은 "많은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적합한 레이블을 찾는 것부터 실제 녹음까지 약 9개월이 걸렸고, 그 후 홍보 작업이 이어졌습니다."라고 회상했다.[16]2. 2. 앨범 제작 과정
심슨은 이 앨범의 12곡을 쓰는 과정을 일기를 쓰는 것과 비슷하다고 묘사했으며, 앨범의 미국 발매 전에 "지난 3년간 겪은 일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매일 제가 겪고 있는 일들을 생각하며 그에 대한 노래를 썼습니다."라고 말했다.[5] 가사는 주로 사랑과 이별을 다루며, 특히 앨범의 많은 가사는 당시 심슨의 남자친구였던 조쉬 헨더슨과의 결별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녀는 이 앨범을 "매우 정직"하고 "내 감정에 매우 충실"하며—"힘들었던 점과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6]심슨은 앨범 작업에 여러 경험 많은 작곡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했다. 앨범 프로듀서인 존 섕크스는 2005년 2월에 ''Autobiography'' 프로듀서 작업으로 그래미 상을 수상했는데,[7] 두 곡을 제외한 모든 곡에서 심슨과 함께 작곡가로 이름을 올렸다. 카라 디오가디 역시 심슨, 섕크스와 함께 세 개의 싱글을 포함한 일곱 곡의 작곡가로 참여했다.[8]
이 앨범은 팝 요소뿐만 아니라 록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언니인 제시카 심슨의 팝 지향적인 음악과 대조적이다. 한 평론가는 제시카의 음악과 달리, ''Autobiography''는 "화려한 기타와 큰 파워 팝 리프에 의존한다"고 언급했다.[9] 그녀는 리얼리티 쇼에서 언니나 힐러리 더프와 같은 팝 가수처럼 음악을 만들고 싶지 않다고 강조했으며, 대신 크리시 하인드와 조안 제트와 같은 음악가를 자신의 영향력으로 언급했다.
2004년 인터뷰에서 심슨은 음반 계약을 찾기 시작했을 때 음반사들이 그녀를 만나려 하지 않았는데, 그들이 그녀가 단순히 "언니처럼 되고 싶어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심슨은 또한 언니의 음반사인 컬럼비아 레코드와 만나고 싶지 않았는데, 언니 때문이 아니라 그녀의 음악 때문에 계약을 맺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51] 그녀는 결국 2003년 게펜과 계약을 맺었다.
심슨은 노래 공동 작곡가로서 가사에 많은 아이디어를 냈다고 말했다. "...저는 노래의 전체적인 컨셉을 생각해냅니다. 저에게 작곡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제가 항상 해왔고, 항상 하고 싶었던 일이며, 음반을 만들고 싶었던 큰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그래서 제 레이블은 정말 놀라웠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정말 저에게 많은 부분을 허락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많은 것을 쓸 수 있었습니다."[6]
심슨은 앨범 제작에 대해 "많은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적합한 레이블을 찾는 것부터 실제 녹음까지 약 9개월이 걸렸고, 그 후 홍보 작업이 이어졌습니다."라고 말했다.[16] 앨범의 라이너 노트에 있는 감사 목록에서 심슨은 밴드 굿 샬롯의 벤지 매든과 조엘 매든을 포함시켰는데, 그들은 국제 보너스 트랙으로 발매된 "Harder Everyday"라는 곡 작업을 함께 했다.[10]
3. 구성
''Autobiography'' 앨범은 다양한 곡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은 애슐리 심슨의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반영하고 있다.
