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É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HÉS(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는 1958년 레옹 모트찬에 의해 설립된 프랑스의 수학 및 이론 물리학 연구소이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도움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를 모델로 하였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르네 톰 등 저명한 학자들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수학 저널인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를 발행한다. IHÉS는 종신 교수 제도를 운영하며, 자유로운 연구 환경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드프랑스의 교육 - 스트라트 대학
스트라트 대학은 1993년 설립된 프랑스 디자인 학교로, 디지털 모델링 분야에 강점을 두고 자동차 디자인 분야에서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으며 니스, 파리, 싱가포르, 방갈로르에 캠퍼스를 운영한다. - 일드프랑스의 교육 - 에콜 쉬페리외르 델렉트리시테
에콜 쉬페리외르 델렉트리시테(Supélec)는 1894년 프랑스 파리에 설립된 전기 기술 교육 기관으로, 전기 기술 발전 시대에 전문 엔지니어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여러 분교 설립 후 2015년 에콜 상트랄과 통합하여 에콜 상트랄 수펠레크(CentraleSupélec)가 되었다. - 프랑스의 연구소 -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는 1939년 설립된 프랑스의 대표적인 국립 연구 기관으로, 기초 및 응용 과학 연구를 수행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10개의 국립 연구소를 산하에 두고 연구 지원 및 국제 협력을 증진한다. - 프랑스의 연구소 - 파스퇴르 연구소
프랑스의 화학자이자 미생물학자인 루이 파스퇴르가 1887년 설립한 파스퇴르 연구소는 의학 발전과 전 세계적인 질병 대응에 기여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연구 기관이다.
IHÉS - [연구소]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명칭 | 고등과학연구소 |
프랑스어 명칭 | 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 |
약칭 | IHÉS |
위치 | Bures-sur-Yvette |
웹사이트 | 고등과학연구소 웹사이트 |
2. 역사
IHÉS는 1958년 사업가이자 수학자인 레옹 모샨(Léon Motchane)이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수학자 장 디외도네의 도움을 받아, 미국 프린스턴의 고등연구소(IAS)를 모델로 설립한 연구 기관이다.[1] 오펜하이머는 연구소 설립 초기 자문 역할을 하며 중요한 기여를 했다.[2]
설립 초기에는 필즈상 수상자인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와 르네 톰, 그리고 데니스 설리번과 같은 세계적인 수학자들이 활동하며 연구소의 명성을 쌓는 데 크게 기여했다.[3][4]
연구소를 거쳐가거나 현재 종신 교수로 재직 중인 저명한 수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2. 1. 설립 초기 (1958년 ~ 1970년)
IHÉS는 1958년, 사업가이자 수학자인 레옹 모샨(Léon Motchane)이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수학자 장 디외도네의 도움을 받아 설립했다. 미국 프린스턴의 유명한 고등연구소(IAS)를 모델로 삼아 프랑스에 기초 연구 센터를 세우고자 한 것이다.[1]IHÉS의 연구 체계는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직접 구상했으며, 그는 나중에 프린스턴 IAS의 소장이 되기도 했다. 오펜하이머는 IHÉS 설립자이자 초대 소장인 레옹 모샨(1900–1990)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연구소 초기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과학 위원회 종신 회원, 소장 고문 역할을 맡았으며, 모샨과 연구소 운영 전반에 대해 편지와 전보를 자주 주고받았다. 오펜하이머는 1959년, 1961년, 1963년 세 차례 IHÉS를 방문했는데, 그의 방문은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신생 연구소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2]
설립 후 첫 10년(1958년~1968년) 동안 IHÉS는 필즈상 수상자인 수학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강한 개성과 혁명적인 이론 연구가 중심이 되는 시기를 보냈다.[3] 그의 연구는 IHÉS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 다른 필즈상 수상자인 르네 톰은 1963년 IHÉS의 초빙을 받아 합류하여 중요한 학문적 기여를 했다.[4] 수학자 데니스 설리번 역시 이 시기 방문 연구자들 간의 활발한 학문적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초대 연구소장은 설립자인 레옹 모샨으로, 1958년부터 1971년까지 재임했다.
2. 2. 발전과 확장 (1971년 ~ 현재)
1971년 설립자 레옹 모샨에 이어 니콜라스 카위퍼르(1971~1985년), 마르셀 베르제(1985~1994년), 장피에르 부르기뇽(1994년~2013년), 에마뉘엘 울모(2013년~현재)가 연구소장을 맡으며 IHÉS의 발전을 이끌었다.초창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와 함께 연구소의 명성을 높인 르네 톰은 1963년부터 2002년 사망할 때까지 IHÉS에 머물며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4] 또한, 필즈상 수상자인 데니스 설리번은 방문 연구자들 간의 활발한 교류를 촉진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기억된다.
