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iel (노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aniel"은 1973년 발매된 엘튼 존의 노래이다. 버니 토핀이 가사를 썼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곡은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2위, 캐나다 RPM 100 내셔널 톱 싱글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윌슨 필립스와 샘 스미스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이 곡을 리메이크했으며, 1974년 그래미상 최우수 팝 보컬 퍼포먼스 – 남성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튼 존의 노래 - Bennie and the Jets
엘튼 존이 1973년에 발표한 "Bennie and the Jets"는 가상의 밴드에 대한 노래로, 라이브 음향 효과와 함께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차지하고 다양한 장르 팬들에게 사랑받으며 여러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 및 샘플링되기도 했다. - 엘튼 존의 노래 - Crocodile Rock
엘튼 존이 1972년에 발표한 "Crocodile Rock"은 1950년대 로큰롤 음악에 대한 향수를 담고 있으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어 여러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다양한 아티스트들에 의해 커버되기도 했다. - 1973년 노래 - Bennie and the Jets
엘튼 존이 1973년에 발표한 "Bennie and the Jets"는 가상의 밴드에 대한 노래로, 라이브 음향 효과와 함께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차지하고 다양한 장르 팬들에게 사랑받으며 여러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 및 샘플링되기도 했다. - 1973년 노래 - I Will Always Love You
돌리 파튼이 1973년 작곡한 컨트리 발라드 "I Will Always Love You"는 그녀와 포터 와고너의 파트너십 종료를 배경으로 하며, 파튼과 휘트니 휴스턴의 버전 모두 차트 1위를 기록하고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어 수많은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되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73년 싱글 - Blue Suede Shoes
칼 퍼킨스가 작곡하고 샘 필립스가 수정하여 1956년 발매된 "Blue Suede Shoes"는 조니 캐시의 일화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부기우기 리듬의 곡으로, 팝, R&B, 컨트리 차트에서 모두 성공하며 록큰롤 역사에 중요한 곡으로 평가받고 있다. - 1973년 싱글 - Smoke on the Water
1972년 딥 퍼플이 발표한 "Smoke on the Water"는 1971년 몽트뢰 카지노 화재 사건을 배경으로 하며 리치 블랙모어의 기타 리프가 돋보이는 곡으로,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곡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Daniel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곡 정보 | |
![]() | |
제목 | 다니엘 |
원제 | Daniel (다니엘) |
가수 | 엘튼 존 |
음반 |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피아니스트를 쏘지 마세요) |
B-사이드 | Skyline Pigeon(스카이라인 피전) |
발매일 | 1973년 1월 26일 |
녹음일 | 1972년 6월 10일 |
녹음 장소 | 프랑스 Château d'Hérouville(샤토 데루빌) |
장르 | 소프트 록 |
길이 | 3분 54초 |
레이블 | MCA 레코드(미국), DJM 레코드(영국) |
작사가 | 버니 토핀 |
작곡가 | 엘튼 존 |
프로듀서 | 거스 더전 |
차트 성적 | |
Billboard Hot 100(미국) | 2위 |
전영 싱글 차트(영국) | 4위 |
싱글 발매 정보 | |
이전 싱글 | Crocodile Rock(크로커다일 록) (1972년) |
이번 싱글 | 다니엘 (1973년) |
다음 싱글 |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새터데이 나이트 올라이트 포 파이팅) (1973년) |
뮤직 비디오 |
2. 작곡 및 배경
버니 토핀은 타임 또는 뉴스위크에서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에 관한 기사를 읽고 가사를 썼다.[6] 초고의 마지막 연은 삭제되었는데, 이 때문에 그 내용에 대한 여러 추측이 있었다.[7] 토핀은 "'다니엘'은 우리가 만든 곡 중에서 가장 오해받는 노래"라고 밝히며, 베트남 전쟁에서 돌아와 텍사스 주의 작은 마을로 돌아온 남자가 마을 사람들의 영웅 대접에도 불구하고, 전쟁 전의 평범한 삶으로 돌아가고 싶어 했다는 실화를 바탕으로 썼다고 설명했다.
2. 1. 가사의 주제와 해석
버니 토핀은 타임 또는 뉴스위크에서 부상을 입고 고향에 돌아와 세간의 관심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던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에 관한 기사를 읽은 후 가사를 썼다.[6] 초고의 마지막 연은 최종 버전에서 삭제되었고, 이로 인해 그 내용에 대한 추측이 일었다.[7]가사는 전투에서 시력을 잃은 가상의 퇴역 군인이 스페인으로 여행을 떠나는 모습을 동생의 시선으로 그린 이야기이다. "형의 눈은 죽었지만, 나보다 더 잘 보네."(your eyes have died/but you see more than I), "아물지 않는 상처의 고통을 아직 느끼고 있나요?"(do you still feel the pain/of the scars that won't heal?)와 같은 가사는 전쟁의 상처가 쉽게 치유되지 않음을 보여준다.[31]
버니는 "'다니엘'은 우리가 만든 곡 중에서 가장 오해받는 노래"라고 '투 룸스'에서 해명했다. "이 곡은 베트남 전쟁에서 돌아와 고향 텍사스의 작은 마을로 돌아온 남자의 이야기입니다. 마을 사람들은 그가 돌아오자 환호하며 마치 영웅처럼 대했지만, 그는 그저 집에 돌아가 이전의 농장에서 일하고 싶어했고, 전쟁 전과 같은 삶으로 돌아가고 싶어했습니다. 저는 전쟁에서 돌아온 사람들을 배려하는 무언가를 쓰고 싶었습니다."
3. 평가
''캐시 박스''는 "버니 토핀의 매혹적인 가사가 이 노래를 반복해서 듣고 싶게 만들 것이다."라고 평했다.[8] ''레코드 월드''는 이 곡을 "자연스러운 히트곡이며 [존과 토핀]의 최근 최고의 작품 중 하나"라고 불렀다.[9]
4. 참여
참여 인물 | 역할 |
---|---|
엘튼 존 | 보컬, 백 보컬, 펜더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멜로트론 (플루트 파트) |
데비 존스턴 | 어쿠스틱 기타, 밴조 |
디 머레이 | 베이스 |
나이젤 올슨 | 드럼, 마라카스 |
켄 스콧 | ARP 신시사이저 |
5. 차트
차트 (1973년) | 최고 순위 |
---|---|
캐나다 RPM 100 내셔널 톱 싱글 차트[32] | 1 |
네덜란드 톱 40[33] | 14 |
GfK 네덜란드 차트 싱글 톱 100[34] | 15 |
독일 싱글 차트[35] | 27 |
아일랜드 싱글 차트[36] | 4 |
노르웨이 싱글 차트[37] | 8 |
스위스 싱글 차트[38] | 5 |
영국 싱글 차트[30] | 4 |
미국 빌보드 핫 100[29] | 2 |
미국 빌보드 이지 리스닝[29] | 1 |
Daniel영어은 여러 국가에서 상위 차트에 올랐으며, 특히 캐나다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