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rom's Techno Work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rom's Techno Works는 두 장의 CD로 구성된 앨범으로, CD 1에는 신해철의 대표곡들이, CD 2에는 타이틀곡 '일상으로의 초대'의 다양한 리믹스 버전과 '매미의 꿈' 데모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CD 1에는 '1999', '50 Years After', 'Jazz Cafe' 등의 원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1990년대 초반과 중후반에 발표된 신해철의 작품들을 포함한다. CD 2에는 '일상으로의 초대'의 Radio Mix, More Beat Mix, Extended Mix 등 다양한 리믹스 버전과 '매미의 꿈' 데모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앨범 제작에는 신해철이 프로듀싱, 보컬, 연주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Phil Nicholas, Yvette, Frank Moad, 남궁연, Sue Shin 등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크노 음반 - 005.1999.06
    엄정화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005.1999.06은 1999년 6월에 발표되었으며, '몰라'와 'Festival'을 타이틀곡으로 다양한 작곡가들이 참여하여 완성도를 높여 각종 차트 1위를 석권하고 음악 시상식에서 수상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 테크노 음반 - Dead End (이적의 음반)
    Dead End는 이적 2집 앨범의 첫 번째 트랙이자 대표곡으로, DJ YouSuck, 정재형 등 다양한 음악가들이 참여한 11곡이 수록되어 있다.
  • 신해철의 음반 - MONOCROM
    MONOCROM은 신해철과 크리스 샹그리디가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으로, 락, 테크노에 국악을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으며, 앨범 《MONOCROM》을 발표하고 수록곡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는 밴드 크래쉬가 리메이크했으며, 크리스 샹그리디는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 신해철의 음반 - SHIN HAE CHUL 20th Anniversary - Remembrance
    SHIN HAE CHUL 20th Anniversary - Remembrance는 신해철 데뷔 20주년 기념 앨범으로, 넥스트 컴필레이션 앨범 "Black Album" 수록곡을 포함하여 넥스트 2집부터 5집, 솔로 앨범, 사운드트랙 수록곡 등 다양한 곡들과 그 곡들의 작사, 작곡 정보 및 참여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 일렉트로니카 음반 - Quiet Night
    《Quiet Night》는 2014년에 발매된 서태지의 정규 9집 앨범으로, 아이유가 참여한 〈소격동〉을 선공개하고 〈Christmalo.win〉을 리드 싱글로 발매했으며, 컴백 콘서트와 함께 가온 앨범 차트 2위,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6위를 기록했다.
  • 일렉트로니카 음반 - Love Child of the Century
    Love Child of the Century는 김성훈이 작사, 작곡, 편곡한 곡들과 여러 아티스트가 참여한 14개의 트랙을 담은 앨범이다.
Crom's Techno Works - [음악]에 관한 문서
CROM'S TECHNO WORKS 정보
음반명CROM'S TECHNO WORKS
가수명신해철
신해철 - Crom's Techno Works
신해철 - Crom's Techno Works
발매년월일1998년
포맷CD, TAPE
음반 종류정규 음반
녹음 장소Marcus 스튜디오
신해철 자택 스튜디오(런던)
장르테크노
일렉트로니카
언어
길이1:36:13
레이블BIGBANG, 도레미레코드
프로듀서신해철
Chris Tsangarides
Phil Nicholas
이전 음반Myself (1991)
다음 음반MONOCROM (1999)

2. 수록곡

Crom's Techno Works영어신해철이 제작한 앨범으로, 두 장의 CD로 구성되어 있다. CD 1에는 신해철이 여러 앨범에서 발표한 원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CD 2에는 타이틀곡 '일상으로의 초대'의 다양한 리믹스 버전과 '매미의 꿈' 데모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2. 1. CD 1: 원곡

CD 1에는 신해철이 여러 앨범에서 발표한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곡들은 발표 시기 및 앨범별로 분류할 수 있다.

제목부제작사작곡재생 시간
1999신해철, Yvette영어신해철7:25
50 Years After영어50년 후의 내 모습신해철신해철7:23
Moon Madness영어: 月狂 (Aphrodiziac ver.영어)-신해철5:25
Jazz Cafe영어재즈 카페-신해철5:00
Tonite영어후회란 말은 내겐 없는 것신해철신해철6:05
Letter to Myself영어나에게 쓰는 편지신해철신해철5:32
Moon Madness영어 (Bedtime Ver.영어)-신해철5:25
Shy Boy영어설레이는 소년처럼신해철신해철5:17
Good Bye영어안녕-신해철5:03


2. 1. 1. 1990년대 초반 작품

2. 1. 2. 1990년대 중후반 작품

Tonite영어, Shy Boy영어는 1993년에 발매된 OST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어 있다.[4] Moon Madness영어는 1996년에 발매된 노땐스의 《골든힛트》에 수록된 곡이다.[2]

