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국제다큐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BS 국제다큐영화제(EIDF)는 2004년 시작된 대한민국의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이다. 매년 슬로건을 정하고, 마스터 클래스, 감독 클래스, 특별 클래스 등의 부대 행사를 진행하며, EBS 다큐멘터리 펀드(EDF)를 통해 다큐멘터리 제작을 지원한다. 페스티벌 초이스 대상, 에듀 초이스 대상, 스피릿 상, 심사위원 특별상, 유니세프 특별상, 관객상 등 다양한 시상 부문이 있으며, 2024년에는 "시대에 다리를 놓다"라는 슬로건으로 영화제가 개최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큐멘터리 영화제 - 빈 국제 영화제
빈 국제 영화제는 전 세계의 다양한 신작 영화와 여러 장르의 영화를 상영하고 오스트리아 영화 박물관과 협력하여 역사적인 회고전을 개최하며 영화제 기간 중 국제 영화 평론가 연맹상과 데어 슈탄다르트 독자상이 수여되는 영화제이다. - 다큐멘터리 영화제 -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는 1989년 시작된 아시아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제로, 국제 경쟁 부문과 시민 참여를 통해 아시아 다큐멘터리 영화 발전에 기여하며 국제적 위상을 높여왔다. - 2004년 시작된 영화제 -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영화, 음악, 특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음악 영화제이다. - 2004년 시작된 영화제 -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대한민국 대학영화제는 2004년부터 매년 제작자상, 감독상 등을 시상하는 영화 시상식이다. - EBS 국제다큐영화제 - 제16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2019년 EBS 국제다큐영화제는 다양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하며 대상은 <인간, 동물 그리고 사냥>이 수상했고, 한국콘텐츠진흥원과의 협력, 다양한 섹션 운영, 그리고 여러 주제와 모바일 단편 다큐 경쟁 부문을 통해 다큐멘터리 작품을 선보였다. - EBS 국제다큐영화제 - 제18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제18회 EBS 국제다큐영화제는 다큐멘터리 영화 상영 및 수상작 선정과 더불어 '페스티벌 초이스', '컨템포러리 다큐 파노라마' 등 다양한 섹션 상영, 한국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 관련 영화 상영, 한-란 수교 60주년 기념 네덜란드 특별전 개최 등을 특징으로 한다.
EBS 국제다큐영화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주최 | 한국교육방송공사 |
설립 | 2004년 |
언어 | 한국어 & 국제 |
웹사이트 | EIDF 공식 웹사이트 |
방송 채널 | EBS1 |
행사 정보 | |
최근 행사 | 제19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
이전 행사 | 제18회 |
다음 행사 | 제20회 |
개막일 | 2022년 8월 22일 |
폐막일 | 2022년 8월 28일 |
개막작 | Dark Red Forest |
시상 | 페스티벌 초이스 (경쟁): 글로벌 그랑프리 |
상영작 수 | 63편 |
2. 역사
EBS 국제다큐영화제는 2004년 제1회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초기에는 아시아 지역의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상영되었으나, 점차 전 세계의 다양한 다큐멘터리로 범위를 넓혀갔다.
