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MW 모토라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MW 모토라드는 1923년 최초의 오토바이 R32를 출시하며 시작된 BMW의 모터사이클 사업부이다. 수평대향 복서 엔진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엔진 형식과 기술을 개발하여 현재는 R, K, F, G, S, C 시리즈 등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모터스포츠에서도 다카르 랠리에서 6회 우승, 슈퍼바이크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모터사이클 제조 기업 - BMW
    BMW는 독일의 자동차, 오토바이, 엔진 제조 회사로, 항공기 엔진 생산으로 시작하여 1920년대부터 오토바이와 자동차를 생산했으며, 롤스로이스와 미니를 인수하고 전기차 시장에도 진출했다.
  • 독일의 모터사이클 제조 기업 - DKW
    DKW는 예르겐 스카프테 라스무센이 독일에서 설립한 회사로, 2스트로크 엔진 오토바이 생산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유럽 최초로 대량 생산된 전륜구동 자동차를 선보였고, 아우토 유니온 설립 후 다임러-벤츠와 폭스바겐에 인수되어 브랜드는 사라졌으나 기술과 유산은 아우디에 계승되었다.
  • BMW - BMW M
    BMW M은 BMW의 고성능 자동차 및 모터스포츠 사업부로, 고성능 모델 개발, 모터스포츠 활동, 액세서리 업그레이드 제공 등을 통해 BMW의 스포츠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 BMW - 미니 (BMW)
    미니는 1959년 영국에서 시작되어 BMW 그룹에 속한 소형차 브랜드로, 혁신적인 디자인과 전륜구동 레이아웃을 통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여 20세기 최고의 자동차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BMW는 올드 미니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 현대적인 기술을 적용한 2세대 미니를 출시하여 프리미엄 소형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독일의 자동차 제조 기업 -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는 1886년 카를 벤츠와 고틀리프 다임러의 발명에서 시작되어 1926년 다임러-벤츠 설립으로 탄생한 다임러 AG의 승용차 브랜드로, 디젤 승용차, 안전 케이지, ABS, 에어백 등 자동차 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고급 승용차, 상용차, 고성능 AMG를 보유하고 최근에는 전기차 EQ 브랜드로 전동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 독일의 자동차 제조 기업 - 폭스바겐
    폭스바겐은 1937년 독일에서 설립되어 국민차 프로젝트로 시작, 비틀과 골프를 통해 성장했으며, 디젤게이트를 겪고 전기차 전환을 시도하는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이다.
BMW 모토라드 - [회사]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유형오토바이 브랜드
현재 소유주BMW
국가독일
도입1923년
시장전 세계
웹사이트BMW Motorrad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BMW는 제1차 세계대전 시기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로 출발했다. 1923년, 첫 번째 모터사이클인 R32를 생산하며 모터사이클 사업에 진출했는데, 이 모델은 수평대향 2기통 박서 엔진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었다. BMW 모토라드는 현재까지도 이 전통적인 수평대향 박서 엔진을 사용하고 있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춰 다양한 엔진 형식을 갖춘 모터사이클도 생산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23년 ~ 1945년)

BMW는 제1차 세계대전 시기인 20세기 초에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로 시작했다. 이후 1923년에 첫 번째 모터사이클인 R32를 생산했다. R32는 수평대향 2기통 박서 엔진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었다. BMW 모토라드는 현재까지도 수평대향 박서 엔진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형식의 엔진도 생산하고 있다.

BMW 최초의 모터사이클, R32

2. 2. 전후 재건과 혁신 (1945년 ~ 1990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BMW 모토라드는 생산 재개와 함께 기술 혁신을 거듭하며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이 시기 주요 기술 발전과 모델 출시는 다음과 같다.

연도주요 내용
1955년얼스 포크 (Earles fork) 방식의 프런트 서스펜션을 도입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1969년새로운 설계의 공랭식 수평대향 2기통 엔진인 에어헤드(Airhead) 엔진(타입 247 엔진) 시대를 열었다. 이 엔진은 이후 BMW 모터사이클의 상징적인 엔진 형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1980년BMW R80G/S 모델을 출시하며, 세계 최초로 단일 유니버설 조인트 방식의 모노레버(Monolever) 리어 서스펜션을 선보였다. 이는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1983년기존의 박서 엔진과 다른 새로운 형식의 엔진을 탑재한 K 시리즈를 출시했다. K 시리즈는 수랭식 직렬 3기통 및 4기통 엔진을 사용하여 고성능 투어링 모터사이클 시장을 공략했다.
1987년BMW R100GS 모델에 파라레버(Paralever) 리어 서스펜션을 처음으로 채용했다. 이는 모노레버를 개선하여 구동축의 반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켰다.
1988년BMW K100 모델에 세계 최초로 모터사이클용 ABS를 탑재하여 안전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했다.


2. 3. 현대 기술의 발전 (1990년 ~ 현재)

2008년에는 DOHC 복서 엔진을 탑재한 HP2 Sport를 발표했고,[57] G450X를 출시하며 오프로드 레이서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3. 주요 기술

BMW 모토라드는 다른 이륜차 제조사와 차별화되는 독자적인 기구나 기술을 다수 채용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수평대향 2기통 엔진(박서 엔진), 건식 단판 클러치, 샤프트 드라이브는 BMW 모토라드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기술 요소로, 이 중 하나 이상을 채용한 모델이 많다.[57][46]


