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1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F-16은 대한민국 공군이 운용하는 F-16 전투기를 지칭하며, F-16C/D 블록 32, KF-16C/D 블록 52, KF-16C/D 블록 52 후기형으로 구분된다. 1980년대 F-16C/D 블록 32 도입을 시작으로, 1990년대에는 KF-16C/D 블록 52를 도입했다. KF-16은 항전 소프트웨어 기술 이전과 T-50 고등훈련기 개발 사업에 기술 협조를 받았으며, 2000년대 후반 KF-16C/D 블록 52 후기형이 추가 생산되었다. KF-16은 지속적인 개량 사업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2021년 5월부터 KF-16C/D 블록 50/52 133대 전체를 KF-16V(블록 70/72)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한국 공군과 주한미군의 F-16 전투기는 1982년부터 2019년까지 추락 사고가 발생했으며,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정비 불량 등이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투기 - 제공호
제공호는 대한민국 공군이 F-5E/F를 면허 생산하여 운용했던 전투기로, 1982년부터 실전 배치되어 영공 방위에 기여했으며 현재 일부 부대에서 운용 중이고 2005년부터 퇴역이 진행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전투기 - KF-21 보라매
KF-21 보라매는 대한민국 공군이 노후 전투기 대체 및 전력 강화를 위해 개발 중인 4.5세대 다목적 제트 전투기로, 대한민국과 인도네시아의 협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2022년 첫 비행 후 2024년 양산을 목표한다. - 대한민국의 군용기 - 맥도널 더글러스 F-4 팬텀
맥도널 더글러스 F-4 팬텀은 1950년대 미국 해군에서 개발된 2인승 초음속 전투폭격기로, 1960년대부터 미군에서 운용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운용 중이다. - 대한민국의 군용기 - 금강 정찰기
금강 정찰기는 대한민국 국군이 대북 정보 수집을 위해 금강·백두사업으로 2001년 실전 배치한 정찰기로, 합성개구레이더를 장착하여 주·야간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전투 부대에 전송하여 목표 타격에 활용된다.
KF-16 | |
---|---|
KF-16 정보 | |
![]() | |
기종 | |
종류 | 전투기 |
생산 정보 | |
제작 | 록히드 마틴 |
설계 | 제너럴 다이나믹스 |
첫 비행 | 1974년 2월 2일 - 공식 비행 |
도입 | 1991년 |
현황 | 운용 중 |
주요 사용자 | 공군 |
생산 시기 | 1994년~2004년 |
생산 대수 | 140대 |
개발 원형 | F-16C/D Block 52+ |
2. 한국의 F-16 도입
대한민국은 1970년대 말부터 F-16A/B 도입을 시도했으나 여러 이유로 무산되었고, 1986년 피스브릿지(Peacebridge) 사업을 통해 F-16C/D 블록 32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1988년 복좌형 D형 4대를 추가 구매해 총 40대를 도입했다. 2010년대 초반 F-16PB는 F-16PBU로 성능 개량 사업(업그레이드)을 진행, 2014년에 실전배치하였고, 2022년 현재 F-16PBU 34대를 운용하고 있다.[2]
1988년과 1989년 사이 북한이 미그-29기를 도입하자, 대한민국은 F-15 도입을 추진했으나 미국의 판매 불허로 F-16과 F-18을 고려하게 되었다.[2] 1991년 F-18로 결정되었으나, 제조사의 가격 인상으로 인해 F-16으로 변경되었다. F-16 블록 52는 강력한 엔진과 하푼 대함미사일 운용 능력이 강점이었고, 항전 소프트웨어 기술 이전 및 T-50 골든이글 개발 협조 약속도 이루어졌다. KF-16 사업은 삼성항공이 맡게 되었다.[3]
1997년 IMF가 일어나면서 KF-16 도입이 지연되었다. 이후 김대중 정부는 항공 사업 부분을 통합하여 KAI를 설립하고, KAI의 물량 확보를 위해 KF-16C/D 블록 52 후기형 20대를 추가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블록 52 후기형에는 AN/APG-68(v)7 레이다가 장착되었다.[4]
2. 1. F-16C/D(PB) 블록 32
1986년 피스브릿지(Peacebridge) 사업을 통해 F-16C/D 블록 32 도입을 시작, 1988년 복좌형인 D형 4대를 추가 구매해 총 40대가 도입되었다. 1970년대 말부터 F-16A/B 도입 시도가 있었으나 여러 우여곡절을 거친 끝에 F-16C/D 블록 32로 결정된 것이다. 2010년대 초반 F-16PB는 F-16PBU로 성능 개량 사업(업그레이드)을 진행, 2014년에 실전배치하였다. F-16PB 및 PBU는 운용 중 사고로 6기를 손실하여 2022년 현재 34대의 F-16PBU를 운용하고 있다.2. 2. KF-16C/D 블록 52
