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는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과 WWE에서 개최된 프로레슬링 이벤트이다. 1995년 ECW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2003년 ECW의 자산을 인수한 WWE는 2006년 ECW 브랜드를 부활시키면서 이벤트를 다시 개최했다. 1995년의 이벤트는 ECW 아레나에서 900명의 관중을, 2006년의 이벤트는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에서 4,800명의 관중을 동원했다. 2006년 이벤트는 ECW 오리지널 선수들의 푸대접과 빈약한 대진으로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12월 - 2006년 아시안 게임
2006년 아시안 게임은 카타르 도하에서 45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38개 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 대한민국이 2위를 기록했고, 김형칠 선수 사망 사고와 박태환 선수의 3관왕 달성 등 다양한 사건과 기록이 있었다. - 2006년 12월 - 제57회 NHK 홍백가합전
제57회 NHK 홍백가합전은 2006년에 방송된 연말 특집 프로그램으로, 미야케 타미오 등이 사회를 맡았으며, DJ OZMA의 무대 연출 논란 속에서 백조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고, 초고화질 텔레비전으로 방송되었다. - ECW 페이퍼뷰 - 매서커 온 34th 스트리트
매서커 온 34th 스트리트는 1999년 ECW에서 열린 프로레슬링 이벤트로,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놓고 스티브 코리노, 제리 린, 저스틴 크레더블이 격돌하는 메인 이벤트를 포함해 여러 경기로 구성되었으며, 코리노가 챔피언 자리를 방어했지만 경기 후 폭력 사태로 마무리되었다. - ECW 페이퍼뷰 - ECW 하드코어 TV
ECW 하드코어 TV는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의 주간 프로그램으로, 라이브 이벤트 영상 편집본, 백스테이지 프로모, 비네트 등으로 구성되어 ECW 특유의 하드코어한 폭력과 성적인 묘사, 거친 언어를 여과 없이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 WWE 페이퍼뷰 - WWF 원 나이트 온리
WWF 원 나이트 온리는 1997년 영국에서 개최된 월드 레슬링 연맹의 일회성 페이퍼뷰 이벤트이며, 숀 마이클스와 브리티시 불독의 유러피언 챔피언십 경기가 메인 이벤트로 진행되었다. - WWE 페이퍼뷰 -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는 WWE의 연례 PPV 이벤트로, 모든 챔피언십 경기가 한 자리에서 펼쳐지는 콘셉트로 시작하여 브랜드 분할과 통합, 챔피언십 변동에 따라 변화해 왔지만 WWE의 주요 이벤트 중 하나이다.
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 | |
---|---|
디셈버 투 디스멤버 | |
첫 번째 이벤트 | 1995 |
마지막 이벤트 | 2006 |
2. 역사
1995년,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은 12월 9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ECW 아레나에서 디셈버 투 디스멤버라는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 첫 번째 이벤트는 비방송 슈퍼카드(supercard)였다.[1] 2001년 ECW가 재정 문제로 문을 닫으면서, 이 이벤트는 ECW가 개최한 유일한 디셈버 투 디스멤버가 되었다.[2]
2003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는 ECW의 자산을 인수했다.[3] 2006년 5월, WWE는 세 번째 브랜드인 ECW를 출범시켰다. 이 브랜드에서는 기존 ECW 출신 선수들과 새로운 선수들이 함께 경쟁했으며, 당시 WWE의 다른 두 브랜드는 RAW와 SmackDown!이었다.[4]
WWE는 디셈버 투 디스멤버를 ECW 브랜드의 페이퍼뷰(PPV)로 다시 개최하기로 결정했고, 2006년 12월 3일 조지아주 오거스타에 있는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에서 열렸다.[5] 그러나 이는 WWE가 2007년 4월 레슬매니아 23 이후 브랜드 독점 PPV를 중단하기로 결정하기 전까지 제작된 유일한 ECW 브랜드 페이퍼뷰였다.[6]
2. 1. ECW 시대 (1995)