  • 수평대향 2기통 엔진: 1923년 R32 모델부터 이어져 온 BMW 모토라드의 상징적인 엔진 형식이다. 실린더가 좌우로 돌출된 독특한 구조를 가진다.
  • 샤프트 드라이브: 체인 드라이브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F, S, G 시리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델에 적용되고 있다. 출발 시 뒷바퀴 들림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파라레버 리어 서스펜션과 같은 기술이 함께 적용된다.
  • 건식 단판 클러치: 엔진을 세로로 배치하는 구조에 맞춰, 일반적인 습식 다판 클러치보다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건식 단판 클러치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BMW 모토라드는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이륜차 기술 발전을 선도해왔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배기촉매장치: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K100 시리즈를 시작으로 촉매 장치를 도입했으며, 전자 제어 연료 분사 방식도 함께 적용했다.
  • 서스펜션 기술:
  • 파라레버 리어 서스펜션 (eng): 샤프트 드라이브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87년 도입된 독자적인 리어 서스펜션 구조이다.
  • 텔레레버 프런트 서스펜션 (eng): 1993년 도입된 기술로, 제동 시 안정성을 높인 독특한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이다.
  • 듀오레버 프런트 서스펜션 (eng): 2004년 도입된 기술로, 자동차의 더블 위시본 방식과 유사하며 높은 강성과 정밀한 조향감을 제공한다.
  • 이륜차 ABS: 1988년 세계 최초로 이륜차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를 K100 모델에 탑재하여 안전 기술을 선도했다.
  • 인테그럴 ABS (eng): 2001년 도입된 전후 연동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ABS 기능과 제동력 배분 기능을 통합했다.
  • 자동 안정성 제어 시스템 (ASC - eng): 2007년부터 도입된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으로, 과도한 구동력으로 인한 미끄러짐이나 윌리 현상을 제어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인다.

3. 1. 엔진

BMW는 제1차 세계대전 시기 항공기 엔진 제조사로 시작했다. 1923년 첫 모터사이클인 R32를 생산했으며, 이 모델에는 수평대향 2기통 박서 엔진이 탑재되었다.[57][46] BMW 모토라드는 현재도 이 수평대향 박서 엔진을 주력으로 사용하지만, 다른 형식의 엔진도 다양하게 생산하고 있다.

BMW 모터사이클의 엔진은 크게 다음과 같은 계열로 나뉜다.

=== R 계열 (수평대향 2기통) ===

R 계열은 BMW 모토라드의 상징과도 같은 수평대향 2기통 (박서) 엔진을 사용한다. 엔진의 크랭크축이 차체와 같은 방향(세로 배치)으로 놓여 실린더 헤드가 좌우로 돌출되는 독특한 구조이다. 엔진의 움직임이 복싱 경기 시작 시 글러브 터치 동작과 비슷하여 복서 엔진(boxer engine)이라고도 불린다. 초기 모델은 공랭식이었으나, 현재는 부분 오일 냉각 또는 수랭식으로 생산된다. 냉각 방식에 따라 '에어헤드(Airhead)'와 '오일헤드(Oilhead)'로 구분하기도 한다.[18] 1923년 R32부터 이어져 온 이 엔진 형식은 BMW 모터사이클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2008년에는 DOHC 방식의 박서 엔진을 탑재한 HP2 Sport 모델이 발표되기도 했다.[57][46]

다양한 BMW 에어헤드 및 오일헤드 밸브 커버


1954 R68의 투-핀 밸브 커버


=== K 계열 (직렬 엔진) ===

K 계열은 수냉식 직렬 엔진을 사용하며, 3기통(K75), 4기통(K100, K1100, K1200, K1300), 6기통(K1600) 모델이 있다. 2004년까지 생산된 초기 3, 4기통 엔진은 엔진 블록을 옆으로 눕힌 형태로 장착되어 '플라잉 브릭(flying brick)'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방식은 구동계 손실을 줄이는 장점이 있었다. 2005년 이후 K1200 모델부터는 전통적인 가로 배치 직렬 4기통 엔진(55도 경사)으로 변경되었고[19], 이후 1,649cc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한 K1600 시리즈도 출시되었다.[20][21][22][23] 2008년에는 배기량을 1,293cc로 늘리고 출력을 향상시킨 K1300 시리즈(K1300GT, K1300S, K1300R)가 발표되었다.

BMW K100 모터사이클 엔진 (약 1986년)


=== F 및 G 계열 (단기통 및 병렬 2기통) ===

F 계열과 G 계열은 주로 단기통 또는 병렬 2기통 엔진을 사용한다.

  • '''단기통 엔진''': 1994년 F650 모델로 처음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아프릴리아(Aprilia)에서 생산하고 로탁스(Rotax) 엔진을 사용했다. 이후 F650GS, F650 다카르, F650CS '스카버' 등의 모델이 출시되었다. 2006년 출시된 G 시리즈(G650GS, G450X 등) 역시 단기통 엔진을 사용하며, G650GS의 652cc 엔진은 한때 중국 론친(Loncin)에서 생산되기도 했다. 2007년 출시된 G450X는 오프로드 레이싱 시장을 겨냥한 450cc 단기통 모델이다.[57][46]
  • '''병렬 2기통 엔진''': 2006년 F800S와 F800ST 모델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로탁스(Rotax)에서 제작한 798cc 엔진을 사용한다. 이후 F800GS 및 F650GS (798cc 엔진의 저출력 버전) 모델에도 탑재되었다.[14]


=== S 계열 (직렬 4기통 슈퍼바이크) ===

S 계열은 S1000RR과 같은 고성능 슈퍼바이크에 사용되는 수냉식 직렬 4기통 엔진을 탑재한다.

=== 엔진 종류별 모델명 코드 ===

BMW 모터사이클 모델명은 일반적으로 '엔진 종류 코드 - 배기량(cc) - 스타일 접미사' 형식으로 구성된다.[25][26][27] 엔진 종류를 나타내는 첫 번째 코드는 다음과 같다.

