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 of the Futur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hildren of the Future》는 1968년 발매된 스티브 밀러 밴드의 데뷔 앨범이다. 이 앨범은 블루스와 사이키델릭 록을 혼합한 스타일로, 런던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보즈 스캑스가 참여했다. 앨범에는 스캑스가 작사, 작곡하고 리드 보컬을 맡은 "Baby's Callin' Me Home"과 "Steppin' Stone" 등이 수록되었다.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으며, 빌보드 200에서 134위를 기록했다. 2012년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된 리마스터 CD가 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티브 밀러 밴드의 음반 - Abracadabra (스티브 밀러 밴드의 음반)
Abracadabra는 스티브 밀러 밴드의 음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이지만,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앨범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스티브 밀러 밴드의 음반 - Greatest Hits 1974–78
Greatest Hits 1974–78은 스티브 밀러 밴드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1974년부터 1978년까지 발매된 13곡을 담고 있으며, 캐나다에서 다이아몬드, 미국에서 15×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1968년 데뷔 음반 - Gris-Gris
《Gris-Gris》는 1968년에 발매된 닥터 존의 데뷔 앨범으로, 뉴올리언스 음악과 사이키델릭 록을 융합하여 독특한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롤링 스톤 선정 역대 가장 위대한 앨범 500선에 포함되기도 한다. - 1968년 데뷔 음반 - Shades of Deep Purple
Shades of Deep Purple은 딥 퍼플의 데뷔 앨범으로, 사이키델릭 록, 프로그레시브 록, 팝 록, 하드 록의 요소들을 결합한 사운드와 빌보드 차트 4위를 기록한 싱글 "Hush"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자작곡과 커버곡을 수록하고 발매 후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재평가되고 있다. - 캐피틀 레코드 음반 - In the Wee Small Hours
1955년 프랭크 시나트라가 발표한 《In the Wee Small Hours》는 실연의 아픔과 새벽의 고독을 주제로 한 콘셉트 앨범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성숙한" 보컬 스타일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넬슨 리들의 편곡과 시나트라의 개인적인 경험이 담긴 애절한 감성 표현이 특징이다. - 캐피틀 레코드 음반 - L-O-V-E
냇 킹 콜의 1965년 스튜디오 앨범인 L-O-V-E는 타이틀곡 "L-O-V-E"를 포함한 11곡이 수록되었으며, 1964년에 할리우드와 샌프란시스코에서 녹음되어 랄프 카마이클이 편곡과 지휘를 맡았다.
Children of the Futur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스티브 밀러 밴드 |
발매일 | 1968년 4월 |
녹음 | 1968년 초 |
스튜디오 | 올림픽 스튜디오, 런던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록 |
길이 | 38분 21초 |
레이블 | 캐피틀 레코드 |
프로듀서 | 글린 존스 |
차트 성적 | |
미국 빌보드 200 | 134위 |
앨범 순서 | |
다음 앨범 | 세일러 |
다음 앨범 발매년도 | 1968년 |
2. 역사적 배경
스티브 밀러 밴드는 196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되었다.[14] 초기에는 "스티브 밀러 블루스 밴드"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나, 이후 보즈 스캑스가 합류하면서 "스티브 밀러 밴드"로 이름을 바꾸고 캐피톨 레코드와 계약했다.[14] 보즈 스캑스는 이 앨범을 끝으로 성공적인 솔로 경력을 시작하게 된다.[10]
2. 1. 결성과 초기 활동
스티브 밀러 밴드는 196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되었다.[14] 초기 밴드명은 "스티브 밀러 블루스 밴드"였으며, 제임스 쿠크가 세컨드 기타리스트로 참여했으나, 이후 쿠크를 대신하여 밀러의 옛 친구인 보즈 스캑스가 합류했다.[14] 그리고 "스티브 밀러 밴드"로 이름을 바꾸고 캐피톨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14]스캑스는 "Baby's Callin' Me Home"과 "Steppin' Stone"의 작사, 작곡,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15] 팀 데이비스는 "Junior Saw It Happen"과 "Funny Mae"에서 리드 보컬을 맡았다.[12][15]
