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Hib 백신)은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이다. 1970년대에 다당류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영아에게 효과가 제한적이었고, 1980년대에 영아에게 면역성을 높인 접합 백신이 개발되었다. 접합 백신은 1987년 미국에서 처음 허가되었으며, 현재는 여러 혼합 백신 형태로 사용된다. Hib 백신은 수막염, 폐렴, 후두개염과 같은 Hib 질환을 예방하며, 접종 시 침습성 질환 발생률을 크게 감소시킨다. 세계 보건 기구(WHO)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생후 6주 이후의 영아에게 접합 백신 접종을 권장하며, 대한민국에서도 국가필수예방접종 사업에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접합백신 - 소베라나 02 코로나19 백신
소베라나 02는 쿠바에서 개발된 접합 백신 형태의 코로나19 백신으로,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이 파상풍 톡소이드에 접합된 형태이며, 소베라나 플러스를 추가 접종하여 효능을 높일 수 있고, 쿠바와 이란에서 긴급 사용 승인을 획득하여 생산 및 다른 국가들과 생산 협력을 논의 중이다. - 헤모필루스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는 호흡기 감염과 수막염을 일으키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협막 유무에 따라 균주가 나뉘며,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는 백신으로 예방 가능하고, 최초로 전체 게놈 배열이 밝혀진 자유 생활 생명체이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능동 면역 백신으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제조 방식의 3가 또는 4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유행하는 균주에 맞춰 재구성되지만 효능은 변동될 수 있고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백신) - 콜레라 백신
콜레라 백신은 콜레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신으로, 세계보건기구는 질병이 풍토병인 지역에서 예방적 및 대응적 사용을 권장하며 경구 백신과 주사형 백신이 있고, 최근에는 생산 비용을 절감한 새로운 제형의 백신이 개발되어 전 세계 콜레라 백신 공급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대상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
종류 | 접합 백신 |
투여 경로 | 근육 주사 |
제품 정보 | |
상표명 | ActHIB, Hiberix, OmniHIB, 기타 |
ATC 코드 | J07AG01 |
법적 정보 | |
법적 지위 | 전문의약품 (미국) |
임신 정보 | |
호주 임신 범주 | B2 |
외부 링크 | |
MedlinePlus | a607015 |
DailyMed | Haemophilus |
약물 식별 | |
DrugBank | DB10990, DB10342, DB10076 |
UNII | C9R35M8XV6, LUY6P8763W, FLV5I5W26R |
2. 역사
초기 Hib 백신은 1977년에 개발되었고, 1990년대에 더 효과적인 백신으로 개량되었다.[33] 2013년에는 184개국에서 정기 예방 접종으로 투여되고 있다.[33] Hib 백신은 세계 보건 기구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 의료 제도에서 필요로 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이다.[36] 2014년 개발 도상국에서 Hib 백신을 포함한 5가 백신의 도매 가격은 1회 투여당 15.4달러였다.[37] 미국에서는 1회 투여당 약 25USD~50USD이다.[38]
결합 백신은 면역 반응이 낮은 항원 당쇄에 항원 단백질을 결합시켜 면역 반응을 높이는 방법으로, 1929년에 발견되었으며 1987년 Hib 백신에서 처음으로 실용화되었다.[40]
2024년 4월부터 한국에서는 기존의 4종 혼합(DPT-IPV) 백신에 Hib 백신을 통합한 5종 혼합(DPT-IPV-Hib) 백신으로 정기 접종이 시작되었다.[41]
2. 1. 초기 백신 개발
