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1911년 창단된 크로아티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크로아티아 축구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유고슬라비아 리그에서 9번, 크로아티아 리그에서 6번 우승하며 국내 최다 우승팀 중 하나이며, 1994-95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에 진출했다. 하이두크는 열정적인 팬덤인 토르치다(Torcida)를 보유하고 있으며,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경기는 "영원한 더비"로 불린다. 클럽의 홈 구장은 폴류드 경기장이며, 12번은 토르치다를 기리기 위해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스타디온 폴류드
스타디온 폴류드는 크로아티아 스플리트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79년 지중해 경기 대회를 위해 건설되었고 조개 껍데기 모양의 독특한 외관을 가지며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크로아티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프르바 HNL 구단 - GNK 디나모 자그레브
GNK 디나모 자그레브는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며 크로아티아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며, 1966-67 시즌에는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클럽 최초로 유럽대항전 우승을 달성한 명문 클럽이다. - 프르바 HNL 구단 - RNK 스플리트
RNK 스플리트는 1912년에 창단된 크로아티아의 축구 클럽으로, 반 파시스트 활동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가담 등 역사를 거쳐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며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기도 했다. - 크로아티아 축구에 관한 - 크로아티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 크로아티아 축구에 관한 - GNK 디나모 자그레브
GNK 디나모 자그레브는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며 크로아티아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며, 1966-67 시즌에는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클럽 최초로 유럽대항전 우승을 달성한 명문 클럽이다.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흐르바츠키 노고메트니 클럽 하이두크 스플리트 |
별칭 | "빌리" (백색), "마이스토리 스 모라" (바다의 거장) |
약칭 | HAJ |
창단일 | 1911년 2월 13일 |
홈구장 | 스타디온 폴류드 |
수용 인원 | 33,987명 |
구단주 | 스플리트 시 (65.92%), 나슈 하이두크 팬 협회 (30.60%), 기타 (3.48%) |
회장 | 이반 빌리치 |
감독 | 젠나로 가투소 |
리그 | 크로아티아 축구 리그 |
시즌 | 2023-24 |
리그 순위 | 3위/10팀 |
웹사이트 | hajduk.hr |
클럽 식별 코드 | |
FIFA | HAJ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1911년 프라하의 한 선술집에서 스플리트 출신 학생 4명에 의해 창단되었다. 이들은 스파르타 프라하와 슬라비아 프라하의 경기를 보고 고향에 프로 축구팀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1911년 2월 13일 축구협회에 공식 등록되었다. 클럽 이름 '하이두크'는 오스만 제국 치하 발칸반도에 존재했다는 의적의 이름에서 따왔다.
1970년부터 1980년 사이에는 9번의 국내 타이틀을 획득하며 "황금 세대"라 불리는 선수들이 활약했다. 1972-73 시즌 UEFA 컵 위너스 컵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
2010-11 시즌은 클럽 창설 100주년이었지만, GNK 디나모 자그레브의 6연패를 막지 못하고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클럽은 지역 출신 선수 중심 정책을 바꿔 이노하 마사히코를 포함한 7명의 외국인 선수를 영입했지만, 이노하는 급여 미지불 문제로 팀을 떠났다.
하이두크의 서포터는 '하이드우코바츠'(Hajdukovac)라고 불리며, 울트라스는 '토르치다'(Torcida)라고 불린다. GNK 디나모 자그레브와 라이벌 관계이며, 두 팀의 경기는 영원한 더비라고 불린다.
하이두크의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 크로아티아 시대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우승 (6회): 1992, 1993-94, 1994-95, 2000-01, 2003-04, 2004-05
- '''크로아티아 컵''' 우승 (8회): 1992-93, 1994-95, 1999-00, 2002-03, 2009-10, 2012-13, 2021-22, 2022-23
- '''크로아티아 슈퍼컵''' 우승 (5회): 1992, 1993, 1994, 2004, 2005
- '''''' 우승 (1회): 1940-41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우승 (2회): 1945, 1946
; 유고슬라비아 시대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 (9회): 1927, 1929, 1950, 1952, 1954-55, 1970-71, 1973-74, 1974-75, 1978-79
- '''유고슬라비아 컵''' 우승 (9회): 1966-67, 1971-72, 1972-73, 1973-74, 1975-76, 1976-77, 1983-84, 1986-87, 1990-91
2. 1. 창단과 초기 (1911~1940년대)
1911년 프라하에서 유학하던 스플리트 출신 학생 파브얀 칼리테르나, 루치얀 스텔라, 이반 샤키치, 브예코슬라브 이바니셰비치 4명이 스파르타 프라하와 슬라비아 프라하의 경기를 본 후, 고향에 축구팀을 만들기로 결심하면서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가 창단되었다.[3] 이들은 2월 13일 축구협회에 클럽을 공식 등록했다.[4] 클럽 이름 '하이두크'는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운 의적을 의미하며,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저항 정신을 담고 있다.[5]
클럽 이름을 정할 때, 학생들은 옛 선생님 요십 바라치에게 조언을 구했고, 그는 "용기, 인간성, 우정, 자유에 대한 사랑, 권력에 대한 반항, 약자 보호를 상징하는 '하이두크'라는 이름을 사용하라"고 말했다.[5]
하이두크는 스플리트의 친 크로아티아 시민, 크로아티아 연합주의자들을 모았으며, 클럽은 "hrvatski nogometni klub"("크로아티아 축구 클럽")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문장에 크로아티아 문장을 사용했다. 이는 크로아티아 지방의 통일을 반대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 정책에 대한 반대였다.[7]
하이두크의 첫 상대는 스플리트의 자치 정당 클럽인 칼시오 스팔라토였고, 경기는 하이두크의 9–0 승리로 끝났다. 하이두크에서 처음으로 골을 넣은 선수는 시메 라우니그였다.[8] 1912년 하이두크는 HAŠK 축구 클럽과의 자그레브에서 첫 경기를 치렀고, 3–2로 패했다. 1913년에는 당시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팀 중 하나였던 체코 클럽 슬라비아 프라하를 상대로 첫 국제 경기를 치렀으나 1–13으로 패했다.[9]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왕국이 형성된 후, 하이두크는 1923년 유고슬라비아 리그에 처음 참가하여 SAŠK에 패했다. 그러나 그해 북아프리카 투어에서 마르세유를 3–2로 꺾고 첫 국제 경기에서 승리했다. 1926년, 클럽 창립 15주년을 기념하여 작곡가 이보 티야르도비치는 오페레타 Kraljica balunahr를 클럽에 헌정했다.
하이두크는 1920년대 후반에 첫 번째 전성기를 맞이하여, 1927년과 1929년 유고슬라비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중앙 유럽 컵에 진출했다.[11] 이 시기 최고의 선수로는 레오 레메시치, 블라디미르 크라기치가 있었으며, 류보 벤치치는 1927 시즌 최고 득점 선수가 되었다. 팀의 오랜 감독은 루카 칼리테르나였다. 1월 6일 독재 동안 "크로아티아 축구 클럽"의 "크로아티아"라는 형용사는 "유고슬라비아"라는 형용사로 강제로 대체되었다. 1930년대는 부진의 시기였으며, 국제 경기에서 몇 번의 성공을 제외하고는 토너먼트나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지 못했다.[12]
1940년-41년에는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시대에 14–3–1의 기록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크로아티아 챔피언으로서 유고슬라비아 선수권 대회 플레이오프를 치를 예정이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선수권 대회는 완료되지 못했다. 이 시기 하이두크는 프라네 마토시치, 라트코 카치얀, 이르지 소보트카를 중심으로 훌륭한 선수진을 보유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추축국이 유고슬라비아를 침공, 점령하면서 스플리트는 이탈리아에 합병되었다. 클럽은 이탈리아 지배에 반대하며 경쟁을 중단했고, 이탈리아 1부 리그 합류 제안을 거절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Societa Calcio Spalato를 창설하고 클럽 홈 구장 이름을 자신의 아들 이름을 따서 변경했다.[13] 1943년 이탈리아 항복 이후, 파르티잔이 스플리트를 일시적으로 해방시켰지만, 독일 국방군이 재점령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 (NDH)에 넘겨주었다. NDH 당국이 하이두크를 크로아티아 독립국 컵에 포함시키려 했지만, 클럽은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은 NDH에 반대했다.
