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1 수류탄 (러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1 수류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처음 등장한 러시아의 방어형 수류탄이다. 강철 외피는 파편 생성을 촉진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며, 유효 살상 범위는 반경 20-30m이다. F-1은 폭발 시 290개의 파편을 생성하며, 투척 거리는 30-45m이다. 이 수류탄은 더 이상 주요 군사 무기로 사용되지 않지만, 여러 국가 및 반군 단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파생형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류탄 - 연막탄
    연막탄은 시야 차단, 신호 전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군사적, 비군사적 활용이 가능하지만, 위험 물질 사용과 화재, 유해 물질 노출 위험이 있어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며, 종류와 규제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 수류탄 - 봉화시
    봉화시는 6세기부터 사용된 소이 무기로, 화약과 불을 이용하여 적에게 피해를 입혔으며, 16세기 이후에는 로켓 형태로 발전하여 해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 화기 - 마우저 C96
    마우저 C96은 피델 페더레 형제가 설계하고 1896년부터 생산된 독일제 반자동 권총으로, 독특한 디자인과 개머리판 장착 기능, 강력한 화력으로 20세기 전반 여러 전쟁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복제 생산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 화기 - DShK
    DShK는 바실리 데그탸료프가 개발하고 게오르기 슈파긴이 개량한 12.7×108mm 탄을 사용하는 벨트 급탄식 기관총으로, 제2차 세계 대전부터 현재까지 보병 지원, 대공전, 차량 탑재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 소련의 군사에 관한 - SU-76
    SU-76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 자주포로, T-26, T-70 경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 소련의 군사에 관한 - 미하일 투하쳅스키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는 러시아 내전에서 붉은 군대 지휘관으로 활약하며 "붉은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스탈린과의 갈등 끝에 처형당한 후 복권된, 종심타격이론 개발 등 붉은 군대 현대화에 기여한 인물이다.
F1 수류탄 (러시아)
개요
F-1 수류탄
F-1 수류탄
종류대인 수류탄
기본 정보
원산지소비에트 연방
사용 국가소비에트 연방, 쿠바, 중국
사용 시기1939년–현재 (러시아)
참전제2차 세계 대전
후크발라합 반란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로디지아 부시 전쟁
6일 전쟁
욤 키푸르 전쟁
앙골라 내전
이란-이라크 전쟁
이라크 전쟁
제1차 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돈바스 전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설계자불명
설계 시기불명
제조사불명
생산 시기불명
파생형불명
제원
무게600g
길이130mm
지름55mm
폭약트리니트로톨루엔
폭약 무게60g
작동 방식시간 지연 신관 3.2 ~ 4.2초
폭발 반경불명

2. 역사

F-1 수류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전후에 재설계되었다. 프랑스제 F1 수류탄을 본떠 개발되었는데, 프랑스제 F1 수류탄의 격발 장치는 플라이오프 레버식 점화 기구(격철이 회전하여 안전 레버를 밀어내고, 그 후 뇌관을 타격하여 지연약을 점화)인 반면, F1 수류탄은 신관의 스트라이커가 밀스 수류탄처럼 직선 운동을 하여 격발한다. 초기형 Koveshnikov 신관에서는 안전핀만으로 격침을 유지했지만, 1942년경 도입된 UZRG 신관에서는 안전핀과 안전 레버를 모두 사용하여 격침을 유지하도록 개량되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초기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러시아 연방군에서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수류탄 표면 색상은 짙은 녹색 외에 OD색이 사용된다.[1]

2. 2. 냉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F1 수류탄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통해 공산권 국가들에 배치되었고 라이선스 생산도 이루어져 동구권 군대의 대표적인 수류탄이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의 주요 수류탄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2. 3.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몇 차례 개량을 거치면서 러시아 연방군에서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5] 수류탄 표면 색상은 짙은 녹색 외에 OD색이 사용된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의해 공산권 국가에 배치 및 라이선스 생산이 이루어져 동구권군대에서 대표적인 수류탄이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통칭: 베트콩)의 대표적인 수류탄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F-1은 더 이상 이전 바르샤바 조약 국가에서 최전선 무기로 간주되지 않지만, 특히 반군 단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F-1 수류탄을 복제 생산한 국가 및 단체들이다.

  • 중국: Type 1이라는 명칭으로 생산
  • 불가리아, 체코, 조지아, 폴란드, 루마니아
  • 우크라이나: 2024년 9월 9일 군사용으로 승인된 개량된 F-1 수류탄 생산 시작[6]
  • 여러 반군 단체: F-1을 기반으로 자체 수류탄 생산

3. 특징

F1 수류탄은 방어형 수류탄으로 분류되며, 유효 살상 범위는 반경 20-30m이다.[5] 폭약으로는 TNT 60g이 사용되며, 신관을 포함한 수류탄 자체 무게는 600g이다. 폭발 지연 시간은 약 3-4초이다. 부비 트랩용으로 0초 지연 신관도 사용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이는 잘못된 정보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든 UZRGM 신관은 정상 작동 시 3.2초에서 4.2초의 지연 시간을 갖는다.[4] 투척 시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에 홈이 깊게 설계되어 있다.