1970년대에 최초의 Hib 백신인 다당류 백신(PRP 백신)이 개발되었다.[49] 이 백신은 1985년 미국에서 처음 시판되었으나,[21] 다른 비접합 다당류 백신과 마찬가지로 18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효과가 없었다.[21] 결과적으로 Hib 질환 발생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가 보호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마이클 오스터홀름과 그의 동료들, 그리고 댄 M. 그라노프 등이 실시한 시판 후 연구에 따르면 PRP 백신은 예방 접종 권장 연령대인 18~59개월의 어린이에게도 효과가 없었다.[23] 결국 이 백신은 1988년에 시장에서 철수되었다.[24] 이후 1980년대에 영아기에도 항체 반응을 유발하는 PRP-단백결합백신이 개발되었고,[49] 1990년대에는 더 효과적인 백신으로 개량되었다.[33]2. 2. 접합 백신 개발
1970년대에 개발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은 영아에서 면역성이 약해 항체 역가가 증가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1980년대에 영아기에서도 항체 반응을 유발하는 PRP-단백결합백신(PRP-protein conjugate vaccine)이 개발되었다.[49]1987년, 디프테리아 톡소이드를 운반체 단백질로 사용한 최초의 Hib 접합 백신(PRP-D)이 미국에서 허가되었다.[25] 이 백신은 미국 국립 보건원의 존 로빈스와 레이첼 슈네르손[26], 보스턴 어린이 병원의 포터 앤더슨과 데이비드 스미스의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27] Hib 다당류를 단백질 운반체에 부착하면 어린아이의 면역 체계가 다당류를 인식하고 면역력을 발달시키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현재 접합 백신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불활성화된 파상풍 독소(파상풍 톡소이드라고도 함), 돌연변이 디프테리아 단백질, 수막구균 B군 외부 세포막 단백질을 운반체 단백질로 사용한다.[16]
2. 3. 혼합 백신 개발
Hib 백신은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소아마비 백신 및 B형 간염 백신과 결합된 형태로 미국에서 사용 가능하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개발 도상국에서 사용하기 위해 5가 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B형 간염-Hib 백신을 포함한 여러 Hib 백신 조합을 인증했다. 다만, 이 혼합 5가 백신이 개별 백신과 비교하여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충분한 증거는 아직 없다.[32]2024년 4월부터 일본에서는 기존의 4종 혼합(DPT-IPV) 백신에 Hib 백신을 통합한 5종 혼합(DPT-IPV-Hib) 백신으로 정기 접종이 시작되었다.[41]
3. 작용 기전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는 다당류 캡슐을 가진 세균이며, 이 캡슐의 주요 성분은 폴리리보실 리비톨 인산염(PRP)이다. 항PRP 항체는 Hib 감염에 대한 방어 효과를 가지지만, 어린아이들에게서는 PRP에 대한 항체 반응이 다양하고 빠르게 감소한다. 이는 B 세포가 PRP 항원을 인식하지만 T 세포는 인식하지 못해 면역 반응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B 세포와 T 세포의 상호작용은 T-비의존적(TI)이라고 불리며, 기억 B 세포 형성을 억제하여 장기적인 면역계 기억을 손상시킨다.[49]
초기 Hib 백신은 PRP를 이용한 비접합 다당류 백신이었으나, 18개월 미만 어린이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1980년대에 개발된 PRP-단백결합백신(PRP-protein conjugate vaccine)은 영아기에도 항체 반응을 유발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49] PRP가 단백질 운반체에 공유 결합된 형태는 다당류 백신보다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이는 단백질 운반체가 면역원성이 높기 때문이다. 접합 백신은 T 세포를 동원하여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보이며, 기억 효과도 보인다. 이는 비접합 다당류 백신보다 기억 B 세포 형성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21]
현재 사용되는 접합 백신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각각 다른 운반체 단백질을 사용한다.
