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FIBA 여자 아시아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FIBA 여자 아시아컵은 1965년 서울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개최되는 여자 농구 대회이다. 1995년 이후 거의 매년 개최되며, 2021년 대회에는 디비전 A에 8개국이 참가했다. 초창기에는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이후 예선 리그, 디비전제 도입 등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디비전 A 상위 팀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 자격을 얻는다. 대한민국은 12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이 뒤를 잇고 있다. 대회 MVP, 베스트 5 등 주요 수상 내역이 있으며, 대한민국, 중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 등이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BA 여자 아시아컵 - 1992년 FIBA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1992년 FIBA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는 예선 리그에서 대한민국이 1위를 했으나, 결승전에서 중국이 대한민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 대한민국은 은메달, 일본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여자 농구 - FIBA 여자 유로바스켓
    FIBA 여자 유로바스켓은 유럽 농구 연맹 주관의 여자 농구 국가대항전으로, 1938년 첫 개최 이후 소련의 강세와 경쟁 구도 변화를 거쳐 러시아, 프랑스, 스페인 등 여러 국가가 우승 경쟁을 펼치며 MVP, 득점왕 등 기록을 통해 역사와 주요 선수를 조명한다.
  • 196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는 메이저 리그 팀들이 아마추어 선수들을 영입하기 위해 1965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전년도 성적 역순으로 선수를 지명하며 2022년부터는 로터리 방식을 일부 도입하고, 고등학교, 대학교, 전문대학 선수 및 일본인 선수도 지명 대상이 된다.
  • 196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여자 소프트볼 월드컵
    여자 소프트볼 월드컵은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WBSC)이 주관하는 여자 소프트볼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로, 1965년 국제 소프트볼 연맹(ISF) 주최로 시작되어 2018년 대회 브랜드가 월드컵으로 재구축되었으며 미국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FIBA 여자 아시아컵
대회 정보
대회 명칭FIBA 여자 아시아컵
영어 명칭FIBA Women's Asia Cup
종목여자 농구
창립1965년
참가 팀 수12팀
지역아시아 태평양
대륙 연맹FIBA 아시아
FIBA 오세아니아
최근 대회2025 FIBA 여자 아시아컵
역대 우승팀
최다 우승(12회 우승)
(12회 우승)
최근 우승(12번째 우승)
관련 정보
관련 대회FIBA 아시아컵 (남자 대회)
공식 웹사이트FIBA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65년 서울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95년 제16회 대회 이후로는 거의 1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2021년 대회(디비전 A)의 출전국 수는 8개국이다.

대회 초기인 1978년 대회까지는 출전하는 모든 팀이 풀 리그전을 펼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출전 국가 수가 늘어난 1980년 대회부터는 예선 리그를 실시했고, 1986년 대회에서 다시 모든 팀 풀 리그전 방식으로 돌아왔다. 이후 1990년부터는 디비전제를 도입하여(1992년 제외) 수준별 경쟁이 이루어졌다. 도입 초기에는 FIBA 랭킹에 따라 디비전이 결정되었지만, 2007년 대회부터는 디비전 간 승강전이 실시되어 더욱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디비전 A 대회에서 상위권에 진입한 팀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한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또는 월드컵 아시아 대표를 결정했다.

2. 1. 초기 대회 (1965-1978)

1965년 서울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 초기에는 출전국 수가 적어 모든 팀이 풀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이 번갈아 우승을 차지하며 초기 아시안컵을 주도했다.

개최 연도개최국결승3위 결정전
우승스코어준우승3위스코어4위
1965
상세 정보
서울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68
상세 정보
타이베이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0
상세 정보
쿠알라룸푸르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2
상세 정보
타이베이66–5170–54
1974
상세 정보
서울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6
상세 정보
홍콩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8
상세 정보
쿠알라룸푸르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2. 2. 디비전제 도입과 경쟁 심화 (1980-현재)

1980년 대회부터 참가국 수가 늘어나면서 예선 리그가 실시되었다. 1990년부터는 디비전제가 도입되어(1992년 제외) 수준별 경쟁이 이루어졌다. 도입 초기에는 FIBA 랭킹에 따라 디비전이 결정되었지만, 2007년 대회부터는 디비전 간 승강전이 실시되어 더욱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디비전 A 대회 상위 팀들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얻는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또는 월드컵 아시아 대표를 결정했다.