제목 | 작사/작곡 | 특징 |
---|---|---|
Autobiography | 애슐리 심슨, 카라 디오가디, 존 샹크스 | 타이틀 곡, MTV 리얼리티 시리즈 애슐리 심슨 쇼 주제가. "손목을 흔드는 조안 제트 록 캔디"라는 평과 "오래된 비유이자 지루한 비유"라는 상반된 평을 받았다.[27] |
Pieces of Me | 애슐리 심슨, 카라 디오가디, 존 샹크스 | 라이언 카브레라와의 관계에서 얻은 편안함과 행복을 노래한 소프트 록 발라드.[6] "끈적한 기타 리프"가 특징.[11] |
Shadow | 애슐리 심슨, 카라 디오가디, 존 샹크스 | 어린 시절 언니에게 밀려나는 역할이었지만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되는 이야기를 담은 느린 곡.[6] 앨범에서 "가장 개인적인 노래"로 묘사됨. |
La La | 애슐리 심슨, 카라 디오가디, 존 샹크스 | 성적인 가사가 담긴 "익살스러운" 곡.[12] "펑크에서 영감을 받은 빠른 비트, 비명 앤섬"이라는 평을 받았다.[13] |
Love Makes the World Go Round | 애슐리 심슨, 존 샹크스 | 끝난 관계에 대한 실망감을 이야기하는 곡. "더프의 분위기"가 느껴진다는 평. |
Better Off | 애슐리 심슨, 카라 디오가디, 존 샹크스 | "거품" 같은 노래[26]이자 "팝/록의 덩어리"로 묘사됨.[14] |
Love Me for Me | 애슐리 심슨, 셸리 페이컨, 존 샹크스 | "자기 존중"에 대한 곡.[15] "조안 제트 스타일"이라는 평.[26] |
Surrender | 애슐리 심슨, 카라 디오가디, 존 샹크스 | 이별에 동의하는 내용을 담은 곡. "당신은 당신의 불행을 나의 동료로 만든다"와 같은 가사가 특징. epinions는 이 곡에서 심슨이 "가장 자유롭고 편안하게" 들린다고 평가.[14] |
Unreachable | 애슐리 심슨, 스탠 프레이저, 스티브 폭스, 로비 네빌, 빌리 만 | 관계에 서두른 것에 대한 후회를 담은 곡. 피아노 라인과 빈티지 챔벌린 사운드가 결합됨. |
Nothing New | 애슐리 심슨, 카라 디오가디, 존 샹크스 | 전 남자친구의 "드라마"에 대한 좌절감을 담은 곡. |
Giving It All Away | 애슐리 심슨, 존 펠드만 | 청취자에게 스스로 일어서도록 격려하는 곡. "당신의 삶을 잡고 그걸 포기하지 마세요"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6] |
Undiscovered | 애슐리 심슨, 존 샹크스 | 조쉬와의 이별 후에 쓰여진 곡. 잃어버린 관계에서 어떠했을지에 대해 고뇌하는 내용. "몽환적인 현악기"와 "부드러운 기타"가 특징.[14] |
미국 외 국가에서는 "Harder Everyday"가, 영국 버전에는 "Sorry"가, 일본 버전에는 "Endless Summer"가 추가로 수록되었다. 미국 월마트 에디션 앨범에는 "Sorry"의 품질 저하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었다.
3. 1. 타이틀 곡 'Autobiography'
타이틀 곡은 MTV 리얼리티 시리즈 ''애슐리 심슨 쇼''의 주제가이기도 하며, 심슨이 "내 티셔츠에 얼룩이 묻었고, 나는 최고의 바람둥이야"와 "내 자서전을 원한다면, 그냥 나에게 물어봐"라고 노래하며 앨범을 시작한다. ''빌리지 보이스''(Village Voice)는 이 곡을 "손목을 흔드는 조안 제트 록 캔디"라고 묘사했지만,[27] ''스타일러스''(Stylus)는 이 곡을 "오래된 비유이자 지루한 비유"라고 칭했다.3. 2. 'Pieces of Me'
MTV 리얼리티 시리즈 ''애슐리 심슨 쇼''의 주제가이기도 한 타이틀 곡에서 심슨은 "내 티셔츠에 얼룩이 묻었고, 나는 최고의 바람둥이야", "내 자서전을 원한다면, 그냥 나에게 물어봐"라고 노래한다. ''Village Voice''는 이 곡을 "손목을 흔드는 조안 제트 록 캔디"라고 묘사했지만,[27] ''Stylus''는 이 곡을 "오래된 비유이자 지루한 비유"라고 칭했다. Pieces of Me는 라이언 카브레라와의 관계에서 심슨이 발견한 편안함과 행복에 대한 노래로,[6] "끈적한 기타 리프"가 있는 소프트 록 발라드로 묘사되었다.[11]3. 3. 'Shadow'
Shadow영어는 이 앨범에서 "가장 개인적인 노래"로 묘사되었으며, 애슐리 심슨이 어렸을 때 언니에게 밀려나는 역할을 했지만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되는 이야기를 담은 느린 곡이다.[6]3. 4. 'La La'
앨범은 심슨이 "익살스러운" 곡이라고 묘사한 성적인 가사가 담긴 "La La"로 이어진다.[12] 한 평론가는 "La La"를 "펑크에서 영감을 받은 빠른 비트, 비명 앤섬"이라고 묘사했다.[13]3. 5. 그 외 수록곡
