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BA 여자 아시아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BA 여자 아시아컵은 1965년 서울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개최되는 여자 농구 대회이다. 1995년 이후 거의 매년 개최되며, 2021년 대회에는 디비전 A에 8개국이 참가했다. 초창기에는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이후 예선 리그, 디비전제 도입 등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디비전 A 상위 팀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 자격을 얻는다. 대한민국은 12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이 뒤를 잇고 있다. 대회 MVP, 베스트 5 등 주요 수상 내역이 있으며, 대한민국, 중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 등이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BA 여자 아시아컵 - 1992년 FIBA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1992년 FIBA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는 예선 리그에서 대한민국이 1위를 했으나, 결승전에서 중국이 대한민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 대한민국은 은메달, 일본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여자 농구 - FIBA 여자 유로바스켓
FIBA 여자 유로바스켓은 유럽 농구 연맹 주관의 여자 농구 국가대항전으로, 1938년 첫 개최 이후 소련의 강세와 경쟁 구도 변화를 거쳐 러시아, 프랑스, 스페인 등 여러 국가가 우승 경쟁을 펼치며 MVP, 득점왕 등 기록을 통해 역사와 주요 선수를 조명한다. - 196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는 메이저 리그 팀들이 아마추어 선수들을 영입하기 위해 1965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전년도 성적 역순으로 선수를 지명하며 2022년부터는 로터리 방식을 일부 도입하고, 고등학교, 대학교, 전문대학 선수 및 일본인 선수도 지명 대상이 된다. - 196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여자 소프트볼 월드컵
여자 소프트볼 월드컵은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WBSC)이 주관하는 여자 소프트볼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로, 1965년 국제 소프트볼 연맹(ISF) 주최로 시작되어 2018년 대회 브랜드가 월드컵으로 재구축되었으며 미국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FIBA 여자 아시아컵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FIBA 여자 아시아컵 |
영어 명칭 | FIBA Women's Asia Cup |
종목 | 여자 농구 |
창립 | 1965년 |
참가 팀 수 | 12팀 |
지역 | 아시아 태평양 |
대륙 연맹 | FIBA 아시아 FIBA 오세아니아 |
최근 대회 | 2025 FIBA 여자 아시아컵 |
역대 우승팀 | |
최다 우승 | (12회 우승) (12회 우승) |
최근 우승 | (12번째 우승) |
관련 정보 | |
관련 대회 | FIBA 아시아컵 (남자 대회) |
공식 웹사이트 | FIBA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65년 서울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95년 제16회 대회 이후로는 거의 1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2021년 대회(디비전 A)의 출전국 수는 8개국이다.
대회 초기인 1978년 대회까지는 출전하는 모든 팀이 풀 리그전을 펼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출전 국가 수가 늘어난 1980년 대회부터는 예선 리그를 실시했고, 1986년 대회에서 다시 모든 팀 풀 리그전 방식으로 돌아왔다. 이후 1990년부터는 디비전제를 도입하여(1992년 제외) 수준별 경쟁이 이루어졌다. 도입 초기에는 FIBA 랭킹에 따라 디비전이 결정되었지만, 2007년 대회부터는 디비전 간 승강전이 실시되어 더욱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디비전 A 대회에서 상위권에 진입한 팀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한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또는 월드컵 아시아 대표를 결정했다.
2. 1. 초기 대회 (1965-1978)
1965년 서울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 초기에는 출전국 수가 적어 모든 팀이 풀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이 번갈아 우승을 차지하며 초기 아시안컵을 주도했다.개최 연도 | 개최국 | 결승 | 3위 결정전 | ||||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3위 | 스코어 | 4위 | ||
1965 상세 정보 | 서울 | 플레이오프 없음 | 플레이오프 없음 | ||||
1968 상세 정보 | 타이베이 | 플레이오프 없음 | 플레이오프 없음 | ||||
1970 상세 정보 | 쿠알라룸푸르 | 플레이오프 없음 | 플레이오프 없음 | ||||
1972 상세 정보 | 타이베이 | 66–51 | 70–54 | ||||
1974 상세 정보 | 서울 | 플레이오프 없음 | 플레이오프 없음 | ||||
1976 상세 정보 | 홍콩 | 플레이오프 없음 | 플레이오프 없음 | ||||
1978 상세 정보 | 쿠알라룸푸르 | 플레이오프 없음 | 플레이오프 없음 |
2. 2. 디비전제 도입과 경쟁 심화 (1980-현재)
1980년 대회부터 참가국 수가 늘어나면서 예선 리그가 실시되었다. 1990년부터는 디비전제가 도입되어(1992년 제외) 수준별 경쟁이 이루어졌다. 도입 초기에는 FIBA 랭킹에 따라 디비전이 결정되었지만, 2007년 대회부터는 디비전 간 승강전이 실시되어 더욱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디비전 A 대회 상위 팀들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얻는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또는 월드컵 아시아 대표를 결정했다.