BMW 모토라드 엔진 종류 코드
코드엔진 종류특징주요 탑재 계열
R수평대향 2기통 ("박서")공랭식, 유냉식, 수냉식R 계열
K직렬 엔진수냉식 3기통, 4기통, 6기통K 계열
F단기통 엔진 (2006년까지)
직렬 2기통 엔진 (2006년 이후)
수냉식F 계열
G단기통 엔진수냉식G 계열
S직렬 4기통 엔진수냉식 슈퍼바이크 엔진S 계열



(단, F 650 GS는 예외적으로 798cc 엔진을 사용한다.[24])

3. 2. 구동 방식

BMW 모토라드는 다른 이륜차 제조사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구동 방식을 적용한 모델이 많다. 특히 샤프트 드라이브는 R32 모델부터 이어져 온 BMW 모토라드의 특징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46]

  • '''샤프트 드라이브''': BMW 모토라드의 F, S, G 시리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델에 적용된 구동 방식이다. 체인 드라이브 방식과 비교했을 때, 모래나 진흙 등 외부 오염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일상적인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구조적으로 출발 시 뒷바퀴가 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BMW는 이를 억제하기 위해 파라레버 리어 서스펜션과 같은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 '''체인 드라이브''': F, S, G 시리즈와 같이 일부 모델 라인업에서는 일반적인 체인 드라이브 방식을 사용한다.
  • '''벨트 드라이브''': 과거 F650CS, F800S, F800ST 등 일부 모델에는 벨트 드라이브 방식이 사용되기도 했다.

3. 3. 서스펜션

BMW 모토라드는 다양한 독자적인 서스펜션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해왔다.

'''텔레스코픽 포크 (Telescopic Forks)'''

1935년, BMW는 R12와 R17 모터사이클에 세계 최초로 대량 생산된 유압식 댐핑 텔레스코픽 포크를 장착했다. 이는 현대 모터사이클 서스펜션의 표준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BMW는 오늘날에도 F 시리즈, G 시리즈, HP, S1000RR 모터사이클 등 다양한 모델에 텔레스코픽 포크를 사용하고 있다. 수년간 텔레레버와 듀오레버 프런트 서스펜션만을 사용했던 R 시리즈 역시 2015년형 R 1200 R과 R 1200 RS를 출시하면서 부분적으로 텔레스코픽 포크를 다시 채용했다.[29]

'''얼스 포크 (Earles Forks)'''

BMW R60/2의 얼스 포크


영국인 어니스트 얼스(Ernest Earles)가 설계한 독특한 삼각형 구조의 포크이다.[30][31][32] 일반적인 텔레스코픽 포크와 달리 사이드카 장착 시 발생하는 측면 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설계되었다.[30][31][32] BMW는 사이드카 사용이 활발했던 1955년부터 1969년까지 14년간 모든 모델에 얼스 포크를 장착했다. 사이드카 없이 사용하는 솔로 라이더들에게도 인기가 있었는데, 제동 시 차체 앞부분이 가라앉는 텔레스코픽 포크와 달리 오히려 약간 들어 올려지는 독특한 움직임을 보였다. 다만,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포크 대신 프레임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단점도 지적되었다.

'''모노레버 (Monolever)'''

1980년, 새로운 R80G/S 모델에 처음으로 싱글 스윙암 방식의 리어 서스펜션인 모노레버가 도입되었다. 이 방식은 엔진과 변속기 바로 뒤에 하나의 유니버설 조인트만 사용하는 구조로, 이후 K 시리즈와 다른 R 시리즈 모델에도 적용되었다.

'''파라레버 (Paralever)'''

R1200GS의 개선된 상향식 파라레버


모노레버를 더욱 발전시킨 단측 후륜 서스펜션 기술이다. 스윙암과 추가적인 서브암(토크 암)으로 구성된 링크 구조를 통해 샤프트 드라이브 방식의 단점인 가감속 시 차체 뒷부분이 들리거나 가라앉는 현상(토크 리액션)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또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타이어의 진동을 줄여 승차감을 개선한다. 1987년 R100GS와 1988년 R 80 GS 모델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명칭은 평행사변형(Parallel) 구조와 레버(Lever, 스윙암)의 합성어이다. 2005년에는 "헥스헤드" 엔진 도입과 함께 토크 암의 위치를 스윙암 아래에서 위로 옮긴 상향식 파라레버로 개선하여, 우측 코너링 시 지상고를 더 확보하고 부품의 노출을 줄였다.

'''텔레레버 (Telelever)'''

BMW의 R1150R에 장착된 텔레레버 프런트 서스펜션


1993년 R1100RS에 처음 채용된 독자적인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으로, 1980년대 초 영국의 삭슨-모토드(Saxon-Motodd)에서 개발한 기술에 기반한다. 명칭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포크와 레버(Lever, 위시본)의 합성어이다.

외형상으로는 텔레스코픽 포크와 유사하지만, 포크 내부에는 윤활유만 들어있고 실제 스프링과 댐핑 기능은 엔진 앞쪽에 위치한 A자형 위시본(텔레레버 암)과 연결된 중앙의 모노쇼크 서스펜션 유닛이 담당한다. 이 구조는 조향 기능과 서스펜션 기능을 분리하는 장점이 있다. 제동 시 발생하는 힘은 위시본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므로, 텔레스코픽 포크에서 흔히 발생하는 브레이크 다이브(제동 시 앞부분이 크게 가라앉는 현상)가 거의 없다. 또한 제동 중에도 캐스터 각과 트레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다.

일부 라이더들은 기존 텔레스코픽 포크에 비해 노면 정보 전달이 부족하고 브레이크 다이브가 없는 점이 어색하다고 평가하기도 했으나[33], R1100S 박서컵 레플리카와 같은 모델을 통해 뛰어난 핸들링 성능을 입증했다.[34][35] 다만, 구조적으로 스트로크(서스펜션 작동 범위)를 크게 확보하기 어렵고, 서스펜션이 압축될 때 앞바퀴가 미세하게 앞으로 이동하는 특성 때문에 초고속 주행 시의 충격 흡수 능력은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다.

'''듀오레버 (Duolever)'''

듀올레버 서스펜션 상단


2004년 K1200S 모델에 처음 적용된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이다. 영국의 엔지니어 노먼 호삭(Norman Hossack)이 고안한 호사크(Hossack) 포크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36] (BMW는 이 사실을 인정했지만 호삭에게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있다.[37]) 자동차의 더블 위시본 방식과 유사하게 두 개의 링크(트레일링 링크)가 앞바퀴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듀오레버는 텔레레버보다 구조적으로 더 강성이 높고 컴팩트하다. 두 개의 링크가 서스펜션 작동 및 제동 시 발생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포크의 비틀림을 최소화하고 매우 정밀한 조향 감각과 명확한 노면 피드백을 제공한다. 텔레레버와 마찬가지로 제동 시 브레이크 다이브를 억제하는 안티-다이브(Anti-dive) 효과가 뛰어나, 급제동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조향과 충분한 서스펜션 작동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현재 K1300 및 K1600 모델에 사용되고 있다.