IHÉS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수학 저널인 ''IHÉS 수학 간행물''(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퓌블리카시옹 마테마티크 드 리에에스프랑스어)을 발행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연구소는 1998년 설립 40주년을 기념했으며,[5] 2008년에는 5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1][6]
2. 3. 역대 연구소장
wikitext이미지 | 이름 | 재임 기간 |
---|---|---|
레옹 모차네 | 1958년 ~ 1971년 | |
![]() | ||
![]() | ||
![]() | ||
![]() |
수학과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학자들을 모아 학문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소에는 소수의 종신 교수들이 있으며, 매년 전 세계에서 약 200명 정도의 방문 학자들이 평균 3개월가량 머문다. 일부 장기 방문 학자들도 있다.
3. 연구 체계 및 분야
IHÉS는 연구 계약에 얽매이지 않고, 학자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종신 교수에게는 1년에 6개월 이상 연구소에 머물러야 한다는 조건 외에는 다른 어떠한 제약도 없어 자유로운 연구가 가능하다.
3. 1. 주요 연구 분야
IHÉS는 수학과 이론 물리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들을 모아 학문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또한, 세계적인 수준의 수학 저널인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를 발간하고 있다.
4. 주요 교수진 및 관련 인물
IHÉS는 1958년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Robert Oppenheimer)와 수학자 장 디외도네(Jean Dieudonné)의 도움을 받아 수학자이자 사업가인 레옹 모샨(Léon Motchane)에 의해 설립되었다. 연구소의 연구 체계는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직접 구상했으며, 그는 이후 프린스턴 IAS의 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연구소 초기 10년은 필즈상 수상자인 수학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독창적인 연구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또 다른 필즈상 수상자인 르네 톰과 아벨상 수상자인 데니스 설리번 등도 연구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IHÉS는 수학과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학자들을 유치하여 학문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수의 종신 교수진과 함께 매년 약 200명의 방문 학자들이 전 세계에서 모여 평균 3개월 정도 머물며 연구 활동을 한다. 연구소는 학자들에게 연구 계약이나 특정 연구 주제를 강요하지 않고, 자유로운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종신 교수들에게는 연중 6개월 이상 연구소에 체류해야 한다는 조건 외에는 별다른 제약이 없어, 창의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가능하다.
역대 연구소장은 다음과 같다.
- Léon Motchane|레옹 모샨fra (1958~1971년)
- 니콜라스 카위퍼르 (Nicolaas Kuiper|니콜라스 카위퍼르nld, 1971~1985년)
- Marcel Berger|마르셀 베르제fra (1985~1994년)
- 장피에르 부르기뇽 (Jean-Pierre Bourguignon|장피에르 부르기뇽fra, 1994년~2013년)
- 에마뉘엘 울모 (Emmanuel Ullmo|에마뉘엘 울모fra, 2013년~현재)
이 밖에도, IHÉS는 세계 최상급의 수학 저널인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를 편집하는 곳이기도 하다. 연구소를 거쳐 갔거나 현재 재직 중인 저명한 학자들의 상세한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종신 교수
IHÉS에 머물렀거나 혹은 현재 종신 교수인 주요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다.이름 | 국적 | 분야 | 합류 연도 | 퇴직 연도 | 비고 | 주요 수상 경력 |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무국적 | 수학자 | 1958 | 1970 | 필즈상 (1966), 크라포르드상 (1988) | |
장 디외도네 | 프랑스 | 수학자 | 1958 | 1964 | ||