1995년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은 12월 9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ECW 아레나에서 디셈버 투 디스멤버를 개최했다.[1] 이 이벤트는 ECW에서 유일하게 개최된 디셈버 투 디스멤버였다.이 날, 메인 이벤트는 얼티밋 제퍼디 스틸 케이지 매치로, 더 퍼블릭 에너미, 더 핏불스, 토미 드리머가 한 팀을 이루고, 더 헤븐리 바디스, 디 엘리미네이터스, 레이븐, 스티비 리차즈가 다른 팀을 이루어 경기를 펼쳤다.[1]
'''ECW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은 3자간 댄스 형식으로, 마이키 윕렉(c), 스티브 오스틴, 더 샌드맨이 경기를 펼쳤다.[1]
2. 1. 1. 주요 경기 결과
순서 | 경기 방식 | 경기 결과 |
---|---|---|
1 | 싱글 매치 | 댄스 위드 더들리 & 더들리 더들리 vs 배드 크루 |
2 | 싱글 매치 | 타즈 vs 엘 푸에르토리칸 |
3 | 싱글 매치 | 핵 마이어스 vs 브루저 머스티노 |
4 | 태그팀 매치 | 더 일리미네이터스(페리 새턴 & 존 크로너스) vs 더 핏불스 |
5 | 싱글 매치 | 레이븐 vs 토미 드리머 |
6 | 싱글 매치 | JT 스미스 vs 토니 스테트슨 |
7 | 3자간 댄스 형식 ECW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 | 마이키 윕렉(c) vs 스티브 오스틴 vs 더 샌드맨 |
8 | 태그팀 매치 | 더 퍼블릭 에너미(로코 록 & 조니 그런지) vs 더 헤븐리 바디스(톰 프리처드 & 지미 델 레이) |
9 | 얼티밋 제퍼디 스틸 케이지 매치 | 더 퍼블릭 에너미(로코 록 & 조니 그런지) & 더 핏불스 & 토미 드리머 vs 더 헤븐리 바디스(톰 프리처드 & 지미 델 레이) & 더 일리미네이터스(페리 새턴 & 존 크로너스) & 레이븐 & 스티비 리차즈 |
2. 2. WWE 시대 (2006)
2003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는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의 자산을 인수했다.[3] 2006년 5월, WWE는 3번째 브랜드인 ECW를 출범시켰다. 이 브랜드에서는 해체된 프로모션의 동문들과 새로운 선수들이 경쟁했으며, 당시 WWE의 다른 두 브랜드는 RAW와 SmackDown!이었다.[4]WWE는 디셈버 투 디스멤버를 ECW 브랜드의 페이퍼뷰(PPV)로 부활시켰고, 2006년 12월 3일 조지아주 오거스타에 있는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James Brown Arena)에서 개최했다.[5] 이는 WWE가 2007년 4월 레슬매니아 23 이후 브랜드 독점 PPV를 중단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제작한 유일한 ECW 브랜드 페이퍼뷰였다.[6]
# | 이벤트 | 날짜 | 도시 | 장소 | 메인 이벤트 |
---|---|---|---|---|---|
2 | 디셈버 투 디스멤버 (2006) | 2006년 12월 3일 | 조지아주 오거스타 |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 | 빅 쇼 (c) vs. 바비 래쉴리 vs. 롭 밴 댐 vs. CM 펑크 vs. 하드코어 할리 vs. 테스트의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 (ECW 월드 챔피언십)[5] |
2. 2. 1. 주요 경기 결과
2006年大会일본어의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5]순서 | 경기 내용 | 비고 |
---|---|---|
1 | 스티비 리차즈 vs 레네 듀프리 | 다크 매치 |
2 | 더 하디즈 (매트 하디 & 제프 하디) vs MNM(조니 나이트로 & 조이 머큐리) (w/ 멜리나) | 하디즈 오픈 챌린지 |
3 | 볼스 마호니 vs 매트 스트라이커 | 스트라이커스 룰 매치 |
4 | 엘리야 버크 & 실베스터 터케이 vs F.B.I (리틀 구이도 마리타트 & 토니 마말룩) (w/ 트리니티) | |
5 | 데바리 (w/ 그레이트 칼리) vs 토미 드리머 | |
6 | 케빈 손 & 아리엘 vs 마이크 녹스 & 켈리 켈리 | |
7 | 빅 쇼 (c) vs 바비 래쉴리 vs 테스트 vs 롭 밴 댐 vs 하드코어 홀리 vs CM 펑크 | 익스트림・엘리미네이션 체임버 형식 ECW 월드 챔피언십 |
-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체임버 경기에서 원래 사부가 출전 예정이었으나, 빅 쇼의 타이틀 유지를 원했던 GM 폴 헤이먼이 경기 직전 사부를 습격하여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하드코어 홀리가 대신 출전하였다.