3. 4. 기타 기술


  • 건식 단판 클러치

BMW의 수직 배치 엔진 레이아웃에서는 엔진, 클러치, 변속기가 세로로 나란히 배치되므로, 일반적인 습식 다판 클러치보다 얇게 만들 수 있는 건식 단판 클러치를 채용한다. 하지만 엔진이 가로로 배치된 K 시리즈나 수랭식으로 바뀐 박서 엔진에서는 두께에 여유가 생긴 대신 지름을 작게 만들어야 하므로 습식 다판 클러치를 사용한다.

  • 배기촉매장치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촉매장치를 비교적 일찍 도입했다. 초기에는 선택 사양이었으나, 4기통 모델은 1983년 K100 시리즈부터, 수평대향 2기통 모델은 1993년 R1100 시리즈부터 기본으로 채용했다. 촉매 반응을 안정시키기 위해 전자 제어 연료 분사 방식도 동시에 적용했다.

  • 파라레버 리어 서스펜션(eng)

1987년 R100GS에 처음 채용된 서스펜션 기술이다. 샤프트 드라이브 방식의 단점인 출발 시 뒷바퀴가 들리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명칭은 평행(eng)과 지렛대(eng)를 합친 말이다. 중간에 굴절점이 있는 스윙암과 서브암으로 구성된 링크 구조를 통해, 뒷바퀴가 실제보다 긴 스윙암에 달린 것처럼 움직이게 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 텔레레버 프런트 서스펜션(eng)

1993년 R1100RS에 처음 적용된 독특한 방식의 프런트 서스펜션이다. 이름은 텔레스코픽(eng)과 레버(eng)를 합친 것이다. 일반적인 텔레스코픽 포크 방식은 서스펜션이 작동할 때 캐스터 각이 변해 핸들링이 불안정해지고, 급제동 시 앞부분이 크게 가라앉아 충격 흡수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텔레레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조종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다만, 구조적으로 서스펜션 작동 시 앞바퀴가 약간 앞으로 이동하는 특성이 있어 초고속 주행 시의 충격 흡수 능력은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으며, 작동 거리를 길게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참고로, 세계 최초로 텔레스코픽 방식 프런트 서스펜션을 양산 오토바이에 적용한 것도 BMW이다(1935년 R12).

  • 이륜차 ABS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는 급제동 시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여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안전 기술이다. BMW는 1988년 K100 모델에 세계 최초로 이륜차용 ABS를 탑재하며 안전 기술을 선도했다.

  • 인테그럴 ABS(eng)

2001년부터 도입된 진보된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앞뒤 브레이크 작동을 전자적으로 연동시킨다. ABS 기능과 함께 자동차의 EBD(Electronic Brakeforce Distribution)와 유사한 기능도 포함한다. 초기에는 브레이크 레버나 페달 중 어느 것을 조작해도 앞뒤 브레이크가 모두 작동하는 '풀 인테그럴(eng)' 방식과, 브레이크 레버 조작 시에만 앞뒤가 연동되고 페달 조작 시에는 뒷바퀴만 작동하는 '파셜리 인테그럴(eng)' 방식이 있었으나, 현재는 후자만 사용된다. 초기 모델은 전동 배력 장치 때문에 제동력이 너무 강하거나 미세한 조작이 어렵다는 비판, 작동 소음, 전원 차단 시 이질감 등의 지적이 있었지만, 이후 개선을 통해 이러한 단점들이 완화되었다.

  • 듀오레버 프런트 서스펜션(eng)

2004년 K1200S에 처음 채용된 프런트 서스펜션 방식이다. 자동차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호사크 포크(eng)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 텔레레버 방식보다 구조가 더 간결하면서도 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 자동 안정성 제어 시스템 (ASC - eng)

2007년부터 K 시리즈(K1200S 제외) 및 R 시리즈에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기 시작한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스로틀을 과도하게 조작하여 뒷바퀴가 헛돌거나 앞바퀴가 들리는 위험한 상황을 감지하면, 엔진의 점화 시기와 연료 분사량을 순간적으로 제어하여 차체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 시스템은 ABS에 사용되는 바퀴 회전 센서를 공유한다.

4. 모델 라인업

BMW의 베스트셀러 오토바이 중 하나인 R1200GS


BMW K1200S


2014 BMW S1000R


BMW 모토라드의 오토바이는 대부분 독일 베를린 공장에서 생산되지만, 일부 모델은 인도(G310 시리즈)[4][5]나 중국(C400 시리즈)[6]에서 생산되기도 한다. 일부 엔진 부품은 오스트리아, 중국, 대만 등에서 제조된다. 현재 판매되는 모델 상당수는 1993년부터 2012년까지 수석 디자이너였던 데이비드 롭(David Robb)이 디자인했으며, 이후 에드가 하인리히(Edgar Heinrich)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7][8][9]

가장 인기 있는 모델 중 하나는 R1200GS와 그 자매 모델인 R1200GS 어드벤처로, 한때 연간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도 했다.[10][51] 현재 생산되는 모델은 310cc부터 1,802cc까지 다양한 배기량의 엔진을 탑재하며, 구동 방식도 샤프트 드라이브와 체인 드라이브 등으로 나뉜다. 용도에 따라 오프로드, 듀얼 퍼포스, 스포츠, 투어링 등 다양한 종류의 모델이 있다.