연도 | 개막일 | 폐막일 | 개막작 | 상영작 수 | 수상작 |
---|---|---|---|---|---|
2004 | 8월 30일 | 9월 5일 | 한국 주부 해체 | 129편 | Last Home Standing |
2005 | 8월 29일 | 9월 4일 | 또 다른 미얀마, 매솟 | 98편 | Bunso – The Youngest |
2006 | 7월 10일 | 7월 16일 | Vaan Nguyen의 여정 | 83편 | Out of Bounds |
2007 | 8월 27일 | 9월 2일 | Heimatklänge | 58편 | Puujee |
2008 | 9월 22일 | 9월 28일 | 세상의 끝에서의 만남 | 43편 | If We Knew |
2009 | 9월 21일 | 9월 27일 | Google Baby | 50편 | 분명한 아이 |
2010 | 8월 23일 | 8월 29일 | 달팽이의 별 | 49편 | 마지막 기차 |
2011 | 8월 19일 | 8월 25일 | How Are You Doing, Rudolf Ming? | 51편 | 마라톤 보이 |
2012 | 8월 17일 | 8월 24일 | Bully | 48편 | Private Universe |
2013 | 10월 18일 | 10월 25일 | Blackout | 54편 | Which Way Is the Frontline from Here? |
2014 | 8월 25일 | 8월 31일 | Alive Inside: A Story of Music & Memory | 50편 | 호므스로의 귀환 |
2015 | 8월 24일 | 8월 30일 | Good Things Await | 52편 | La Once |
2016 | 8월 22일 | 8월 28일 | 브라더스 | 53편 | Natural Disorder |
2017 | 8월 21일 | 8월 27일 | 무장 해제된 시 | 70편 | Family in the Bubble |
2018[4] | 8월 20일 | 8월 26일 | Westwood: Punk, Icon, Activist | 72편 | The Distant Barking of Dogs |
2019[2] | 8월 17일 | 8월 25일 | Midnight Traveler | 73편 | Honeyland |
2020[2] | 8월 17일 | 8월 23일 | Maddy the Model | 69편 | Cinema Pameer |
2021[5] | 8월 23일 | 8월 29일 | First We Eat | 64편 | The Jump |
2022[6] | 8월 22일 | 8월 28일 | Dark Red Forest | 63편 | TBA |
2. 1. 역대 슬로건
년도 | 슬로건 |
---|---|
2004년 | 변혁의 아시아 (Challenging Asia) |
2005년 | 생명과 평화의 아시아 (Peace and Life in Asia) |
2006년 | 화해와 공존, 번영의 아시아 (Prospering Asia, Reconciliation & Coexistence) |
2007년 | 사람과 사람, 공존을 위한 대화 (People to People, Communication for Coexistence) |
2008년 | 차이와 다양성을 넘어 (COLORS 360º) |
2009년 | 지구, 더불어 사는 곳 (Earth! Where we live!) |
2010년 | 우리의 시선 너머 (Flying Over) |
2011년 | 세상에 외치다 (Be the Voice) |
2012년 | 다큐, 세상을 움직이다 (Play the World) |
2013년 | 진실의 힘 (TRUTH Let it be Heard) |
2014년 | 다큐, 희망을 말하다 (Hope Lies Within US) |
2015년 | 세상과 통하다 (Connecting with the World)[8] |
2016년 | 다큐로 보는 세상 (Plugging into the World)[10] |
2017년 | 다큐로 보는 세상 (Plugging into the World)[12] |
2018년 | 우리는 멈추지 않는다 (Documentary - Right to Fight)[14] |
2019년 | 다큐멘터리, 세상을 비추다 (Documentary - Lighting the world) |
2020년 | 다시 일상으로 - 다큐, 내일을 꿈꾸다! (In docs, Back to the Ordinary!) |
2021년 | 일상의 특별함을 담다 (Normal is Now special) |
2022년 | 다큐의 푸른 꿈을 찾아서 (Pitch Your Dream) |
2023년 | 시대 정신을 열다 (born to be the spirit) |
2024년 | 시대에 다리를 놓다 |
EBS 국제다큐영화제(EIDF)는 다큐멘터리 제작자와 일반 관람객 모두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3. 주요 행사
'''마스터 클래스'''는 다큐멘터리에 관심 있는 일반 관람객과 제작자를 위한 특별 행사로, 영화 제작자나 프로듀서의 강연을 통해 다큐멘터리의 현재를 살펴볼 수 있다. 2009년에는 사카가미 가오리, 톰 앤더슨, 이브 쟌노 등이 강연자로 참여했다.[1]
'''감독 클래스'''에서는 영화제 선정작 감독들이 참가자들과 경험, 지식, 노하우를 공유한다. 2009년에는 메리 카츠케 & 나티 바라츠, 카렌 마이클, 안드레이 다스칼레스쿠, 샐리 구티에레즈 드와 & 스텔리오스 쿨 등이 강연을 진행했다.[1]
'''특별 클래스'''에서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다큐멘터리 영화제 관계자나 수상 경력이 있는 제작자의 강연이 열린다. 2009년에는 사이먼 엘 하브레가 강연했다.[1]
'''EIDF 다큐멘터리 펀드(EDF)'''는 다큐멘터리 콘텐츠 개발 및 공급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09년에는 이승준 감독의 ''빛나는 나무의 흐릿한 여정''이 최우수작으로 선정되어 3000만원의 제작 지원을 받았으며, 이 작품은 2010년 제7회 EIDF에서 상영될 예정이었다.