수막구균 외부 막 운반체 단백질을 사용하는 Hib 백신은 2개월 된 영아에게 단 한 번의 주사로도 항캡슐 반응을 유도하는 독특한 면역 자극 특성이 있다.[30]
3. 1. 다당류 백신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는 다당류 캡슐을 가진 세균이며, 이 캡슐의 주요 성분은 폴리리보실 리비톨 인산염(PRP)이다. 항PRP 항체는 Hib 감염에 대한 방어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PRP에 대한 항체 반응은 어린아이들에게서 매우 다양했으며 투여 후 빠르게 감소했다. 이러한 문제는 B 세포가 PRP 항원을 인식하지만 T 세포는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즉, B 세포 인식이 일어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T 세포 모집(MHC class II를 통해)이 이루어지지 않아 면역 반응이 저하되었다. B 세포와의 이러한 상호 작용은 T-비의존적(TI)이라고 불린다. 이 과정은 또한 기억 B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여 장기적인 면역계 기억을 손상시킨다.[49]최초의 Hib 백신은 PRP라고 불리는 비접합 다당류 백신이었다. 이 백신은 1985년 미국에서 처음 시판되었다.[21] 다른 비접합 다당류 백신과 마찬가지로, PRP 백신에 대한 혈청 항체 반응은 나이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18개월 미만의 어린이는 이 백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Hib 질환 발생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가 보호받지 못하여 백신의 유용성이 제한되었다. 또한, 마이클 오스터홀름[22]과 그의 동료들, 그리고 댄 M. 그라노프[23] 등이 실시한 시판 후 연구에 따르면 PRP 백신은 예방 접종이 권장되는 연령대인 18~59개월의 어린이에게 침습성 Hib 질환을 예방하는 데 대체로 효과가 없었다. 이 백신은 1988년에 시장에서 철수되었다.[24]
3. 2. 접합 백신
1970년대에 개발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은 영아에서 면역성이 약해 항체 역가가 증가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80년대에 영아기에도 항체 반응을 유발하는 PRP-단백결합백신 (PRP-protein conjugate vaccine)이 개발되었다.[49]PRP가 단백질 운반체에 공유 결합된 형태는 다당류 백신보다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이는 단백질 운반체가 면역원성이 높기 때문이다. 접합 백신은 T 세포를 동원하여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보이며, 투여 후 기억 효과(Hib의 향후 공격에 대한 면역 체계의 예방)도 보인다. 이는 비접합 다당류 백신보다 기억 B 세포 형성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항체 생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B 세포와 T 세포 간의 최적의 접촉이 필요한데, 접합 백신은 B 세포가 T 세포를 적절하게 동원하도록 돕는다.[21]
1987년, 디프테리아 톡소이드를 운반체 단백질로 사용한 최초의 Hib 접합 백신(PRP-D)이 미국에서 허가되었다. 이 백신은 미국 국립 보건원의 존 로빈스와 레이첼 슈네르손, 그리고 보스턴 어린이 병원의 포터 앤더슨과 데이비드 스미스의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27] Hib 다당류를 단백질 운반체에 부착하면 어린 아이의 면역 체계가 다당류를 인식하고 면역력을 발달시키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PRP-D 백신은 Hib 질환을 통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18개월 미만의 연령대에서 Hib 질환의 급격한 감소와도 관련이 있었다. 이는 간접적인 지역사회 보호, 즉 "집단 면역"의 증거였다.[28] 트루디 머피와 동료들은 PRP-D 백신을 접종받은 어린이들이 비접합 PRP 백신을 접종받은 어린이보다 코와 목에 Hib 집락 형성이 더 적었다고 보고했다. 이는 접합 백신이 Hib 전파를 줄여 간접적인 지역사회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29]
현재 사용되는 접합 백신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16]
수막구균 외부 막 운반체 단백질을 사용하는 Hib 백신은 2개월 된 영아에게 단 한 번의 주사로도 항캡슐 반응을 유도하는 독특한 면역 자극 특성이 있다.[30] 반면, 다른 단백질 운반체를 사용하는 Hib 접합 백신은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항캡슐 항체 반응을 확실하게 유도하기 위해 2~3번의 주사가 필요하다.[31]
4. 의학적 사용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접합 백신은 Hib 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며, 완전 접종 시 95~100%의 임상적 유효성을 보인다. 또한, 침습성 질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서도 면역원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ib 백신은 B형이 아닌 ''Haemophilus influenzae''에는 효과가 없지만, B형이 아닌 질환은 Hib 백신 접종 전보다 드물다.[10]
4. 1. 효능
Hib 접합 백신은 Hib 질환의 모든 증상에 효과적이며, 완전 예방 접종을 받은 어린이의 임상적 유효성은 95~100%이다. 또한, 침습성 질환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서 면역원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ib 백신은 B형이 아닌 ''Haemophilus influenzae''에는 효과가 없지만, B형이 아닌 질환은 Hib 백신 접종 전보다 드물다.[10] 정기적인 예방 접종을 시행하는 국가에서는 수막염, 폐렴, 급성 후두개염을 포함한 심각한 Hib 감염증이 90% 이상 감소했다.[33]4. 2. 권장 사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세계보건기구(WHO)는 생후 6주 이후의 모든 영아에게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Hib 백신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15] 비장이 없는 사람에게도 예방 접종이 적용된다.[15]한국에서는 다음 대상에게 접종이 권장된다.[50]
- 생후 2개월부터 5세 미만의 모든 소아
- 5세 이상으로서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겸상적혈구증, 비장 절제술 후), HIV 감염(성인 제외), 조혈모세포이식 등
구체적인 접종 시기는 다음과 같다.[50]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 생후 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
접종 방법은 0.5mL를 영유아는 대퇴부 전외측, 소아나 성인은 삼각근 부위에 근육주사로 진행한다.[50]
5. 접종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백신 접종은 Hib 감염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51]
질병관리청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생후 6주 이후의 모든 영아에게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Hib 백신을 사용한 예방 접종을 권장한다. 비장이 없는 사람에게도 예방 접종이 권장된다.[15]
일반적인 접종 대상 및 시기는 다음과 같다.