1976년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중화인민공화국은 이후 급부상하여 대한민국, 일본과 함께 아시아 여자 농구 3강 구도를 형성했다. 2017년부터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합류하면서 대회의 경쟁 수준이 더욱 높아졌다.

국가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1년

2023년
오스트레일리아2위3위3위3위
중화인민공화국2위2위1위1위2위1위1위1위1위3위4위1위1위1위2위1위1위3위2위3위2위2위1위
중화 타이베이3위3위4위4위4위4위4위3위4위4위3위4위4위4위4위4위5위6위6위8위
홍콩7위6위7위9위6위8위5위5위8위10위8위9위8위12위11위
인도9위7위7위8위7위6위9위8위10위7위6위6위5위6위9위8위8위
인도네시아10위9위11위12위11위9위9위11위9위
일본3위3위3위4위4위3위3위3위3위2위2위2위2위4위3위3위3위1위1위1위1위1위2위
요르단11위10위12위
카자흐스탄6위6위7위6위7위9위8위6위9위10위12위14위
키르기스스탄7위5위6위
레바논13위8위5위11위9위7위
마카오4위8위14위12위
말레이시아4위6위5위6위5위5위9위10위8위7위9위6위8위6위7위7위8위10위13위
뉴질랜드6위5위5위4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위6위6위8위8위
필리핀6위10위9위8위11위10위10위7위7위7위7위6위
싱가포르8위5위6위8위9위11위13위12위11위11위13위
대한민국1위1위1위2위1위2위2위2위2위1위1위3위3위2위1위2위2위2위3위4위4위4위5위
스리랑카10위10위10위7위12위9위11위13위12위12위12위12위15위16위
시리아9위13위
태국5위5위7위8위7위5위5위5위5위5위5위5위7위5위11위
우즈베키스탄7위9위11위10위11위12위
베트남10위


3. 대회 방식

FIBA 여자 아시안컵은 1965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1995년부터 거의 매년 열리고 있다. 초기에는 참가팀들이 모두 풀 리그전을 치르는 방식이었으나, 참가국이 늘어나면서 예선 리그를 거쳐 상위 팀들이 경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90년부터는 디비전 제도가 도입되어(1992년 제외) FIBA 랭킹에 따라 팀들을 나누었으며, 2007년부터는 디비전 A와 디비전 B 사이에 승강제가 시행되고 있다.

2023년 FIBA 여자 아시아컵(디비전 A)을 기준으로 각 팀의 역대 기록은 다음과 같다.

경기승리패배승률
align="left" |24177
align="left" |413
align="left" |15913326
align="left" |1586791
align="left" |615
align="left" |1193881
align="left" |1093871
align="left" |682444
align="left" |1028
align="left" |18713453
align="left" |945
align="left" |563224
align="left" |15510
align="left" |301713
align="left" |20515
align="left" |1356570
align="left" |413
align="left" |221012
align="left" |25187
align="left" |943460
align="left" |912368
align="left" |19615739
align="left" |70367
align="left" |1046
align="left" |983563
align="left" |301218
align="left" |19316



이 대회에서 상위권에 오른 팀들은 올림픽이나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에 참가할 자격을 얻는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또는 월드컵에 출전할 아시아 대표팀이 결정되었다.

3. 1. 디비전 A

1965년 서울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95년 제16회 대회 이후로는 거의 1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2021년 대회(디비전 A)의 출전국 수는 8개이다.

대회 실시 방식은 대회 시작부터 1978년 대회까지는 출전하는 모든 팀이 풀 리그전을 펼치는 방식이었다. 출전국 수가 늘어난 1980년 대회부터는 예선 리그를 실시했다. 1986년 대회에서 다시 모든 팀 풀 리그전 방식으로 돌아온 후, 1990년부터는 디비전제를 도입했다(1992년 제외). 도입 초기 디비전 분류는 FIBA 랭킹에 따라 결정되었지만, 2007년 대회부터는 승강전이 치러지고 있다.

디비전 A 대회에서 상위권에 진입한 팀은 올림픽 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세계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한다. 2017년 대회까지는 이 대회에서 올림픽 또는 월드컵 아시아 대표를 결정했다.

