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CE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CE 2는 독일의 고속 열차로, ICE 1의 개선 모델이다. ICE 2는 8량 편성으로, 동력차 1량, 중간 객차 6량, 제어 객차 1량으로 구성되며, 중련 편성을 통해 두 개의 다른 목적지를 운행할 수 있다. 최고 속도는 동력차를 선두로 할 때 280km/h, 제어 객차를 선두로 할 때는 250km/h로 제한된다. ICE 2는 유로트레인 개발에 활용되었으며, 2014년 IGBT로의 변환 작업이 진행되었으나, 2027년까지 점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또한, ICE 3 개발을 위한 시험 열차인 ICE S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고속철도 차량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고속철도 차량 - ICE 1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최고 속도 280km/h로 운행하며,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고 2019년부터 운행 연장을 위한 정비를 진행한다.
  • 인터시티익스프레스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인터시티익스프레스 - ICE 1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최고 속도 280km/h로 운행하며,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고 2019년부터 운행 연장을 위한 정비를 진행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1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최고 속도 280km/h로 운행하며,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고 2019년부터 운행 연장을 위한 정비를 진행한다.
ICE 2
기본 정보
두 개의 연결된 ICE 2 열차 세트
두 개의 연결된 ICE 2 열차 세트
제조사Adtranz
지멘스
운영사DB Fernverkehr
보관 장소베를린-Rummelsburg
제작 연도1995-1997년
제작 수량46대
재정비2010-2013년
차량 번호Tz 201 ~ 244
편성동력차 1량, 중간차 6량, 제어차 1량
최고 속도280 km/h
중량412 톤
궤간1,435 mm
전기 시스템15 kV 16.7 Hz AC 가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출력4,800 kW
좌석 수391석
안전 장치Sifa, PZB90, LZB
내부
뮌헨행 독일 ICE 열차의 1등석 내부
1등석 내부
상세 정보
최고 운행 속도280 km/h
설계 최고 속도280 km/h
축중19.5 톤
편성 길이205 m
제어 방식VVVF 인버터 제어
전동기 출력1,200 kW
편성 출력4,800 kW
차량 구성
MT비Bo′Bo′+2′2′+2′2′+2′2′+2′2′+2′2′+2′2′+2′2′

2. ICE 1과 다른 점

ICE 2는 ICE 1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여객 수요가 적은 노선에도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중요한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 ICE 2는 짧은 편성으로 분할 및 병합이 가능하여 수송량 조절에 유리하다.

동력원 없는 ICE 2 제어차량. ICE 1에는 없는 연결 장치가 있다.

  • 자동 연결기: ICE 2 동력차는 자동 샤르펜베르크 연결기를 사용하여 분할 및 병합이 가능하다.
  • 경량화: 중간 객차는 1량당 5t의 경량화를 이루었다.[11]
  • 개방형 좌석: 객실은 칸막이 없이 개방형 좌석으로 구성되어 정원을 늘렸다.[11]
  • 식당차: 보드 레스토랑은 ICE 1과 달리 다른 차량과 같은 높이로 통일되어 공기역학적 효율을 높였다.[12]
  • 전조등 및 공기 흡입구: 연결기 커버 때문에 전조등과 공기 흡입구의 위치가 ICE 1에 비해 약간 높아졌다.

2. 1. 중련 편성

ICE 2는 ICE 1과 달리 두 대의 열차가 결합되어 운행하는 중련 편성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두 개의 다른 목적지로 분리 운행하기도 한다.[10]

808번대 차량은 동력은 없지만 운전대가 있는 개방식 객차로, 운전실 뒤에 별도의 기기 공간이 있다. ICE 2 동력차는 자동 샤르펜베르크 연결기를 제외하면 ICE 1과 매우 유사하며, 필요시 ICE 1 열차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대의 ICE 2 반쪽 열차는 연결되어 운행되다가, 교통량이 적은 노선에서 운행하거나 승객에게 두 개의 다른 목적지를 제공하기 위해 다시 분리된다. 808형 운전실 객차가 여객 운행 허가를 받기 전까지는 두 대의 ICE 2 반쪽 열차가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ICE 2는 여객 수요가 적은 선구에도 고속 철도망을 확대하기 위해 1997년 6월에 도입되었다. 짧은 편성으로 분할 및 병합이 가능하여 수송량 조절에 유리하다.[9] 1995년부터 1997년까지 44개 편성이 제조되었다.[9]