2. 2. CD 2: 리믹스 및 데모 버전

CD 2에는 타이틀곡 '일상으로의 초대'의 다양한 리믹스 버전과 '매미의 꿈' 데모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일상으로의 초대'는 Radio Mix, More Beat Mix, Extended Mix 세 가지 버전으로 수록되었다.[4] '매미의 꿈'은 5개의 파트로 구성된 데모 버전과 신해철, 남궁연의 역할극 대화(트랙 9, 14)로 구성되어 있어, 곡의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순서제목작사작곡편곡재생 시간
1It's Alright신해철신해철5:20
2일상으로의 초대 (Radio Mix)신해철신해철5:24
3일상으로의 초대 (More Beat Mix)신해철신해철5:20
4일상으로의 초대 (Extended Mix)신해철신해철8:34
5매미의 꿈 Part 1 (나의 시간은 언제쯤 오는가)신해철신해철3:41
6매미의 꿈 Part 2 (A Long cold winter's sleep)3:30
7매미의 꿈 Part 3 (The Virgin Flight)0:50
8매미의 꿈 Part 4 (매미의 꿈)신해철신해철4:58
9매미의 꿈 Part 5 (당신을 위로하고 싶은 마음에서 나온 가벼운 성의)신해철신해철1:10
10매미의 꿈(Crom's flat Mix) Part 1 (나의 시간은 언제쯤 오는가)신해철신해철3:41
11매미의 꿈(Croms flat Mix) Part 2 (A Long cold winters sleep)신해철3:30
12매미의 꿈(Crom's flat Mix) Part 3 (The Virgin Flight)신해철0:50
13매미의 꿈(Crom's flat Mix) Part 4 (매미의 꿈)신해철4:58
14매미의 꿈(Crom's flat Mix) Part 5 (당신을 위로하고 싶은 마음에서 나온 가벼운 성의)신해철1:10


3. 참여

이 앨범에는 신해철을 비롯하여 다양한 음악가와 스태프들이 참여하여 앨범의 완성도를 높였다. 다음은 앨범 부클릿의 〈staff〉 목록에서 발췌한 내용이다.[5]

참여자역할
신해철프로듀서,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보컬, , 편곡, 건반, 컴퓨터 프로그래밍, 코러스, 기타, 무그, 녹음·믹싱(신해철 자택 스튜디오)
Phil Nicholas프로그래밍 (1999, Moon Madness, Jazz Cafe, Tonite, 나에게 쓰는 편지, Shy Boy, 안녕, It's Alright, 일상으로의 초대)
Yvette공동 작사(영문 작사: `1999`)
Frank Moad색소폰(Moon Madness, Tonite)
남궁연피아노(Jazz Cafe), 토크(매미의 꿈 part 5)
Sue Shin목소리/백 보컬(매미의 꿈 part 1)
Chris Tsangarides프로듀서, 믹싱(Marcus 스튜디오 - 런던)
Phil Nicholas프로듀서, 녹음(Marcus 스튜디오)
Ian Cooper(Metropolis 스튜디오)마스터링
전상일(電視工)아트 디렉터, 디자인, 비쥬얼 컨셉, 로고 디자인, 사진, 컴퓨터 그래픽, 레이아웃, 글귀(노래 가사 제외)
Dave Yang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공동)


3. 1. 뮤지션

신해철은 프로듀서, 보컬, 랩, 편곡, 건반, 컴퓨터 프로그래밍, 코러스, 기타, 무그, 녹음 및 믹싱을 담당했다.[5] Phil Nicholas는 프로그래밍을, Yvette는 `1999`의 영문 작사를 맡았다.[5] Frank Moad는 색소폰을 연주했고, 남궁연은 피아노 연주와 매미의 꿈 part 5의 토크를 담당했다.[5] Sue Shin은 매미의 꿈 part 1에서 목소리/백 보컬을 맡았다.[5]

3. 2. 스태프

크리스 탠서라이즈(Chris Tsangarides영어) - 프로듀서, 믹싱(Marcus 스튜디오 - 런던)[5]

필 니콜라스(Phil Nicholas) - 프로듀서, 녹음(Marcus 스튜디오)[5]

이언 쿠퍼(Ian Cooper) (Metropolis 스튜디오) - 마스터링[5]

전상일(電視工) - 아트 디렉터, 디자인, 비주얼 컨셉, 로고 디자인, 사진, 컴퓨터 그래픽, 레이아웃, 글귀(노래 가사 제외)[5]

데이브 양(Dave Yang)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공동)[5]

참조

[1] 문서 원곡과 느낌은 얼추 비슷하나, 가사는 전혀 다른 개사된 영어가사이다.
[2] 문서 편곡된 버전에서는 원곡의 가사부분 중 한구절인 '나의 마음은 구르는 공 위에 있는 것 같아 때론 살아있는 것 자체가 괴롭지 날 봐 이렇게 천천히 부숴지고 있는데 아주 천천히'란 구절이 삭제되었다.
[3] 문서 편곡된 버전 앞부분과 끝부분에서는 원곡에는 없던 내레이션이 추가되었다.
[4] 문서 편곡된 버전에서는 원곡에는 후렴구 부분 다음으로 나오지 않았던 가사가 추가되었다.
[5] 간행물 Crom's Techno Works 라이너 노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