3. 1. 마스터 클래스
마스터 클래스는 다큐멘터리에 진정한 관심을 가진 일반 관람객과 다큐멘터리 제작자를 위한 특별 행사이다. 관람객들은 영화 제작자 및/또는 프로듀서의 목소리를 통해 다큐멘터리의 현재 상태를 엿볼 수 있다.3. 2. 감독 클래스
감독 클래스에서는 영화제 선정작의 감독들이 영화제 참가자들과 그들의 열정, 경험 및 지식을 공유하며, 참가자들은 다큐멘터리 제작 및 영화 제작과 같은 실질적인 노하우를 얻을 수 있다.[1]
EIDF 2009 감독 클래스[1]3. 3. 특별 클래스
EIDF는 HOTDOC, IDFA와 같이 국제적으로 유명한 다큐멘터리 영화제에서 온 한국 참가자들과 함께 수상 경력이 있는 다큐멘터리 제작자의 특별 행사를 제공한다.[1]
2009년 EIDF 특별 클래스에서는 HOTDOCs 2009 최우수 다큐멘터리 수상자인 사이먼 엘 하브레가 '다큐멘터리 제작의 국제적 역량을 위한 구조와 편집의 상호 작용'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1]
3. 4. EIDF 다큐멘터리 펀드 (EDF)
EIDF는 더 나은 품질의 다큐멘터리 콘텐츠를 개발하고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EIDF 다큐멘터리 펀드(EDF)를 출범시켰다. EDF는 많은 다큐멘터리 감독들을 유치했으며 개발 중인 다큐멘터리 작품을 강화했다.
EDF는 2009년 EIDF 최우수작으로 이승준 감독의 ''빛나는 나무의 흐릿한 여정''을 발표했으며, 수상자에게는 3000만원의 재정 지원이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수상작의 최종 제작본은 2010년 제7회 EIDF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4. 역대 수상작
EBS 국제다큐영화제는 매년 다양한 주제로 세계 각국의 다큐멘터리를 선보이며, 우수한 작품들을 시상해왔다. 다음은 역대 수상작 및 관련 정보를 정리한 내용이다.
연도 | 회차 | 개막일 | 폐막일 | 개막작 | 상영작품 | 대상 | 슬로건 |
---|---|---|---|---|---|---|---|
2004 | 1회 | 8월 30일 | 9월 5일 | 주부의 얼음땡 | 99편 | 안녕 나의 집 | 변혁의 아시아 |
2005 | 2회 | 8월 29일 | 9월 4일 | 또 다른 생존의 땅, 메솟 | 98편 | 필리핀 소년, 분소 | 생명과 평화의 아시아 |
2006 | 3회 | 7월 10일 | 7월 16일 | 반 누엔의 여정 | 42개국 83편 | 아웃 오브 바운드 | 화해와 공존, 번영의 아시아 |
2007 | 4회 | 8월 27일 | 9월 2일 | 영혼의 메아리 | 35개국 54편 | 푸지에 | 사람과 사람, 공존을 위한 대화 |
2008 | 5회 | 9월 22일 | 9월 28일 | 세상 끝과의 조우 | 21개국 43편 | 우리가 알았더라면 | 차이와 다양성을 넘어 |
2009 | 6회 | 9월 21일 | 9월 27일 | 구글 베이비 | 20개국 50편 | 환생을 찾아서 | 지구, 더불어 사는 곳 |
2010 | 7회 | 8월 23일 | 8월 29일 | 달팽이의 별 | 27개국 49편 | 집으로 가는 기차 | 우리의 시선 너머 |
2011 | 8회 | 8월 19일 | 8월 25일 | 잘 지내니, 루돌프? | 29개국 51편 | 마라톤 보이 | 세상에 외치다 |
2012 | 9회 | 8월 17일 | 8월 24일 | 불리 | 31개국 48편 | 그들만의 세상 | 다큐, 세상을 움직이다 |
2013 | 10회 | 10월 18일 | 10월 25일 | 블랙아웃 | 23개국 54편 | 전선으로 가는 길 | 진실의 힘 |
2014 | 11회 | 8월 25일 | 8월 31일 | 그 노래를 기억하세요 | 23개국 50편 | 홈스는 불타고 있다 | 다큐, 희망을 말하다 |
2015 | 12회 | 8월 24일 | 8월 30일 | 스톡홀름씨의좋은날 | 32개국 52편 | 티타임 | 세상과 통하다[8] |
2016 | 13회 | 8월 22일 | 8월 28일 | 브라더스 | 30개국 53편 | 내추럴 디스오더[9] | 다큐로 보는 세상[10] |
2017 | 14회 | 8월 21일 | 8월 27일 | 나의 시, 나의 도시 | 24개국 70편 | 버블패밀리[11] | 다큐로 보는 세상[12] |
2018 | 15회 | 8월 20일 | 8월 26일 | 비비안 웨스트 우드 : 펑크, 아이콘, 액티비스트[13] | 33개국 72편 | 멀리 개 짖는 소리가 들리고 | 우리는 멈추지 않는다[14] |
2019 | 16회 | 8월 19일 | 8월 25일 | 미드나잇 트래블러 | 34개국 73편 | 허니랜드 | 다큐멘터리, 세상을 비추다 |