연합국이 남부 이탈리아를 침공하면서 아드리아 해 섬들은 저항의 안식처가 되었고, 1944년 하이두크는 비스 섬에서 부활했다. 클럽 선수들은 아드리아 해의 비스 섬에 있는 파르티잔 본부에 합류, 1944년 5월 7일 성 도미니우스 축일에 파르티잔 지도자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영국 장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하이두크가 다시 결성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저항군의 공식 축구 팀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14] 9월 23일 바리에서 열린 친선 경기에서 영국 육군과 경기를 펼쳐 2–9로 패했다.[15][16] 이 경기는 전쟁 기간 동안 가장 많은 관중이 운집한 축구 경기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45년 동안 하이두크는 이집트, 팔레스타인, 레바논, 시리아, 몰타를 거치는 투어를 시작, 약 30,000km를 이동하고 90경기 이상을 치르며 74경기에서 승리했다.[17] 베이루트에서 샤를 드골은 하이두크에게 자유 프랑스의 명예 팀이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티토는 하이두크를 베오그라드로 옮겨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JNA)의 공식 팀이 되도록 초대했지만, 클럽은 고향인 스플리트에서 계속 경기를 하고 싶어 거절했다.[15] 그들의 가장 큰 라이벌 중 하나인 FK 파르티잔이 대신 창단되었다. 하이두크는 전쟁 후 오랫동안 "티토의 총애를 받는 팀"이라는 명성을 누렸으며, 공산 정부에 의해 전쟁 후 해산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클럽 중 하나가 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1~194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이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점령하면서, 유고슬라비아 리그는 중단되었다. 하이두크 역시 이 시기에 활동을 중단해야 했는데,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이 클럽 이름을 'AC 스팔라토(AC Spalato)'로 바꾸고 이탈리아 리그에 편입시키려 하자 이를 거부했다.[15] 이후 클럽은 1944년 연합군이 점령한 비스 섬에서 재건되어 다시 활동을 시작했고, 연합군 해군 기지에서 연합군 팀들과 축구 경기를 했다.[15]이 시기 클럽의 선수들은 티토가 이끄는 파르티잔에 합류하여 저항 운동에 참여했다. 하이두크는 연합군 측에서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활동했으며, 1944년 9월에는 이탈리아 바리에서 영국군 대표팀과 친선 경기를 가졌으나 패배했다.[15] 이 경기는 전쟁 중 가장 많은 관중이 모인 축구 경기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5]
전쟁이 끝날 무렵, 하이두크는 자유 프랑스 정부로부터 명예 팀 칭호를 받았으며, 티토는 클럽을 베오그라드로 이전하여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팀으로 만들고자 했으나, 선수단은 스플리트에 남는 것을 선택했다.[15]
2. 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 (1945~1991)
1960년대는 하이두크 역사상 가장 힘든 시기 중 하나로 기억된다. 1963년부터 1966년까지 4시즌 동안 클럽은 10위보다 낮은 순위로 마감했고, 이후 5년 동안은 4위보다 높은 순위로 마감하지 못했다. 1965-66 시즌에는 "플라니니치 사건"으로 인해 승점 5점이 삭감되기도 했지만, 페타르 나도베자의 활약으로 1부 리그에 잔류했다. 이 시기에 하이두크는 1967년 유고슬라비아 컵에서 우승하며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에 처음으로 참가했다.[22] 당시 주요 선수로는 안테 자네티치, 이비차 흘레브냐크, 빈코 쿠치, 안드리야 안코비치 등이 있었다.1970년부터 1980년까지는 하이두크의 가장 성공적인 시기였다. "골든 제너레이션"은 1972년부터 1979년까지 5개의 컵과 4개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23] 1971년, 하이두크는 16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1972년에는 첫 번째 유고슬라비아 컵 우승을 달성하며 컵 위너스 컵 준결승에 진출했다. 브란코 제베츠 감독이 팀을 이끌었으며, 이후 토미슬라브 이비치 감독이 부임하여 7개의 다른 국가에서 8개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등 유럽에서 가장 성공적인 감독 중 한 명이 되었다.[24] 이비치 감독 아래에서 하이두크는 2번의 유고슬라비아 리그 우승과 3번의 컵 우승을 차지했다. 1976년에는 파르티잔을 6-1로 꺾고 더블을 달성할 뻔했으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파르티잔이 경기 막판 득점으로 승리하면서 무산되었다.
이 시기 하이두크는 유러피언 컵과 컵 위너스 컵에서 모두 8강에 진출했다.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골키퍼 이반 카탈리니치, 라도미르 부크체비치, 수비수 이반 불얀, 조란 부요비치, 드라간 홀체르, 빌손 조니, 루카 페루조비치, 베드란 로지치, 미드필더 유리차 예르코비치, 드라젠 무지니치, 브란코 오블라크, 공격수 이비차 슈르약, 슬라비샤 줭굴 등이 있었다.