1976년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중화인민공화국은 이후 급부상하여 대한민국, 일본과 함께 아시아 여자 농구 3강 구도를 형성했다. 2017년부터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합류하면서 대회의 경쟁 수준이 더욱 높아졌다.
국가 | 1980년 | 1982년 | 1984년 | 1986년 | 1988년 | 1990년 | 1992년 | 1994년 | 1995년 | 1997년 | 1999년 | 2001년 | 2004년 | 2005년 | 2007년 | 2009년 | 2011년 | 2013년 | 2015년 | 2017년 | 2019년 | 2021년 | 2023년 | |
---|---|---|---|---|---|---|---|---|---|---|---|---|---|---|---|---|---|---|---|---|---|---|---|---|
오스트레일리아 | 2위 | 3위 | 3위 | 3위 | ||||||||||||||||||||
중화인민공화국 | 2위 | 2위 | 1위 | 1위 | 2위 | 1위 | 1위 | 1위 | 1위 | 3위 | 4위 | 1위 | 1위 | 1위 | 2위 | 1위 | 1위 | 3위 | 2위 | 3위 | 2위 | 2위 | 1위 | |
중화 타이베이 | 3위 | 3위 | 4위 | 4위 | 4위 | 4위 | 4위 | 3위 | 4위 | 4위 | 3위 | 4위 | 4위 | 4위 | 4위 | 4위 | 5위 | 6위 | 6위 | 8위 | ||||
홍콩 | 7위 | 6위 | 7위 | 9위 | 6위 | 8위 | 5위 | 5위 | 8위 | 10위 | 8위 | 9위 | 8위 | 12위 | 11위 | |||||||||
인도 | 9위 | 7위 | 7위 | 8위 | 7위 | 6위 | 9위 | 8위 | 10위 | 7위 | 6위 | 6위 | 5위 | 6위 | 9위 | 8위 | 8위 | |||||||
인도네시아 | 10위 | 9위 | 11위 | 12위 | 11위 | 9위 | 9위 | 11위 | 9위 | |||||||||||||||
일본 | 3위 | 3위 | 3위 | 4위 | 4위 | 3위 | 3위 | 3위 | 3위 | 2위 | 2위 | 2위 | 2위 | 4위 | 3위 | 3위 | 3위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2위 | |
요르단 | 11위 | 10위 | 12위 | |||||||||||||||||||||
카자흐스탄 | 6위 | 6위 | 7위 | 6위 | 7위 | 9위 | 8위 | 6위 | 9위 | 10위 | 12위 | 14위 | ||||||||||||
키르기스스탄 | 7위 | 5위 | 6위 | |||||||||||||||||||||
레바논 | 13위 | 8위 | 5위 | 11위 | 9위 | 7위 | ||||||||||||||||||
마카오 | 4위 | 8위 | 14위 | 12위 | ||||||||||||||||||||
말레이시아 | 4위 | 6위 | 5위 | 6위 | 5위 | 5위 | 9위 | 10위 | 8위 | 7위 | 9위 | 6위 | 8위 | 6위 | 7위 | 7위 | 8위 | 10위 | 13위 | |||||
뉴질랜드 | 6위 | 5위 | 5위 | 4위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위 | 6위 | 6위 | 8위 | 8위 | |||||||||||||||||||
필리핀 | 6위 | 10위 | 9위 | 8위 | 11위 | 10위 | 10위 | 7위 | 7위 | 7위 | 7위 | 6위 | ||||||||||||
싱가포르 | 8위 | 5위 | 6위 | 8위 | 9위 | 11위 | 13위 | 12위 | 11위 | 11위 | 13위 | |||||||||||||
대한민국 | 1위 | 1위 | 1위 | 2위 | 1위 | 2위 | 2위 | 2위 | 2위 | 1위 | 1위 | 3위 | 3위 | 2위 | 1위 | 2위 | 2위 | 2위 | 3위 | 4위 | 4위 | 4위 | 5위 | |
스리랑카 | 10위 | 10위 | 10위 | 7위 | 12위 | 9위 | 11위 | 13위 | 12위 | 12위 | 12위 | 12위 | 15위 | 16위 | ||||||||||
시리아 | 9위 | 13위 | ||||||||||||||||||||||