3. 2. 디비전 B

2023년 FIBA 여자 아시아컵(디비전 A)을 기준으로, 디비전 B는 디비전 A에 참가하지 못한 나머지 팀들이 참가하며, 디비전 B 우승팀은 다음 대회 디비전 A 승격 자격을 얻는다.

1990년부터 디비전 제도가 도입되었으며(1992년 제외), 2007년 대회부터 승강전이 치러지고 있다.

3. 3. 승강제

2007년부터 디비전 A 최하위 팀과 디비전 B 우승팀 간의 승강제가 도입되었다.

4. 역대 결과

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4년align=left|1위1위2위1위1위2위1위1위1위1위2위1위2위2위2위2위1위1위3위3위align=left|1위2위2위2위2위1위2위1위1위1위1위3위4위1위1위align=left|2위2위1위2위3위3위3위3위3위4위4위3위3위3위3위2위2위2위2위align=left|3위3위3위2위3위3위3위4위4위4위4위4위3위4위4위



국가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1년

2023년

2025년
참가 횟수
align=left|1위2위1위1위3위2위3위2위2위1위Q25
align=left|3위4위4위4위4위4위5위6위6위8위25
align=left|4위3위3위3위1위1위1위1위1위2위Q29
align=left|2위1위2위2위2위3위4위4위4위5위Q31
align=left|2위3위3위3위Q5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대한민국1211326
2중화인민공화국129324
3일본681226
4중화 타이베이0189
5오스트레일리아0134
6태국0011


4. 1. 대한민국 역대 성적

연도개최국우승스코어2위3위스코어4위
1965서울--
1968타이베이--
1970쿠알라룸푸르--
1972타이베이66–5170–54
1974서울--
1976홍콩--
1978쿠알라룸푸르--
1980홍콩--
1982도쿄--
1984상하이62–6181–53
1986쿠알라룸푸르--
1988홍콩--
1990싱가포르--
1992서울89–7679–75
1994센다이74–6692–67
1995시즈오카94–6968–65
1997방콕74–61101–63
1999시즈오카68–6568–57
2001방콕105–7678–63
2004센다이92–8088–59
2005친황다오73–6773–62
2007인천79–7373–70
2009첸나이91–7172–57
2011오무라65–6283–56
2013방콕65-4361-53
2015우한85-5052-45



대한민국은 FIBA 여자 아시아컵에서 1965년 초대 대회 우승을 포함하여 총 12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준우승은 11회, 3위는 3회를 기록하며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해 왔다.

4. 2. 메달 순위

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1년
2023년
2025년align=left|1위1위2위1위1위2위1위1위1위1위2위1위2위2위2위2위1위1위3위3위2위1위2위2위2위3위4위4위4위5위Qalign=left|1위2위2위2위2위1위2위1위1위1위1위3위4위1위1위1위2위1위1위3위2위3위2위2위1위Qalign=left|2위2위1위2위3위3위3위3위3위4위4위3위3위3위3위2위2위2위2위4위3위3위3위1위1위1위1위1위2위Qalign=left|3위3위3위2위3위3위3위4위4위4위4위4위3위4위4위3위4위4위4위4위4위5위6위6위8위align=left|2위3위3위3위Qalign=left|4위6위3위5위5위7위8위7위5위5위5위5위5위5위5위7위5위11위



1align="left" |1211326
2align="left" |129324
3align="left" |681226
4align="left" |0189
5align="left" |0134
6align="left" |0011
합계30303090



요약에 따라,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이 메달 순위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는 2017년 합류 이후 꾸준히 상위권에 진입하여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5. 주요 수상

2021년 대회의 최우수 선수(MVP)는 아코 히마와리이다. 베스트 5는 아래와 같다.

선수포지션
새미 휘컴가드
미야자키 사오리가드
후앙시징포워드
아코 히마와리포워드
리유에루센터


5. 1. 최우수 선수 (MVP)

연도MVP
1968Annie Goh Koon Gee|아니 고 쿤 지영어
1970신가키 타케코
1982박찬숙
1997유영주
1999전주원
2001후샤오타오
2004먀오리제
2009뱌오란
2011먀오리제
2013토가시키 라무
2015토가시키 라무
2017켈시 그리핀
2019모토하시 나코
2021아코 히마와리
2023한쉬


5. 2. 베스트 5 (All-Tournament Team)

연도선수포지션
2021새미 휘컴가드align="left" |
미야자키 사오리가드align="left" |
후앙시징포워드align="left" |
히마와리 아카호포워드align="left" |
리유에루센타align="left" |