본작과 동시기에 발매된 싱글 A면 곡 "Sittin' in Circles"는 앨범 미수록 곡이었으나, 2012년 Edsel Records에서 발매된 본작의 리마스터 CD에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15]
3. 스타일
《Children of the Future》은 블루스와 사이키델릭 록이 혼합된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당시 영국 블루스 부활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동시에, 앨범이 런던의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는 사실과도 무관하지 않다. 롤링 스톤지는 앨범의 첫 번째 면을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와 유사하게 구성되었다고 평가했다.[22] 크로대디!의 피터 노블러는 이 앨범을 "경험, 지식, 영감의 세 가지 순간"이라고 묘사했다.[23]
3. 1. 음악적 특징
이 음반의 스타일은 블루스와 사이키델릭 록이 혼합된 것으로, 영국 블루스 부활의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이 음반이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런던에서 녹음된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22] 롤링 스톤은 싱글 연속 트랙(부제: 〈Children of the Future)〉으로 연주되는 첫 번째 측면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처럼 구성되었다"고 묘사했다.[22] 《크로다디!》에서 피터 노블러는 이 음반을 "경험, 지식, 영감의 세 가지 순간"이라고 불렀다.[23]하지만, 많은 곡들이 스티브 밀러가 텍사스 음악 스튜디오에서 청소부로 일할 때 이미 쓰여졌다.[19] 〈Baby's Callin' Me Home〉은 보즈 스캑스가 작곡한 곡으로, 후에 그의 대표곡 중 하나가 되었다. 〈Sittin' In Circles〉는 앨범 발매 당시에는 수록되지 않았으나, 2012년 리마스터 버전에서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4. 반응 및 평가
《Children of the Future》은 발매 당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으나,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음반은 블루스와 사이키델릭 록이 혼합된 스타일로, 런던의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어 영국 블루스 부활의 분위기를 반영한다. 〈Baby's Callin' Me Home〉은 보즈 스캑스가 작곡했으며, 그는 이 곡으로 후에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2012년 9월 17일, 에드젤 레코드는 이 음반의 리마스터드 버전을 발매했으며, 보너스 트랙으로 밴드의 첫 번째 싱글 B-사이드 〈Sittin' In Circles〉를 포함했다. 한편, 밀러가 텍사스 음악 스튜디오에서 청소부로 일할 때 이미 많은 곡들이 쓰여졌다.[19]
4. 1. 상업적 성과
빌보드 200에서 134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3]4. 2. 비평가들의 평가
올뮤직은 이 음반에 5점 만점에 4.5점을 부여하며, "사랑의 시대 사이키델리아에 의한 굴절을 동반한 순수한 웨스트 코스트 록인 한편, 흥미롭게도 영국의 블루스 도의인 안개 낀 듯한 페이소스에 덮여 있다"고 평가했다.[17] 롤링 스톤은 앨범의 첫 번째 면을 "'Sgt. 페퍼스 론리 하츠 클럽 밴드'처럼 구성"되었다고 묘사했다.[8] 1968년 6월 22일자 롤링 스톤지에서 Jann Wenner는 "군더더기가 없다는 점에서는 모비 그레이프의 첫 번째 앨범에 필적하며, 풍미라는 점에서는 『서전트 페퍼』에 필적한다"고 평했다.[16] 크로대디!에 글을 기고한 피터 노블러는 이 음반을 "경험, 지식, 영감의 세 가지 순간"이라고 불렀다.[9]5. 곡 목록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Children of the Future | 스티브 밀러 | 2:59 |
2 | Pushed Me to It | 스티브 밀러 | 0:38 |
3 | You've Got the Power | 스티브 밀러 | 0:53 |
4 | In My First Mind | 스티브 밀러, 짐 피터먼 | 7:35 |
5 | The Beauty of Time Is That It's Snowing (Psychedelic B.B.) | 스티브 밀러 | 5:17 |
6 | Babys Callin Me Home | 보즈 스캑스 | 3:24 |
7 | Steppin' Stone | 보즈 스캑스 | 3:02 |
8 | Roll With It | 스티브 밀러 | 2:29 |
9 | Junior Saw It Happen | 짐 풀테 | 2:29 |
10 | Fannie Mae | 버스터 브라운 | 3:11 |
11 | Key to the Highway | 빅 빌 브룬지, 찰리 시거 | 6:18 |
-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곡은 스티브 밀러가 작사/작곡했다.