BMW 모토라드의 오토바이는 엔진 형식과 용도에 따라 여러 시리즈로 분류되며, 각 시리즈는 고유한 문자 접두사를 가진다. 현재 운영되는 주요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 '''C 시리즈''': 도심형 이동 수단을 표방하는 맥시 스쿠터 라인업이다.
  • '''F 시리즈''': 주로 병렬 트윈 엔진을 사용하며, 체인 구동 방식을 채택한다.
  • '''G 시리즈''': 주로 단기통 엔진과 체인 구동 방식을 사용하는 모델 라인업이다. 일부 모델은 인도의 TVS 모터 컴퍼니에서 생산된다.[4][5]
  • '''R 시리즈''': BMW 모토라드의 상징인 박서 엔진(수평대향 2기통)을 사용하는 라인업이다. 수냉식 및 공랭/유냉식 박서 엔진 모델이 있다.
  • '''K 시리즈''': 샤프트 드라이브 구동 방식과 직렬 6기통 엔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업이다.
  • '''S 시리즈''': 고성능 인라인 포 엔진과 체인 구동 방식을 채택한 스포츠 지향 라인업이다.


BMW 모토라드는 모델명을 통해 차량의 특징을 나타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모델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25][26][27]

1. 엔진 종류: 첫 번째 문자는 엔진 형식을 나타낸다.

  • '''R''': 수평대향 2기통 ("박서") 엔진 (공랭/유냉 또는 수냉)
  • '''K''': 직렬 3, 4, 또는 6기통 수냉식 엔진
  • '''F''': 직렬 2기통 수냉식 엔진 (과거 단기통 모델도 있었음)
  • '''G''': 단기통 수냉식 엔진
  • '''S''': 직렬 4기통 수냉식 고성능 엔진

2. 엔진 배기량: 두 번째 숫자는 엔진의 배기량(cc)을 나타낸다. (예: 1300, 1250, 1000, 900 등). 단, F 650 GS (798cc 엔진 탑재)와 같이 예외도 존재한다.[24]

3. 스타일/용도: 세 번째 문자 조합은 모터사이클의 주된 용도나 스타일을 나타낸다.

기호의미설명
B배거 (Bagger)
C크루저 (Cruiser)
CS클래식 스포츠 (Classic Sport)
G/S게렌데/슈트라세 (Gelände/Strasse)오프로드/도로 겸용
GS게렌데 스포츠 (Gelände Sport)오프로드 스포츠 (엔듀로)
GT그란 투리스모 (Gran Turismo)장거리 투어링
LS럭셔리 스포츠 (Luxury Sport)
LT럭서스 투어러 (Luxus Tourer)럭셔리 투어러
R도로 (Road) 또는 로드스터 (Roadster)주로 네이키드 형태
RR레이싱 레플리카 (Racing Replica)경주용 바이크 복제 모델
RS라이제스포르트 (Reisesport)[28]스포츠 투어링 (과거에는 렌스포르트(Rennsport) 의미)
RT라이제 투어러 (Reise Tourer)여행 투어러
S스포츠 (Sport)
ST슈트라세 (Strasse) 또는 스포츠 투어러 (Sport Tourer)도로용 또는 스포츠 투어러
T투어링 (Touring)



이 외에도 모델명 뒤에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기호가 붙기도 한다.


  • '''A''': ABS 장착
  • '''L''': 럭셔리 (Luxury) 사양
  • '''P''': 경찰용 (Police) 사양
  • '''C''': 커스텀 (Custom) 사양
  • '''PD''': 파리-다카르 랠리 (Paris Dakar) 기념 모델


예를 들어, K 1600 GTL은 직렬 6기통(K) 1600cc 엔진을 탑재한 그랜드 투어링 럭셔리(GTL) 모델을 의미하며, R 1200 RT-P는 수평대향 2기통(R) 1200cc 엔진을 탑재한 여행 투어러 경찰용(RT-P) 모델을 나타낸다.
R1200RT-P 경찰 모델

4. 1. R 시리즈

R 시리즈는 BMW 모토라드의 전통적인 박서 엔진(수평대향 2기통)을 사용하는 라인업으로, 1923년 생산된 BMW 최초의 모터사이클 R32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시리즈이다.

현재 R 시리즈는 주로 1,254cc 및 1,300cc 용량의 수냉식 트윈 실린더 박서 엔진을 탑재하며, 다양한 용도의 모델을 포함한다.

  • 수냉식 박서 엔진 모델:
  • R1250GS / R1250GS 어드벤처: 듀얼 퍼포스 모델. BMW의 베스트셀러 라인업 중 하나이다.[10][51]
  • R1250RT: 투어러 모델.
  • R1250R: 로드스터 모델.
  • R1250RS: 스포츠 투어러 모델.
  • R1300GS: R1250GS의 후속 듀얼 퍼포스 모델.

  • 공냉/유냉식 박서 엔진 모델 (헤리티지 및 크루저):
  • R nineT: 이전 세대 공냉/유냉식 박서 엔진을 사용하는 헤리티지 모델.
  • R 12: R nineT 기반의 헤리티지 크루저 모델.
  • R 12 NineT: R nineT 기반의 헤리티지 로드스터 모델.
  • R18: 새롭게 설계된 1,802cc 대형 공냉/유냉식 박서 엔진을 사용하는 크루저 모델.


R 시리즈 내 모델명 뒤에 붙는 기호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를 나타낸다.

  • R: 로드스터(Roadster) / 네이키드
  • GS: 게렌데슈트라세(Geländestraße) / 듀얼 퍼포스
  • RS: 렌슈포르트(Rennsport) / 스포츠 투어러
  • RT: 라이제투어러(Reise-Tourer) / 투어러

4. 2. K 시리즈



BMW K 시리즈는 샤프트 드라이브 구동 방식과 수냉식 3기통, 4기통, 또는 6기통 엔진을 특징으로 한다. 첫 모델은 1983년에 출시되었으며, 원래는 R 시리즈를 대체할 계획이었으나 사용자들의 요청으로 R 시리즈와 함께 판매되었다.