루이 미셸 | 프랑스 | 물리학자 | 1962 | 1992 | 1992–1999 명예 교수 | 비그너 메달 (1982) |
르네 톰 | 프랑스 | 수학자 | 1963 | 1990 | 1990–2002 명예 교수 | 필즈상 (1958) |
데이비드 뤼엘 | 벨기에 | 물리학자 | 1964 | 2000 | 2000년 이후 명예 교수 | 앙리 푸앵카레상 (2006), 막스 플랑크 메달 (2014) |
피에르 들리뉴 | 벨기에 | 수학자 | 1970 | 1984 | 필즈상 (1978), 크라포르드상 (1988), 아벨상 (2013) | |
데니스 설리번 | 미국 | 수학자 | 1974 | 1997 | 울프상 (2010), 아벨상 (2022) | |
위르크 프뢸리히 | 스위스 | 물리학자 | 1978 | 1982 | 막스 플랑크 메달 (2001), 앙리 푸앵카레상 (2009) | |
알랭 콘 | 프랑스 | 수학자 | 1979 | 현재 | 레옹 모트찬 석좌 교수 | 필즈상 (1982) |
오스카 란포드 3세 | 미국 | 물리학자 | 1982 | 1989 | ||
미하일 그로모프 | 러시아, 프랑스 | 수학자 | 1982 | 2015 | 2015년 이후 명예 교수 | 울프상 (1993), 아벨상 (2009) |
장 부르갱 | 벨기에 | 수학자 | 1985 | 1994 | 필즈상 (1994), 숀상 (2010), 크라포르드상 (2012) | |
티보 다모르 | 프랑스 | 물리학자 | 1989 | 2022 | 2022년 이후 명예 교수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 (1996), CNRS 금메달 (2017) |
막심 콘체비치 | 러시아 | 수학자 | 1995 | 현재 | 앙리 푸앵카레상 (1997), 필즈상 (1998), 크라포르드상 (2008), 숀상 (2012) | |
로랑 라포르그 | 프랑스 | 수학자 | 2000 | 2021 | 필즈상 (2002) | |
니키타 네크라소프 | 러시아 | 물리학자 | 2000 | 2013 | 헤르만 바일 상 (2004), 자크 에르브랑 상 (2004), Compositio 상 (2009) | |
바실리 페스툰 | 러시아 | 물리학자 | 2014 | 2023 | 헤르만 바일 상 (2016) | |
위고 뒤미닐-코팽 | 프랑스 | 수학자 | 2016 | 현재 | 필즈상 (2022) | |
슬라바 리치코프 | 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 물리학자 | 2017 | 현재 | 물리학의 지평상 (2014), 메르기에-부르데 상 (2019) | |
로르 생-레몽 | 프랑스 | 수학자 | 2021 | 현재 | ||
더스틴 클로슨 | 캐나다, 미국 | 수학자 | 2023 | 현재 | ||
훌리오 파라-마르티네즈 | 스페인 | 물리학자 | 2024 | 현재 |
4. 2. 명예 교수
이름 | 국적 | 분야 | 재직 기간 | 명예 교수 기간 | 주요 수상 경력 |
---|---|---|---|---|---|
르네 톰 | 프랑스 | 수학자 | 1963–1990 | 1990–2002 | 필즈상 (1958) |
루이 미셸 | 프랑스 | 물리학자 | 1962–1992 | 1992–1999 | 비그너 메달 (1982) |
데이비드 뤼엘 | 벨기에 | 물리학자 | 1964–2000 | 2000년 이후 | 앙리 푸앵카레상 (2006), 막스 플랑크 메달 (2014) |
미하일 그로모프 | 러시아, 프랑스 | 수학자 | 1982–2015 | 2015년 이후 | 울프상 (1993), 아벨상 (2009) |
티보 다모르 | 프랑스 | 물리학자 | 1989–2022 | 2022년 이후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 (1996), CNRS 금메달 (2017) |
4. 3. 과거 교수진
IHÉS에 재직했던 저명한 교수진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이름 | 국적 | 분야 | 재직 기간 | 비고 | 주요 수상 경력 |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무국적 | 수학자 | 1958년 ~ 1970년 | 필즈상 (1966), 크라포르드상 (1988) | |
장 디외도네 | 프랑스 | 수학자 | 1958년 ~ 1964년 | ||
루이 미셸 | 프랑스 | 물리학자 | 1962년 ~ 1992년 | 1992년 ~ 1999년 명예 교수 | 비그너 메달 (1982) |
르네 톰 | 프랑스 | 수학자 | 1963년 ~ 1990년 | 1990년 ~ 2002년 명예 교수 | 필즈상 (1958) |
데이비드 뤼엘 | 벨기에 | 물리학자 | 1964년 ~ 2000년 | 2000년 이후 명예 교수 | 앙리 푸앵카레상 (2006), 막스 플랑크 메달 (2014) |
피에르 들리뉴 | 벨기에 | 수학자 | 1970년 ~ 1984년 | 필즈상 (1978), 크라포르드상 (1988), 아벨상 (2013) | |
데니스 설리번 | 미국 | 수학자 | 1974년 ~ 1997년 | 울프상 (2010), 아벨상 (2022) | |
위르크 프뢸리히 | 스위스 | 물리학자 | 1978년 ~ 1982년 | 막스 플랑크 메달 (2001), 앙리 푸앵카레상 (2009) | |
오스카 란포드 3세 | 미국 | 물리학자 | 1982년 ~ 1989년 | ||