"Love Makes the World Go Round"는 끝난 관계에 대한 실망감을 이야기하는 곡으로, ''epinions.com''은 이 곡에서 "더프의 분위기"가 느껴진다고 묘사했다. "Better Off"는 "거품" 같은 노래[26]이자 "팝/록의 덩어리"[14]로 묘사되었으며, "Love Me For Me"는 "조안 제트 스타일"[26]로 불렸고, 심슨은 이 곡이 "자기 존중"에 대한 곡이라고 말했다.[15] 이 두 곡은 모두 관계에 대한 상반된 감정을 다루고 있다. 신시사이저가 주도하는 "Surrender"는 "당신은 당신의 불행을 나의 동료로 만든다"와 같은 가사로 심슨이 이별에 동의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epinions''는 이 곡에서 심슨이 "가장 자유롭고 편안하게" 들린다고 썼다.[14]"Unreachable"은 피아노 라인과 빈티지 챔벌린 사운드를 결합하여 관계에 서두른 것에 대한 후회를 담은 가사와 함께한다. 심슨은 "Nothing New"에 대해 전 남자친구의 "드라마"에 대한 좌절감을 담았고, 결국 그에게 "질렸다"고 말하며,[16] "Giving It All Away"는 청취자에게 스스로 일어서도록 격려한다. 심슨은 이 곡에 대해 "당신의 삶을 잡고 그걸 포기하지 마세요"라고 말했다.[6] 앨범의 마지막 트랙인 "Undiscovered"(심슨은 가장 좋아하는 곡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6])는 조쉬와의 이별 후에 쓰여졌으며, epinions.com은 "몽환적인 현악기"와 "부드러운 기타"가 있는 노래라고 묘사한다;[14] 이 곡에서 심슨은 잃어버린 관계에서 어떠했을지에 대해 고뇌한다.
미국 외 국가에서는 "Harder Everyday"가 수록되었고, 영국 버전에는 "Sorry"가 추가되었으며, 일본 버전은 "Endless Summer"로 마무리된다. 미국 월마트 에디션 앨범에는 인터넷에서 "Sorry"의 품질 저하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가 포함되어 있었다.
4. 평가
''Autobiography''에 대한 평론가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모두 존재했다.
블렌더는 앨범의 모든 곡이 "웅대한 붓놀림으로 그려졌다"고 평했으며, 심슨의 보컬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28] E! 온라인은 심슨의 노래 실력과 중독성 있는 트랙을 칭찬하며 "애슐리 심슨은 마치 그녀의 일기장에서 찢어온 듯한 이 트랙들을 묶어냈습니다. 애슐리는 심지어 당신이 그녀의 반짝이는 삶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그래서 당신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더라도, Autobiography는 당신을 놀라게 할지도 모릅니다."라고 평가했다.[20]
4. 1. 긍정적 평가
''Autobiography''는 여러 매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나, 몇몇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피플 매거진은 이 음반을 "무난한 데뷔"라고 평가하며, 심슨이 "자신만의 재능을 가진 신뢰할 만한 인물"임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26] 올뮤직은 "예상외로 강력한 데뷔"라고 평가했다.[18] 더 빌리지 보이스는 ''Autobiography''를 코트니 러브의 2004년 앨범 ''America's Sweetheart''와 비교하며, "프루트 스트라이프 버블그런지 기타와 엄청나게 쫀득한 멜로디, 귀를 간지럽히는 프로듀싱"을 언급했다. 또한 심슨의 노래 실력에 대해 "단 하나의 줄, 단 하나의 단어에 너무나 많은 상반된 감정을 담아내 음악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라고 칭찬했다.[27]4. 2. 부정적 평가
《롤링 스톤》은 이 음반을 "평범하고 예측 가능한 각본"이라고 평가했으며, 심슨의 노래 실력에 대해 "음정을 맞추는 대신 울부짖는다"라고 표현했다.[24] BBC는 리뷰에서 "앨범의 절반은 ... 자기 도취적으로 느껴지고 내용이 부족하다"고 했지만, "획일적이고 무해한 곡들 사이사이에 매력적인 팝 록 트랙이 흩어져 있다"고 덧붙였다.[19] IGN.com은 심슨의 보컬이 성숙함과 가능성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음반을 "매우 전형적이고 일반적인 (때로는 밋밋한) 팝/록"이라고 평했다.[29] 스타일러스 매거진의 한 작가는 "애슐리와 40분 이상을 함께 보낸 후, 나는 이전보다 그녀에 대해 더 잘 알게 된 것 같지 않다...[그리고] ''Autobiography''라는 제목의 앨범에 대해 이보다 더 큰 비판은 없을 것 같다"라고 평했다.[25] 《뉴욕 타임스》는 ''Autobiography''가 "에이브릴 라빈과 핑크를 좋아하는 것과 같은 청중을 겨냥한 철저하게 계산된 패키지"라고 평했다.[30]5. 홍보