2. 2. 객차

ICE 1 모델과 달리 객차 모형은 동일하나 무게가 크게 줄었고 비행기와 비슷한 좌석 배열로 이루어졌다. 차체 길이는 26,400mm로 유럽 객차의 표준 치수에 해당된다.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기존의 ICE 1 모델에 비해 경량화가 되었다.[10][11][12]

승객 객차는 외관은 비슷하지만 ICE 1 객차와는 매우 다르다. 무게가 상당히 줄었고, 좌석 간격을 줄여 여객기 좌석 배치와 유사하게 승객 구획이 제거되었다. 또한 이 열차는 ICE 1의 바퀴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 서스펜션을 장착했는데, 이는 ICE 1에 고무 완충 휠 림을 설치하게 만들었고, 그 결과 에셰데 열차 참사가 발생했다. ICE 2 열차에는 ICE 1 열차의 803형 서비스 차량이 없지만, 반대로 808형 객차는 ICE 2에만 있다.

8량 편성으로, 선두 동력차 1량, 중간 객차 6량, 제어 객차 1량으로 구성된다. 편성 길이는 205m이며, 2개 편성의 병결 운행이 가능하다.[9] 차량 형식은 동력차가 402형, 중간 객차는 1등차가 805형, 2등차가 806형, 식당차가 807형, 제어 객차가 2등차의 808형으로 구성된다.

객실은 구분실을 설치하지 않고 전 차량 개방형 좌석으로 하여, 정원을 늘렸다.[11] 보드 레스토랑은 ICE 1에서는 돔을 높이기 위해 지붕이 돌출되었지만, ICE 2에서는 공기역학적인 관점에서 다른 차량과 같은 높이로 통일되었다.[12]

2. 3. 동력차

ICE 2의 동력차는 ICE 1과 매우 유사하며, 필요할 경우 ICE 1 열차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분할 병합에 대응하기 위해, 선두 연결기 커버의 형상이 ICE 1과 다르다. 연결기를 사용할 때에는 커버가 좌우로 갈라져 열린다. 이 커버 때문에 전조등과 공기 흡입구의 위치가 ICE 1에 비해 약간 높아졌다.[10] 제어 방식은 기본적으로 ICE 1과 동일하며,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용하고, 정격 출력 1200kW의 삼상 교류 유도 전동기를 4개 탑재한다.

최고 운행 속도는 동력차를 선두로 하는 경우에는 280km이지만, 제어차를 선두로 한 추진 운전을 할 때에는 추진 시의 좌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250km로 제한된다. 이로 인해 운용상의 제한이 가해지면서, 이후의 ICE는 동력 분산 방식을 채용하게 되었다.

ICE 2 동력차


ICE 2 개방형 구동체


ICE 2 속도계

3. 운행 노선

ICE 2는 베를린에서 출발하여 에서 분리되는 중련 열차로 운행한다.

분리된 열차는 루르 지방을 거쳐 쾰른 본 공항까지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부퍼탈쾰른을 거쳐 까지 운행한다. 베를린 방면 운행 시에는 에서 열차가 병결된다.

일부 열차는 뮌헨에서 하노버를 잇는 노선을 운행하며, 함부르크, 브레멘을 경유하기도 한다.[10]

4. 유로트레인

'''유로트레인'''(Eurotrain영어)은 지멘스알스톰1996년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한 고속철도 차량이다. 1997년 타이완 고속철도 핵심 시스템 공급 경쟁에 참여했고, 1998년에는 시범 열차가 독일에서 316km/h의 최고 영업 속도를 기록했다. 그러나 2000년 타이완 고속철도가 신칸센 컨소시엄으로 최종 선정되면서 법적 분쟁이 발생했고, 2004년에 소송이 마무리되었다.[16][17][18][19][20][21]

4. 1. 개발 배경

1995년부터 1997년까지 44개 편성이 제작된 ICE 2는 ICE 1으로는 비경제적인, 여객 수요가 적은 노선에도 고속 철도망을 확대하기 위해 1997년 6월에 등장했다.[10] 편성의 한쪽 끝을 객실이 있는 제어 객차로 하는 푸시풀 편성을 구성하여, 노선의 수송량에 따라 병결 운전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송력 조절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9]

당초 쾰른 - 하노버 - 베를린 간에서 운용을 시작했으며,[10] 이후 운행 범위를 확대하여 독일 국내 각지에서 운용되고 있다.[10]