태국 | 5위 | 5위 | 7위 | 8위 | 7위 | 5위 | 5위 | 5위 | 5위 | 5위 | 5위 | 5위 | 7위 | 5위 | 11위 | |||||||||
우즈베키스탄 | 7위 | 9위 | 11위 | 10위 | 11위 | 12위 | ||||||||||||||||||
베트남 | 10위 |
FIBA 여자 아시안컵은 1965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1995년부터 거의 매년 열리고 있다. 초기에는 참가팀들이 모두 풀 리그전을 치르는 방식이었으나, 참가국이 늘어나면서 예선 리그를 거쳐 상위 팀들이 경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90년부터는 디비전 제도가 도입되어(1992년 제외) FIBA 랭킹에 따라 팀들을 나누었으며, 2007년부터는 디비전 A와 디비전 B 사이에 승강제가 시행되고 있다.
3. 대회 방식
2023년 FIBA 여자 아시아컵(디비전 A)을 기준으로 각 팀의 역대 기록은 다음과 같다.팀 경기 승리 패배 승률 align="left" | 24 17 7 align="left" | 4 1 3 align="left" | 159 133 26 align="left" | 158 67 91 align="left" | 6 1 5 align="left" | 119 38 81 align="left" | 109 38 71 align="left" | 68 24 44 align="left" | 10 2 8 align="left" | 187 134 53 align="left" | 9 4 5 align="left" | 56 32 24 align="left" | 15 5 10 align="left" | 30 17 13 align="left" | 20 5 15 align="left" | 135 65 70 align="left" | 4 1 3 align="left" | 22 10 12 align="left" | 25 18 7 align="left" | 94 34 60 align="left" | 91 23 68 align="left" | 196 157 39 align="left" | 70 3 67 align="left" | 10 4 6 align="left" | 98 35 63 align="left" | 30 12 18 align="left" | 19 3 16
이 대회에서 상위권에 오른 팀들은 올림픽이나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에 참가할 자격을 얻는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또는 월드컵에 출전할 아시아 대표팀이 결정되었다.
3. 1. 디비전 A
1965년 서울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95년 제16회 대회 이후로는 거의 1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2021년 대회(디비전 A)의 출전국 수는 8개이다.
대회 실시 방식은 대회 시작부터 1978년 대회까지는 출전하는 모든 팀이 풀 리그전을 펼치는 방식이었다. 출전국 수가 늘어난 1980년 대회부터는 예선 리그를 실시했다. 1986년 대회에서 다시 모든 팀 풀 리그전 방식으로 돌아온 후, 1990년부터는 디비전제를 도입했다(1992년 제외). 도입 초기 디비전 분류는 FIBA 랭킹에 따라 결정되었지만, 2007년 대회부터는 승강전이 치러지고 있다.
디비전 A 대회에서 상위권에 진입한 팀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한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에서 올림픽 또는 월드컵 아시아 대표를 결정했다.
3. 2. 디비전 B
2023년 FIBA 여자 아시아컵(디비전 A)을 기준으로, 디비전 B는 디비전 A에 참가하지 못한 나머지 팀들이 참가하며, 디비전 B 우승팀은 다음 대회 디비전 A 승격 자격을 얻는다.
1990년부터 디비전 제도가 도입되었으며(1992년 제외), 2007년 대회부터 승강전이 치러지고 있다.
3. 3. 승강제
2007년부터 디비전 A 최하위 팀과 디비전 B 우승팀 간의 승강제가 도입되었다.
4. 역대 결과
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