1988년과 1989년 사이 북한이 평양 방공용으로 미그-29기 22대를 도입하자, 대한민국은 F-15 도입을 추진하였다.[2] 그러나 미국이 일본의 F-15J에 자극받아 F-15 판매를 불허하여, F-16과 F-18을 고려하게 되었다.[2] 1991년 F-18로 결정되었으나, 당시 맥도널 더글러스사가 F-18의 가격을 25% 인상해 대상 기종을 F-16으로 변경하게 되었다.[2] 이로 인하여 맥도널 더글라스는 자금난에 시달리다가 결국 보잉사에 인수 합병을 당한다.[2] 당시 F-16 블록 52는 최초의 29,000 파운드급 엔진을 장착한 강력한 성능이 어필되었으며, 대함미사일인 하푼 등의 운용도 강점이었다.[2] 전투기 도입 사상 처음으로 항전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술 이전과 함께, T-50 골든이글 고등훈련기/경공격기 개발 사업에 개발기술 협조를 약속받았다.[3] KF-16 사업은 당시 재벌기업 사이의 물량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을 통해 삼성항공에서 획득하게 되었다.[3]2. 3. KF-16C/D 블록 52 후기형
1997년 김영삼 정부 말 IMF가 일어나면서 KF-16 도입이 지연되었다. 이후 김대중 정부는 부실 기업들의 항공 사업 부분을 통합, 합병해 KAI를 설립하고, 무기 계열화를 통해 일정 기간 통합 방산업체들의 해당 분야 사업 물량을 인정해 주는 방식을 택했다. 이는 지나친 경쟁으로 인한 방산업체들의 부실화를 고려한 결정이었다. 그러나 KAI는 정부가 만든 회사이므로 사업 물량도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고, 정부는 T-50과 KFX 사업이 시작되기 전 KAI의 물량 확보를 위해 20대의 KF-16C/D 블록 52 후기형을 추가 생산하기로 결정한다.[4] 특히 F-15K 도입 사업이었던 FX사업 대신 KF-16을 추가 생산하자는 논의도 총리실 일각에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 52 후기형에는 기존 KF-16에 장착된 AN/APG-68(v)5 레이다가 아닌 AN/APG-68(v)7 레이다가 장착되었다.3. 개량사업
대한민국의 방위사업청은 KF-16 전투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량 사업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착수했다. KF-16의 운용 기대 수명을 2038년까지 늘려 잡고 있어, 그간 KF-16의 짧은 잔여 수명으로 인해 미뤄졌던 개량 사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 1. JDAM 운용 능력 부여
미국 공군의 F-16 개량사업인 CCIP개수를 한국 공군도 하려고 했으나,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션 컴퓨터 용량 부족과 데이터버스 라인의 한계로 기존에 사용이 불가능했던 JDAM을 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였다.2011년 4월, 공군의 직도사격장 실사격 성공과 한국 공군이 운용하는 모든 KF-16에 관련 소프트웨어 영구 업로딩 및 조종사 교육 완료로 JDAM 실전 능력을 확보하였다.[5]
3. 2. 레이다 교체 사업
KF-16의 최신형 AESA 레이다 교체 사업 후보로는 레이시온의 RACR과 노스롭 그루먼의 SABR이 있었다. 처음에 레이시온으로 계약했다가, 이후에 노스롭 그루먼으로 계약이 변경되었다. RACR과 SABR 등의 최신형 AESA 레이다들은 한국 시장의 KF-16을 최초 고객으로 보고 있어 해외의 F-16 운용국가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았다. 결국 KF-16의 최신형 AESA 레이다로는 미국 노스롭 그루먼의 AN/APG-83 SABR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고, 최종적으로 채택되었다.3. 3. 2020년 성능 개량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은 2020년 3월 30일, 한국에 F-16 전투기 성능 개량을 위한 장비 판매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총 판매 규모는 1.94억달러(2374억원)이다. DSCA는 한국이 모드5 IFF, 링크16, ARC-238 라디오, AN/APX-126 복합 송수신기, 합동임무계획(JMPS) 등 관련 장비들의 업그레이드를 요청했다고 밝혔다.[1]3. 4. KF-16C/D 블록 72
2021년 5월, KF-16C 블록 50, KF-16D 블록 52 133대 전체를 KF-16C 블록70, KF-16D 블록 72 (F-16V 바이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1] 이미 10대 미만의 전투기가 개량을 완료하고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으며, 10여 대가 국내 공군 모 정비창에서 개량 중이다.[1] 대만이 F-16V 바이퍼 블록 70/72 버전을 66대 구매했는데, 한국도 KF-16 133대 전체를 F-16V 바이퍼로 개량하고 있다.[1]4. 대한민국 공군의 KF-16 성능
KF-16은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 중 하나로, 뛰어난 성능과 다양한 무장 능력을 갖추고 있다. F-16PB는 AN/APG-68v2 ~ v3 레이다를 장착하고, KF-16은 AN/APG-68v5 ~ v7 레이다를 장착한다.