순서 | 퇴장 선수 | 입장 순서 | 퇴장시킨 선수 |
---|---|---|---|
1 | CM 펑크 | 3 | 롭 밴 댐 |
2 | 하드코어 홀리 | 2 | 테스트 |
3 | 롭 밴 댐 | 1 | 테스트 |
4 | 테스트 | 4 | 바비 래쉴리 |
5 | 빅 쇼 | 6 | 바비 래쉴리 |
승자 | 바비 래쉴리 | 5 |
2. 2. 2. 비판과 논란
2006년 디셈버 투 디스멤버는 여러 면에서 팬들과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특히, ECW 오리지널 선수들에 대한 푸대접과 빈약한 대진은 주요 비판 대상이었다.[1]- ECW 오리지널 선수 푸대접: ECW의 상징적인 선수들인 롭 밴 댐, 사부, 샌드맨 등이 챔피언십 경기에서 배제되거나, 스토리라인에서 소외되는 등 푸대접을 받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사부는 경기 직전 폴 헤이먼의 계략으로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고, 하드코어 홀리가 대신 출전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팬들의 불만이 커졌다.[1]
- 빈약한 대진: 단 2개의 페이 퍼 뷰 독점 경기만 확정된 채로 대회가 시작되었고, 이마저도 팬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메인 이벤트였던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체임버 경기는 ECW 월드 챔피언십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할 정도로 긴장감과 박진감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받았다.[1]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체임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1]
웹사이트
December to Dismember
http://www.prowrestl[...]
2020-11-16
3. 개최 장소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 수 메인 이벤트 1995년 12월 9일 미국 필라델피아 ECW 아레나 1,000명 더 퍼블릭 에너미 (로코 락 & 조니 그런지) & 더 핏불 (게리 울프 & 앤소니 더랜트) & 타미 드리머 vs. 더 헤븐리 바디스 (톰 프리처드 & 지미 델 레이) & 더 엘리미네이터스 (페리 세턴 & 존 크로너스) & 레이븐 & 스티비 리차드 (얼티밋 제퍼디 스틸 케이지 매치) 2006년 12월 3일 미국 오거스타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 4,800명 바비 래쉴리 vs. 빅 쇼 vs. 랍 밴 댐 vs. 하드코어 할리 vs. CM 펑크 vs. 테스트 (ECW 챔피언십, 익스트림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매치)[5]
참조
[2]
서적
Between the Ropes: Wrestling's Greatest Triumphs and Failures
ECW Press
[3]
웹사이트
WWE acquires ECW Assets (HHG Corporation)
https://pdfslide.net[...]
PDF Slide
2003-01-28
[4]
웹사이트
WWE brings ECW to Sci Fi Channel
http://www.wwe.com/s[...]
WWE
2006-06-02
[5]
웹사이트
Lashley has a December to Remember
http://slam.canoe.ca[...]
Canadian Online Explorer
2006-12-04
[6]
웹사이트
WWE Pay-Per-Views To Follow WrestleMania Formula
http://corporate.ww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Corporate
2008-07-13
[7]
비디오
WWE 2007 Annual Shareholders Meeting
http://media.wwe.com[...]
WWE Corporate
2008-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