2020 | 17회 | 8월 17일 | 8월 23일 | 매들린, 런웨이의 다운증후군 소녀 | 30개국 69편 | 시네마 파미르 | 다시 일상으로 - 다큐, 내일을 꿈꾸다! |
2021 | 18회 | 8월 23일 | 8월 29일 | 최초의 만찬 | 29개국 64편 | 시마스 씨의 도약 | 일상의 특별함을 담다 |
2022 | 19회 | 8월 22일 | 8월 28일 | Dark Red Forest | 24개국 63편 | 넬리와 나딘, '사라지는 유목민' | 다큐의 푸른 꿈을 찾아서 |
2023 | 20회 | 8월 21일 | 8월 27일 | 땅에 쓰는 시 | 35개국 56편 | 침묵의집 | 시대 정신을 열다 |
2024 | 21 | 8월 19일 | 8월 25일 | 어떤 프랑스 청년 | 35개국 56편 | 영사실의 불빛 | 시대에 다리를 놓다 |
각 회차별 주요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회차 | 대상 | 다큐멘터리 정신상/스피릿 상 | 심사위원 특별상 | 기타 수상 |
---|---|---|---|---|
1회 | 안녕 나의 집 | 여정 | 양쯔 1호와 나 | 시청자상: 어느 암환자의 해피데이 |
2회 | 필리핀 소년, 분소 | 작은 새 | 콘크리트 혁명 | 시청자상: 부탄의 오지학교 |
3회 | 아웃 오브 바운드 | 강의 끝은 어디인가 | 전장의 미소 | 시청자상: 우리 자신의 빈라덴 |
4회 | 푸지에 | 미리키타니의 고양이 | 무크타르 마이의 외침 | 시청자상: 살기 위하여, 심사위원 특별언급: 암스테르담 편도 비행 |
5회 | 우리가 알았더라면 | 예술가와 수단 쌍둥이 | 지난 겨울, 갑자기 | 시청자상: 히어 앤 나우, 심사위원 특별 언급: 붉은 경쟁, 에덴의 악마들 |
6회 | 환생을 찾아서 | 나는 경제저격수였다 | 가자-스데롯 전쟁 전의 기록 | 시청자상: 환생을 찾아서, 심사위원 특별 언급: 얼굴: 그웬델린 이야기, 찢어라! 리믹스 선언 |
7회 | 집으로 가는 기차 | 디스코와 핵전쟁 | 스페이스 투어리스트 | UNICEF 특별상: 달팽이의 별, 시청자상: 달팽이의 별 |
8회 | 마라톤 보이 | 그린 웨이브 | 성 | 교육 다큐멘터리 대상: 월드 클래스 키즈, 시청자상: 마라톤 보이, UNICEF 특별상: 잘 지내니, 루돌프? |
9회 | 그들만의 세상 | 첨단 기술, 하류 인생 | 기적을 그리다 | 에듀 초이스 대상: 엄마 품에서, UNICEF 특별상: 이노센테, 시청자상: 내가 본 혁명 |
10회 | 전선으로 가는 길 | 게이트 키퍼 | 부즈카시 | UNICEF 특별상: 쓰촨은 무너지지 않았다, 시청자상: 오백 년의 약속 |
11회 | 홈스는 불타고 있다 | 마지막 인형극 | 아리엘 | UNICEF 특별상: 달에 부는 바람, 시청자·관객상: 112번의 결혼 |
12회 | 티타임 | 몽테뉴와 함께 춤을 | 어느 의대생의 죽음 | 시청자·관객상: 상상초월 작업실 |
13회 | 내추럴 디스오더 | 장미의 땅: 쿠르드의 여전사들 | 헛간의 마돈나 | 시청자·관객상: 장미의 땅: 쿠르드의 여전사들 |
14회 | 버블패밀리[11] | |||
15회 | 멀리 개 짖는 소리가 들리고 | |||
16회 | 허니랜드 | 다큐멘터리 고양상: 《셀피》, 심사위원 특별상: 《남겨진 여자들》, 관객상: 《굴락의 여성들》, 월드비전 특별상: 《나의 작은 댄싱 슈즈》 | ||
17회 | 글로벌 부문: 시네마 파미르 아시아 부문: X-월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글로벌 부문: 499 아시아 부문: 당신의 일 아닌 노랫소리 | 글로벌 부문 관객상: 겨울 아이들의 땅, 아시아 부문 관객상: 빛의 딸 | |
18회 | 글로벌 부문: 더 점프 아시아 부문: 나와 종교 지도자 | 글로벌 부문: 공명의 탄생 아시아 부문: 떠다니는 마을의 망명 | 글로벌 부문 관객상: 공명의 탄생, 아시아 부문 관객상: 호각, 심사위원 특별 언급: 라야 시니치나의 전쟁 | |
19회 | 넬리와 나딘, '사라지는 유목민' |
4. 1. 시상 부문
상 이름 | 상금 | 설명 |
---|---|---|
페스티벌 초이스 대상 | 10000USD | EIDF 본선 경쟁 부문 후보작 중 가장 완성도 높고 정교한 다큐멘터리에 수여. |
에듀 초이스 대상 | 10000USD | EIDF 2012 본선 경쟁 부문 후보작 중 교육에 신선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최고의 다큐멘터리에 수여. |
스피릿 상 | 7000USD | 매년 EIDF의 주제에 따라, EIDF 본선 경쟁 부문 후보작 중 감독의 예술적 정신과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가장 잘 드러낸 다큐멘터리에 수여. |