KF-16 주요 제원 | |
---|---|
일반 제원 | |
승무원 | 1명(단좌), 2명(복좌) |
기체 길이 | 14.8m |
폭 | 9.8m |
높이 | 4.8m |
순 기체 중량 | 8270kg |
만재 중량 | 12000kg |
최대 이륙 중량 | 19200kg |
엔진 | 프랫 & 휘트니 F100-PW-229 또는 제네럴 일렉트릭 F110-GE-129 1개 |
제트 엔진 종류 | 후연 터보팬 |
성능 | |
최대 속도 | 마하 2.02 ~ 2.05 |
항속 거리 | 3200km |
최대 상승 고도 | 15240m 이상 |
무장 | |
기관포 | 1× M61 벌컨 20 mm 개틀링건 |
로켓 | CRV-7 |
미사일 | |
폭탄 |
KF-16D는 복좌형으로, LIG넥스원에서 생산하는 AN/ALQ-200K 국산 재밍 포드를 장착하여 전자전기로 활용된다.[1]
4. 1. 전자전기
KF-16D는 2인승으로, AN/ALQ-200K 국산 재밍 포드를 장착하여 전자전기로 사용된다. 이 재밍 포드는 적의 지대공 미사일 레이더를 무력화하는 역할을 한다. 노스럽 그러먼 EA-6B 프라울러나 보잉 EA-18G 그라울러 같은 미국의 전자전기는 AN/ALQ-99 재밍 포드를 최대 5개까지 장착할 수 있지만, KF-16D가 몇 개를 장착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AN/ALQ-200K는 ALQ-88K(AK)보다 전파 교란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수백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2000년부터 개발을 시작했고, 2004년 말 군 시험 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1]KF-16이나 F-15K가 적의 지대공 미사일을 공격할 때는 전자전기가 함께하여 적 레이더를 무력화해야 한다. 하지만 F-35A 스텔스 전투기는 전자전기의 지원 없이 단독으로 적 지대공 미사일을 파괴할 수 있다.[1]
AN/ALQ-200K 국산 재밍 포드는 KF-21 전투기에도 사용될 예정이다.[1]
4. 2. 제원 (F-16PB 및 KF-16)
제원 (F-16PB 및 KF-16) | |
---|---|
일반 제원 | |
승무원 | 1명(단좌), 2명(복좌) |
기체 길이 | 14.8m |
폭 | 9.8m |
높이 | 4.8m |
순 기체 중량 | 8270kg |
만재 중량 | 12000kg |
최대 이륙 중량 | 19200kg |
엔진 | 프랫 & 휘트니 F100-PW-220 또는 제네럴 일렉트릭 F110-GE-100 1개(F-16PB) 프랫 & 휘트니 F100-PW-229 또는 제네럴 일렉트릭 F110-GE-129 1개(KF-16) |
레이다 | AN/APG-68v2 ~ v3(F-16PB) AN/APG-68v5 ~ v7(KF-16) |
제트 엔진 종류 | 후연 터보팬 |
성능 | |
최대 속도 | 마하 2.02 ~ 2.05 |
항속 거리 | 3200km |
최대 상승 고도 | 15240m 이상 |
무장 | |
기관포 | 1× M61 벌컨 20 mm 개틀링건 |
로켓 | CRV-7 |
미사일 | |
폭탄 |
5. 한국에서의 F-16 손실
F-16영어 계열 전투기는 대한민국 공군과 주한미군이 운용하고 있으며, 1980년대 이후 여러 차례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1993년 이후 한국군의 F-16영어 계열 전투기 손실 사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 | 월/일 | 기종 | 사고 장소 | 조종사 생존 여부 | 추락 원인 | S/N |
---|---|---|---|---|---|---|
1993년 | 4월 8일 | F-16C영어 | 공중 폭발 | 사망 | 구름 속 비행 착각 | 87-(1)655 |
