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는 1967년 발매된 아레사 프랭클린의 데뷔 앨범이다. 컬럼비아 레코드와의 계약 종료 후 애틀랜틱 레코드와 계약한 프랭클린은 앨라배마주 머슬 쇼얼스의 FAME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시작했으나, 남편 테드 화이트와 스튜디오 소유주 릭 홀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뉴욕의 애틀랜틱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재개했다. 릭 홀과 제리 웨슬러가 프로듀싱했으며, 톰 다우드와 아리프 마딘이 녹음 엔지니어로 참여했다.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 2위, R&B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으며, 수록곡 "Respect"는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다. 롤링 스톤은 이 앨범을 "록 음악 여성: 50개의 필수 앨범" 목록 1위, "역대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 13위에 선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1967년 음반 - After Bathing at Baxter's
《After Bathing at Baxter's》는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실험적인 사운드, 사이키델릭 록, 애시드 록, 의식의 흐름 기법 등이 혼합된 복잡한 음악적 구성과 론 코브가 디자인한 독특한 커버 아트를 특징으로 한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How the West Was Won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인 How the West Was Won은 1972년 콘서트 실황을 담아 2003년 발매 후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지미 페이지의 편집과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거쳐 2018년 리마스터링 재발매되었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귀방만을 사랑해요 |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아티스트 | 어리사 프랭클린 |
발매일 | 1967년 3월 10일 |
녹음일 | 1967년 1월 24일, 앨라배마주 머슬 쇼울스 페임 스튜디오 1967년 2월 8일, 2월 14일 - 2월 15일, 뉴욕 애틀랜틱 레코딩 스튜디오 |
장르 | 리듬 앤 블루스 소울 음악 |
길이 | 32분 51초 |
레이블 | 애틀랜틱 레코드 라이노 엔터테인먼트 (리마스터 CD) |
프로듀서 | 제리 웩슬러 |
리뷰 | allmusic 링크 |
차트 순위 | 2위 (미국) 36위 (영국) |
인증 | 해당 사항 없음 |
이전 음반 | Take It Like You Give It (1967년) |
다음 음반 | 어리사 어라이브스 (1967년) |
추가 정보 | |
영어 제목 |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
타입 | 스튜디오 |
싱글 | |
싱글 1 | 귀방만을 사랑해요 (The Way I Love You) |
싱글 1 발매일 | 1967년 2월 10일 |
싱글 2 | 존중 |
싱글 2 발매일 | 1967년 4월 11일 (4월 29일 차트 진입) |
평가 | |
로버트 크리스트가우 | A |
샘플 |
2. 배경
컬럼비아 레코드와의 계약이 종료된 후, 아레사 프랭클린은 애틀랜틱 레코드의 제리 웨슬러와 계약하게 되었다.[24] 1967년 1월, 프랭클린은 앨라배마주 머슬 쇼얼스의 FAME 스튜디오에서 타이틀곡 "당신만을 사랑해"와 "사랑의 가르침"을 녹음했다.[5][6][24] 이 곡들은 앨범 발표에 앞서 싱글로 발매되었다.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는 발매 당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에서 2위를 기록했고, 빌보드 톱 R&B 앨범 차트에서는 14주 동안 1위를 차지했다.[10][11] 1967년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으며, 최종적으로는 200만 장 가까이 판매되었다.