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FIFA U-17 여자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2008년 뉴질랜드에서 처음 개최된 FIFA 주관의 여자 U-17 축구 대회이다. 2002년 FIFA U-19 여자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 이후, FIFA는 여자 축구 발전을 위해 두 번째 연령별 대회를 신설했다. 2024년까지 총 8번의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5년부터는 매년 개최되고, 참가 팀 수도 24개 팀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대회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스페인이 2회, 일본, 대한민국, 프랑스가 각각 1회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해변 아시안 게임
    해변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주관으로 2년마다 열리는 해변 스포츠 종합 경기 대회로, 2008년 발리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0년 싼야 대회가 취소되고 2025년 마나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200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VC컵 여자 배구 대회
    AVC컵 여자 배구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 주관으로 2년마다 개최되는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로, 아시아 강국들이 참가하여 실력을 겨루며 중국이 최다 우승국이다.
  • FIFA U-17 여자 월드컵 - AFC U-17 여자 아시안컵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로, FIFA U-17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 일본, 북한 등이 우승했고 2026년부터 매년 개최 및 참가팀 확대 예정이다.
  • FIFA U-17 여자 월드컵 -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은 아제르바이잔에서 개최되어 프랑스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16개국이 참가하여 바쿠와 렌케란에서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 경기를 치렀다.
  • 국제 축구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 국제 축구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은 오세아니아 지역의 축구 행정을 총괄하는 기구이며, FIFA 월드컵 등 다양한 국제 대회를 주관하고 있다.
FIFA U-17 여자 월드컵
대회 정보
주최FIFA
창설2008년
지역국제
참가 팀 수16 (본선)
관련 대회FIFA U-17 월드컵
현재 챔피언(3번째 우승)
최다 우승 팀(3회 우승)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현재 대회2024 FIFA U-17 여자 월드컵
역대 대회
국가별 지역
참가 지역AFC
CAF
CONCACAF
CONMEBOL
OFC
UEFA

2. 역사

2002 FIFA U-19 여자 월드컵이 2003년 캐나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된 후, FIFA는 여자 선수들을 위한 두 번째 청소년 대회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각 대륙 연맹은 당시 연령 제한 때문에 두 번째 선수권 대회를 만드는 것이 어렵다고 FIFA에 전달했고, 이에 FIFA는 남자 청소년 대회와 같은 연령대인 U-17 여자 월드컵과 U-20 여자 월드컵을 만들기로 결정했다.[1]

첫 대회는 2008년 10월 28일부터 11월 16일까지 뉴질랜드에서 열렸다. 경기는 노스쇼어시티(노스하버 스타디움), 해밀턴(와이카토 스타디움), 웰링턴(웰링턴 스타디움), 크라이스트처치(QEII 파크) 등 네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뉴질랜드는 칠레가 2008 FIFA U-20 여자 월드컵 개최지로 선정됨과 동시에 개최권을 획득했으며, 에콰도르도 대회 유치를 신청했다.[2][3]

2018년 우루과이와 가나의 개막전 경기. 가나가 5-0으로 승리했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연기되었다가 취소되었고, 인도가 2022년 대회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4][5][6] 그러나 전인도축구협회가 FIFA로부터 징계를 받아 인도는 2022년 개최권을 박탈당했다가,[7] 징계가 해제되면서 다시 개최권을 획득했다.[8]

2024년 대회 개최지는 2023년 6월 23일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선정되었다.[9]

2025년부터 U-17 여자 월드컵은 남자 대회와 함께 매년 개최된다.[10] 2024년 3월 14일 모로코가 이 대회 개최지로 선정되어, 아프리카 국가 최초로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11]

2. 1. 대회 창설 배경

2002년에 캐나다에서 개최된 2002 FIFA U-19 여자 월드컵의 성공적인 출범 이후, FIFA는 여자 선수들을 위한 두 번째 청소년 대회 추가를 제안했다. 당시 연령 제한으로 인해 각 대륙 연맹은 FIFA에 두 번째 선수권 대회를 만드는 것이 어렵다고 전달했다. 따라서 FIFA는 남자 청소년 대회와 같은 연령대인 U-17 여자 월드컵과 U-20 여자 월드컵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U-19 선수권 대회의 연령 제한은 2006 FIFA U-20 여자 월드컵부터 20세로 상향 조정되었다. FIFA는 2008년에 시작될 U-17 여자 선수권 대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1]