2. 4. 크로아티아 독립 이후 (1991~현재)
1990년대 초, 하이두크는 크로아티아 체커보드를 포함한 전통적인 문양을 복원하며 붉은 별을 제거했고, 이는 귀국 후 대규모 관중 축하 행사로 이어졌다. 같은 해 9월, 파르티잔과의 홈 경기는 관중 난입과 유고슬라비아 국기 방화 사건으로 인해 73분에 중단되었다. 1991년 5월 8일, 하이두크는 유러피언 챔피언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베오그라드에서 꺾고 마지막 유고슬라비아 컵 결승전에서 우승하며, 티토 트로피를 영구 소장하게 되었다.[27]크로아티아 독립 이후, 하이두크는 크로아티아 리그에 참가하여 초기에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4-95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리그 8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로는 부진과 재정 문제에 시달렸다. 2010년대에는 팬들이 주도하여 클럽을 운영하는 '나스 하이두크'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최근 몇 년간 하이두크는 다시 조금씩 성적을 회복하고 있다. 2022-23 시즌에는 크로아티아 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하이두크의 유럽 대항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1993-94 | UEFA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아약스 | 1-0 | 0-6 | 1-6 |
1994-95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 레기아 바르샤바 | 4-0 | 1-0 | 5-0 |
조별 리그 C조 | 벤피카 | 0-0 | 1-2 | 2위 |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4 | 1-0 | ||||
안데를레흐트 | 2-1 | 0-0 | ||||
8강 | 아약스 | 0-0 | 0-3 | 0-3 | ||
1995-96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라운드 | 파나티나이코스 | 1-1 | 0-0 | 1-1 (a) |
1996-97 | UEFA 컵 | 예비 예선 | 짐브루 키시너우 | 2-1 | 4-0 | 6-1 |
예선 라운드 | 토르페도 모스크바 | 1-0 | 0-2 | 1-2 | ||
1997-98 | UEFA 컵 | 예선 1라운드 | CS 그레벤마허 | 2-0 | 4-1 | 6-1 |
예선 2라운드 | 말뫼 FF | 3-2 | 2-0 | 5-2 | ||
1라운드 | 샬케 04 | 2-3 | 0-2 | 2-5 | ||
1998-99 | UEFA 컵 | 예선 2라운드 | 말뫼 FF | 1-1 | 2-1 | 3-2 |
1라운드 | 피오렌티나 | 0-0 | 1-2 | 1-2 | ||
1999-00 | UEFA 컵 | 예선 라운드 | F91 뒤들랑주 | 5-0 | 1-1 | 6-1 |
1라운드 | 레프스키 소피아 | 0-0 | 0-3 | 0-3 | ||
2000-01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두나우이바로시 FC | 0-2 | 2-2 | 2-4 |
2001-02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페렌츠바로시 TC | 0-0 | 0-0 | 0-0 (6-5 승) |
예선 3라운드 | 마요르카 | 1-0 | 0-2 (연.) | 1-2 | ||
UEFA 컵 | 1라운드 | 위스와 크라쿠프 | 2-2 | 0-1 | 2-3 | |
2002-03 | UEFA 컵 | 예선 라운드 | 비킹구르 고타 | 3-0 | 8-0 | 11-0 |
1라운드 | 풀럼 | 0-1 | 2-2 | 2-3 | ||
2003-04 | UEFA 컵 | 예선 라운드 | FC 하카 | 1-0 | 1-2 | 2-2 (a) |
1라운드 | 그라스호퍼 | 0-0 | 1-1 | 1-1 (a) | ||
2라운드 | AS 로마 | 1-1 | 0-1 | 1-2 | ||
2004-05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셸본 | 3-2 | 0-2 | 3-4 |
2005-06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데브레체니 VSC | 0-5 | 0-3 | 0-8 |
2007-08 | UEFA 컵 | 예선 1라운드 |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1-0 | 1-1 | 2-1 |
예선 2라운드 | 삼프도리아 | 0-1 | 1-1 | 1-2 | ||
2008-09 | UEFA 컵 | 예선 1라운드 | 비르키르카라 | 4-0 | 3-0 | 7-0 |
예선 2라운드 | 데포르티보 | 0-2 | 0-0 | 0-2 | ||
2009-10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질리나 | 0-1 | 1-1 | 1-2 |
2010-11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디나모 부쿠레슈티 | 3-0 | 1-3 | 4-3 |
플레이오프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4-1 | 1-1 | 5-2 | ||
G조 | AEK 아테네 | 1-3 | 1-3 | 4위 | ||
안데를레흐트 | 1-0 | 0-2 | ||||
제니트 | 2-3 | 0-2 | ||||
2011-12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스토크 시티 | 0-1 | 0-1 | 0-2 |
2012-13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스콘토 | 2-0 | 0-1 | 2-1 |
예선 3라운드 | 인테르 | 0-3 | 2-0 | 2-3 | ||
2013-14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투르노보 | 2-1 | 1-1 | 3-2 |
예선 3라운드 | 딜라 고리 | 0-1 | 0-1 | 0-2 | ||
2014-15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던도크 | 1-2 | 2-0 | 3-2 |
예선 3라운드 | 샤흐테르 카라간디 | 3-0 | 2-4 | 5-4 | ||
플레이오프 | 드니프로 | 0-0 | 1-2 | 1-2 | ||
2015-16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1라운드 | 실라마에 칼레프 | 6-2 | 1-1 | 7-3 |
예선 2라운드 | 코페르 | 4-1 | 2-3 | 6-4 | ||
예선 3라운드 | 스트롬스고드세트 IF | 2-0 | 2-0 | 4-0 | ||
플레이오프 | 슬로반 리베레츠 | 0-1 | 0-1 | 0-2 | ||
2016-17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스튀덴체스크 야시 | 2-1 | 2-2 | 4-3 |
예선 3라운드 | 올렉산드리야 | 3-1 | 3-0 | 6-1 | ||
플레이오프 | 마카비 텔아비브 | 2-1 | 1-2 | 3-3 (3-4 p) | ||
2017-18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레프스키 소피아 | 1-0 | 2-1 | 3-1 |
예선 3라운드 | 브뢴뷔 IF | 2-0 | 0-0 | 2-0 | ||
플레이오프 | 에버턴 | 1-1 | 0-2 | 1-3 | ||
2018-19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슬라비아 소피아 | 1-0 | 3-2 | 4-2 |
예선 3라운드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0-0 | 1-2 | 1-2 | ||
2019-20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1라운드 | 그지라 유나이티드 | 1-3 | 2-0 | 3-3 (a) |
2020-21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레노바 | 1-0 | ||
예선 3라운드 | 갈라타사라이 | 0-2 | ||||
2021-22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토볼 | 2-0 | 1-4 (a.e.t.) | 3-4 |
2022-23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3라운드 | 비토리아 데 기마랑이스 | 3-1 | 0-1 | 3-2 |
플레이오프 | 비야레알 | 0-2 | 2-4 | 2-6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스타디온 폴류드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28] 폴류드는 1979년 지중해 게임을 위해 건설된 다목적 경기장으로, '폴류드 미녀'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이전에는 스타리 플라츠(스타로 하이두코보)를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3. 경기장
3. 1. 스타디온 폴류드
스타디온 폴류드는 1979년 지중해 게임을 위해 건설된 다목적 경기장이다. 보리스 마가슈가 설계했으며, '폴류드 미녀'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3. 2. 스타디온 스타리 플라츠
스타디온 스타리 플라츠(Stadion Stari plac)는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가 1911년부터 1979년까지 사용한 홈 구장이다. 현재는 RK 나다 럭비 클럽이 사용하고 있으며, '스타리 플라츠' 또는 '스타로 하이두코보'라고도 불린다.
4. 상징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1911년 프라하의 한 선술집에서 스플리트 출신 학생 4명에 의해 창단되었다.[13] 클럽 이름 '하이두크'는 오스만 제국 치하 발칸반도에 존재했던 의적의 이름에서 따왔다.
하이두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에 점령당한 상황에서도 이탈리아 리그 참여를 거부하고, 파르티잔의 공식 축구팀으로 활동하며 저항 정신을 보여주었다.[14][15] 샤를 드골로부터 자유 프랑스의 명예 팀이라는 칭호를 받기도 했다.[17]
전쟁 이후, 하이두크는 티토의 초청에도 불구하고 베오그라드로 연고지를 옮기지 않고 스플리트에 남았다. 2011년, 팬들은 '나스 하이두크'(Naš Hajduk, 우리의 하이두크)라는 협회를 조직하여 클럽 운영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하이두크는 팬 소유 축구 클럽이 되었다.[29]
4. 1. 유니폼
HNK Hajduk Splithr의 초기 유니폼은 빨간색과 흰색 줄무늬에 파란색 하의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크로아티아의 국기를 상징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르티잔의 공식 축구팀으로 활동하면서 유니폼 중앙에 붉은 별을 부착하기도 했다.[15] 전쟁 이후에는 흰색 상의와 파란색 하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정 유니폼은 다시 빨간색과 파란색 줄무늬에 흰색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4. 2. 문장 (엠블럼)
하이두크의 문장은 크로아티아를 상징하는 빨간색과 흰색의 체크 무늬를 바탕으로 파란색 원형 테두리 안에 새겨져 있으며, 양쪽에는 "Hajduk"과 "Split"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흰색 세로줄 2개가 있다.[13] 중앙의 체크 무늬는 크로아티아의 국장과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상징이기도 하다. 문장 디자인은 1911년 클럽 창단 당시 프라하의 한 선술집에서 스플리트 출신 학생 4명에 의해 만들어졌다.[13]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붉은 별이 추가되기도 했으나, 1990년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함께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14][15][16][17]
5. 서포터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유럽에서 최초로 서포터 조직인 토르치다(Torcida)가 생긴 팀이다. 1950년 브라질 월드컵 당시 유고슬라비아를 꺾었던 브라질의 열정적인 축구 팬들에 감화되어 1950년 10월 29일 츠베르나 즈베즈다와의 경기에서 횃불을 흔들고 노래를 부르는 방식의 응원 방식을 처음 축구장에 등장시켰다.[22] '토르치다'는 포르투갈어로 torcerpt라는 ‘전진’의 의미를 가진 응원 구호에서 유래했다.