애슐리 심슨은 앨범 ''Autobiography'' 발매를 전후로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쳤다. 특히, 미국에서 앨범과 싱글을 대대적으로 홍보했으며, 록 지향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언니 제시카 심슨과 차별화했다. 두 자매는 피자헛과 아이스 브레이커스 리퀴드 아이스 TV 광고에 함께 출연하기도 했다.[31]
심슨의 홍보에는 리얼리티 쇼 ''애슐리 심슨 쇼''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앨범 제작 과정을 담은 이 프로그램은 심슨의 개성을 보여주고 제시카 심슨과의 차이점을 부각했다.
''Billboard''는 ''Autobiography''의 성공 요인으로 리얼리티 쇼, 라디오 방송, 제시카 심슨의 후광 효과 등을 꼽았다. ''Teen People''은 효과적인 홍보와 더불어 싱글 "Pieces of Me"의 매력을 강조했다.[4] 앨범 발매 전 주에는 MTV.com에서 앨범을 스트리밍으로 제공하여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기록을 깨기도 했다.[33]
싱글 "Pieces of Me"는 2004년 5월부터 라디오에서 많이 방송되며 인기를 얻었다.[37] 이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9월에 5위까지 올랐다.[39][40] 후속 싱글 "Shadow"는 57위,[40] "La La"는 86위에 그쳤다.[40]
2004년 10월 ''Saturday Night Live''(SNL) 출연은 립싱크 논란을 일으켜 홍보에 어려움을 주었다. 위산 역류로 인한 컨디션 난조로 보컬 가이드 트랙을 사용했으나, 두 번째 곡에서 "Pieces of Me"가 실수로 재생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고, 심슨은 립싱크 의혹을 받았다. 이후 심슨은 라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이 사건을 농담으로 승화시키려 했다.[35]
2005년 1월,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오렌지 볼 하프타임 쇼에서 "La La"를 공연했으나 관중들의 야유를 받았다.[41] 같은 달 영국 TV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La La"를 공연했고, 이 곡은 영국 싱글 차트 10위권 밖에 머물렀지만, 앨범 판매량은 증가했다.
5. 1. 리얼리티 쇼 《애슐리 심슨 쇼》
The Ashlee Simpson Show영어는 2004년 6월 16일에 첫 방송되어 8개의 에피소드로 방영되었으며, 케이블 TV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32] 애슐리 심슨의 언니인 제시카 심슨의 리얼리티 쇼 ''신혼일기: 닉과 제시카''는 2003년에 처음 방송되었고, 제시카 심슨의 부진한 음악 경력을 되살리는 데 기여하며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리얼리티 TV는 애슐리 심슨의 음악 경력을 시작하는 데도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32] 애슐리 심슨의 아버지이자 매니저인 조 심슨은 딸들을 홍보하기 위해 리얼리티 TV를 사용하여 "레코드를 판매하는 방식을 재정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32]애슐리 심슨은 처음에는 리얼리티 쇼를 하고 싶지 않았지만, 아버지 조 심슨이 앨범 제작에 관한 내용이 될 것이기 때문에 하도록 설득했다고 말했다. 애슐리 심슨은 또한 쇼가 자신의 개성을 보여줌으로써 제시카와 자신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51]
''Billboard''의 차트 디렉터인 제프 메이필드는 애슐리 심슨의 ''Autobiography'' 성공을 설명하면서 여러 요인의 조합을 지적했다. 그는 애슐리 심슨을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것"이라고 묘사하며 "MTV 쇼는 엄청난 촉매제였고, 라디오는 이 노래를 전적으로 받아들였으며, 그녀의 유명한 여동생이 문을 열어주었습니다. 제시카가 없었다면 애슐리는 자기 쇼를 갖지 못했을 것이고, 이 앨범도 나오지 않았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4]