2. 2. 연도별 대회 개요

(승부차기 5–4)1–03회20121–1
(승부차기 7–6)1–04회20142–04–4
(승부차기 2–0)5회20160–0
(승부차기 5–4)4–06회20182–12–12020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취소됨7회20221–03–3
(승부차기 3–2)8회20241-1
(승부차기 4-3)3–0


2. 3. 2025년 이후 변화

2024년 3월 15일 국제축구연맹(FIFA)은 2025년부터 본 대회 출전 팀 수를 24개 팀으로 확대하고 매년 개최하는 것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개 대회는 모로코에서 개최될 예정이다.[13] 이는 아프리카 국가 최초의 FIFA U-17 여자 월드컵 개최이다.[11]

3. 대회 결과

(승부차기 5–4)일본스페인1–0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회2012아제르바이잔프랑스1–1
(승부차기 7–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가나1–0독일4회2014코스타리카일본2–0스페인이탈리아4–4
(승부차기 2–0)베네수엘라5회2016요르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
(승부차기 5–4)일본스페인4–0베네수엘라6회2018우루과이스페인2–1멕시코뉴질랜드2–1캐나다7회2022인도스페인1–0콜롬비아나이지리아3–3
(승부차기 3–2)독일8회2024도미니카 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
(승부차기 4-3)스페인미국3-0잉글랜드9회2025모로코미정10회2026모로코11회2027모로코12회2028모로코13회2029모로코



;통산 기록

우승준우승3위4위
북한3 (2008, 2016, 2024)1 (2012)-1 (2010)
스페인2 (2018, 2022)2 (2014, 2024)2 (2010, 2016)-
일본1 (2014)2 (2010, 2016)--
대한민국1 (2010)---
프랑스1 (2012)---
미국-1 (2008)1 (2024)-
멕시코-1 (2018)--
콜롬비아-1 (2022)--
독일--1 (2008)2 (2012, 2022)
가나--1 (2012)-
이탈리아--1 (2014)-
뉴질랜드--1 (2018)-
나이지리아--1 (2022)-
베네수엘라---2 (2014, 2016)
잉글랜드---2 (2008, 2024)
캐나다---1 (2018)

[12]

3. 1. 역대 대회 결과

(승부차기 5–4)일본스페인1–0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회2012아제르바이잔프랑스1–1
(승부차기 7–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가나1–0독일4회2014코스타리카일본2–0스페인이탈리아4–4
(승부차기 2–0)베네수엘라5회2016요르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
(승부차기 5–4)일본스페인4–0베네수엘라6회2018우루과이스페인2–1멕시코뉴질랜드2–1캐나다2020인도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취소됨7회2022인도스페인1–0콜롬비아나이지리아3–3
(승부차기 3–2)독일8회2024도미니카 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
(승부차기 4-3)스페인미국3-0잉글랜드9회2025모로코미정10회2026모로코11회2027모로코12회2028모로코13회2029모로코



우승준우승3위4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2008, 2016, 2024)1 (2012)-1 (2010)
스페인2 (2018, 2022)2 (2014, 2024)2 (2010, 2016)-
일본1 (2014)2 (2010, 2016)--
대한민국1 (2010)---
프랑스1 (2012)---
미국-1 (2008)1 (2024)-
멕시코-1 (2018)--
콜롬비아-1 (2022)--
독일--1 (2008)2 (2012, 2022)
가나--1 (2012)-
이탈리아--1 (2014)-
뉴질랜드--1 (2018)-
나이지리아--1 (2022)-
베네수엘라---2 (2014, 2016)
잉글랜드---2 (2008, 2024)
캐나다---1 (2018)


3. 2. 통산 기록

우승준우승3위4위
북한3 (2008, 2016, 2024)1 (2012)-1 (2010)
스페인2 (2018, 2022)2 (2014, 2024)2 (2010, 2016)-
일본1 (2014)2 (2010, 2016)--
대한민국1 (2010)---
프랑스1 (2012)---
미국-1 (2008)1 (2024)-
멕시코-1 (2018)--
콜롬비아-1 (2022)--
독일--1 (2008)2 (2012, 2022)
가나--1 (2012)-
이탈리아--1 (2014)-
뉴질랜드--1 (2018)-
나이지리아--1 (2022)-
베네수엘라---2 (2014, 2016)
잉글랜드---2 (2008, 2024)
캐나다---1 (2018)