하이두크는 달마티아 지방을 비롯한 크로아티아에서 강력한 팬층을 가진 팀이며,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여러 차례 성공적인 결과로 크로아티아인 전체의 응원을 받기도 했다. 알바니아와 코소보에서도 많은 인기를 누렸다. 크로아티아 밖에서도 하이두크는 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크로아티아계 이민자가 거의 없는 나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이두크가 외국에서 경기한 사례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토르치다의 상징성과 영향력으로 인해 거대한 팬층을 확보할 수 있었다. K리그 경기장에서도 일부 구단의 서포터들이 'Torcida'라는 문구를 걸개로 만들어 경기장에 내걸기도 한다.
5. 1. 토르치다 (Torcida)
1950년 브라질 월드컵 당시, 유고슬라비아를 꺾었던 브라질의 열정적인 축구 팬들에 감화되어 1950년 10월 29일 츠베르나 즈베즈다와의 경기에서 횃불을 흔들고 노래를 부르는 방식의 응원 방식을 처음 축구장에 등장시킨 유럽 최초의 서포터 조직 '''토르치다'''(Torcida)가 생겼다. '토르치다'는 포르투갈어로 torcerpt라는 ‘전진’의 의미를 가진 응원 구호에서 유래한 것이다.[22]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의 서포터인 토르시다는 1950년 10월 28일 자그레브의 학생들(안테 도리치, 안테 이바니셰비치, 벤체슬라브 주벨라)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조직적인 서포터 그룹이다.[22] 이들은 우상으로 삼았던 브라질 팬 그룹의 이름을 따서 지었는데, 이는 포르투갈어 'torcer'에서 유래되었으며 '응원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토르시다의 슬로건은 "하이두크는 영원히 산다"이다.
토르시다 멤버들과 열렬한 팬들은 폴류드 스타디움의 북쪽 관중석에 모여 클럽을 응원한다. '하이드크의 심장'(Hajdučko srcehr)은 1994년에 제정된 연례 축구상으로, 하이두크 스플리트 서포터들이 시즌 동안 팀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공식적으로 수여한다. 이 상은 연례 풋살 대회인 토르시다 컵에서 수여된다.
5. 2. 다른 클럽과의 관계
하이두크는 SK 슬라비아 프라하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6. 라이벌
오늘날 하이두크의 가장 큰 라이벌은 디나모 자그레브이며, 두 팀 간의 경기는 "영원한 더비"라고 불린다.[22] 과거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츠르베나 즈베즈다, 파르티잔과 같은 세르비아 클럽들도 주요 라이벌이었는데, 이들은 하이두크, 디나모와 함께 유고슬라비아의 '빅 4'로 불리며 리그를 주도했다.[22]
6. 1. 영원한 더비 (Vječni derbi)
오늘날 하이두크의 가장 큰 라이벌은 디나모 자그레브이며, 두 팀 간의 경기는 "영원한 더비"라고 불린다.[22] 과거에는 하이두크, 디나모와 함께 옛 유고슬라비아의 이른바 '빅 4'를 구성했던 세르비아 클럽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파르티잔도 주요 라이벌이었다.[22] 빅 4는 과거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크고 성공적인 클럽이었다.[22]
6. 2. 과거의 라이벌
1950년대에 세대 교체 이후, 1960년대는 하이두크 역사상 가장 힘든 시기로 기록된다. 1965-66 시즌에는 "플라니니치 사건"으로 승점 5점이 삭감되기도 하였다.[22] 이 시기 유일한 트로피는 1967년 컵 대회 우승이었다.[22]1970년부터 1980년까지는 하이두크가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보낸 때이다."골든 제너레이션"은 1972년부터 1979년까지 5개의 컵과 4개의 챔피언십을 연속으로 획득하였다.[23]
이 시기, 츠르베나 즈베즈다, 파르티잔과 같은 팀들과 명승부를 펼치며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특히, 1976년에는 파르티잔을 6-1로 대파하기도 하였으나,[23]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파르티잔이 경기 막판 득점으로 승리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7. 선수
크로아티아 팀은 국내 리그 및 컵 경기에서 선발 11명에 최대 6명의 외국인 선수만 출전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다.[43] 선수 명단에는 각 선수의 주 국적만 표시되어 있으며, 크로아티아 시민권을 가진 선수는 별도로 표기된다.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현재 선수단 외에 여러 선수들을 임대 보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루카 부슈코비치는 웨스터로에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선수로 활동 중이다.
또한,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의 서포터인 토르치다 스플리트를 기리기 위해 12번은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역대 주요 선수로는 스티페 플레티코사, 이고르 슈티마츠, 슬라벤 빌리치, 니콜라 예르칸, 이고르 투도르, 이노하 마사히코, 로베르토 야르니, 다리요 스르나, 니코 크라니차르, 알렌 복시치 등이 있다.
7.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3 | DF | 도미니크 프르피치 | |
5 | DF | 이스마엘 디알로 | |
6 | MF | 미하엘 자페르 | |
7 | MF | 앤서니 칼릭 | |
8 | MF | 니코 시구르 | |
9 | FW | 알렉산다르 트라지코프스키 | |
10 | FW | 마르코 리바야 | |
11 | MF | 이반 라키티치 | |
13 | GK | 이반 루치치 | |
16 | MF | 마지드 쇼시치 | |
17 | DF | 다리오 멜냑 | |
18 | DF | 파흐드 무피 | |
19 | DF | 요십 엘레즈 | |
21 | MF | 로카스 푸크스타스 | |
22 | FW | 레온 다야쿠 | |
23 | MF | 필리프 크로비노비치 | |
24 | FW | 압둘리에 사냥 | |
25 | DF | 필리프 우레모비치 | |
26 | MF | 마르코 차판 | |
27 | FW | 스티페 비우크 | |
28 | FW | 로코 브라지코비치 | |
31 | DF | 즈보니미르 사를리야 | |
32 | DF | 시문 흐르고비치 | |
34 | FW | 브루노 두르도브 | |
35 | MF | 루카 유라크 | |
36 | DF | 마리노 스켈린 | |
37 | MF | 노아 스코코 | |
38 | DF | 루카 호닥 | |
39 | FW | 마테 안투노비치 | |
40 | GK | 보르나 불얀 | |
43 | DF | 니코 조롱가 | |
45 | MF | 야신 벤라후 | |
91 | GK | 로브레 칼리니치 |
7. 2. 임대 선수
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임대 구단 및 기간 |
---|---|---|---|---|
44 | DF | 루카 부슈코비치 | 웨스터로 (2025년 6월 30일까지) | |
FW | 예레 브르치치 | 크로아티아 즈미야브치 (2025년 1월 11일까지) | ||
DF | 토미슬라브 아르코비치 | 크로아티아 즈미야브치 (2025년 6월 30일까지) | ||
GK | 토니 실리치 | 로코모티바 (2025년 6월 30일까지) | ||
MF | 크레시미르 나조르 | GOŠK 두브로브니크 (2025년 6월 30일까지) | ||
FW | 니노 두이치 | 유나크 시니 (2025년 6월 30일까지) |
크로아티아 팀은 국내 리그 및 컵 경기에서 선발 11명에 최대 6명의 외국인 선수만 출전할 수 있다.[43] 선수단 목록에는 각 선수의 주 국적만 포함되어 있으며, 크로아티아 시민권을 소지한 선수도 특별히 명시되어 있다.