5. 2. 기타 홍보 활동
애슐리 심슨은 앨범과 싱글 홍보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미국에서 많은 홍보가 이루어졌으며, 그녀의 록 이미지를 강조하여 언니 제시카 심슨과 차별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TV 광고 출연: 제시카 심슨과 함께 피자헛과 아이스 브레이커스 리퀴드 아이스 TV 광고에 출연했다.[31]
- 리얼리티 쇼: 2004년 6월 16일부터 8개의 에피소드로 방영된 ''애슐리 심슨 쇼''는 케이블 TV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앨범 홍보에 큰 역할을 했다.[32]
- MTV.com 스트리밍: 앨범 발매 전 주에 MTV.com의 "The Leak"에서 앨범을 스트리밍으로 제공하여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기록을 깨는 266만 건의 스트리밍 요청을 기록했다.[33]
- SNL 출연: 2004년 10월 ''Saturday Night Live'' 공연에서 립싱크 논란이 있었지만, 이후 라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Autobiography" 공연으로 이 사건에 대해 농담하며 대처했다.[35]
- AOL 뮤직 라이브 공연: 2004년 12월 6일 AOL 뮤직 라이브 공연은 160만 회 재생으로 AOL 역사상 1주간 가장 많은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36]
- 오렌지 볼 하프타임 쇼 공연: 2005년 1월 4일 오렌지 볼 하프타임 쇼에서 "La La"를 공연했지만, 관중들로부터 야유를 받았다.[41]
- 영국 TV 출연: 2005년 1월, 영국에서 여러 텔레비전 쇼에 출연하여 "La La"를 공연했다.
5. 3. 《Saturday Night Live》 립싱크 사건
2004년 10월 23~24일, 심슨은 《Saturday Night Live》에 출연하여 공연을 펼쳤으나, 이는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34] 심슨의 홍보 담당자에 따르면, 아버지이자 매니저인 조 심슨은 위산 역류로 인해 딸의 목소리에 문제가 생겨 보컬 가이드 트랙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날 밤, "Pieces of Me"의 첫 번째 공연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지만, 두 번째 공연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원래 "Autobiography"를 부를 예정이었으나, "Pieces of Me"가 실수로 다시 재생되었고, 심슨이 마이크를 입 가까이 대지 않았음에도 녹음된 보컬이 흘러나왔다. 당황한 심슨은 무대에서 내려갔고, 방송 말미에 이 실수에 대해 사과했다.[34]이 사건으로 인해 일부 시청자들은 심슨이 립싱크를 했다고 비난했으며, 이는 뉴스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심슨은 10월 25일 라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Autobiography"를 공연하며 이 사건을 유머러스하게 넘기려 했다.[35]
6. 상업적 성과
''Autobiography''는 미국에서 2004년 여성 아티스트 데뷔 앨범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발매 첫 주에만 약 398,000장이 팔리며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했다.[44] 닐슨 사운드스캔에 따르면 2005년 초까지 총 2,576,945장이 팔려 2004년 아홉 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다.[45] 2004년 9월에는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트리플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42][43]
캐나다에서는 발매 첫 주 3,000장이 팔려 앨범 차트 37위로 데뷔했고,[46] 최고 8위까지 올랐으며 2005년 2월 더블 플래티넘을 기록했다.[47] 영국에서는 2004년 10월 4일 발매되어 앨범 차트 31위로 데뷔했고,[48] 2005년 1월 "La La" 홍보 후 33위까지 상승했다. 아일랜드에서는 1월 말 차트 22위,[50] 스위스 36위,[49] 노르웨이 29위[50]를 기록했다.