미하일 그로모프 | 러시아, 프랑스 | 수학자 | 1982년 ~ 2015년 | 2015년 이후 명예 교수 | 울프상 (1993), 아벨상 (2009) |
장 부르갱 | 벨기에 | 수학자 | 1985년 ~ 1994년 | 필즈상 (1994), 숀상 (2010), 크라포르드상 (2012) | |
티보 다모르 | 프랑스 | 물리학자 | 1989년 ~ 2022년 | 2022년 이후 명예 교수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메달 (1996), CNRS 금메달 (2017) |
로랑 라포르그 | 프랑스 | 수학자 | 2000년 ~ 2021년 | 필즈상 (2002) | |
니키타 네크라소프 | 러시아 | 물리학자 | 2000년 ~ 2013년 | 헤르만 바일 상 (2004), 자크 에르브랑 상 (2004), Compositio 상 (2009) | |
바실리 페스툰 | 러시아 | 물리학자 | 2014년 ~ 2023년 | 헤르만 바일 상 (2016) |
4. 4. 기타 관련 인물
루이 미셸은 프랑스의 물리학자로, 1962년부터 1992년까지 IHÉS에 재직했으며, 1992년부터 1999년까지는 명예 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1982년 비그너 메달을 수상했다.스위스 출신의 물리학자인 위르크 프뢸리히는 1978년부터 1982년까지 IHÉS에서 연구했다. 그는 2001년 막스 플랑크 메달과 2009년 앙리 푸앵카레상을 받았다.
미국의 물리학자 오스카 란포드 3세는 1982년부터 1989년까지 IHÉS에 소속되어 있었다.
러시아 출신의 물리학자 니키타 네크라소프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IHÉS에서 활동했으며, 헤르만 바일 상 (2004), 자크 에르브랑 상 (2004), Compositio 상 (2009) 등을 수상했다.
마찬가지로 러시아 출신 물리학자인 바실리 페스툰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IHÉS에 재직했으며, 2016년 헤르만 바일 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알랭 콘 (1982년 필즈상 수상자)은 1979년부터 레옹 모체인 석좌 교수를 맡고 있다. CNRS 소속 연구원으로는 아흐메드 아베스, 세드릭 데페이, 오페르 가버, 파니 카셀, 크리스토프 술레 등이 IHÉS와 관련이 있다.[8] 또한 마이클 R. 더글러스와 Samson Shatashvili도 IHÉS와 관련된 인물로 언급된다.
5. 학술 활동
IHÉS는 수학과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학자들을 모아 학문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소에는 소수의 종신 교수가 있으며, 매년 전 세계에서 약 200명의 방문 학자들이 평균 3개월 정도 머문다. 소수의 장기 방문 학자들도 있다. IHÉS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연구 계약 없이 각 학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종신 교수에게도 1년에 6개월 이상 연구소에 머물러야 한다는 조건 외에는 다른 제약이 없어 매우 자유로운 연구 분위기를 보장한다.
또한, IHÉS는 세계적인 수학 저널인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를 편집하고 발행하는 곳이기도 하다.
참조
[1]
웹사이트
On the occasion of receiving the Seki Takakazu Prize
http://mathsoc.jp/pu[...]
Mathematical Society of Japan
[2]
웹사이트
IHES – Oppenheimer and IHÉS (1958–1967)
https://www.ihes.fr/[...]
2015-10-26
[3]
웹사이트
Alexander Grothendieck اطالوی – انگریزی-اطالوی میں لغت {{!}} Glosbe
https://ur.glosbe.co[...]
2021-01-17
[4]
서적
The Columbia History Of Twentieth-Century French Thought
Columbia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The IHÉS at Forty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
웹사이트
Grothendieck at 80, IHES at 50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7]
웹사이트
Emmanuel Ullmo, directeur de l'IHES depuis 2013
https://www.ihes.fr/[...]
2022-06-08
[8]
웹사이트
IHES Faculty
https://www.ihes.fr/[...]
[9]
간행물
프랑스高等科学研究所の関孝和賞受賞に寄せて
https://mathsoc.jp/p[...]
日本数学会
[10]
간행물
TOP GLOBAL
https://www.math.kyo[...]
京都大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