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원정지원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1월 1일 제19종합지원사령부로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1970년 주한 지원사령부 예하 부대가 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12월 16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주한 물자지원사령부, 제94군사경찰대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으며, 과거에는 제501지원여단, 제20지원단 등 다수의 부대를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은 1966년 서울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주한 육군야전지원대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와 일본 요코하마 북부부두에 주둔하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이다.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837수송대대
제837수송대대는 한국 전쟁 당시 창설된 주한미군 수송 대대로, 부산항 운영 지원을 시작으로 여러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제8부두 운영과 국군수송사령부 등과 협력하고 한국 전쟁 공로로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196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을 지원하고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94년 재편성되어 주일 미군을 지원한 미국 육군의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9임무지원사령부
제9임무지원사령부는 1962년 제9(IX)군단으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8년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미국 태평양 육군의 지원 부대이다. -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2전투항공여단
제2전투항공여단은 1957년 창설되어 2005년 통합 재편된 미 육군 제2보병사단 예하 전투항공여단으로, UH-60 블랙호크와 AH-64 아파치 헬기를 운용하며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해왔고, 2013년 육군 우수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제19원정지원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부대 이름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일반지원사령부) |
원어 이름 | 19th Sustainment Command (Expeditionary) |
![]() | |
활동 기간 | 1964년 7월 15일 – 현재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전투근무지원 |
종류 | 원정지원사령부 |
역할 | 주한 미군에 대한 전투근무지원 제공 |
명령 체계 | 제8군 |
본부 | 캠프 헨리 |
표어 | Mission Flexibility |
표어 (번역) | 유연한 임무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
인식표 | |
![]() | |
![]() |
2. 역사
1969년 11월 5일, 제8군 지원사령부와 "제8군 창(Depot)사령부/제8군 후방 본부"(EADC/EAR)를 통합하여 중복되는 임무를 하나로 정리하는 기획이 구상되기 시작하였다.[2]
1995년, 제501지원단 (군단)의 제1지역 기지 작전 지원 임무가 분리되어 새로 창설된 제1서부지역 사령부에 이관되었다.
2000년 10월 17일, 제6지원소가 제55물자관리소로 합쳐졌다.
2004년 9월 9일, 제2지역의 기지 운영과 지원을 맡던 제34지역지원단이 해산되었다. 제2지역지원처가 임무를 인수하였고, 훗날 USAG 용산 사령부가 되었다.[4]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64년 ~ 1970년대 초)
1966년 1월 1일, 제19종합지원사령부가 창설되었다.1970년, 미군의 군수 지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8군 지원사령부와 "제8군 창(Depot)사령부/제8군 후방 본부"(EADC/EAR)를 통합하여 주한 지원사령부(KORSCOM)를 창설하였다. 제19종합지원사령부는 KORSCOM의 예하 사령부가 되었다.[2] 1970년 4월 1일, 용산 기지에서 해산했던 제19종합지원단이 캠프 헨리의 대구 지역사령부를 대체하여 대구에서 재활성화되었다. 이듬해 1971년 5월 4일에 제19지원단으로 개편되었다.[2]
2. 2. KORSCOM 해체 및 제8군 직할 부대 전환 (1973년 ~ 1990년대 초)
1973년, 통합 군수 기능이 제8군 G4로 이관되면서 KORSCOM(주한 지원사령부)이 해체되었다. 제19지원단은 제8군의 직할부대가 되었다.1974년 11월 15일, 제23지원단을 예하부대로 편성하여 제19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 12월 19일에 고유 부대 휘장을, 이듬해 1975년 8월 21일에 어깨 소매 휘장을 수여받았다. 고유 부대 휘장은 본디 제19종합지원단에 수여되었던 것이다.[2]
1977년 2월, 임시사령부로 전환되었고, 9월 20일에 제19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행정 자동화 도입에 따라 예하 조직인 제1재무반이 해산되고, 재고관리소가 물자관리소로 대체되었다.