심사위원 특별상 | 5000USD | EIDF 본선 경쟁 부문 후보작 중 실험성과 형식 면에서 뛰어난 접근 방식을 보여준 다큐멘터리에 수여. |
유니세프 특별상 | 5000USD | 기존 출품작 중 어린이 관련 내용을 담거나 어린이를 위한 희망찬 메시지를 담은 영화에 수여. |
관객상 | 3000USD | EIDF 본선 경쟁 부문 후보작 중 온라인 및 오프라인 투표 시스템을 통해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다큐멘터리에 수여. |
회차 | 개요 | 수상작 | 심사위원 |
---|---|---|---|
제1회 | 2004년 8월 30일부터 9월 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99편의 다큐멘터리가 TV와 EBS SPACE 공개홀을 통하여 상영됐다. | ||
제2회 | 2005년 8월 29일부터 9월 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98편의 다큐멘터리가 TV와 EBS SPACE 공개홀을 통하여 상영됐다. | ||
제3회 | 화해와 공존, 번영의 아시아를 주제로 2006년 7월 10일부터 7월 1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83편의 다큐멘터리가 TV와 EBS SPACE를 통하여 상영됐다. | ||
제4회 | 사람과 사람, 공존을 위한 대화를 주제로 2007년 8월 27일부터 9월 2일까지 TV, EBS SPACE, 메가박스 코엑스, 연세대학교 inD, 대안공간 루프, 아트스페이스 카메라타 등을 통하여 35개국에서 출품한 54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됐다. | ||
제5회 | 차이와 다양성을 넘어라는 주제로 2008년 9월 22일부터 28일까지 EBS SPACE, 아트하우스 모모, TV를 통하여 21개국에서 출품한 43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됐다. | ||
제6회 | 6회 영화제부터 한국어 이름이 국제다큐영화제로 바뀌었다. 지구, 더불어 사는 곳을 주제로 2009년 9월 21일부터 2009년 9월 27일까지 EBS SPACE, 아트하우스 모모, TV를 통하여 20개국에서 출품한 50여 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됐다. | ||
제7회 | 우리의 시선너머(Flying Over)라는 주제로 2010년 8월 23일부터 8월 29일까지 진행됐다. 총 83개국 536편의 출품작을 받았으며, 49편의 경쟁ㆍ비경쟁 부문에 소개됐다. | ||
제8회 | 세상에 외치다(Be the Voice)를 주제로 2011년 8월 19일부터 8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83개국에서 664편의 작품이 출품되었고 그 중 51편을 선정해 상영하였다. 교육 다큐멘터리 경쟁부문이 신설됐다.[15] | ||
제9회 | 다큐, 세상을 움직이다(Play the World)를 주제로 2012년 8월 17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었다. 82개국에서 710편의 작품이 출품되었고 그 중 48편을 선정해 상영한다. | ||
제10회 | 진실의 힘(TRUTH LET IT BE HEARD)를 주제로 2013년 10월 18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되었다. 91개국에서 756편의 작품이 출품되었고 그 중 54편을 선정해 상영했다. | ||
제11회 | 다큐, 희망을 말하다(Hope Lies Within US)를 주제로 2014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되었다. 82개국에서 781편의 작품이 출품되었고 그 중 50편을 선정해 상영했다. | ||
제12회 | 세상과 통하다(Connecting with the World)를 주제로 2015년 8월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었다. 81개국에서 805편의 작품이 출품되었고 그 중 52편을 선정해 상영했다. | ||
제13회 | 다큐로 보는 세상(Plugging into the World)를 주제로 2016년 8월 22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었다. 30개국 53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되었다. |
4. 2. 연도별 수상 기록
년도 | 회차 | 개막일 | 폐막일 | 개막작 | 상영작품 | 대상 | 슬로건 |