브라질에서는 싱글 "Pieces of Me"가 드라마 "America"의 주제곡으로 사용되어 약 15,000장의 앨범 판매를 기록했다.[52]
차트 (2004년)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 40 |
오스트리아 | 37 |
벨기에 (플랑드르) | 80 |
캐나다 | 8 |
유럽 100대 앨범 (빌보드) | 83 |
프랑스 | 96 |
독일 | 27 |
아일랜드 | 22 |
일본 앨범 (오리콘) | 6 |
노르웨이 | 29 |
스코틀랜드 | 23 |
싱가포르 앨범 (RIAS) | 7 |
스웨덴 | 44 |
스위스 | 36 |
영국 | 31 |
미국 빌보드 200 | 1 |
6. 1. 미국
미국에서 ''Autobiography''는 2004년 여성 아티스트의 데뷔 앨범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2004년 9월 RIAA로부터 트리플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42][43] 2004년 7월 20일 발매 이후, 약 398,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했다.[44] 닐슨 사운드스캔에 따르면, ''Autobiography''는 발매 시점부터 2005년 초까지 총 2,576,945장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2004년 아홉 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다.[45]앨범 판매에서 심슨의 성공은 1999년부터 가수 활동을 한 언니 제시카의 성공을 능가했는데, 제시카는 2003년 리얼리티 텔레비전 쇼에 출연하기 전까지 앨범 판매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게펜(Geffen) 사장 조던 슈어(Jordan Schur)는 앨범 발매 직전까지 심슨의 비교적 낮은 인지도를 강조하며, "슈퍼스타에게도 이런 앨범 판매량은 이 업계에서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심슨은 "제 앨범이 차트에 오르기만 바랐어요. 미국에서 1위가 될 줄은 예상도 못했어요! 엄청난 충격이었어요."라고 말하며 앨범의 성공에 놀라움을 표현했다.[51]
6.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앨범 발매가 미국과 일치했으며, 첫 주에 약 3,000가 판매되어 앨범 차트 37위에 올랐다.[46] 한때 차트 8위까지 올랐으며 2005년 2월에는 더블 플래티넘을 기록했다.[47]6. 3. 영국
''Autobiography''는 2004년 10월 4일 영국에서 발매되어 앨범 차트 31위에 올랐다.[48] 2005년 1월, 심슨이 영국에서 1월 24일 발매된 앨범의 두 번째 싱글 "La La"를 홍보한 후, 차트 91위에서 33위로 상승하여 1월 24일에 끝나는 주에 40위권 안에 다시 진입했다.6. 4. 기타 국가
''Autobiography''는 아일랜드에서 1월 말 차트에서 22위로 정점을 찍었으며, "La La"가 싱글 차트로 발매되었다.[50] 이 앨범은 또한 스위스에서 36위,[49] 노르웨이에서 29위에 도달했다.[50]7. 참여진
'''참여진'''
"Autobiography" 음반 해설지에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앨범 제작에 참여했다고 나와있다.
역할 | 이름 |
---|---|
프로듀서, 믹싱 | 존 섕크스 |
믹싱 | 제프 로스차일드 |
추가 엔지니어링 | 마크 발렌타인 |
마스터링 | 테드 젠슨 |
총괄 프로듀서, A&R | 조던 셔 |
사진 | 마크 리델 |
디자인 | Soap Design Co. |
음반에 참여한 뮤지션은 다음과 같다.
- 애슐리 심슨 – 보컬, 백 보컬
- 케니 아로노프 – 드럼
- 존 섕크스 – 기타, 베이스, 키보드, 백 보컬
- 카라 디오가디 – 백 보컬
- 제프 로스차일드 – 드럼
- 제이미 무호버랙 – 피아노, 오르간
- 패트릭 워렌 – 챔벌린
- 에이브 라보리엘 주니어 – 드럼
- 존 펠드먼 – 오리지널 프로그래밍
- 데이비드 캠벨 – 현악 편곡
7. 1. 뮤지션
역할 | 뮤지션 | 참여 트랙 |
---|---|---|
보컬, 백 보컬 | 애슐리 심슨 | 1–4, 10, 12 |
드럼 | 케니 아로노프 | 1, 3, 5, 8, 10 |
기타, 베이스, 키보드 | 존 섕크스 | 1, 3, 5, 7, 8, 9, 12 |
백 보컬 | 존 섕크스 | 1, 5, 7, 8, 9 |
백 보컬 | 카라 디오가디 | 1–4, 6, 10 |
드럼 | 제프 로스차일드(Jeff Rothschild) | 2, 4, 11, 12 |
피아노, 오르간 | 제이미 무호버랙 | 3 |
챔벌린 | 패트릭 워렌 | 3, 12 |
드럼 | 에이브 라보리엘 주니어 | 6, 7, 9 |
오리지널 프로그래밍 | 존 펠드먼(John Feldmann) | 11 |
현악 편곡 | 데이비드 캠벨 | 3, 12 |
7. 2. 프로덕션
역할 | 이름 |
---|---|
프로듀서, 믹싱 | 존 섕크스 |
믹싱 | 제프 로스차일드 |
추가 엔지니어링 | 마크 발렌타인 |
마스터링 | 테드 젠슨 |
총괄 프로듀서, A&R | 조던 셔 |
사진 | 마크 리델 |
디자인 | Soap Design Co. |
8. 발매 기록
지역 | 발매일 | 형식 | 음반사 | |
---|---|---|---|---|
캐나다 | 2004년 7월 20일 | CD | 유니버설 | [63] |
미국 | 게펜 | [64] | ||
일본 | 2004년 8월 25일 | 유니버설 | [65] | |
영국 | 2004년 10월 3일 | 폴리도 | [66] | |
독일 | 2005년 2월 25일 | 유니버설 | [67] |
참조
[1]
웹사이트
Why Ashlee Simpson's 'Autobiography' Was The Best Angry Pop Album Ever
http://www.huffingto[...]