1997년 | 8월 6일 | KF-16C한국어 | 육지 | 탈출 | 연료도관(Pf4) 부식[8] | 92-(4)016 |
1997년 | 9월 18일 | KF-16C한국어 | 육지 | 탈출 | 연료도관(Pf4) 부식[8] | 92-(4)004 |
2001년 | 6월 8일 | F-16D영어 | 육지 | 탈출 | 터빈 블레이드 탈락[8] | 84-(1)372 |
2002년 | 2월 26일 | KF-16C한국어 | 육지 | 탈출 | 터빈 블레이드 탈락[8] | 93-(4)087 |
2002년 | 9월 18일 | F-16D영어 | 육지 | 탈출 | 연료도관 파손[8] | 90-(0)938 |
2004년 | 11월 19일 | F-16C영어 | 불명 | 탈출 | 불명 | 85-(1)581 |
2006년 | 1월 27일 | F-16C영어 | 육지 | 탈출 | 엔진 압축기(13단) 중 8단 파손[8] | 85-(1)576 |
2007년 | 2월 13일 | KF-16C한국어 | 바다 | 탈출 | 엔진 정비 지시 불이행[8] | 93-(4)053 |
2007년 | 7월 20일 | KF-16D한국어 | 바다 | 사망 | 비행 착각(vertigo)[8] | 93-(4)117 |
2009년 | 3월 31일 | KF-16D한국어 | 바다 | 탈출 | 훈련 중 실속 경보음에 조종사 집중력 부족[8] | 92-(4)048 |
2016년 | 3월 30일 | F-16D영어 | 육지 | 탈출 | 터빈 블레이드 탈락 | 90-(0)940 |
2019년 | 2월 27일 | KF-16D한국어 | 바다 | 탈출 | 엔진 연료 주입 장치 고장[8] | 93-(4)103 |
조종사 사망 사고는 모두 조종사 과실로 처리되었으며,[8] F-16PB영어 40대 중 5대가 추락하고 1대가 원인 불명으로 손실되어 34대가 운용 중이다. KF-16한국어은 140대 중 7대가 추락했다.[8] 그러나 연간 손실률은 세계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8]
주한미군의 F-16영어 추락 사고는 다음과 같다.
- 1982년 7월 6일: 미 공군 소속 F-16영어기 추락, 조종사 커티스 로빈슨 대위 사망.
- 1982년 11월: 미 공군 소속 F-16영어기 추락, 조종사 테드 하두벨 대위 사망. 조종사 실수로 판정되었으나, 미망인이 기체 결함을 주장하며 제조사 제네럴다이나믹스에 소송을 제기했다.[9]
- 1991년 7월 17일: 경북 경주군 앞바다에서 군산 비행장 소속 미 공군 F-16영어 전투기 추락. 조종사 2명 비상 탈출.[10]
- 1993년 4월 28일: 경기도 화성군 초록산 기슭에서 미자와 공군기지 주둔 미 제432전투비행단 소속 F-16영어 전투기 추락. 조종사 탈출.[11]
- 1994년 5월 6일: 충남 보령군 외연도리 해상에서 군산 주둔 미 제8비행단 소속 F-16영어 전투기와 가데나 주둔 미 공군 소속 F-15영어 전투기 충돌. F-16영어 조종사는 구조, F-15영어 조종사 실종.[12]
- 1998년 3월 25일: 서해상 덕적도 서쪽 해상에서 주한 미 공군 오산 공군기지 제51전투비행단 소속 F-16영어 전투기 추락. 조종사 사망.[13]
- 1998년 8월 24일: 강원도 강릉시 안인항 앞 해상에서 미 공군 소속 F-16영어 전투기 추락. 조종사 비상 탈출 후 구조.[14]
- 1999년 8월 11일: 전북 군산시 미 공군 군산기지에서 미 제8전투비행단 소속 F-16영어 전투기 착륙 중 추락.[15]
- 2001년 6월 12일: 전북 임실군에서 야간 훈련 중이던 주한미군 제7공군 소속 F-16영어 전투기 추락. 조종사 사망.[16]
- 2003년 5월 29일: 경기 오산시 미 공군기지에서 주한 미7공군 소속 F-16영어 전투기 이륙 중 추락. 조종사 탈출.[17]
- 2003년 9월 9일: 전북 군산시 남서쪽 해역에서 주한 미 공군 35비행대대 소속 F-16영어 전투기 추락. 조종사 탈출.[18]
참조
[1]
뉴스
한국형전투기사업 13년만에 성공리 종결
https://n.news.naver[...]