---|---|---|---|---|---|---|---|
2004년 | [http://www.eidf.org/2004/kor/index.html 1] | 8월 30일 | 9월 5일 | 주부의 얼음땡 | 99편 | 안녕 나의 집 | "변혁의 아시아" |
2005년 | [https://web.archive.org/web/20140408224147/http://eidf.org/2005_fall/ 2] | 8월 29일 | 9월 4일 | 또 다른 생존의 땅, 메솟 | 98편 | 필리핀 소년, 분소 | "생명과 평화의 아시아" |
2006년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43/http://www.eidf.org/2006/fall/ 3] | 7월 10일 | 7월 16일 | 반 누엔의 여정 | 42개국 83편 | 아웃 오브 바운드 | "화해와 공존, 번영의 아시아" |
2007년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41357/http://eidf.org/2007_fall/ 4] | 8월 27일 | 9월 2일 | 영혼의 메아리 | 35개국 54편 | 푸지에 | "사람과 사람, 공존을 위한 대화" |
2008년 | [https://web.archive.org/web/20081120135433/http://www.eidf.org/2008/ 5] | 9월 22일 | 9월 28일 | 세상 끝과의 조우 | 21개국 43편 | 우리가 알았더라면 | "차이와 다양성을 넘어" |
2009년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46/http://www.eidf.org/2009/ 6] | 9월 21일 | 9월 27일 | 구글 베이비 | 20개국 50편 | 환생을 찾아서 | "지구, 더불어 사는 곳" |
2010년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55/http://www.eidf.org/2010/ 7] | 8월 23일 | 8월 29일 | 달팽이의 별 | 27개국 49편 | 집으로 가는 기차 | "우리의 시선 너머" |
2011년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57/http://www.eidf.org/2011/ 8] | 8월 19일 | 8월 25일 | 잘 지내니, 루돌프? | 29개국 51편 | 마라톤 보이 | "세상에 외치다" |
2012년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58/http://www.eidf.org/2012/ 9] | 8월 17일 | 8월 24일 | 불리 | 31개국 48편 | 그들만의 세상 | "다큐, 세상을 움직이다" |
2013년 | [https://web.archive.org/web/20140408212214/http://www.eidf.org/2013/ 10] | 10월 18일 | 10월 25일 | 블랙아웃 | 23개국 54편 | 전선으로 가는 길 | "진실의 힘" |
2014년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504/http://www.eidf.org/kr/2014/introduce 11] | 8월 25일 | 8월 31일 | 그 노래를 기억하세요 | 23개국 50편 | 홈스는 불타고 있다 | "다큐, 희망을 말하다" |
2015년 | [http://www.eidf.co.kr/2015kor/about/eidf2015/ 12] | 8월 24일 | 8월 30일 | 스톡홀름씨의좋은날 | 32개국 52편 | 티타임 | "세상과 통하다"[8] |
2016년 | [https://web.archive.org/web/20160827202452/http://www.eidf.co.kr/kor/about/eidf2016/ 13] | 8월 22일 | 8월 28일 | 브라더스 | 30개국 53편 | 내추럴 디스오더[9] | "다큐로 보는 세상"[10] |
2017년 | [https://web.archive.org/web/20160824034852/http://www.eidf.co.kr/kor 14] | 8월 21일 | 8월 27일 | 나의 시, 나의 도시 | 24개국 70편 | 버블패밀리[11] | "다큐로 보는 세상"[12] |
2018년 | [https://web.archive.org/web/20160824034852/http://www.eidf.co.kr/kor 15] | 8월 20일 | 8월 26일 | 비비안 웨스트 우드 : 펑크, 아이콘, 액티비스트[13] | 33개국 72편 | 멀리 개 짖는 소리가 들리고 | "우리는 멈추지 않는다"[14] |