7. 3. 영구 결번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의 서포터인 토르치다 스플리트를 헌정하기 위해 12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7. 4. 역대 주요 선수
포지션 | 선수 | 기간 |
---|---|---|
골키퍼 | 스티페 플레티코사 | 1996-2003, 2005-2006 |
골키퍼 | 베드란 루니예 | 1996-1998 |
골키퍼 | 요십 포사베츠 | 2018- |
골키퍼 | 로브레 칼리니치 | 2009-2016 |
수비수 | 이고르 슈티마츠 | 1985-1992, 1994-1995, 2001-2002 |
수비수 | 슬라벤 빌리치 | 1987-1993, 2000-2001 |
수비수 | 니콜라 예르칸 | 1988-1990 |
수비수 | 이고르 투도르 | 1995-1998, 2007-2008 |
수비수 | 고체 세드로스키 | 1996-1997 |
수비수 | 마토 네레트냑 | 2002-2005 |
수비수 | 치아기뉴 | 2009 |
수비수 | 이노하 마사히코 | 2011-2012 |
수비수 | 도마고이 브라다리치 | 2018-2019 |
미드필더 | 브랑코 오브라크 | 1973-1975 |
미드필더 | 로베르토 야르니 | 1986-1991 |
미드필더 | 밀란 라파이치 | 1991-1996, 2002-2003 |
미드필더 | 요십 스코코 | 1995-1999, 2008-2010 |
미드필더 | 미르코 풀고비치 | 1995-1999, 2006-2008 |
미드필더 | 믈라덴 믈라데노비치 | 1997-1998 |
미드필더 | 스르잔 안드리치 | 1999-2004, 2007-2012 |
미드필더 | 다리요 스르나 | 1999-2003 |
미드필더 | 니코 크라니차르 | 2005-2006 |
미드필더 | 이반 레코 | 1995-2001, 2005 |
미드필더 | 세냐드 이브리치치 | 2008-2010 |
미드필더 | 미요 차크타시 | 2011-2016, 2018- |
미드필더 | 즈보니미르 코줄리 | 2016-2018 |
공격수 | 나드베자 페테르 | 1963-1973 |
공격수 | 즈라트코 브요비치 | 1976-1986 |
공격수 | 알렌 복시치 | 1987-1991 |
공격수 | 토미슬라브 엘체그 | 1991-1995 |
공격수 | 마테 빌리치 | 1997-2001 |
공격수 | 니콜라 칼리니치 | 2005-2009, 2022- |
공격수 | 마리스 벨파코프스키스 | 2007 |
공격수 | 라파에우 파라이바 | 2009 |
8. 코칭 스태프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hr의 코칭 스태프는 2023년 2월 26일[60][61] 기준으로 감독은 이반 레코이다.
8. 1. 현 코칭 스태프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감독 목록 문서에서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의 현 코칭 스태프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8. 2.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토미슬라브 이비치 | 1973 ~ 1976 |
토미슬라브 이비치 | 1978 ~ 1980 |
토미슬라브 이비치 | 1986 ~ 1987 |
요시프 스코블라르 | 1990 ~ 1991 |
토미슬라브 이비치 | 1997 |
슬라벤 빌리치 | 2001 ~ 2002 |
미로슬라브 블라제비치 | 2005 |
로베르트 야르니 | 2007 ~ 2008 |
이고르 투도르 | 2013 ~ 2015 |
이고르 투도르 | 2020 |
젠나로 가투소 | 2024 ~ |
2024년 9월 12일 기준[45][46]
토미슬라브 이비치 감독은 하이두크 스플리트에서 세 차례(1973~1976, 1978~1980, 1986~1987) 감독직을 역임하며 클럽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97년에도 짧게 감독을 맡았다.
슬라벤 빌리치는 2001년부터 2002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미로슬라브 블라제비치는 2005년에 감독을 역임했다.
9. 우승 기록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정규 리그 17회, 컵 대회 17회, 슈퍼컵 6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프르바 HNL | 6 | 1992, 1993/94, 1994/95, 2000/01, 2003/04, 2004/05 |
구 유고슬라비아 리그 | 9 | 1927, 1929, 1950, 1952, 1954/55, 1970/71, 1973/74, 1974/75, 1978/79 |
크로아티아 지방 리그 | 1 | 1940/41 (* 유고슬라비아 왕국) |
구 크로아티아 리그 | 1 | 1946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크로아티아 컵 | 8 | 1993, 1995, 2000, 2003, 2010, 2013, 2022, 2023 |
유고슬라비아 컵 | 9 | 1967, 1972, 1973, 1974, 1976, 1977, 1984, 1987, 1991 |
크로아티아 슈퍼컵 | 6 | 1992, 1993, 1994, 1995, 2004, 2005 |
9. 1. 국내 대회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 6 | 1992, 1993-94, 1994-95, 2000-01, 2003-04, 2004-05 |
크로아티아 컵 | 8 | 1992-93, 1994-95, 1999-00, 2002-03, 2009-10, 2012-13, 2021-22, 2022-23 |
크로아티아 슈퍼컵 | 5 | 1992, 1993, 1994, 2004, 2005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 9 | 1927, 1929, 1950, 1952, 1954-55, 1970-71, 1973-74, 1974-75, 1978-79 |
유고슬라비아 컵 | 9 | 1966-67, 1971-72, 1972-73, 1973-74, 1975-76, 1976-77, 1983-84, 1986-87, 1990-91 |
시즌 | 디비전 | 컵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1992 | 1. HNL | 22 | 16 | 4 | 2 | 44 | 14 | 36 | 1위 | 8강 |
1992-93 | 1. HNL | 30 | 16 | 10 | 4 | 53 | 27 | 42 | 2위 | 우승 |
1993-94 | 1. HNL | 34 | 22 | 6 | 6 | 84 | 36 | 50 | 1위 | 준결승 |
1994-95 | 1. HNL | 30 | 19 | 8 | 3 | 68 | 26 | 65 | 1위 | 우승 |
1995-96 | 1. HNL | 32 | 19 | 7 | 6 | 66 | 33 | 64 | 2위 | 2회전 |
1996-97 | 1. HNL | 30 | 18 | 6 | 6 | 53 | 22 | 60 | 2위 | 8강 |
1997-98 | 1. HNL | 32 | 17 | 6 | 9 | 53 | 36 | 57 | 2위 | 준결승 |
1998-99 | 1. HNL | 32 | 17 | 9 | 6 | 62 | 32 | 60 | 3위 | 준결승 |
1999-00 | 1. HNL | 33 | 17 | 10 | 6 | 58 | 30 | 61 | 2위 | 우승 |
2000-01 | 1. HNL | 32 | 20 | 6 | 6 | 66 | 23 | 66 | 1위 | 준우승 |
2001-02 | 1. HNL | 30 | 20 | 5 | 5 | 61 | 28 | 65 | 2위 | 8강 |
2002-03 | 1. HNL | 32 | 22 | 4 | 6 | 56 | 22 | 70 | 2위 | 우승 |
2003-04 | 1. HNL | 32 | 25 | 3 | 4 | 63 | 24 | 78 | 1위 | 8강 |
2004-05 | 1. HNL | 32 | 16 | 8 | 8 | 58 | 33 | 56 | 1위 | 준우승 |
2005-06 | 1. HNL | 32 | 10 | 10 | 12 | 40 | 35 | 40 | 5위 | 준결승 |
2006-07 | 1. HNL | 33 | 22 | 6 | 5 | 60 | 25 | 72 | 2위 | 준결승 |
2007-08 | 1. HNL | 33 | 14 | 10 | 9 | 57 | 41 | 52 | 5위 | 준우승 |
2008-09 | 1. HNL | 32 | 21 | 5 | 7 | 59 | 25 | 68 | 2위 | 준우승 |