[9]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에는 총 11곡이 수록되었으며, 1995년 재발매반에는 보너스 트랙 3곡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프랭클린의 남편 테드 화이트와 FAME 스튜디오 소유주 릭 홀 사이에 언쟁이 발생하여 녹음이 중단되었다.[7][5] 이후 프로듀서 제리 웨이슬러는 앨범 녹음을 뉴욕의 애틀랜틱 스튜디오에서 재개하기로 결정했다.[7][5] 2월, 애틀랜틱 레코드 스튜디오에서 나머지 곡들이 녹음되었으며, 킹 커티스 등 여러 세션 음악가들이 참여했다.[21] 녹음 엔지니어는 톰 다우드와 아리프 마딘이 맡았다.[21] 프랭클린은 대부분의 곡에서 피아노를 연주했으며, 제리 웨슬러는 "아레사가 직접 피아노 반주를 치면서 노래함으로써 편곡의 구상이 시작되었다"고 설명했다.[25]
3. 반응 및 평가
싱글 "Respect"는 빌보드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는 9위에 올랐다.[14] "Respect"는 애리사 프랭클린에게 그래미상 최우수 R&B 레코딩상과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상을 안겨주었다.[22]
이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롤링 스톤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에서 2003년 83위, 2012년 84위,[10] 2020년 13위로 선정했다.[11] 또한 2002년과 2012년에 "록 음악 여성: 50개의 필수 앨범" 목록에서 1위로 선정했다.[13]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이 앨범에 A 등급을 부여하며, 프랭클린 최고의 앨범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16] VH1은 2001년에 선정한 "100 Greatest Albums"에서 30위에 랭크시켰다.[26]
4. 수록곡
1995년 재발매반에는 〈Respect〉,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Do Right Woman, Do Right Man〉의 스테레오 버전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4. 1. Side one
번호 | 곡명 | 작곡가 | 재생 시간 |
---|---|---|---|
1 | Respect | 오티스 레딩 | 2:29 |
2 | Drown in My Own Tears | 헨리 글로버 | 4:07 |
3 |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 로니 섀넌 | 2:51 |
4 | Soul Serenade | 커티스 아우스리, 루터 딕슨 | 2:39 |
5 | Don't Let Me Lose This Dream | 아레사 프랭클린, 테드 화이트 | 2:23 |
6 | Baby, Baby, Baby | 아레사 프랭클린, 캐럴린 프랭클린 | 2:54 |
4. 2. Side two
번호 | 제목 | 작곡가 | 재생 시간 |
---|---|---|---|
7 | Dr. Feelgood (Love Is a Serious Business) | 아레사 프랭클린, 테드 화이트 | 3:23 |
8 | Good Times | 샘 쿡 | 2:10 |
9 | Do Right Woman, Do Right Man | 댄 펜, 칩스 모먼 | 3:16 |
10 | Save Me | 아레사 프랭클린, 캐럴린 프랭클린, 커티스 아우스리 | 2:21 |
11 | A Change Is Gonna Come | 샘 쿡 | 4:20 |
4. 3. 1995년 재발매 보너스 트랙
제목 | 작곡가 | 재생 시간 | 비고 |
---|---|---|---|
Respect | 오티스 레딩 | 2:28 | 스테레오 버전 |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 로니 섀넌 | 2:47 | 스테레오 버전 |
Do Right Woman, Do Right Man | 댄 펜, 칩스 모먼 | 3:14 | 스테레오 버전 |
5. 참여진
이 음반에는 다양한 음악가와 프로듀서가 참여했다.
크게 뮤지션과 제작진으로 나눌 수 있다. 아레사 프랭클린이 보컬과 피아노를 담당했고, 스푸너 올덤은 오르간과 일렉트릭 피아노를 연주했다. 지미 존슨과 칩스 모먼이 기타를, 토미 코그빌이 베이스를 연주했다. 로저 호킨스와 진 크리스먼은 드럼을 연주했다. 아리프 마르딘은 비브라폰을, 킹 커티스, 찰스 찰머스, 조 아놀드는 테너 색소폰을 연주했다. 윌리 브리지스는 바리톤 색소폰을, 멜빈 라스티는 코넷과 트럼펫을 연주했다. 켄 락스턴과 어니 로열도 트럼펫을 연주했고, 데이비드 후드는 트롬본을 담당했다. 캐롤린 프랭클린, 에르마 프랭클린, 시시 휴스턴은 백킹 보컬로 참여했다. 톰 다우드는 편곡을, 찰리 찰머스는 호른 편곡을 맡았다.