5. 1. 오리지널 LP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곡은 스티브 밀러가 작사/작곡했다.Side one | Side two |
---|---|
5. 1. 1. Side one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Children of the Future | 스티브 밀러 | 2:59 |
Pushed Me to It | 스티브 밀러 | 0:38 |
You've Got the Power | 스티브 밀러 | 0:53 |
In My First Mind | 스티브 밀러, 짐 피터먼 | 7:35 |
The Beauty of Time Is That It's Snowing (Psychedelic B.B.) | 스티브 밀러 | 5:17 |
5. 1. 2. Side two
Side two영어[11]#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6 | Babys Callin Me Home영어 | 보즈 스캑스 | 3:24 |
7 | Steppin' Stone영어 | 보즈 스캑스 | 3:02 |
8 | Roll With It영어 | 스티브 밀러 | 2:29 |
9 | Junior Saw It Happen영어 | 짐 풀테 | 2:29 |
10 | Fannie Mae | 버스터 브라운 | 3:11 |
11 | Key to the Highway | 빅 빌 브룬지, 찰리 시거 | 6:18 |
5. 2. 2012년 리마스터 CD 보너스 트랙
번호 | 곡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Children of the Future" (미래의 아이들) | 스티브 밀러 | 2:59 |
2 | "Pushed Me to It" (나를 밀어붙이다) | 스티브 밀러 | 0:37 |
3 | "You've Got the Power" (당신은 힘을 가지고 있어요) | 스티브 밀러 | 0:54 |
4 | "In My First Mind" (나의 첫 번째 마음 속에서) | 스티브 밀러, 짐 페터먼 | 7:29 |
5 | "The Beauty of Time Is That It's Snowing (Psychedelic B.B.)" (시간의 아름다움은 눈이 내린다는 것이다) | 스티브 밀러 | 5:32 |
6 | "Babys Callin Me Home" (아기가 나를 집으로 부르네) | 보즈 스캑스 | 3:23 |
7 | "Steppin' Stone" (디딤돌) | B. Scaggs | 3:03 |
8 | "Roll with It" (롤 위드 잇) | 스티브 밀러 | 2:30 |
9 | "Junior Saw It Happen" (주니어가 그것을 보았다) | 짐 풀테 | 2:30 |
10 | "Fanny Mae" (파니 메이) | 버스터 브라운 | 3:10 |
11 | "Key to the Highway" (하이웨이의 열쇠) | 빅 빌 브룬지, 찰리 세가 | 6:18 |
12 | "Sittin' in Circles" | 배리 골드버그 | 3:03 |
6. 참여 뮤지션
- 스티브 밀러 - 보컬, 기타, 하모니카
- 보즈 스켑스 - 기타, 백그라운드 보컬, 리드 보컬(6, 7번 트랙)
- 짐 피터먼 - 멜로트론, 해먼드 오르간, 백그라운드 보컬
- 로니 터너 - 베이스, 백그라운드 보컬
- 팀 데이비스 - 드럼, 백그라운드 보컬, 리드 보컬(9, 10번 트랙)
6. 1. 추가 뮤지션
- 벤 시드란 - 쳄발로 (6번 트랙)
참조
[1]
웹사이트
Great Rock Discography
https://archive.org/[...]
[2]
간행물
Space Cowboy
Marshall Cavendish
[3]
잡지
20 Albums Rolling Stone Loved in the Sixties That You've Never Heard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https://www.rollings[...]
2016-07-23
[4]
웹사이트
The Steve Miller Band Chart History Steve Miller Band Chart History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2022-09-24
[5]
웹사이트
Steve Miller,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Review
http://www.allmusic.[...]
2018-08-12
[6]
웹사이트
"Children of the Future''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Album Reviews"
http://archive.rolli[...]
2012-08-20
[7]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8]
잡지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Review
https://www.rollings[...]
2017-08-25
[9]
웹사이트
Crawdaddy! 1968
http://www.crawdaddy[...]
2018-08-12
[10]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11]
Album notes
Children of the Future
Capitol Records
[12]
웹사이트
Children Of The Future
http://www.stevemill[...]
2017-07-23
[13]
웹사이트
Steve Miller -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7-23
[14]
웹사이트
Steve Miller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7-07-23
[15]
Discogs
Steve Miller Band - Children Of The Future (CD, Album) at Discogs
https://www.discogs.[...]
[16]
웹사이트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 20 Albums Rolling Stone Loved in the Sixties That You've Never Heard
http://www.rollingst[...]
Rolling Stone
2017-07-23
[17]
웹사이트
Children of the Future - Steve Miller Band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7-07-23
[18]
잡지
20 Albums Rolling Stone Loved in the Sixties That You've Never Heard > Steve Miller Band, 'Children of the Future'
https://www.rollings[...]
2016-07-23
[19]
웹인용
Children of the Future - Steve Miller, Steve Miller Band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8-08-12
[20]
웹인용
Children Of The Future - Album Reviews - Rolling Stone
http://archive.rolli[...]
Rolling Stone
2012-08-20
[21]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ww.rollings[...]
2017-08-25
[23]
웹인용
Crawdaddy! 1968
http://www.crawdaddy[...]
2018-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