2009-10 | 1. HNL | 30 | 17 | 7 | 6 | 50 | 21 | 58 | 2위 | 우승 |
2010-11 | 1. HNL | 30 | 16 | 7 | 7 | 54 | 32 | 55 | 2위 | 32강 |
2011-12 | 1. HNL | 30 | 16 | 6 | 8 | 50 | 24 | 54 | 2위 | 8강 |
2012-13 | 1. HNL | 33 | 14 | 10 | 9 | 45 | 31 | 52 | 4위 | 우승 |
2013-14 | 1. HNL | 36 | 17 | 11 | 8 | 58 | 44 | 62 | 3위 | 8강 |
2014-15 | 1. HNL | 36 | 15 | 8 | 13 | 59 | 56 | 50 | 3위 | 준결승 |
2015-16 | 1. HNL | 36 | 17 | 10 | 9 | 46 | 28 | 61 | 3위 | 준결승 |
2016-17 | 1. HNL | 36 | 20 | 9 | 7 | 70 | 31 | 69 | 3위 | 8강 |
2017-18 | 1. HNL | 36 | 19 | 9 | 8 | 70 | 38 | 66 | 3위 | 준우승 |
2018-19 | 1. HNL | 36 | 17 | 11 | 8 | 59 | 39 | 62 | 4위 | 8강 |
2019-20 | 1. HNL | 36 | 18 | 6 | 12 | 60 | 41 | 60 | 5위 | 32강 |
2020-21 | 1. HNL | 36 | 18 | 6 | 12 | 48 | 37 | 60 | 4위 | 8강 |
2021-22 | 1. HNL | 36 | 21 | 9 | 6 | 64 | 31 | 72 | 2위 | 우승 |
2022-23 | 1. HNL | 36 | 21 | 8 | 7 | 65 | 41 | 71 | 2위 | 우승 |
9. 2. 유럽 대회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UEFA컵에서 1983-84 시즌 준결승에 진출하였고,[47]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8강에 진출한 기록이 있다.[47]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
1993-94 | UEFA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아약스 | 1-0 | 0-6 | 1-6 | |
1994-95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 레기아 바르샤바 | 4-0 | 1-0 | 5-0 | |
조별 리그 C조 | 벤피카 | 0-0 | 1-2 | 2위 | -- |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4 | 1-0 | |||||
안데를레흐트 | 2-1 | 0-0 | |||||
8강 | 아약스 | 0-0 | 0-3 | 0-3 | -- | ||
1995-96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라운드 | 파나티나이코스 | 1-1 | 0-0 | 1-1 (a) | -- |
1996-97 | UEFA 컵 | 예비 예선 | 짐브루 키시너우 | 2-1 | 4-0 | 6-1 | -- |
예선 라운드 | 토르페도 모스크바 | 1-0 | 0-2 | 1-2 | -- | ||
1997-98 | UEFA 컵 | 예선 1라운드 | CS 그레벤마허 | 2-0 | 4-1 | 6-1 | -- |
예선 2라운드 | 말뫼 FF | 3-2 | 2-0 | 5-2 | -- | ||
1라운드 | 샬케 04 | 2-3 | 0-2 | 2-5 | -- | ||
1998-99 | UEFA 컵 | 예선 2라운드 | 말뫼 FF | 1-1 | 2-1 | 3-2 | -- |
1라운드 | 피오렌티나 | 0-0 | 1-2 | 1-2 | -- | ||
1999-00 | UEFA 컵 | 예선 라운드 | F91 뒤들랑주 | 5-0 | 1-1 | 6-1 | -- |
1라운드 | 레프스키 소피아 | 0-0 | 0-3 | 0-3 | -- | ||
2000-01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두나우이바로시 FC | 0-2 | 2-2 | 2-4 | -- |
2001-02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페렌츠바로시 TC | 0-0 | 0-0 | 0-0 (6-5 승) | -- |
예선 3라운드 | 마요르카 | 1-0 | 0-2 (연.) | 1-2 | -- | ||
UEFA 컵 | 1라운드 | 위스와 크라쿠프 | 2-2 | 0-1 | 2-3 | -- | |
2002-03 | UEFA 컵 | 예선 라운드 | 비킹구르 고타 | 3-0 | 8-0 | 11-0 | -- |
1라운드 | 풀럼 | 0-1 | 2-2 | 2-3 | -- | ||
2003-04 | UEFA 컵 | 예선 라운드 | FC 하카 | 1-0 | 1-2 | 2-2 (a) | -- |
1라운드 | 그라스호퍼 | 0-0 | 1-1 | 1-1 (a) | -- | ||
2라운드 | AS 로마 | 1-1 | 0-1 | 1-2 | -- | ||
2004-05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셸본 | 3-2 | 0-2 | 3-4 | -- |
2005-06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데브레체니 VSC | 0-5 | 0-3 | 0-8 | -- |
2007-08 | UEFA 컵 | 예선 1라운드 |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1-0 | 1-1 | 2-1 | -- |
예선 2라운드 | 삼프도리아 | 0-1 | 1-1 | 1-2 | -- | ||
2008-09 | UEFA 컵 | 예선 1라운드 | 비르키르카라 | 4-0 | 3-0 | 7-0 | -- |
예선 2라운드 | 데포르티보 | 0-2 | 0-0 | 0-2 | -- | ||
2009-10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질리나 | 0-1 | 1-1 | 1-2 | -- |
2010-11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디나모 부쿠레슈티 | 3-0 | 1-3 | 4-3 | -- |
플레이오프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4-1 | 1-1 | 5-2 | -- | ||
G조 | AEK 아테네 | 1-3 | 1-3 | 4위 | -- | ||
안데를레흐트 | 1-0 | 0-2 | |||||
제니트 | 2-3 | 0-2 | |||||
2011-12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스토크 시티 | 0-1 | 0-1 | 0-2 | -- |
2012-13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스콘토 | 2-0 | 0-1 | 2-1 | -- |
예선 3라운드 | 인테르 | 0-3 | 2-0 | 2-3 | -- | ||
2013-14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투르노보 | 2-1 | 1-1 | 3-2 | -- |
예선 3라운드 | 딜라 고리 | 0-1 | 0-1 | 0-2 | -- | ||
2014-15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던도크 | 1-2 | 2-0 | 3-2 | -- |
예선 3라운드 | 샤흐테르 카라간디 | 3-0 | 2-4 | 5-4 | -- | ||
플레이오프 | 드니프로 | 0-0 | 1-2 | 1-2 | -- | ||
2015-16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1라운드 | 실라마에 칼레프 | 6-2 | 1-1 | 7-3 | -- |
예선 2라운드 | 코페르 | 4-1 | 2-3 | 6-4 | -- | ||
예선 3라운드 | 스트롬스고드세트 IF | 2-0 | 2-0 | 4-0 | -- | ||
플레이오프 | 슬로반 리베레츠 | 0-1 | 0-1 | 0-2 | -- | ||
2016-17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스튀덴체스크 야시 | 2-1 | 2-2 | 4-3 | -- |
예선 3라운드 | 올렉산드리야 | 3-1 | 3-0 | 6-1 | -- | ||
플레이오프 | 마카비 텔아비브 | 2-1 | 1-2 | 3-3 (3-4 p) | -- | ||
2017-18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레프스키 소피아 | 1-0 | 2-1 | 3-1 | -- |
예선 3라운드 | 브뢴뷔 IF | 2-0 | 0-0 | 2-0 | -- | ||