접종 대상 | |
---|---|
접종 시기 |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을 국가필수예방접종 사업에 포함하여 지원하고 있다.[45] 생후 6개월 전에 2회차까지 접종하고, 12~15개월 사이에 3회차 접종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45]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통해 해당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51]
질병관리청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생후 6주 이후의 모든 영아에게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Hib 백신을 사용하여 예방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 예방 접종은 비장이 없는 사람에게도 적용된다.[15]
5. 2. 접종 대상 및 시기 (일반)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51]- '''접종 대상'''
:* 생후 2~59개월 소아
:* 침습성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만 5세 이상 소아 (겸상적혈구증, 비장절제술 후, 항암치료에 따른 면역저하, 백혈병,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감염, 체액면역 결핍 등)
:* 2세 미만의 연령에서 침습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질환을 앓은 경우
- '''접종 시기'''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 생후 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세계 보건 기구(WHO)는 6주 이후의 모든 영아에게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Hib 백신을 사용하여 예방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 예방 접종은 비장이 없는 사람에게도 적용된다.[15]
6. 부작용
심한 부작용은 드물다.[43] 약 20~25%의 사람들에게 주사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약 2%는 발열이 발생한다.[43] 대부분의 부작용은 12~24시간 이내에 소실된다. 발열, 보챔 등의 전신반응은 흔하지 않다.
임상 시험과 지속적인 감시를 통해 Hib 백신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백신에 대한 부작용은 경미하다. 가장 흔한 반응은 백신 접종자 5~30%에게서 나타나는 경미한 발열, 식욕 부진, 일시적인 발적, 부기, 또는 주사 부위의 통증이다. 더 심각한 반응은 극히 드물다.
투여와 관련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과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33]
7.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에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백신의 도입은 선진국보다 늦어졌는데,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백신 가격이 표준 EPI 백신에 비해 비쌌다. 또한 열악한 질병 감시 시스템과 부적절한 병원 실험실은 질병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게 했고, 이는 많은 전문가들이 자국에 Hib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게 만들었다. 아울러 많은 국가의 보건 시스템은 현재 제공하려는 백신만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AVI 얼라이언스는 백신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18][19][20]
참조
[1]
drugs.com
ppa
haemophilus-b-conjug[...]
[2]
학술지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Vaccination Position Paper – July 2013
2013-09
[3]
웹사이트
WHO position on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vaccination-July 2013
https://cdn.who.int/[...]
2013-10-27
[4]
서적
Oxford Textbook of Global Public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5]
학술지
Haemophilus b conjugate vaccines for prevention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disease among infants and children two months of age and older. Recommendations of the immunization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CIP)
https://www.cdc.gov/[...]
cdc.gov
1991-01
[6]
웹사이트
Hib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ttps://www.hhs.gov/[...]
2016-03-30
[7]
학술지
Haemophilus influenzae b polysaccharide vaccine. Physician acceptance and use of a new vaccine
1986-12
[8]
학술지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vaccines for the prevention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disease
1988-10
[9]
서적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23: web annex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3rd list (2023)
World Health Organization
[10]
학술지
Proceedings of a workshop to discuss the epidemiology of invasive Haemophilus influenzae disease with emphasis on serotype a and b in the Americas, 2019
2021-01
[11]
학술지
Epidemiology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infections in the United States
1987-08
[12]
웹사이트
Haemophilus influenzae Disease (Including Hib)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2-09-25
[13]
학술지
Epidemiology of Invasive Haemophilus influenzae Disease, Europe, 2007-2014
2017-03
[14]
학술지
Invasive Haemophilus influenzae Infections after 3 Decades of Hib Protein Conjugate Vaccine Use
2021-06
[15]
웹사이트
Asplenia and Adult Vaccination
https://www.cdc.gov/[...]