현재 K 시리즈 모델은 샤프트 드라이브 방식의 1,649cc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주요 모델로는 K1600B, K1600 그랜드 아메리카, K1600GT, K1600GTL이 있다.[13]

2004년까지 생산된 초기 K 시리즈 엔진(3기통 또는 4기통)은 엔진 블록이 옆으로 누워 장착된 독특한 구조 때문에 "플라잉 브릭(flying brick)"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구조는 크랭크축이 차체 오른쪽에, 실린더 헤드와 밸브 기어는 왼쪽에 위치하는 형태였다. 이는 구동계의 동력 손실을 줄이는 장점이 있었으며, 건식 자동차 타입 클러치를 사용했다.

  • 초기 모델:
  • 1983년: 첫 양산 모델인 K100 출시.
  • 1988년: 보쉬 모트로닉 연료 분사 시스템을 탑재한 K1 출시.
  • 1985년 ~ 1996년: 740cc 3기통 엔진을 사용한 K75 생산.
  • 엔진 발전:
  • 1991년: K100의 배기량을 1,097cc로 늘린 K1100 출시. K1100LT가 이 엔진을 처음으로 장착한 모델이었다.
  • 1998년: 배기량을 1,170cc로 늘린 K1200RS 출시. 이 플랫-4 엔진은 K1200LT 라인에도 사용되었으며, 2004년 성능 향상 업데이트를 거쳐 LT 모델 단종 시점인 2009년까지 생산되었다.
  • 새로운 K 엔진 (2005년 이후):
  • 2005년 K1200S 모델에 1,157cc 직렬 4기통 가로배치 엔진이 처음 탑재되었다. 이 엔진은 기존 '플라잉 브릭'과 달리 55도 앞으로 기울어져 장착되었고, 습식 클러치와 일체형 기어박스를 채택했다. 너비는 43cm로 좁아 무게 중심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19] 이때부터 샤프트 드라이브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했다.
  • 2008년 10월: K1300GT, K1300S, K1300R 모델 발표. 1,293cc로 배기량을 늘려 최대 175마력(129kW)을 발휘하며, 배기구의 버터플라이 밸브 덕분에 더 낮은 엔진 회전수에서 최대 출력을 내고 토크를 향상시켰다.
  • K1600 시리즈 (2011년 이후):
  • 2011년: 새로운 1,649cc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한 K1600 시리즈(K1600GT, K1600GTL) 출시.[20] 이 엔진은 차체를 가로질러 장착되며 50도 앞으로 기울어져 있다.[21] 2009년 공개된 콘셉트 바이크 '콘셉트 6(Concept 6)'에 처음 사용된 엔진이다.[22] BMW는 이 엔진의 너비가 560mm로, K1300 엔진보다 67mm 넓지만 당시 생산된 6기통 엔진 중 가장 좁다고 주장했다.[21] 실린더 보어는 72mm, 실린더 중심 간 거리는 77mm이다.[21] 속이 빈 캠샤프트 등을 사용하여 무게를 약 0.9kg 줄였다.[23] 전자식 스로틀 제어와 다양한 주행 모드를 지원한다.

4. 3. F 시리즈

체인 구동 방식의 853cc 및 895cc 용량의 병렬 트윈 엔진을 탑재한 시리즈이다. 현재 모델로는 F750GS, F800GS, F900GS 어드벤처, F850GS, F850GS 어드벤처, F900R, F900GS, F900XR이 있다.

2006년 중반에는 F800S 스포츠 바이크와 F800ST 스포츠 투어러가 F 시리즈에 추가되었다. 이 두 모델은 로탁스(Rotax)에서 제작한 798cc 병렬 2기통 엔진을 사용하며, F650CS와 유사한 벨트 구동 시스템을 채택했다. 2007년에는 기존의 단기통 F650GS가 2기통 엔진을 얹은 F800GS 및 F650GS 모델로 대체되었다. 이 중 F650GS는 F800GS와 동일한 798cc 엔진을 사용하지만 출력을 낮춘 버전으로, 이는 BMW의 일반적인 모델명 규칙과는 다른 방식이었다.[14]

4. 4. G 시리즈

G 시리즈는 단기통 엔진을 채용한 모델 라인업이다. 현재 생산되는 모델들은 313cc 용량의 수냉식 단기통 엔진과 체인 구동 방식을 사용한다.[4][5] 주요 모델로는 G310R, G310GS, 그리고 G310RR이 있다. 이 G310 모델들은 인도 타밀나두 호술에 위치한 TVS 모터 컴퍼니(TVS Motor Company) 공장에서 생산된다.[4][5][47]

과거에는 다른 G 시리즈 모델들도 존재했다. 2006년 말에는 F650GS와 동일한 652cc 엔진을 사용하지만, 오프로드에 더 중점을 둔 G650GS가 출시되었다. 이 엔진은 처음에는 로탁스(Rotax)에서 생산되지 않았고, 이후 중국의 론친(Loncin)에서 2년간 생산되다가 최종적으로는 BMW의 베를린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일부 G 시리즈 모델은 F 시리즈에서 이관되기도 했다.

2007년 11월에는 450cc 단기통 엔진을 장착한 스포츠 엔듀로 모델인 G450X가 출시되었다.[12] G450X는 드라이브 스프로킷과 스윙암에 단일 피벗 포인트를 사용하는 독특한 설계를 특징으로 했다. 이 구조는 드라이브 체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체인과 스프로킷의 마모를 줄이고, 가속 시 차체가 주저앉는 스쿼트 현상을 억제하여 후륜 서스펜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4. 5. S 시리즈



체인 구동 방식의 999cc 용량의 성능 지향적인 인라인 포 엔진을 탑재한 모델군이다. 모델로는 S1000RR, S1000R, S1000XR이 있다.