1998년에는 타이완 고속철도 차량 수주전의 일환으로 알스톰과 공동으로 ICE 2의 동력차 사이에 TGV 듀플렉스의 중간 객차를 연결한 "유로트레인"을 개발했다.[12] 그러나 타이완 측은 700계 신칸센을 기반으로 한 차량을 도입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유로트레인의 도입은 실현되지 않았다.[13]

4. 2. 기술적 특징

지멘스알스톰1996년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한 유로트레인1997년 타이완 고속철도 핵심 시스템 공급 경쟁에 참여하여 입찰자로 선정되었다.[16] 1998년 지멘스와 알스톰 컨소시엄은 ICE 2 동력차와 TGV 듀플렉스 객차를 결합한 시범 열차 3편성을 제작했다. 같은 해 5월 독일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에서 최고 영업 속도 316km를 기록했다.[17][18] 2000년 12월 타이완 고속철도가 신칸센 컨소시엄으로 최종 선정되면서[16] 법적 분쟁이 발생했고, 2004년 소송이 종료되었다.[20][21]

4. 3. 타이완 고속철도 사업

유로트레인


'''유로트레인'''(Eurotrain영어)은 지멘스알스톰1996년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설립한 합작 회사였다. 1997년 타이완 고속철도 (THSR) 핵심 시스템 공급 업체로 선정되어, 사업 시행자인 THSRC로부터 우선 협상 대상자 지위를 받았다.[16]

1998년, 두 회사는 기존 프랑스 및 독일 고속철도 열차의 객차를 결합하여 시범 열차를 제작했다. ICE 2 동력차 402 042와 402 046은 TGV 듀플렉스 열차 #224의 객차 양 끝에 연결되었다. 1998년 5월 독일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에서 시운전을 실시하여 최고 속도 316km/h를 기록했다.[17][18]

2000년 12월, THSRC는 경쟁 업체인 타이완 신칸센 컨소시엄에 계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하면서,[16] 2004년 유로트레인에 대한 손해 배상으로 이어지는 법적 분쟁이 발생했다.[19][20][21]

5.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로 변환 작업

2014년 9월 25일, 일본미쓰비시 전기독일철도의 ICE 2 차량에 탑재된 GTO를 IGBT로 교체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2019년까지 교체 작업을 완료할 계획이었다.[22] 2022년에는 44개의 모든 ICE 2 동차 유닛이 2029년까지 계속 운행될 예정이었지만, 도이치반은 2024년에 2027년까지 모든 ICE 2 열차를 점진적으로 폐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

5. 1. IGBT 도입 배경

2014년 9월 25일, 일본미쓰비시 전기독일철도의 ICE 2 차량에 탑재된 GTO를 IGBT로 교체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전력 소비를 줄이고 ICE 2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었다. 2200만달러 규모의 이 계약은 2019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22][1]

5. 2. 미쓰비시 전기의 역할

2014년 9월 25일, 일본미쓰비시 전기독일철도의 기존 ICE 2 차량에 탑재된 GTO를 IGBT 전원 모듈로 교체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을 통해 미쓰비시는 더 작고 가벼운 IGBT 전력 모듈을 공급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고 ICE 2 열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2200만달러 규모의 이 계약은 2019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22][1]

5. 3. 기대 효과

2014년 9월 25일, 일본미쓰비시 전기독일철도에서 운행했던 기존 ICE 2 차량에 탑재된 GTO를 교체하기 위해 IGBT 전원 모듈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미쓰비시 전기는 더 작고 가벼운 IGBT 전력 모듈이 전력 소비를 줄이고 ICE 2 열차의 수명을 연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200만달러 규모의 이 계약은 2019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1][22]

6. ICE S

ICE S는 ICE 3 개발 시험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고속 신선 계측에 사용되는 고속 시험용 열차이다.[13] S는 독일어로 고속철도를 의미하는 "Schnellfahrtzug"의 머리글자이다.[13] 5량 편성으로, ICE 2 기반의 동력차와 중간 전동차를 포함하여 13,600kW의 출력을 낸다.[13] 독일 철도와 JR 동일본의 공동 개발 대차 시험에 사용되었으며, 2001년 7월 13일 최고 속도 393km/h를 기록했다.[13],[14] 현재는 3량 편성으로, 고속 신선 선로 상태 측정에 활용된다.[13]

6. 1. 개발 목적

ICE S는 1997년에 등장한 고속 시험용 열차이다.[13] ICE 3의 개발 시험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후 고속 신선의 계측용 차량으로 전용되었다.[13] S는 독일어로 고속철도, 고속 주행을 나타내는 "Schnellfahrtzug"의 머리글자이다.[13]