릭 홀은 타이틀 곡의 프로듀서를, 제리 웩슬러는 타이틀 곡을 제외한 나머지 곡의 프로듀서를 맡았다. 톰 다우드는 편곡과 녹음 엔지니어를, 아리프 마르딘은 녹음 엔지니어와 비브라폰 연주를 담당했다. 로링 유터미는 커버 디자인, 제리 샤츠버그는 커버 사진을 담당했다.
5. 1. 뮤지션
악기 | 이름 | 참여 트랙 |
---|---|---|
보컬, 피아노 | 아레사 프랭클린 | #1 - #9, #11 |
오르간 | 스푸너 올덤 | #1, #6, #7, #9, #11 |
일렉트릭 피아노 | 스푸너 올덤 | #3, #4 |
기타 | 지미 존슨 | #1, #3 - #6, #9 - #11 |
기타 | 칩스 모먼 | #3, #10 |
베이스 | 토미 코그빌 | 전체 |
드럼 | 로저 호킨스 | #1 - #3, #5, #6, #9, #11 |
드럼 | 진 크리스먼 | #4, #7, #8 |
비브라폰 | 아리프 마르딘 | #11 |
테너 색소폰 | 킹 커티스 | #1, #2, #4 - #8, #10 |
테너 색소폰 | 찰스 찰머스 | #1 - #8, #10 |
테너 색소폰 | 조 아놀드 | #3 |
바리톤 색소폰 | 윌리 브리지스 | #1, #2, #4 - #8, #10 |
코넷 | 멜빈 라스티 | #1, #2, #4 - #8 |
트럼펫 | 멜빈 라스티 | #10 |
트럼펫 | 켄 락스턴 | #3 |
트럼펫 | 어니 로열 | #7 |
트롬본 | 데이비드 후드 | #3 |
백킹 보컬 | 캐롤린 프랭클린 | #1, #2, #5, #6, #9 |
백킹 보컬 | 에르마 프랭클린 | #1, #2, #5, #6, #9 |
백킹 보컬 | 시시 휴스턴 | #2, #9 |
편곡 | 톰 다우드 | 전체 |
호른 편곡 | 찰리 찰머스 | #3 |
5. 2. 제작진
wikitext참여자 | 역할 |
---|---|
릭 홀 | 프로듀서 (타이틀 곡) |
제리 웩슬러 | 프로듀서 (타이틀 곡 제외 나머지 곡) |
톰 다우드 | 편곡자, 녹음 엔지니어 |
아리프 마딘 | 녹음 엔지니어, 비브라폰(#11) |
로링 유터미 | 커버 디자인 |
제리 샤츠버그 | 커버 사진 |
아레사 프랭클린 | 보컬, 피아노(#1 - #9, #11) |
스푸너 올덤 | 오르간(#1, #6, #7, #9, #11), 일렉트릭 피아노(#3, #4) |
지미 존슨 | 기타(#1, #3 - #6, #9 - #11) |
칩스 모먼 | 기타(#3, #10) |
토미 코그빌 | 베이스 |
로저 호킨스 | 드럼(#1 - #3, #5, #6, #9, #11) |
진 크리스찬 | 드럼(#4, #7, #8) |
킹 커티스 | 테너 색소폰(#1, #2, #4 - #8, #10) |
찰리 찰머스 | 테너 색소폰(#1 - #8, #10), 호른 편곡(#3) |
조 아놀드 | 테너 색소폰(#3) |
윌리 브리지스 | 바리톤 색소폰(#1, #2, #4 - #8, #10) |
멜빈 러스티 | 코넷(#1, #2, #4 - #8), 트럼펫(#10) |
켄 락스턴 | 트럼펫(#3) |
어니 로열 | 트럼펫(#7) |
데이비드 후드 | 트롬본(#3) |
캐롤린 프랭클린 | 백킹 보컬(#1, #2, #5, #6, #9) |
아르마 프랭클린 | 백킹 보컬(#1, #2, #5, #6, #9) |
시시 휴스턴 | 백킹 보컬(#2, #9) |
6. 차트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