순위참가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승점
1일본838278312528+9789
2스페인63627458425+5985
3북한737221057634+4276
4독일733185108436+4859
5나이지리아72814776133+2849
6가나62413383727+1042
7미국62512585930+2941
8캐나다72798102836–835
9브라질72494112931–231
10멕시코72694133952–1331
11베네수엘라3158162630–425
12대한민국4166372839–1121
13잉글랜드3165472031–1119
14콜롬비아62146112031–1118
15뉴질랜드82753192563–3818
16프랑스3123632419+515
17중국393151114–310
18이탈리아162229908
19아일랜드1420264+26
20에콰도르1420269–36
21폴란드1412121+15
22덴마크1412136–35
23탄자니아1411239–64
24트리니다드 토바고1310234–13
25모로코1310235–23
26케냐1310226–43
27카메룬26105512–73
28잠비아26105314–113
29칠레26105519–143
30핀란드1301225–31
31도미니카 공화국1301214–31
32우루과이26015422–181
33남아프리카 공화국26015327–241
34파라과이39018846–381
35코스타리카26006214–120
36요르단13003115–140
37아제르바이잔13003016–160
38인도13003016–160
39감비아13003227–250



순위국가/지역출전 횟수우승 횟수준우승 횟수3위 횟수4위 횟수경기 수승리 수무승부 수패배 수승점평균 승점득점실점득실차
1일본 (JPN)81200382783892.3412528+97
2스페인 (ESP)62220362745852.368425+59
3북한 (PRK)731013722105762.057634+42
4독일 (GER)700123318510591.798436+48
5나이지리아 (NGA)70010281477491.756133+28
6가나 (GHA)60010241338421.753727+10
7미국 (USA)60110251258411.645930+29
8캐나다 (CAN)70001279810351.302836-8
9브라질 (BRA)70000249411311.292931-2
10멕시코 (MEX)70100269413311.193952-13
11베네수엘라 (VEN)3000215816251.672630-4
12한국 (KOR)4100016637211.312839-11
13잉글랜드 (ENG)3000216547191.192031-11
14콜롬비아 (COL)60100214611180.862031-11
15뉴질랜드 (NZL)80010275319180.672563-38
16프랑스 (FRA)3100012363151.252419+5
17중국 (CHN)300009315101.111114-3
18이탈리아 (ITA)10010622281.33990
19아일랜드 (IRL)10000420261.5064+2
20에콰도르 (ECU)10000420261.5069-3
21폴란드 (POL)10000412151.2521+1
22덴마크 (DEN)10000412151.2536-3
23탄자니아 (TAN)10000411241.0039-6
24트리니다드 토바고 (TRI)10000310231.0034-1
25모로코 (MAR)10000310231.0035-2
26케냐 (KEN)10000310231.0026-4
27카메룬 (CMR)20000610530.50512-7
28잠비아 (ZAM)20000610530.50314-11
29칠레 (CHI)20000610530.50519-14
30핀란드 (FIN)10000301210.3325-3
31도미니카 공화국 (DOM)10000301210.3314-3
32우루과이 (URU)20000601510.17422-18
33남아프리카 공화국 (RSA)20000601510.17327-24
34파라과이 (PAR)30000901810.11846-38
35코스타리카 (CRC)20000600600.00214-12
36요르단 (JOR)10000300300.00115-14
37아제르바이잔 (AZE)10000300300.00016-16
38인도 (IND)10000300300.00016-16
39감비아 (GAM)10000300300.00227-25

[12]

우승 횟수국가연도
3회북한2008, 2016, 2024
2회스페인2018, 2022
1회대한민국2010
프랑스2012
일본2014


4. 참가국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국은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결정된다. 대륙별 예선은 AFC (아시아), CAF (아프리카), CONCACAF (북중미카리브), CONMEBOL (남아메리카), OFC (오세아니아), UEFA (유럽)에서 각각 진행된다.

2024년 대회까지 총 39개국이 참가했으며, 일본, 스페인, 북한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10년에 우승한 바 있다.