6. 2. 기술적 특징

ICE S는 1997년에 등장한 고속 시험용 열차이다.[13] ICE 3 개발 시험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후 고속 신선 계측용 차량으로 사용되었다.[13] S는 독일어로 고속철도, 고속 주행을 나타내는 "Schnellfahrtzug"의 머리글자이다.[13]

편성은 5량 편성으로, 선두 동력차 2량, 중간 전동차 2량, 중간 부수차 1량으로 구성된다.[13] 동력차는 ICE 2를 기반으로 약간 변경된 것을 양 끝에 배치하며, 편성 출력은 중간 전동차와 합쳐 13,600kW이다.[13] 독일 철도와 JR 동일본이 공동 개발을 진행하는 대차 주행 시험에도 사용되었으며,[14] 2001년 7월 13일에는 최고 속도 393km/h를 기록했다.[13]

계측 차량으로 사용된 후에는 고속 신선 각 구간을 연 3회 주행하며, 센서와 카메라로 선로 상황을 측정한다.[13] 또한, 개업 전 고속 신선을 주행하여 선로 상태를 확인하기도 한다.[13] 편성은 동력차 410형 2량, 중간 측정차 810형 1량의 3량 편성으로 구성된다.[13]

6. 3. 활용

'''ICE S'''는 1997년에 등장한 고속 시험용 열차이다.[13] ICE 3 개발 시험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후 고속 신선 계측용 차량으로 전용되었다.[13] S는 독일어로 고속철도, 고속 주행을 나타내는 "Schnellfahrtzug"의 머리글자이다.[13]

편성은 5량 편성으로, 선두 동력차 2량과 중간 전동차 2량, 중간 부수차 1량으로 구성된다.[13] 동력차는 ICE 2를 기반으로 소폭 변경한 것을 양 끝에 배치하며, 편성 출력은 중간 전동차와 합쳐 13600kW가 된다.[13] 독일 철도와 JR 동일본이 공동 개발을 진행하는 대차 주행 시험에도 사용되었으며,[14] 2001년 7월 13일에는 최고 속도 393km/h를 기록했다.[13]

계측 차량으로 전용된 후에는 고속 신선 각 선구를 연 3회 주행하며, 센서와 카메라로 선로 상황을 측정한다.[13] 또한, 개업 전의 고속 신선을 주행하여 선로 상태를 확인하기도 한다.[13] 편성은 동력차 410형 2량, 중간의 측정차 810형 1량의 3량 편성을 구성한다.[13]

참조

[1] 간행물 Mitsubishi wins first order from DB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4-09-25
[2] 뉴스 freiepresse.de https://www.freiepre[...] 2024-05-08
[3] 웹사이트 Editorial: THSRC agreement unprincipled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0-10-03
[4] 웹사이트 Weitere ICE-Züge http://www.hochgesch[...] Website über die schnellsten Züge der Welt 2009-01-19
[5] 웹사이트 TGV Research Activities http://www.railfaneu[...] TGVweb 2009-01-19
[6] 웹사이트 Eurotrain appeal rejected, might go international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9-01-28
[7] 웹사이트 Eurotrain Consortium v. Taiwan High Speed Rail Corporation http://www.analysisg[...] Analysis Group 2010-09-29
[8] 웹사이트 Taiwan High Speed Rail to compensate railway consortium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9-01-28
[9]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182頁
[10]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183頁
[11] 서적 「ICE列車ファミリー」291頁
[12]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185頁
[13] 서적 『世界の高速列車II』187頁
[14] 문서 DB AG/JR共同開発台車の開発 https://www.jreast.c[...] JR東日本
[15] 웹인용 DB and Siemens sign ICx contract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7-07-25
[16] 웹인용 Editorial: THSRC agreement unprincipled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0-10-03
[17] 웹인용 Weitere ICE-Züge http://www.hochgesch[...] Website über die schnellsten Züge der Welt 2009-01-19
[18] 웹인용 TGV Research Activities http://www.railfaneu[...] TGVweb 2009-01-19
[19] 웹인용 Eurotrain appeal rejected, might go international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9-01-28
[20] 웹인용 Eurotrain Consortium v. Taiwan High Speed Rail Corporation http://www.analysisg[...] Analysis Group 2010-09-29
[21] 웹인용 Taiwan High Speed Rail to compensate railway consortium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9-01-28
[22] 간행물 Mitsubishi wins first order from DB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4-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