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M-1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M-13은 1930년대 소련에서 개발된 다연장 로켓 발사 시스템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널리 사용되었다. ZIS-5 트럭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스튜드베이커 US6 등 다양한 트럭 차체에 장착되었다. BM-13은 "카튜샤"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독일군에게는 "스탈린의 오르간"으로 알려졌다. 6.25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등 여러 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 캄보디아 등 일부 국가에서 운용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대포 - RPG-7
    RPG-7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의 판처파우스트 250을 발전시킨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로, 1961년 소련군에 채용되어 전 세계 분쟁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소련의 대포 - 1902년형 76 mm 사단포
    1902년형 76 mm 사단포는 1902년 러시아 푸틸로프 공장에서 개발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등에서 사용된 76mm 구경의 야포이다.
  • 다연장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다연장 로켓포 - 구룡 다연장로켓
    구룡 다연장로켓(K136)은 북한의 BM-21 그라드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 대한민국 육군에 실전 배치된 다연장 로켓포 시스템으로, K136A1 개량형과 K33, K38 로켓 등이 개발되었으며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 이집트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 1941년 설립 - 미국 육군 항공대
    미국 육군 항공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급격히 성장하여 최대 규모의 병력과 항공기를 보유했던 미합중국 육군의 항공전 부대였으나, 1947년에 미국 공군으로 재편되었다.
  • 1941년 설립 - 청주교육대학교
    1941년 청주사범학교로 설립된 청주교육대학교는 국립대학교로서, 1963년 폐교 후 1984년 4년제 대학으로 재개교하여 초등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 부설초등학교 등의 부속기관을 두고 있다.
BM-13
개요
이름BM-13
로마자 표기BM-sipsam
다른 이름카튜샤
러시아어БМ-13 Катюша
종류
종류다연장 로켓포
생산 및 사용 정보
개발 국가소련
사용 년도1941년~1980년
주요 사용 국가



실전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소련-일본 전쟁
냉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6.25 전쟁
베트남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개발자G. E. 란게마크
B. S. 페트로파블롭스키
V. A. 아르테미예프
N. I. 티호미로프
U. A. 포베도노스체프
개발 년도1939년~1941년
생산 년도1941년~1944년
생산 개수6,844
파생형BM-13N
이미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대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BM-13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대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BM-13

2. 역사

1939년 소련 제3시설에서 ZIS-5 차체를 기반으로 한 132mm M-13 다연장 로켓 발사대와 지상 발사용 MU-1을 개발했다.[2] 같은 해 발사대를 16개로 늘려 화력을 보강한 MU-2가 개발되어 BM-13의 발사대로 채택되었다. 초기 BM-13 제작은 보로네츠 코민테른 공장에서 8대가 생산되었고,[3][4][5][6] 1941년 6월부터 모스크바 콤프레서 공장, 1941년 9월 레닌그라드 카를 마르크스 공장에서도 생산되었다.

1941년 BM-13의 주요 차체는 ZIS-5와 ZIS-6였다. 같은 해 10월부터 T-60 경전차, STZ-5 트랙터 차체로도 BM-13을 제작했다. 모스크바 소련 NII-3 NKB에서 6대, 세바스토폴에서 시험용 1대가 생산되었다. 1941년 첫 시험용 BM-13 7대가 모스크바 군구에서 첫 포병대대로 편성되었다.[7]

1941년 7월부터 10월 15일까지 BM-13 차체는 ZIS-6였지만, M-13 계열형 M-13-16은 1943년 6월까지 다양한 차체를 사용했다. 1942년부터 무기대여법에 따라 미국, 캐나다, 영국 트럭이 도입되었다. 1943년 4월 스튜드베이커 US6 차체 기반 BM-13N이 만들어졌다.

러시아 측 자료에 따르면 M-13과 M-8 생산 동안 차체 분류 여부는 불분명하다. 1943년 초중반 소련 공장들은 두 종류를 각각 1,659대, 1,671대 생산했다. 1944년 BM-8, BM-13, BM-31(1944년 6월 도입)을 합쳐 총 1,288대 생산했다. 1944년 후반 500대 미만 BM-8, 900대 이상 BM-13, 1,184대 BM-31-12가 생산되었다. 1945년 5월까지 623대 BM-31-12가 생산되었다. 독소전쟁 기간 동안 10,737대 다연장 로켓 중 BM-13가 6,844대 생산되었다.[10]

1942년 6월 132mm M-20 다연장 로켓이 개발되었다.[11] BM-13 제조 공장은 첼랴빈스크[12], 예카테린부르크[13], 키로프[14], 펜자, 니즈니노브고로드, 하르키우, 모스크바 등 러시아 전역으로 확장되었다. 블라디미르 바르딘 감독 하에 1943년 콤프레서 공장에서 16개 발사대 통일 표준형 BM-13N을 개발했다. 1944년 4월 안정적 받침대 "M-13UK", 1944년 10월 "M-13DD"가 개발되었다. M-13DD는 발사대 연소 문제로 10개 발사대 M-13SN이 개발되었다.[11][15]