1986년 4월 7일, 용산 기지에서 "제501군단지원단"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옛 제501야전창으로, 주태 미국 육군 지원대의 1966년부터 1967년까지 예하 부대였다. 1991년 1월 28일에 캠프 레드 클라우드로 이동하였다.
1994년 1월 14일, 사령부 본부를 대구직할시 캠프 헨리로 옮기고 제19전구군지역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 3. 전구지원사령부 및 원정지원사령부로의 개편 (1990년대 중반 ~ 현재)
1995년 6월 12일, 제501지원단 (군단)의 제1지역 기지 작전 지원 임무가 분리되어 새로 창설된 제1서부지역(Area 1 West영어) 사령부에 이관되었다. 제1서부지역의 본부중대는 11월 1일에 편성하였고, 이듬해 1996년 6월 13일에 캠프 페이지를 추가 관할지로 지정하면서 본거지로 두고, 제1지역지원처(Area I Support Activity영어)로 개편되었다.[3]2000년 6월 16일, 제19전구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05년 12월 16일, ''제19원정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이는 미군 최초의 원정지원사령부 개편 사례이다.
2006년 6월, 제20, 23지역지원단이 임무를 주둔하고 있던 지역지원처에 이관하고 해체되었다. 제3지역지원처는 나중에 USAG 험프리스 사령부가 되었다. 7월, 제8헌병여단이 하와이주의 스코필드 막사로 이전하고, 캠프 험프리스에 주둔하던 제94헌병대대는 그대로 남아 제19원정지원사령부에 예속되었다.[5] 10월 13일, 제501군단지원단이 경상북도 칠곡군의 캠프 캐롤로 건너가 전투지원부대 제501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제19원정지원사령부 예하의 제194, 227정비대대가 501지원여단으로 넘어가서 전투유지지원대대로 개편되었다.[6]
2015년 7월 10일, 제501지원여단이 제2보병사단의 사단 지원여단으로 재편성되고, 제94헌병대대의 배속이 여단에서 제19원정지원사령부로 변경되었다.
2. 4. 대한민국 국군과의 협력 강화
19th Expeditionary Sustainment Command영어는 대한민국 국군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연합 지원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한미 연합 훈련 및 연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 있다.대한민국 국군과의 협력은 전시 증원, 물자 지원, 시설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미 동맹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1]
3. 예하 조직
제19원정지원사령부의 예하 부대는 현재와 과거의 부대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예하 부대
- 주한 물자지원사령부(MSC-K) - 캠프 캐럴
- 제94군사경찰대대 (94th MP BN) - 캠프 험프리스
파트너 부대
- 국방군수국 태평양 지부
-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
- 제658지역지원단 (제9임무지원사령부)
- 제837수송대대 (제599수송여단)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육군지원사령부)
- 제411계약지원여단 (육군계약사령부)
- 제2502디지털연락분견대 (제8군)
과거 예하 부대 (해체 또는 재편)
- 제501지원여단; 1986년 4월 7일 ~ 2015년 7월 10일,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으로 재편.
- 제2병참단 (연료); 1984년 9월 16일부터 해체 시까지.
- 제20지원단; 1965년 11월 20일 ~ 2006년 6월 15일.
- 제23지원단; 1965년 11월 24일 ~ 2006년 6월 15일.
- 제34지원단; 1984년 9월 17일 ~ 2004년 9월 9일.
- 제49병참단 (캠프 헨리 248병참파견대 (연료 연락대)); 2004년 ~ 2005년.
- 제6병기대대; 1971년 5월 4일 ~ 1978년, 1984년 ~ 2006년 6월 15일, MSC-K에 예속.
- 제69수송대대; 1978년 11월 15일 ~ 1992년 2월 6일.[7]
- 제83병기대대; 제10지역지원단으로 전속, 캠프 구레의 아키즈키 탄약창으로 전환.[8]
- 제55병기중대
- 제609병기중대
- 제696병기중대
- 제194정비대대; 제501지원여단에 예속, 제194전투유지지원대대로 개편.