2019-02-14
[16]
학술지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onjugate vaccines
2004-10
[17]
학술지
Bacteri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vaccines
2004-01-01
[18]
보도자료
a new force in the fight against Hib meningitis and pneumonia
https://www.gavi.org[...]
2005-12-08
[19]
보도자료
Hib Initiative: a GAVI success story
https://www.gavi.org[...]
2010-04-14
[20]
웹사이트
ADIPs and Hib Initiative Evaluation
https://www.gavi.org[...]
2019-08-30
[21]
서적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https://www.cdc.gov/[...]
Public Health Foundation
[22]
학술지
Lack of efficacy of Haemophilus b polysaccharide vaccine in Minnesota
1988-09
[23]
학술지
Hemophilus influenzae type B disease in children vaccinated with type B polysaccharide vaccine
1986-12
[24]
학술지
Hib Vaccines: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2016-01-20
[25]
학술지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onjugate vaccine
https://pubmed.ncbi.[...]
1988-06
[26]
웹사이트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https://www.historyo[...]
2023-05-08
[27]
학술지
The 1996 Albert Lasker Medical Research Awards. Prevention of systemic infections, especially meningitis, caused by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Impact on public health and implications for other polysaccharide-based vaccines
1996-10
[28]
학술지
Declining incidence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disease since introduction of vaccination
1993-01
[29]
학술지
Decreased Haemophilus colonization in children vaccinated with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onjugate vaccine
1993-04
[30]
학술지
Immunogenicity in infants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polysaccharide in a conjugate vaccine with Neisseria meningitidis outer-membrane protein
1986-08
[31]
학술지
Differences in the immunogenicity of three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onjugate vaccines in infants
1992-08
[32]
학술지
Combined DTP-HBV-HIB vaccine versus separately administered DTP-HBV and HIB vaccines for primary prevention of diphtheria, tetanus, pertussis, hepatitis B and Haemophilus influenzae B (HIB)
2012-04
[33]
학술지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Vaccination Position Paper – July 2013.
http://www.who.int/w[...]
2013-09-27
[34]
학술지
Haemophilus b conjugate vaccines for prevention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disease among infants and children two months of age and older. Recommendations of the immunization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CIP).
1991-01-11
[35]
웹사이트
Hib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ttp://www.vaccines.[...]
2016-03-30
[36]
웹사이트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http://www.who.int/m[...]
2015-04
[37]
웹사이트
Vaccine, Pentavalent
http://erc.msh.org/d[...]
[38]
서적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2015
[39]
논문
Population-based Incidence of Invasive Haemophilus influenzae and Pneumococcal Diseases Before the Introduction of Vaccines in Japan
https://journals.lww[...]
[40]
논문
肺炎球菌疾患の疾病負荷と結合型ワクチン
2008-09-30
[41]
웹사이트
定期接種実施要領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4-03-29
[42]
웹사이트
haemophilus-b-conjugate-prp-t-vaccine
[43]
저널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Vaccination Position Paper – July 2013
https://www.ncbi.nlm[...]
2013-09-27
[44]
저널
Haemophilus b conjugate vaccines for prevention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disease among infants and children two months of age and older. Recommendations of the immunization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CIP)
https://www.ncbi.nlm[...]
1991-01-11
[45]
웹인용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https://seoul.hyumc.[...]
2020-04-29
[46]
웹인용
Hib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ttp://www.vaccines.[...]
2020-04-29
[47]
웹인용
Single Drug Information – International Medical Products Price Guide
https://mshpriceguid[...]
2020-04-29
[48]
서적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 coat edition.
https://www.worldcat[...]
Jones & Bartlett Learning
2014
[49]
웹인용
건강정보 - 예방접종
https://www.g-health[...]
[50]
저널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https://www.busancid[...]
[51]
웹인용
영유아 예방접종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http://www.ep.go.kr/
2020-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