플레이오프 | 에버턴 | 1-1 | 0-2 | 1-3 | -- | ||
2018-19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슬라비아 소피아 | 1-0 | 3-2 | 4-2 | -- |
예선 3라운드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0-0 | 1-2 | 1-2 | -- | ||
2019-20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1라운드 | 그지라 유나이티드 | 1-3 | 2-0 | 3-3 (a) | -- |
2020-21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레노바 | 1-0 | -- | ||
예선 3라운드 | 갈라타사라이 | 0-2 | -- | ||||
2021-22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토볼 | 2-0 | 1-4 (a.e.t.) | 3-4 | -- |
2022-23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3라운드 | 비토리아 데 기마랑이스 | 3-1 | 0-1 | 3-2 | -- |
플레이오프 | 비야레알 | 0-2 | 2-4 | 2-6 | -- |
10. 기타
하이두크의 첫 공식 경기는 칼치오 스팔라토전 9-0 승리였다. 1934년 슬라비야 사라예보전 14-0 승리는 유고슬라비아 시대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였다. 프르바 HNL에서 구단의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는 1994년 라드니크전 10-0 승리였으며, 최다 점수차 패배는 2001년 바르테크스전 1-5 패배였다. 하이두크의 유럽 대회 최다 점수차 승리는 2002년 괴투 이트로타르펠라그전 8-0 승리였으며,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93년 아약스전 0-6 패배였다.[47]
Velo mistohr는 하이두크의 역사와 운명을 다룬 인기 TV 시리즈이다.[47]
10. 1. 대중 문화
Velo mistohr는 하이두크의 역사와 운명을 다룬 인기 TV 시리즈이다.[47]10. 2. 클럽 통계 및 기록
베드란 로지치는 1972년부터 1984년까지 12시즌 동안 390경기에 출전하여 구단의 역대 공식 경기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하이두크의 역대 통산 최다 득점자는 프라네 마토시치로, 구단 공식 경기에서 211골을 기록했다. 즐라트코 부요비치는 유럽 대회 통산 19골로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47]하이두크의 역대 홈 경기 최다 관중 기록은 1982년 2월 28일 유고슬라비아 챔피언십 디나모 자그레브전에서 기록한 62,000명이다. 현대식 (전 좌석) 최다 관중 기록은 2009년 2월 22일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경기에서 기록한 38,000명이다.[47]
하이두크의 첫 공식 경기는 칼치오 스팔라토전 9-0 승리였다. 1934년 슬라비야 사라예보전 14-0 승리는 유고슬라비아 시대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였다. 프르바 HNL에서 구단의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는 1994년 라드니크전 10-0 승리였으며, 최다 점수차 패배는 2001년 바르테크스전 1-5 패배였다. 하이두크의 유럽 대회 최다 점수차 승리는 2002년 괴투 이트로타르펠라그전 8-0 승리였으며,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93년 아약스전 0-6 패배였다.[47]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2회,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7회[48],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6회[49] 우승했다. 유고슬라비아 컵 9회[50], 크로아티아 컵 8회[51], 크로아티아 슈퍼컵 5회[52] 우승을 차지했다. 해외에서는 유러피언 컵 3회, UEFA컵 1회, UEFA 컵 위너스 컵 1회, 총 5번의 유럽 8강에 진출했으며, 1973년 컵 위너스 컵, 1984년 UEFA컵에서 2번의 유럽 준결승에 진출했고, 2022-23 UEFA 유스 리그 결승에도 진출했다.[53]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 6 | 1992, 1993-94, 1994-95, 2000-01, 2003-04, 2004-05 |
크로아티아 컵 | 8 | 1992-93, 1994-95, 1999-2000, 2002-03, 2009-10, 2012-13, 2021-22, 2022-23 |
크로아티아 슈퍼컵 | 5 | 1992, 1993, 1994, 2004, 2005 |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 1 | 1940-41[49]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2 | 1945, 1946[49][54]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 9 | 1927, 1929, 1950, 1952, 1954-55, 1970-71, 1973-74, 1974-75, 1978-79 |
유고슬라비아 컵 | 9 | 1966-67, 1971-72, 1972-73, 1973-74, 1975-76, 1976-77, 1983-84, 1986-87, 1990-91 |
10. 3. UEFA 클럽 계수 랭킹
순위 | 팀 | 승점 |
---|---|---|
153 | 마리보르 | 9.500 |
154 | 샴록 로버스 | 9.500 |
155 | 세르베트 | 9.000 |
156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9.000 |
157 | 아리스 테살로니키 | 9.000 |
158 | 링컨 레드 임프스 | 9.000 |
159 | 위니옹 SG | 8.813 |
출처: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lub/#/yr/2022 UEFA.com
10. 4. 수상 내역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2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7번[48], 크로아티아의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6번[49] 우승했다. 유고슬라비아 컵에서 9번[50], 크로아티아 컵에서 8번[51], 크로아티아 슈퍼컵에서 5번[52] 우승했다. 해외에서는 유러피언 컵(현재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3번, UEFA컵에서 1번, UEFA 컵 위너스 컵에서 1번, 총 5번의 유럽 8강에 진출했으며, 1973년 컵 위너스 컵, 1984년 UEFA컵에서 2번의 유럽 준결승에 진출했고, 2022-23 UEFA 유스 리그 결승에도 진출했다.[53]10. 5. 역대 회장
다음은 2000년 이후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회장 명단이다.이름 | 재임 기간 |
---|---|
브란코 그르기치 | 2000년 ~ 2007년 |
젤리코 케룸 | 2008년 ~ 2009년 |
요슈코 스브르지치 | 2009년 ~ 2011년 |
흐르보예 말레시 | 2011년 ~ 2012년 |
마린 브르비치 | 2012년 ~ 2016년 |
이반 코스 | 2016년 ~ 2018년 |
야스민 훌야이 | 2018년 ~ 2019년 |
마린 브르비치 | 2019년 ~ 2020년 |
루크샤 야코부시치 | 2020년 ~ 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Hajdukove brojke u 2016. godini
http://hajduk.hr/vij[...]
HNK Hajduk Split
2017-08-05
[2]
웹사이트
Society of Hajduk Friends
http://hajduk.hr/eng[...]
HNK Hajduk Split
2016-05-11
[3]
서적
Hrvatska enciklopedija: Volume 1
1999
[4]
웹사이트
HNK Hajduk Split—History: 1911 – 1920
http://hajduk.hr/eng[...]