2019년 | [http://www.eidf.co.kr/kor 16] | 8월 19일 | 8월 25일 | 미드나잇 트래블러 | 34개국 73편 | 허니랜드 | "다큐멘터리, 세상을 비추다" |
2020년 | [http://www.eidf.co.kr/kor 17] | 8월 17일 | 8월 23일 | 매들린, 런웨이의 다운증후군 소녀 | 30개국 69편 | 시네마 파미르 | "다시 일상으로 - 다큐, 내일을 꿈꾸다!" |
2021년 | [https://www.eidf.co.kr/kor?NaPm=ct%3Dhf2bview%7Cci%3D0Gy1001FZzHfpCO600-M%7Ctr%3Dsa%7Cet%3Dhf3rbd2w%7Cba%3D1%2E0%7Caa%3D1%2E0%7Chk%3Db03c9555b13a8cdb2e0c58e6759281a4efcd510d 18] | 8월 23일 | 8월 29일 | 최초의 만찬 | 29개국 64편 | 시마스 씨의 도약 | "일상의 특별함을 담다" |
2022년 | 19 | 8월 22일 | 8월 28일 | Dark Red Forest | 24개국 63편 | 넬리와 나딘, '사라지는 유목민' | "다큐의 푸른 꿈을 찾아서" |
2023년 | 20 | 8월 21일 | 8월 27일 | 땅에 쓰는 시 | 35개국 56편 | 침묵의집 | "시대 정신을 열다" |
2024년 | 21 | 8월 19일 | 8월 25일 | 어떤 프랑스 청년 | 35개국 56편 | 영사실의 불빛 | "시대에 다리를 놓다" |
- 극장에서 관람 시 관람료는 5000KRW이다.
회차 | 개요 | 수상작 | 심사위원 |
---|---|---|---|
[http://www.eidf.org/2004/kor/index.html 제1회] | 2004년 8월 30일부터 9월 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99편의 다큐멘터리가 TV와 EBS SPACE 공개홀을 통하여 상영됐다. | ||
[https://web.archive.org/web/20140408224147/http://eidf.org/2005_fall/ 제2회] | 2005년 8월 29일부터 9월 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98편의 다큐멘터리가 TV와 EBS SPACE 공개홀을 통하여 상영됐다. |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43/http://www.eidf.org/2006/fall/ 제3회] |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41357/http://eidf.org/2007_fall/ 제4회] | |||
[https://web.archive.org/web/20081120135433/http://www.eidf.org/2008/ 제5회] |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46/http://www.eidf.org/2009/ 제6회] |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55/http://www.eidf.org/2010/ 제7회] |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57/http://www.eidf.org/2011/ 제8회] | |||
[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34458/http://www.eidf.org/2012/ 제9회] | 다큐, 세상을 움직이다를 주제로 2012년 8월 17일부터 24일까지 82개국 710편 중 48편이 상영되었다. | ||
[https://web.archive.org/web/20140408212214/http://www.eidf.org/2013/ 제10회] | 진실의 힘을 주제로 2013년 10월 18일부터 25일까지 91개국 756편 중 54편이 상영되었다. | ||
[http://www.eidf.org/2014 제11회] | 다큐, 희망을 말하다를 주제로 2014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82개국 781편 중 50편이 상영되었다. | ||
[http://www.eidf.org/2015 제12회] | 세상과 통하다를 주제로 2015년 8월 24일부터 30일까지 81개국 805편 중 52편이 상영되었다. | ||
[http://www.eidf.org/2016 제13회] | 다큐로 보는 세상을 주제로 2016년 8월 22일부터 28일까지 30개국 53편이 상영되었다. | ||
[http://www.eidf.org/2017 14] | 2017년 8월 21일부터 8월 27일까지 24개국 70편 상영 | ||