  • '''S1000RR''' (2009년 출시) - 슈퍼바이크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를 위해 개발된 호몰로게이션 모델이다. 병렬 4기통 엔진, 체인 구동, 역방향 서스펜션 등 기존 BMW 모토라드의 설계 사상과는 다른, 혼다 CBR1000RR이나 스즈키 GSX-R1000과 같은 일본산 슈퍼스포츠 바이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좌우 비대칭 디자인의 카울링이 특징이다. 일본 사양의 1세대 모델은 현지 규제에 맞춰 출력을 낮추고 아크라포비치의 머플러를 기본 장착했으나, 2세대부터는 거의 완전한 성능을 발휘하며 순정 머플러가 장착되었다.
  • '''M1000RR''' (2021년 출시) - S1000RR의 후속 차량이다. BMW 모토라드 최초의 BMW M 브랜드 모델이며, 처음부터 서킷 주행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52]

4. 6. C 시리즈

C 시리즈는 BMW가 도심형 이동 수단으로 분류하는 맥시 스쿠터 라인업이다. 현재 모델로는 CE04, CE02, C400GT, C400X가 있다.

C400 시리즈는 중국 충칭에 있는 론친(Loncin) 공장에서 생산된다.[6] 전기 스쿠터 모델인 CE04는 원칙적으로 독일 베를린 공장에서 생산된다.

4. 7. HP 시리즈 (과거 모델)

HP는 하이 퍼포먼스(High Performanceeng)의 약자이며, 숫자 2는 수평대향 2기통 엔진, 4는 병렬 4기통 엔진을 의미한다. 이 시리즈는 BMW 모터사이클이 일반적으로 중시하는 조종 안정성, 2인승 탑승 및 적재 능력, 편안한 주행성 등을 어느 정도 희생하면서 주행 성능을 극대화한 고성능 모델들로 구성된다. 주문 생산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 '''HP2 엔듀로''':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크게 높인 모델이다. 앞 서스펜션은 스트로크 확보에 유리한 텔레스코픽 방식을 사용했으며, 짐을 싣기 위한 장비 등을 제거하여 R1200GS보다 훨씬 가볍게 만들어졌다. 전 세계 3,000대 한정 생산되었으며, 이 중 일본에는 177대가 배정되었다.
  • '''HP2 메가모토''': HP 시리즈의 두 번째 모델로, 온로드 주행 성능을 강화했다. 일본에서는 2007년 8월부터 예약을 받았다.
  • '''HP2 스포츠''': 시리즈 세 번째 모델이며, 온로드 주행에 특화된 모델이다. 세계 내구 레이스에서 활약한 경주용 바이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일반 판매 모델에서는 보기 드문 시트 프레임 없는 풀 카본 카울링, 2D 시스템즈의 LCD 계기판, 시프트 어시스트 등 고급 부품을 많이 사용했다. 또한, BMW의 수평대향 엔진 모델 중에서는 처음으로 DOHC 방식을 채택했다. 일본에서는 2008년 12월부터 예약을 받았다.
  • '''HP4''' (2012년 출시): 시리즈 네 번째 모델이자 최초로 4기통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다. 2012년식 S1000RR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 '''HP4 레이스''' (2017년 출시): 시리즈 다섯 번째 모델로, 세계 최초로 카본 소재의 메인 프레임과 휠을 장착한 레이스 전용 모델이다. MotoGP 머신에 가깝게 제작되어 매우 가볍다. 전 세계 750대 한정 생산되었다.

4. 8. 기타 (과거 모델)


  • '''C1''':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헬멧 착용이 필요 없는 지붕이 달린 스쿠터이다. 당시 일본 법률상 오토바이 탑승 시 헬멧 착용이 의무였으나, 제조사 측에서는 헬멧 착용이 오히려 안전성을 저해한다는 데이터를 근거로 주장했다. 하지만 선례가 없다는 이유로 일본 관계 부처가 이를 인정하지 않아 논의가 평행선을 달렸고, 결국 일본 내 정식 판매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병행 수입된 차량만 판매되었다.

5. 모터스포츠

BMW는 아일 오브 맨 TT 레이스, 다카르 랠리, 슈퍼바이크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BMW 모토라드는 특히 다카르 랠리와 세계 슈퍼바이크 선수권 대회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5. 1. 다카르 랠리

BMW는 아일 오브 맨 TT 레이스, 다카르 랠리, 슈퍼바이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성공을 거두며 모터스포츠에서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BMW 모토라드는 매년 다카르 랠리 오토바이 부문에 참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6번 우승을 차지했다.[53][54]

5. 2. 슈퍼바이크 세계 선수권 대회 (SBK)

2007년 BMW 모토라드(BMW Motorrad)는 2009년부터 S1000RR 모델을 사용하여 세계 슈퍼바이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09년 시즌에는 스페인 출신 라이더 루벤 차우스(Ruben Xaus)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라이더 트로이 코서(Troy Corser)를 영입하여 팀 알파 BMW(Team Alpha BMW)라는 이름으로 대회에 참가했다.[55] 2010년에는 앤드류 피트(Andrew Pitt)와 롤란트 레슈(Roland Resch) 역시 팀 라이트바겐(Team L&R) 소속으로 BMW 바이크를 타고 대회에 나섰다.

5. 3. 기타 대회

BMW는 아일 오브 맨 TT 레이스, 다카르 랠리, 슈퍼바이크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BMW 모토라드는 매년 다카르 랠리 오토바이 부문에 참가하여 지금까지 6번 우승을 차지했다.[53][54]