2. 1. 개발 배경

1930년대 소련은 RS-82 공대공 미사일과 RS-132 공대지 미사일을 개발하면서 다연장 로켓 기술을 발전시켰다.[2] 1939년, ZIS-5 트럭 차체를 기반으로 한 132mm M-13 다연장 로켓 발사대와 지상 발사용 MU-1이 개발되었다.[2] 같은 해, 발사대를 16개로 늘린 MU-2도 개발되어 BM-13의 발사대로 채택되었다.[3]

초기 BM-13 생산은 보로네츠의 코민테른 공장에서 소규모로 시작되었다.[3] 이후 모스크바의 콤프레서 공장, 레닌그라드의 카를 마르크스 공장 등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4][5][6] 1941년 당시 BM-13의 주요 차체는 ZIS-5와 ZIS-6였으며, T-60 경전차와 STZ-5 트랙터 차체도 활용되었다.[7]

1942년부터는 무기대여법에 따라 미국, 캐나다, 영국 등에서 다양한 트럭이 도입되면서 차체가 다양화되었다.[8] 특히 스튜드베이커 US6는 1943년 4월에 개발된 BM-13N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8][9] 1941년부터 1945년까지 BM-13 생산에 사용된 차체는 총 3,374대였으며, 이 중 스튜드베이커 US6가 54.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8]

한편, BM-13에 장착되는 포탄도 개량을 거듭하여 1942년 6월에는 132mm M-20 다연장 로켓이 개발되었다.[11] 제조 공장도 첼랴빈스크, 예카테린부르크, 키로프 등 러시아 전역으로 확장되었다.[12][13][14] 이러한 변화는 부품 호환성 및 훈련에 문제를 야기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43년 통일된 표준형 BM-13N이 개발되었다.[11][15] 1944년에는 안정성이 향상된 M-13UK와 M-13DD가 개발되었고, M-13DD의 문제점을 보완한 M-13SN도 개발되었다.[11][15]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0년대 소련에서 개발된 RS-132 미사일을 기반으로, 1939년 제3시설에서 ZIS-5 차체를 사용한 132mm M-13 다연장 로켓 발사대 MU-1이 개발되었다.[2] 같은 해, 발사대를 16개로 늘린 MU-2가 개발되어 BM-13의 발사대로 채택되었다.[2] 초기 BM-13 생산은 보로네츠의 코민테른 공장에서 시작되었으며,[3] 1941년 6월부터는 모스크바의 콤프레서 공장, 9월부터는 레닌그라드의 카를 마르크스 공장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4][5][6]

1941년 당시 BM-13은 주로 ZIS-5와 ZIS-6 차체를 사용했으나, 10월부터는 T-60 경전차와 STZ-5 트랙터 차체도 활용되었다.[7] 1942년부터는 무기대여법에 따라 미국, 캐나다, 영국 등으로부터 다양한 트럭을 지원받아 사용했다.[8] 1943년 4월에는 스튜드베이커 US6 차체를 기반으로 한 BM-13N이 개발되었다.[8][9]

1941년부터 1945년까지 BM-13 생산에 사용된 차체는 총 3,374대였으며, 이 중 스튜드베이커 US6가 1,845대(54.7%), ZIS-6가 372대(11%), 기타 차량이 1,157대(34.3%)를 차지했다.[8]

BM-13 생산에 사용된 차체 비율 (1941년 ~ 1945년)
차체 종류대수비율
스튜드베이커 US61,84554.7%
ZIS-637211%
기타1,15734.3%
총계3,374100%



1942년 6월에는 132mm M-20 다연장 로켓이 개발되었고,[11] 1943년에는 블라디미르 바르딘의 감독 하에 16개의 발사대를 갖춘 통일된 표준형 BM-13N이 개발되었다. 이후 M-13UK(1944년 4월), M-13DD(1944년 10월), M-13SN 등 다양한 개량형이 개발되었다.[11][15] BM-13의 제조 공장은 첼랴빈스크,[12] 예카테린부르크,[13] 키로프,[14] 펜자, 니즈니노브고로드, 하르키우, 모스크바 등 러시아 전역으로 확대되었다.[12]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BM-13은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냉전 시기 여러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스튜드베이커 US6 기반의 BM-13N 외에도, ZIS-151 기반의 BM-13NN, ZIL-157 기반의 BM-13NM, ZIL-131 기반의 BM-13NMM 등 현대화된 모델이 개발되었다.[8][9]

3. 별명

초기에 카튜사는 비밀 유지를 위해 군사적인 명칭이 운용 병사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병사들은 RNII의 수장이었던 "A. 코스티코프"의 이름을 따서 코스티코프포와 같은 이름으로 불렀고, "보위대 박격포"라는 이름으로 분류되었다. "BM-13"이라는 명칭은 1942년의 기밀 문서에만 쓰였고,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기밀이었다.[16]