- 제30병기중대
- 제45수송중대 (항공기) (종합 지원)
- 제348보급근무중대
- 제520정비중대 (후방) (종합 지원)
- 제227정비대대; 2006년 10월 13일 제501지원여단에 예속,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로 개편.
- 제61정비중대
- 제305보급지원중대
- 제595정비중대
- 제6지원소 (물자 관리); 1977년 ~ 2000년 10월 17일, 제55물자관리소와 병합.
- 제55물자관리원; 2000년 10월 17일 제6지원소와 병합.
- 한국 탄약관리체계(Korea Ammunition Management System|KAMS영어); 1978년 12월 15일 ~ 1984년 9월 16일, 제6병기대대로 대체.
- 한국 유류분배체계(Petroleum Distribution System, Korea|PDSK영어); 1984년 9월 16일 제2병참단으로 대체.
- 자동관리정보원; 해체.
- 재고관리원; 1977년 2월 사령부화 및 행정 자동화로 해산.
- 제1재무반 (1st Financial Section영어); 1977년 2월 재고관리원과 함께 해산.
- 주한 무기지원분견대(Weapons Support Detachment, Korea|WSD-K영어) (제4미사일사령부 지원); 1990년 9월 해체.
아래 조직은 2007년에 시설관리사령부 한국 지역대(IMCOM-K)로 예속되거나, 그전에 해산되었다.
- 제1지역지원처; 1995년 6월 12일 ~ 2007년.
- USAG 레드 클라우드 사령부
- 제2지역지원처; 2004년 9월 4일 ~ 2007년.
- 옛 "용산 지구/서울 지역사령부", USAG 용산 사령부
- 제3지역지원처; 1996년 6월 17일 ~ 2007년.
- 옛 "험프리스 지구사령부", 현재의 USAG 험프리스 사령부
- USAG 페이지; 1996년 6월 13일 ~ 2005년 4월 1일, 폐쇄.
- USAG 대구; 1950년 ~ 2007년.
- 옛 "대구 지역사령부"
- USAG 부산; 1950년 7월 4일 ~ 1984년 9월 16일.
- 옛 "부산 기지사령부", "부산 지역사령부"
3. 1. 현재
- 주한 물자지원사령부(MSC-K) - 캠프 캐럴
- 제94군사경찰대대 (94th MP BN) - 캠프 험프리스
; 파트너
- 국방군수국 태평양 지부
-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
- 제658지역지원단 (제9임무지원사령부)
- 제837수송대대 (제599수송여단)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육군지원사령부)
- 제411계약지원여단 (육군계약사령부)
- 제2502디지털연락분견대 (제8군)
3. 2. 과거 (해체 또는 재편된 부대)
- 제501지원여단; 1986년 4월 7일부터 2015년 7월 10일까지 존속하였으며, 이후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으로 재편되었다.
- 제2병참단 (연료); 1984년 9월 16일부터 존속하다 해체되었다.
- 제20지원단; 1965년 11월 20일에 창설되어 2006년 6월 15일에 해체되었다.
- 제23지원단; 1965년 11월 24일에 창설되어 2006년 6월 15일에 해체되었다.
- 제34지원단; 1984년 9월 17일부터 2004년 9월 9일까지 존속하다 해체되었다.
- 제49병참단 (캠프 헨리 248병참파견대 (연료 연락대));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존속하였다.
- 제6병기대대; 1971년 5월 4일부터 1978년까지, 그리고 1984년부터 2006년 6월 15일까지 존속하였으며, 이후 MSC-K에 예속되었다.