[http://www.eidf.org/2018 15] | 2018년 8월 20일부터 8월 26일까지 33개국 72편 상영 | ||
[http://www.eidf.org/2019 16] | 2019년 8월 17일부터 8월 25일까지 34개국 73편 상영 | ||
[https://www.eidf.co.kr/kor/archive/2020 17] | 글로벌 부문 | 페스티벌 초이스(경쟁): 글로벌 심사위원 | |
[https://www.eidf.co.kr/eng/archive/2021 18] | 페스티벌 초이스(경쟁) 글로벌 | 페스티벌 초이스(경쟁): 글로벌 심사위원 | |
[https://www.eidf.co.kr/eng/about/eidf 19] | 페스티벌 초이스(경쟁): 글로벌 심사위원 | ||
'''페스티벌 초이스 대상:''' 10000USD EIDF 본선 경쟁 부문 12개 후보작 중 가장 완성도 높고 정교한 다큐멘터리에 수여.
'''에듀 초이스 대상:''' 10000USD EIDF 2012 본선 경쟁 부문 후보작 중 교육에 신선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최고의 다큐멘터리에 수여.
'''스피릿 상:''' 7000USD 매년 EIDF의 주제에 따라, EIDF 본선 경쟁 부문 12개 후보작 중 감독의 예술적 정신과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가장 잘 드러낸 다큐멘터리에 수여.
'''심사위원 특별상:''' 5000USD EIDF 본선 경쟁 부문 12개 후보작 중 실험성과 형식 면에서 뛰어난 접근 방식을 보여준 다큐멘터리에 수여.
'''유니세프 특별상:''' 5000USD 기존 출품작 중 어린이 관련 내용을 담거나 어린이를 위한 희망찬 메시지를 담은 영화에 수여.
'''관객상:''' 3000USD EIDF 본선 경쟁 부문 12개 후보작 중 온라인 및 오프라인 투표 시스템을 통해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다큐멘터리에 수여.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Gunny Hyoung
http://www.asianside[...]
2018
[2]
뉴스
‘Stand for Truth’ executive producer brings honor to the Philippines
http://manilastandar[...]
2019-09-27
[3]
웹사이트
EBS EIDF
https://global.ebs.c[...]
2019-09-27
[4]
웹사이트
EBS documentary fest returns this week : Films on aging couples, nagging mother-in-law are annual event’s highlights
http://koreajoongang[...]
2019-09-27
[5]
뉴스
장성규, 제18회 EBS국제다큐영화제 개막 방송 MC
Naver
2021-08-20
[6]
뉴스
EBS 국제다큐영화제 3년 만에 관객 만난다
Naver
2022-08-04
[7]
뉴스
명품 다큐, TV로 즐긴다!… EBS국제다큐영화제 19일 개막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1-08-08
[8]
웹인용
세상과 통하다, 제 12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8월 24일 개막
http://about.ebs.co.[...]
[9]
문서
지식채널e에서는 야코브이야기로 나온적이있으며 여기서 나온 야코브는 한국계 덴마크인인 야코브윤의 내용이다.
[10]
웹인용
제13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8월 22일 개막
http://about.ebs.co.[...]
[11]
문서
한국인 최초수상이다.
[12]
웹인용
제14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8월 21일 개막
http://about.ebs.co.[...]
[13]
웹인용
개막식/시상식 EIDF
http://www.eidf.co.k[...]
2018-08-19
[14]
웹인용
제15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8월 20일 개막
http://about.ebs.co.[...]
[15]
뉴스
다큐 축제 열린다‥'국제다큐영화제 EIDF'
http://www.ebs.co.kr[...]
EBS뉴스
2011-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