강철 외피는 폭발 시 파편 생성을 촉진하고 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홈이 파여 있다. 파편 확산 반경은 최대 200m (유효 반경은 약 30m)이며,[5] 자해를 피하기 위해 방어적인 위치에서 투척해야 한다. 수류탄 몸체의 약 60%는 폭발 시 가루가 되며, 30%만이 290개의 고속 파편으로 쪼개진다. 각 파편의 무게는 약 1g이며, 초기 속도는 약 700m/s이다. 수류탄 표면 색상은 짙은 녹색 또는 OD색이 사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초기부터 생산되어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쳤으며, 러시아 연방군에서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의해 공산권 국가에 배치 및 라이선스 생산이 이루어져 동구권 군대의 대표적인 수류탄이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의 대표적인 수류탄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3. 1. 작동 방식

F1 수류탄(프랑스)의 격발 장치는 플라이오프 레버식 점화 기구(격철이 회전하여 안전 레버를 밀어내고, 그 후 뇌관을 타격하여 지연약을 점화)이다. 반면, F1 수류탄(러시아)에서는 신관의 스트라이커가 밀스 수류탄처럼 직선 운동을 하여 격발한다. 안전핀은 격침의 선단을 유지하고, 동시에 안전 레버를 신관 외통에 접합한다.[4] 초기형 Koveshnikov 신관에서는 안전핀만으로 격침을 유지했지만, 1942년경 도입된 UZRG 신관에서는 안전핀과 더불어 안전 레버의 상단도 격침의 후단을 유지하도록 개량되었다. 안전 레버는 얇은 금속판으로 성형되어 휴대용 고리로 사용할 정도의 강도는 없다. 신관이 점화되어 연소되기 시작하면 큰 "펑" 소리가 난다.[4]

4. 사용 국가

F1 수류탄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부터 생산되어 러시아 연방군에서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대전 후,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의해 공산권 국가에 배치 및 라이선스 생산이 이루어져 동구권 군대의 대표적인 수류탄이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의 대표적인 수류탄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F1 수류탄을 사용했거나 현재 사용 중인 국가는 다음과 같다.

'''현용 국가'''



'''과거 사용 국가'''

4. 1. 현용 국가

국가사용 여부 및 기타 정보
중국型|싱중국어 1 수류탄으로 현지 생산
조지아
이라크[7]
북한[8]
러시아
시리아
우크라이나국내에서 생산된 복제품[6]


4. 2. 과거 사용 국가

Ф-1|F-1ru 수류탄을 과거에 사용했던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소련
중국Type 1 수류탄으로 현지 생산[5]
체코[5]
조지아[5]
이라크[7]
북한[8]
폴란드2010년까지 최전선에서 사용[5]
남예멘체코슬로바키아에서 1982년과 1987년 사이에 50,000개 인도
시리아


5. 파생형

폴란드는 F-1을 기반으로 한 소총 수류탄인 F1/N60을 생산했다. 이 수류탄은 지연 신관 대신 충격 신관을 사용한다.[6]

6. 대중문화

F1 수류탄은 여러 영화 및 게임에 등장한다.

6. 1. 영화

007 리빙 데이라이트 후반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 기지 전투에서 사용되었다.[1] ICHIGEKI 일격에서 주인공이 종반 총격전에서 접근해 온 범죄 조직 자객에게 사용하였다.[2] 람보 3에서 소련군 요새 외연부에 구축된, 쳐진 와이어와 연결된 부비 트랩으로 등장한다.[3]

6. 2. 게임

스나이퍼 엘리트 V2에서 소련군의 장비로 "F1 수류탄"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주인공 칼 페어번도 이 수류탄을 조달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같은 종류로 사용할 수 있는 M24형 자루 수류탄에 비해 투척 거리는 짧지만 파괴력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6]

이스케이프 프롬 타르코프에서는 "F-1 hand granade"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7]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usacac.army.m[...] 2013-05-03
[2] 서적 Brassey's Infantry Weapons of the World Bonanza
[3] 문서 Происхождение "лимонки" http://army.armor.ki[...] Yu. Veremeev
[4] 서적 The Hand Grenade Bloomsbury Publishing
[5] 문서 Советская ручная граната Ф-1 http://armor.kiev.ua[...]
[6] 뉴스 Ukraine produces analogs of Soviet F-1 and RGD-5 grenades https://mil.in.ua/en[...] 2024-09-09
[7] 서적 Iraq Country Handbook https://www.sabrizai[...]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8
[8] 서적 North Korea Country Handbook https://nuke.fas.org[...]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