Hajduk.hr
2013-11-29
[5]
웹사이트
Vjesnik: Po kome je Hajduk dobio ime?
https://web.archive.[...]
2011-02-17
[6]
웹사이트
Hajduk's membership pass – Lord help us!
http://www.slobodnad[...]
[7]
웹사이트
Osnivanje Hajduka
https://web.archive.[...]
hajduckiportal.hr
2013-11-29
[8]
웹사이트
"Klub neka se Hajduk zove!"
http://hrsport.net/V[...]
2001-02-09
[9]
웹사이트
Slavia
http://www.slavia.cz[...]
[10]
웹사이트
HNK Hajduk Split—History: 1921 – 1930
http://hajduk.hr/eng[...]
Hajduk.hr
2013-11-29
[11]
웹사이트
Hajduk uzletio 1920-te, prva dva naslova stigla u Split
https://web.archive.[...]
Dalmacijanews.com
2013-11-29
[12]
웹사이트
Hajdukove tridesete – godine krize i inozemnih turneja
https://web.archive.[...]
Dalmacijanews.com
2013-11-29
[13]
웹사이트
Ostavite Hajduk na miru, netko vas je gadno zajebao: to nije vaš klub
https://web.archive.[...]
2016-03-06
[14]
웹사이트
Hajduk – slavni klub koji je odbio Mussolinija, Pavelića i Tita
http://www.jutarnji.[...]
2016-03-06
[15]
웹사이트
HNK Hajduk Split—History: 1941 – 1950
http://hajduk.hr/eng[...]
Hajduk.hr
2013-11-29
[16]
문서
Club Soccer 101 by Luke Dempsey
[17]
문서
Hajduk – tim NOVJ u: Enciklopedija hrvatske povijesti i kulture
Školska knjiga
1980
[18]
웹사이트
Torcida Split: Povijest-Osnivanje Torcide
http://www.torcida.h[...]
[19]
웹사이트
Hajduk Split fans celebrate centenary by engulfing city in flares
https://sports.yahoo[...]
[20]
웹사이트
Torcida Split: Povijest- 1951. – 1960
https://web.archive.[...]
Dalmacijanews.com
2013-11-29
[21]
뉴스
Pedesetima dominirala zlatna Hajdukova generacija
https://web.archive.[...]
2012-05-07
[22]
뉴스
Šezdesete: Najteže razdoblje u Hajdukovoj povijesti
https://web.archive.[...]
2012-05-07
[23]
뉴스
Hajdukova zlatna generacija obilježila sedamdesete
https://web.archive.[...]
2012-05-07
[24]
웹사이트
Gazzeto dello Sport: Tomislav Ivić je najuspješniji trener u povijesti
http://www.index.hr/[...]
Index.hr
2016-03-06
[25]
웹사이트
Stadion na zlu glasu u Europi
http://arhiv.slobodn[...]
2016-07-09
[26]
뉴스
Osamdesete: Velika generacija koja je mogla i više
https://archive.toda[...]
2012-05-07
[27]
웹사이트
97 people and events which mark Hajduk's history
http://www.nogometni[...]
[28]
웹사이트
Hajduk Split 100 years celebration
http://www.ultras-ti[...]
Ultras-tifo.net
2013-11-29
[29]
웹사이트
Hajduk: kad ulica vodi klub
http://telesport.tel[...]
telesport.telegram.hr
2017-08-16
[30]
웹사이트
Kakav je bio mandat prvog demokratski izabranog Nadzornog odbora u Hajduku
https://web.archive.[...]
Nogometplus.hr
2016-03-31
[31]
웹사이트
Analiza financijskog izvješća: Hajduk po prvi put od 2009. završio godinu s dobiti
https://web.archive.[...]
Nogometplus.hr
2017-06-20
[32]
웹사이트
Ivan Kos novi je predsjednik Uprave HNK Hajduk
http://hajduk.hr/vij[...]
2017-01-08
[33]
웹사이트
Hajduk po broju članova u vrhu svjetskih lista
http://www.nogometpl[...]
2017-07-08
[34]
웹사이트
Marko Livaja se vratio u Hajduk!
https://dalmatinskip[...]
2024-06-14
[35]
웹사이트
Dan za povijest: Hajduk ima impresivnih 100.000 članova!
https://hajduk.hr/vi[...]
2024-06-14
[36]
웹사이트
Fans clash with police after Croatia Cup semis
https://www.reuters.[...]
[37]
웹사이트
Lukša Jakobušić više nije predsjednik Uprave HNK Hajduk
https://hajduk.hr/vi[...]
2024-06-14
[38]
웹사이트
Mislav Karoglan više nije trener Hajduka
https://hajduk.hr/vi[...]
2024-06-14
[39]
웹사이트
Sportski direktor Mindaugas Nikoličius podnio ostavku
https://hajduk.hr/vi[...]
2024-06-14
[40]
웹사이트
Ivan Bilić novi je predsjednik Uprave HNK Hajduk!
https://hajduk.hr/vi[...]
2024-06-14
[41]
웹사이트
Službeno predstavljanje novog sportskog direktora Nikole Kalinića
https://hajduk.hr/vi[...]
2024-06-14
[42]
웹사이트
Gennaro Gattuso novi je trener Hajduka!
https://hajduk.hr/vi[...]
2024-06-14
[43]
웹사이트
Propozicije natjecanja
https://web.archive.[...]
Prva HNL
2010-04-29
[44]
웹사이트
First Team
https://hajduk.hr/en[...]
HNK Hajduk Split
2023-07-22
[45]
웹사이트
Coaching staff
http://hajduk.hr/eng[...]
HNK Hajduk Split
2023-10-23
[46]
웹사이트
Youth Academy staff
http://hajduk.hr/eng[...]
HNK Hajduk Split
2023-10-23
[47]
웹사이트
Hajduk Split profile
http://www.uefa.com/[...]
UEFA.com
2010-09-06
[48]
웹사이트
Yugoslavia/Serbia (and Montenegro)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5-03-15
[49]
웹사이트
Croatia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5-03-15
[50]
웹사이트
Yugoslavia/Serbia and Montenegro – Cup Final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5-03-15
[51]
웹사이트
Croatia – Cup Final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5-03-15
[52]
웹사이트
Croatia Super Cup Final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5-03-15
[53]
웹사이트
Trophy Room • HNK Hajduk Split
http://hajduk.hr/eng[...]
2017-01-08
[54]
웹사이트
Hajduku priznata i 18. titula
http://www.hrsport.n[...]
Sportnet.hr
2011-02-16
[55]
웹사이트
Hajduk
http://nogomet.lzmk.[...]
Miroslav Krleža Lexicographical Institute
2010-10-06
[56]
웹사이트
HNKハイドゥク・スプリト
http://www.umbro.com[...]
アンブロ
2011-07-15
[57]
웹사이트
リスクを伴う伊野波のハイドゥク移籍
http://sportsnavi.ya[...]
スポーツナビ
2011-07-15
[58]
웹사이트
火花が散る監督対決/クロアチア・ダービー「ハイドゥクvs.ディナモ」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
2011-07-15
[59]
웹사이트
The Classic: Dinamo Zagreb-Hajduk Split
http://www.fifa.com/[...]
FIFA
2011-07-15
[60]
웹사이트
Prva momčad
http://hajduk.hr/prv[...]
HNK Hajduk Split
2017-07-01
[61]
웹사이트
Ljetne pripreme 2017.
http://hajduk.hr/vij[...]
HNK Hajduk Split
2017-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