2014-03-13
[2]
뉴스
CRITIC'S CHOICE/New CD's; Raunchy or Sweet Reflections Of Adolescent Self-Esteem
https://www.nytimes.[...]
[3]
뉴스
Positively Ashlee
https://tucson.com/e[...]
[4]
뉴스
Ashlee Simpson shows big sister how it's really done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4-07-28
[5]
웹사이트
MSN chat with Ashlee Simpson
http://chat.msn.com/[...]
[6]
기사
Ashlee Simpson: Her Most Revealing & Heartfelt Interview Ever
[7]
웹사이트
47th Annual Grammy Awards - Winners: Production
http://www.vh1.com/s[...]
VH1
2011-08-10
[8]
기타
Autobiography liner notes
[9]
웹사이트
CD Review: Ashlee Simpson, "Autobiography" (Geffen)
http://www.livedaily[...]
liveDaily.com
2004-08-06
[10]
웹사이트
MuchMusic interview transcript
http://www.muchmusic[...]
Muchmusic.com
2010-02-25
[11]
웹사이트
Tiscali.music "Pieces of Me" review
http://www.tiscali.c[...]
Tiscali.co.uk
[12]
기사
Ashlee Simpson Sings Her Way to Number One!
2004-08-04
[13]
웹사이트
Autobiography review
http://youthradio.or[...]
[14]
웹사이트
Ashlee Simpson's Little Sister Revolution!
http://www.epinions.[...]
Epinions.com
2011-08-10
[15]
뉴스
Ashlee Simpson Soldiers On, Like Always, Through Tour-Launch Snafus
https://web.archive.[...]
MTV News
2005-02-17
[16]
기사
Ashlee, Ashlee, quite contrary!
Malaysia
2004-12
[17]
웹사이트
Autobiography Reviews, Ratings, Credits, and More at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2-05-01
[18]
AllMusic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19]
웹사이트
BBC review
https://www.bbc.co.u[...]
Bbc.co.uk
2011-08-09
[20]
웹사이트
E! Online review
http://www.eonline.c[...]
E! Online
2011-08-09
[21]
간행물
Entertainment Weekly review
https://www.ew.com/e[...]
Ew.com
2004-07-23
[22]
웹사이트
Ashlee Simpson - Autobiography Review
https://www.ign.com/[...]
2004-09-18
[23]
웹사이트
CG: Ashlee Simpson
http://www.robertchr[...]
RobertChristgau.com
2012-05-01
[24]
잡지
Rolling Stone review
https://www.rollings[...]
2011-08-09
[25]
뉴스
Rolling Stone review
https://www.metacrit[...]
2004-08-05
[26]
기타
Autobiography review
People
2004-08-02
[27]
웹사이트
The Jig Is Up
http://www.villagevo[...]
The Village Voice
2004-11-12
[28]
웹사이트
Autobiography review
http://www.blender.c[...]
Blender.com
[29]
웹사이트
Autobiography review
http://music.ign.com[...]
IGN.com
2004-09-17
[30]
뉴스
Raunchy or Sweet Reflections of Adolescent Self-Esteem
https://www.nytimes.[...]
2004-07-26
[31]
뉴스
For The Record: Quick News On Dave Chappelle, Chris Martin And Gwyneth Paltrow, Jessica Simpson, Lenny Kravitz & More
https://web.archive.[...]