- 제69수송대대; 1978년 11월 15일부터 1992년 2월 6일까지 존속하였다.[7]
- 제83병기대대; 제10지역지원단으로 전속하여 캠프 구레의 아키즈키 탄약창으로 전환되기 전까지 존속하였다.[8]
- * 제55병기중대
- * 제609병기중대
- * 제696병기중대
- 제194정비대대; 제501지원여단에 예속되고 제194전투유지지원대대로 개편되기 전까지 존속하였다.
- * 제30병기중대
- * 제45수송중대 (항공기) (종합 지원)
- * 제348보급근무중대
- * 제520정비중대 (후방) (종합 지원)
- 제227정비대대; 2006년 10월 13일 제501지원여단에 예속되었고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로 개편되었다.
- * 제61정비중대
- * 제305보급지원중대
- * 제595정비중대
- 제6지원소 (물자 관리); 1977년부터 2000년 10월 17일까지 존속하였으며, 이후 제55물자관리소와 병합되었다.
- 제55물자관리원; 2000년 10월 17일 제6지원소와 병합되기 전까지 존속하였다.
- 한국 탄약관리체계(Korea Ammunition Management System|KAMS영어); 1978년 12월 15일부터 1984년 9월 16일까지 존속하였으며, 이후 제6병기대대로 대체되었다.
- 한국 유류분배체계(Petroleum Distribution System, Korea|PDSK영어); 1984년 9월 16일 제2병참단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존속하였다.
- 자동관리정보원; 해체되기 전까지 존속하였다.
- 재고관리원; 1977년 2월 사령부화 및 행정 자동화에 따라 해산되었다.
- 제1재무반 (1st Financial Section영어); 1977년 2월 재고관리원과 함께 사령부화 및 행정 자동화에 따라 해산되었다.
- 주한 무기지원분견대(Weapons Support Detachment, Korea|WSD-K영어) (제4미사일사령부 지원); 1990년 9월 해체되었다.
아래의 조직은 2007년에 시설관리사령부 한국 지역대(IMCOM-K)로 예속되었거나, 그전에 해산되었다.
- 제1지역지원처; 1995년 6월 12일부터 2007년까지 존속하였다.
- : USAG 레드 클라우드 사령부
- 제2지역지원처; 2004년 9월 4일부터 2007년까지 존속하였다.
- : 옛 "용산 지구/서울 지역사령부", USAG 용산 사령부
- 제3지역지원처; 1996년 6월 17일부터 2007년까지 존속하였다.
- : 옛 "험프리스 지구사령부", 현재의 USAG 험프리스 사령부
- USAG 페이지; 1996년 6월 13일부터 2005년 4월 1일까지 존속하였으며, 이후 폐쇄되었다.
- USAG 대구; 1950년부터 2007년까지 존속하였다.
- : 옛 "대구 지역사령부"
- USAG 부산; 1950년 7월 4일부터 1984년 9월 16일까지 존속하였다.
- : 옛 "부산 기지사령부", "부산 지역사령부"
4. 계보
참조
[1]
웹사이트
Mission
https://www.army.mil[...]
19th Expeditionary Sustainment Command
2022-11-10
[2]
웹인용
19 Sustainment Command
https://web.archive.[...]
The Institute of Heraldry
2017-01-09
[3]
웹인용
Area I Support Activity
http://www.globalsec[...]
2016-12-29
[4]
뉴스
34th Support Group officially folds itself into Area II Support Activity
https://web.archive.[...]
스타스 앤 스트립스 한국 지부
2004-09-04
[5]
뉴스
8th Theater Sustainment Command Full Operational Capability
https://www.army.mil[...]
8th TSC PAO
2016-12-06
[6]
뉴스
주한미군 ‘신속 기동군’ 개편 마무리 단계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4-18
[7]
문서
69th Transportation Battalion
http://www.transport[...]
미국 육군 수송대
2016-12-29
[8]
뉴스
After Serving 66 Years 83rd Ordnance Battalion Cases Its Colors
https://web.archive.[...]
제10지역지원단 공모부
2013-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