4. 1. 대륙별 예선

대륙 연맹선수권 대회
AFC (아시아)AFC U-17 여자 아시안컵
CAF (아프리카)아프리카 U-17 여자 월드컵 예선
CONCACAF (북중미카리브)CONCACAF U-17 여자 선수권 대회
CONMEBOL (남아메리카)남미 U-17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OFC (오세아니아)OFC U-16 여자 선수권 대회
UEFA (유럽)UEFA 여자 U-17 선수권 대회


4. 2. 국가별 참가 기록

순위국가참가 횟수우승준우승3위4위
1일본81200
2스페인62220
3북한73101
4독일70012
5나이지리아70010
6가나60010
7미국60110
8캐나다70001
9브라질70000
10멕시코70100
11베네수엘라30002
12한국41000
13잉글랜드30002
14콜롬비아60100
15뉴질랜드80010
16프랑스31000
17중국30000
18이탈리아10010
19아일랜드10000
20에콰도르10000
21폴란드10000
22덴마크10000
23탄자니아10000
24트리니다드 토바고10000
25모로코10000
26케냐10000
27카메룬20000
28잠비아20000
29칠레20000
30핀란드10000
31도미니카 공화국10000
32우루과이20000
33남아프리카 공화국20000
34파라과이30000
35코스타리카20000
36요르단10000
37아제르바이잔10000
38인도10000
39감비아10000

4. 3. 수상

대회골든볼골든부트골든글러브FIFA 페어플레이상
뉴질랜드 2008이와부치 마나|岩渕真奈일본어마로잔 젠지퍼|Dzsenifer Marozsánde6테일러 밴실|Taylor Vancil영어독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2010여민지여민지8돌로레스 갈라르도|Dolores Gallardoes독일
아제르바이잔 2012그리에주 엠복 바티|Griedge Mbock Bathy프랑스어리은심|리은심|李恩心한국어8로만 브뤼노|Romane Bruneau프랑스어일본
코스타리카 2014스기타 히나|杉田妃和일본어데이나 카스테야노스|Deyna Castellanoses
가브리엘라 가르시아|Gabriela Garcíaes
6마츠모토 마미코|松本真未子일본어일본
요르단 2016나가노 후카|長野風花일본어로레나 나바로|Lorena Navarroes8노엘리아 라모스|Noelia Ramoses일본
우루과이 2018클라우디아 피냐|Clàudia Pinaes무카라마 아브둘라이|Mukarama Abdulai영어7카타 콜|Catalina Colles일본
인도 2022비키 로페즈|Vicky Lópezes로린 벤더|Loreen Benderde4소피아 푸엔테|Sofía Fuentees일본
도미니카 공화국 2024전일총|전일총|Jon Il-chong한국어파우 코멘다도르|Pau Comendadores5이반 오스틴|Evan O'Steen영어나이지리아


참조

[1] 웹사이트 FIFA U-17 Women's World Cup https://www.fifa.com[...] 2024-02-04
[2] 웹사이트 Soccer: NZ to host 2008 Fifa under 17 women's World Cup https://www.nzherald[...] 2024-02-05
[3] 웹사이트 FIFA U-20 Women's World Cup Chile 2008 https://www.fifa.com[...] 2024-02-04
[4] 뉴스 FIFA postpones U-17 Women's World Cup in India due to Covid-19 pandemic https://www.indiatod[...] 2020-04-04
[5] 웹사이트 Bureau of the FIFA Council decisions on FIFA events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5-12
[6] 웹사이트 Update on FIFA Club World Cup 2020 and women's youth tournaments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12-24
[7] 웹사이트 FIFA suspends All India Football Federation https://www.fifa.com[...] 2022-08-16
[8] 웹사이트 FIFA lifts suspension of All India Football Federation https://www.fifa.com[...] 2022-08-27
[9] 웹사이트 FIFA Council appoints United States as host of new and expanded FIFA Club World Cup https://www.fifa.com[...] 2023-07-01
[10] 웹사이트 FIFA President hails return of "inspiring" FIFA U-17 World Cup https://www.fifa.com[...] 2023-09-27
[11] 웹사이트 Morocco awarded multi-year hosting rights to FIFA U-17 Women's World Cup™ https://inside.fifa.[...] FIFA 2024-03-14
[12] 웹사이트 Women U-17 World Cup - All-time tables https://www.rsssf.or[...] 2022-11-23
[13] 웹사이트 FIFA U-17ワールドカップの参加国を48チームに拡大 https://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24-03-23
[14] 뉴스 18年大会はウルグアイで=U17女子W杯サッカー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6-05-11
[15] 웹사이트 FIFA Council agrees on four-phase bidding process for 2026 FIFA World Cup http://www.fifa.com/[...] 2016-05-10
[16] 웹사이트 FIFA Council decides on key steps https://www.fifa.com[...] 2019-04-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