2007년, BMW 모토라드는 2009년부터 S1000RR 모델로 세계 슈퍼바이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09년 시즌에는 스페인 출신 라이더 루벤 차우스(Ruben Xaus)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라이더 트로이 코서(Troy Corser)를 영입하여 팀 알파 BMW(Team Alpha BMW) 소속으로 대회에 참가했다.[55] 2010년에는 앤드류 피트(Andrew Pitt)와 롤란트 레슈(Roland Resch) 역시 팀 라이트바겐(Team L&R) 소속으로 BMW 모터사이클을 타고 대회에 참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MW Group Creates Two New Divisions http://www.bmwgroup.[...] BMW Group 2007-09-27
[2] 웹사이트 BMW Motorrad achieves record sales for the fifth time in succession in 2015. Deliveries 10.9 % above previous year as of December. BMW Motorrad strategy takes effect. https://www.press.bm[...] 2016-09-26
[3] 뉴스 BMW Celebrates Production of Its Two Millionth Motorcycle http://www.autoevolu[...] autoevolution.com 2011-05-13
[4] 웹사이트 New BMW G310R roadster revealed http://www.motorcycl[...] 2015-11-11
[5] 웹사이트 TVS-BMW G310R 'Made in India' naked street motorcycle unveiled http://www.ibtimes.c[...] 2015-11-12
[6] 웹사이트 Berlin Plant http://www.bmwgroup.[...] BMW Group
[7] 뉴스 Legendary design chief leaves BMW http://www.motorcycl[...] 2012-01-30
[8] 뉴스 David Robb leaves BMW http://www.visordown[...] 2012-01-30
[9] 뉴스 Running on Fumes http://www.motorcycl[...] 2012-01-30
[10] 웹사이트 BMW Motorcycle Sales for 2009 and Prospects for 2010 http://www.webbikewo[...] webBikeWorld.com 2010-02-05
[11] 웹사이트 BMW MOTORRAD ACHIEVES RECORD SALES YET AGAIN IN 2007 http://www.bikervood[...] Biker Voodoo
[12] 웹사이트 BMW G450X – New thinking from a new player in the dirt bike market http://www.motorcycl[...] Motorcyclist
[13] 웹사이트 2011 BMW K1600GT First Look http://www.motorcycl[...] Motorcycle USA 2010-07-02
[14] 웹사이트 Ridden: BMW F800GS and F650GS http://cars.uk.msn.c[...] MSN 2008-04-03
[15] 웹사이트 BMW's All-New Water-Cooled Boxer - Tech Preview http://www.cycleworl[...] Cycle World 2012-12-21
[16] 웹사이트 BMW R nineT review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4-02-02
[17] 웹사이트 BMW R 18 https://www.bmw-moto[...]
[18] 웹사이트 BMW singles http://www.classicbi[...] Mortons Media Group 2005-05
[19] 웹사이트 BMW technology site http://www.bmw-motor[...] BMW
[20] 웹사이트 2011 BMW K1600GT First Look http://www.motorcycl[...] Motorcycle USA 2010-07-02
[21] 간행물 BMW K1600GT & K1600GT-L
[22] 웹사이트 BMW Inline Six Motorcycle Concept http://www.motorcycl[...] Motorcycle USA 2009-11-10
[23] 뉴스 Six appeal for BMW tourers https://www.telegrap[...] 2010-08-25
[24] 웹사이트 BMW Motorrad International http://www.bmw-motor[...]
[25] 웹사이트 BMW Motorrad Deutschland http://www.bmw-motor[...]
[26] 웹사이트 BMW Motorcycles: Bikes: F 650 GS http://www.bmwmotorc[...]
[27] 웹사이트 BMW Motorrad International http://www.bmw-motor[...]
[28] 웹사이트 BMW Product Name History http://www.motorcycl[...] Motorcycle.com 2008-10-06
[29] 웹사이트 2015 BMW R1200R First Look http://www.motorcycl[...] 2014-09-30
[30] 서적 Original BMW Air-Cooled Boxer Twins 1950–1996
[31] 서적
[32] 특허 Motor cycle front wheel forks
[33] 웹사이트 Sportsbikes reviews: BMW R1100S (1998 - 2005) http://www.visordown[...] 2010-09-14
[34] 간행물 Quick Spin: BMW R1100S BoxerCup Replika Summer 2004
[35] 간행물 BMW R1100S Summer 2004
[36] 웹사이트 BMW K1200S http://www.hossack-d[...] Hossack Design 2010-03-22
[37] 웹사이트 What is our fork technology? http://www.broughsup[...]
[38] 웹사이트 Duolever https://web.archive.[...] BMW Motorrad 2010-03-22
[39] 웹사이트 Safety Ratings: Pants https://motocap.com.[...] MotoCAP 2023-06-25
[40] 웹사이트 BMW Group Creates Two New Divisions http://www.bmwgroup.[...] BMW Group 2007-09-27
[41] 웹사이트 The Future of BMW Motorrad ? Hendrik von Kuenheim talks to the media http://www.febc.eu.c[...] BMW 2008-04-16
[42] 웹사이트 Hendrik von Kuenheim elected president of the IMMA (press release) https://www.press.bm[...] BMW Group 2008-05-21
[43]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09 http://www.bmwgroup.[...] BMW Group 2010-03-22
[44]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08 http://www.bmwgroup.[...] BMW Group 2010-01-10
[45] 뉴스 BMW Celebrates Production of Its Two Millionth Motorcycle http://www.autoevolu[...] autoevolution.com 2011-05-13
[46] 웹사이트 BMW MOTORRAD ACHIEVES RECORD SALES YET AGAIN IN 2007 http://www.bikervood[...] Biker Voodoo
[47] 웹사이트 Berlin Plant http://www.bmwgroup.[...] BMW Group
[48] 뉴스 Legendary design chief leaves BMW http://www.motorcycl[...] Motor Cycle News 2012-01-30
[49] 뉴스 David Robb leaves BMW http://www.visordown[...] Visordown 2012-01-30
[50] 뉴스 Running on Fumes http://www.motorcycl[...] Motorcycle USA 2012-01-30
[51] 웹사이트 BMW Motorcycle Sales for 2009 and Prospects for 2010 http://www.webbikewo[...] webBikeWorld.com 2010-02-05
[52] 뉴스 BMW、“M”を冠した初のバイク「BMW M 1000 RR」 価格は378万3000円から https://car.watch.im[...] CAR Watch 2021-01-26
[53] 웹사이트 History of Dakar - RETROSPECTIVE 1979-2007 http://www.dakar.com[...] Dakar
[54] 웹사이트 Dakar Rally Winners (Bike Category) http://www.motorspor[...] MotorSports Etc.
[55] 웹사이트 Insidebikes World Superbike News http://www.carolenas[...]
[56]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09 http://www.bmwgroup.[...] BMW
[57] 웹사이트 BMW MOTORRAD ACHIEVES RECORD SALES YET AGAIN IN 2007 http://www.bikervood[...] Biker Vood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