MTV News
2004-05-17
[32]
웹사이트
Pop Stars Jessica and Ashlee Are Pop's Stars
https://www.abcnews.[...]
Abcnews.go.com
2004-10-29
[33]
보도자료
Ashlee Simpson Makes History, Debuting #1 With Autobiography, Her Premiere Geffen Album
http://www.prnewswir[...]
PRNewswire.com
2004-07-28
[34]
뉴스
Ashlee Blames Gastric Distress For 'SNL' Lip-Synch Snafu
http://www.vh1.com/a[...]
MTV News
2004-10-25
[35]
뉴스
Ashlee Pokes Fun At Self, Lip-Synch Flap: 'It's So Silly'
https://web.archive.[...]
MTV News
2004-10-26
[36]
간행물
Ashlee Simpson Concert Tour Set for Early '05
http://emol.org/musi[...]
PRNewswire
2004-12-15
[37]
뉴스
Another Simpson living in the lens
Los Angeles Times
2004-05
[38]
웹사이트
Usher Locks Up Singles Chart Again
https://www.billboar[...]
2004-06-24
[39]
웹사이트
Ciara's 'Goodies' Still Good At No. 1
https://www.billboar[...]
2004-09-09
[40]
Billboard
Billboard chart history for Ashlee Simpson
[41]
웹사이트
Ashlee Simpson's Halftime Performance Falls Flat
http://www.local10.c[...]
2005-01-05
[42]
웹사이트
Charles Earns First Platinum RIAA Award
https://www.billboar[...]
2005-10-07
[43]
웹사이트
RIAA Certifications For September 2004
https://www.billboar[...]
[44]
웹사이트
Simpson's 'Autobiography' Soars To No. 1
https://www.billboar[...]
2004-07-28
[45]
웹사이트
Album Sales Up After 4-Year Decline
https://www.foxnews.[...]
Foxnews.com
2011-08-10
[46]
웹사이트
Ups and downs of Ashlee Simpson
https://archive.toda[...]
2004-08-11
[47]
웹사이트
CRIA Certifications For February 2005
http://www.cria.ca/g[...]
Cria.ca
2011-08-10
[48]
웹사이트
UK Top 40 Album Chart for 10 October 2004
http://www.intertune[...]
Intertunes.co.uk
2011-08-10
[49]
웹사이트
Switzerland album ranking
http://www.hitparade[...]
Hitparade.ch
2011-08-10
[50]
웹사이트
Norway album ranking
http://lista.vg.no/s[...]
Lista.vg.no
2011-08-10
[51]
간행물
Ashlee Simpson
Seventeen
2004-11
[52]
웹사이트
Soundtrack of America
http://memoriaglobo.[...]
globo.com
2015-02-20
[53]
웹사이트
Autobiography: Ashlee Simpson
https://www.amazon.c[...]
Amazon.co.uk
2011-08-09
[54]
웹사이트
Amazon.co.jp: オートバイオグラフィー(初回限定盤): アシュリー・シンプソン: 音楽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11-08-09
[55]
웹사이트
Amazon.co.jp: オートバイオグラフィー(初回限定盤): アシュリー・シンプソン: 音楽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11-08-09
[56]
Billboard
Billboard chart history for Ashlee Simpson
[57]
웹사이트
アシュリー・シンプソンのランキング情報
http://www.oricon.co[...]
Oricon
2011-08-09
[58]
웹사이트
RIAS CHART FOR WEEK ENDING 27 August 2004
http://www.rias.org.[...]
2023-11-14
[59]
잡지
Ashlee Simpson - Chart History
https://www.billboar[...]
2014-02-14
[60]
웹사이트
Top 50 Global Best Selling Albums for 2004
http://www.ifpi.org/[...]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2023-02-02
[61]
뉴스
Ashlee wants to be her own Simpson
https://books.google[...]
2024-06-03
[62]
웹사이트
Ashlee Simpson is working on a new pop rock album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2018-09-12
[63]
웹사이트
Autobiography
https://www.amazon.c[...]
[64]
웹사이트
Autobiography
https://www.amazon.c[...]
[65]
웹사이트
Autobiography [Limited Low-Priced Edition] Ashlee Simpson CD Album
https://www.cdjapan.[...]
[66]
웹사이트
Autobiography
https://www.amazon.c[...]
[67]
웹사이트
Autobiography: Amazon.de: CDs & Vinyl
https://www.amazo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