보로네츠 코민테른 공장에서 유래한 "K"가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16][17] 붉은 군대는 미하일 이사코프스키의 유명한 전시 노래 "카튜샤"를 별명으로 채택했다.[18] 카튜사는 "케이티" (Katie)를 러시아어화한 단어였으며, 캐서린의 지소사였다. 예카테리나라는 명칭도 "카티야"라는 지소사로 불렸고, "카티야"는 다시 더욱 애정을 담은 지소사 "카튜샤"가 되었다.[19]

독일군은 BM-13을 소련의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름을 따서 "스탈린의 오르간"(Stalinorgelde)이라고 불렀다. 이는 BM-13의 발사대가 파이프 오르간과 비슷하게 생겼고, 심리전의 측면과 더불어 독일군을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던 독특한 발사 소리 때문이었다.[20] 이와 같은 종류의 무기들은 덴마크 (Stalinorgelda), 핀란드 (Stalinin urutfi), 프랑스 (orgue de Staline프랑스어), 노르웨이 (Stalinorgelno), 네덜란드 및 벨기에 (Stalinorgelnl), 헝가리 (Sztálinorgonahu), 스페인 및 스페인어권 국가들 (Órganos de Stalines), 그리고 스웨덴 (Stalinorgelsv) 등지에서도 같은 이름으로 불렸다.[18]

4. 계열

BM-13N 차체에 기반을 둔 BM-13N.

  • BM-13N: 스튜드베이커 US6 차체를 기반으로 한 기본 변형이다. 1948년부터는 ZIS-150 차체를 사용했다.
  • BM-13NN: 1949년 도입된 첫 현대화 차량으로, ZIS-151 차체를 사용했다.
  • BM-13NM: 1957년 도입된 두 번째 현대화 차량으로, ZIL-157 차체를 사용했다.
  • BM-13NMM: 1966년 도입된 세 번째 현대화 차량으로, ZIL-131 차체를 사용했다.
  • BM-13-16: 발사대가 16개인 포탑을 단 차량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때 사용되었다.

5. 운용

BM-13은 6.25 전쟁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등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5. 1. 6.25 전쟁

6.25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이 BM-13을 널리 사용했다. 특히, 1952년 10월 30일에 시작된 삼각고지 전투에서 중국군의 반격에 크게 기여했다. 이날 인민지원군 제15군단은 전쟁 중 가장 큰 규모의 포격 작전을 개시했는데, 133문의 대구경 포와 22대의 BM-13, 30문의 120mm 중박격포를 유엔군에 발포했다.[21]

5. 2.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비엣민이 프랑스 극동원정군을 상대로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BM-13을 사용했다.[22]

6. 사용 국가

BM-13을 사용했던 국가와 현재 사용 중인 국가는 다음과 같다.


  • '''현재 사용국'''
  • BM-13|km - 2019년 기준 약간의 BM-13-16 보유[1]

6. 1. 현재 사용국

BM-13km - 2019년 기준 약간의 BM-13-16 보유[1]

6. 2. 과거 사용국

참조

[1] 웹사이트 Орган — 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http://eomi.ru/keybo[...] "''EOMI'': энциклопедия" 2015-12-17
[2] 서적 Билимбай Родилась в Москве «Катюша». Исторический очерк https://books.google[...] Столич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2010
[3] 문서
[4] 서적 Воронежская «катюша»: документальное повествование Центрально-Чернозёмн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80
[5] 뉴스 В бой идут «катюши»: Серий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о пусковых установок началось на пятый день после нападения гитлеровской Германии "«Известия»: газета"
[6] 문서
[7] 문서
[8] 간행물 «Лука» и «Катюша» против «Ванюши» "«Техника и оружие»" 1995
[9] 서적 Автомобили-солдаты: Очерки об истории развития и военном применении автомобилей https://archive.org/[...] Патриот 1990
[10] 서적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1941-1945 гг. Кампании и стратегические операции в цифрах http://docs.historyr[...] Объед. ред. МВД России 2023-10-25
[11] 서적 Армия Победы против Вермахта Харвест 2015
[12] 서적 Статья в журнале «Урал» https://books.google[...] Свердловск 1975
[13] 서적 Основные технологии ураль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http://elar.uspu.ru/[...] УрГПУ 2017
[14] 웹사이트 Производство боевых машин в городе Кирове в период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1941-1945 гг. http://gaspiko.ru/46[...] Централь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Кировской области 2019-12-04
[15] 웹사이트 Боевая машина БМ-13-СН https://missilery.in[...] Ракетная техника
[16] 서적 Inside the Soviet Army http://militera.lib.[...] Prentice Hall 1982
[17] 서적 Voices of the Scandinavian Waffen-SS: The Final Testament of Hitler's Vikings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18-07-15
[18] 문서
[19] 웹인용 Katyusha - Wiktionary https://en.wiktionar[...] 2021-05-14
[20] 서적 Hitler's war on Russia: the story of the German defeat in the East Harrap
[21] 서적 Korean War Order of Battle: United States, United Nations, and Communist Ground, Naval, and Air Forces, 1950-1953 https://books.google[...] Praeger 2002-12
[22] 서적 Vietnam: An Epic Tragedy 1945–1975 https://archive.org/[...] Harp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