6. 참가국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7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5
1997
1999
2001
2004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
2021합계align=left|6위1align=left|1위2위2위2위2위1위2위1위1위1위1위3위4위1위1위1위2위1위1위3위2위3위2위2위24align=left|3위3위3위2위3위3위3위4위4위4위4위4위3위4위4위3위4위4위4위4위4위5위6위6위24align=left|7위8위5위5위7위5위6위7위9위6위8위5위5위8위10위8위10위9위9위8위12위11위22align=left|10위7위9위7위7위8위7위6위9위8위7위10위7위6위6위5위6위9위8위8위20align=left|5위4위7위9위10위9위11위12위11위9위9위11위12align=left|4위14위10위2align=left|2위2위1위2위3위3위3위3위3위4위4위3위3위3위3위2위2위2위2위4위3위3위3위1위1위1위1위1위28align=left|11위10위2align=left|6위6위7위6위7위9위8위6위9위10위12위11align=left|7위5위6위3align=left|13위8위5위11위9위5align=left|4위8위14위12위4align=left|5위5위4위4위4위4위6위5위6위5위5위9위10위8위7위9위6위8위6위7위7위8위10위23align=left|6위6위6위8위8위5align=left|4위6위6위8위8위4위10위9위8위11위10위10위7위7위7위7위16align=left|8위7위5위6위8위5위6위8위9위11위13위12위11위11위13위15align=left|1위1위2위1위1위2위1위1위1위1위2위1위2위2위2위2위1위1위3위3위2위1위2위2위2위3위4위4위4위29align=left|9위10위10위10위7위12위9위11위13위12위12위12위12위15위14align=left|9위13위2align=left|4위6위3위5위5위7위8위7위5위5위5위5위5위5위5위7위5위17align=left|7위9위11위10위11위12위6align=left|9위7위10위3align=left|2위3위3위3align=left|14위1align=left|6위5위5위3align=left|15위1



연도개최지width=1% rowspan=33 bgcolor=ffffff|결승width=1% rowspan=33 bgcolor=ffffff|3위 결정전
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65
세부 정보

서울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68
세부 정보

타이베이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0
세부 정보

쿠알라룸푸르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2
세부 정보

타이베이
66–5170–54
1974
세부 정보

서울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6
세부 정보

홍콩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78
세부 정보

쿠알라룸푸르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80
세부 정보

홍콩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82
세부 정보

도쿄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84
세부 정보

상하이
62–6181–53
1986
세부 정보

쿠알라룸푸르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88
세부 정보

홍콩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90
세부 정보

싱가포르
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92
세부 정보

서울
89–7679–75
1994
세부 정보

센다이
74–6692–67
1995
세부 정보

시즈오카
94–6968–65
1997
세부 정보

방콕
74–61101–63
1999
세부 정보

시즈오카
68–6568–57
2001
세부 정보

방콕
105–7678–63
2004
세부 정보

센다이
92–8088–59
2005
세부 정보

친황다오
73–6773–62
2007
세부 정보

인천
79–7373–70
2009
세부 정보

첸나이
91–7172–57
2011
세부 정보

오무라
65–6283–56
2013
세부 정보

방콕
65–4361–53
2015
세부 정보

우한
85–5052–45
2017
세부 정보

벵갈루루
74–7375–51
2019
세부 정보

벵갈루루
71–6898–62
2021
세부 정보

암만
78–7388–58
2023
세부 정보

시드니
73–7181–59
2025
세부 정보

선전


7. 대한민국 여자 농구의 현재와 미래

대한민국 여자 농구 대표팀은 FIBA 여자 아시안컵에서 전통적인 강호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1965년 첫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총 12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의 강세와 더불어 젊은 선수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회 연도결과
1965년1위
1968년1위
1970년2위
1972년1위
1974년1위
1976년2위
1978년1위
1980년1위
1982년1위
1984년1위
1986년2위
1988년1위
1990년2위
1992년2위
1994년2위
1995년2위
1997년1위
1999년1위
2001년3위
2004년3위
2005년2위
2007년1위
2009년2위
2011년2위
2013년2위
2015년3위
2017년4위
2019년4위
2021년4위
2023년5위



대한민국 여자 농구는 지속적인 투자와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아시아를 넘어 세계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