2004-08-20
[2]
뉴스
차세대전투기 F-16으로 결정
https://news.kbs.co.[...]
1991-03-28
[3]
뉴스
삼성항공 F-16전투기 인도 의미
https://www.mk.co.kr[...]
1995-11-07
[4]
뉴스
정부, KF-16 추가생산비 별도 예산으로 확보
https://n.news.naver[...]
1999-05-13
[5]
뉴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해야 할 국방 분야 10대 과제
https://news.naver.c[...]
2008-01-02
[6]
뉴스
공군,F-16 전투기 성능개량 및 전력화 완료
http://www.gukjenews[...]
2016-12-20
[7]
웹사이트
F-16 Armament
http://www.f-16.net/[...]
[8]
웹인용
F-16 Accidents & Mishaps for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https://www.f-16.net[...]
2021-11-11
[9]
뉴스
1982년 추락 미 F16기/조종사 실수냐 기체 결함이냐
경향신문
1992-06-01
[10]
뉴스
미 전투기 동해 추락/조종사 둘 탈출 구조
세계일보
1991-07-18
[11]
뉴스
F16기 또 추락/미 공군소속 화성서/기체결함 여부 의문증폭
한국일보
1993-04-29
[12]
뉴스
미 F16·15기 공중충돌/서해상공서/조종사1명 실종
경향신문
1994-05-07
[13]
뉴스
미 F16기 서해 추락 조종사 숨진채 발견
동아일보
1998-03-27
[14]
뉴스
美 F16 전투기 추락/東海 훈련중… 조종사 구조
문화일보
1998-08-25
[15]
뉴스
F16 전투기 추락 폭탄2발 회수못해
한국일보
1999-08-12
[16]
뉴스
F-16 전투기 추락, 미군 조종사 1명 사망(종합)
https://n.news.naver[...]
2001-06-13
[17]
뉴스
미 F-16 전투기 이륙중 추락
동아일보
2003-05-30
[18]
뉴스
미군 F-16전투기 군산앞바다 추락 조종사는 비상탈출 구조
한국일보
2003-09-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미·일 제주 남쪽 바다서 공중훈련…미 ‘B-52H’ 전략폭격기 참여
한·미·일 연합 공중훈련 실시…전략폭격기 동원
알래스카 KF-16 전투기 파손 사고, ‘조종 실수’로 발생했다
[사설] 이번엔 해군 초계기 추락, 치명적 군용기 사고 왜 되풀이되나
부부 전투기 조종사, 태평양 건너 해외연합훈련도 함께 간다
공군 5월 둘째 주부터 사격훈련 재개
한·미 해군, 동해에서 연합 해상훈련 실시
“진정한 평화 위해 ‘매향리 미군 사격장 폐쇄 투쟁’ 책 썼죠”
합참, 공군작전사령부 전투태세 검열…‘민가 오폭 사고’ 후속조처
합참, '민가 오폭·기관총 낙하 사고' 공군 작전기강 검열
공군 “기관총 낙하사고, 조종사가 히터 조절하려다 버튼 실수”
비행 중 전투기서 기관총 낙하…‘조종사 과실’ 무게
조종사 실수로 경공격기서 기관총·실탄 떨어뜨려…22일까지 전 기종 ‘비행 중단’
공군, '기관총 낙하' 사고에 전기종 비행중지…한미훈련도 영향
전투기 기관총 낙하 ‘조종사 과실’에 무게…공군 기강해이 도마
스텔스 전투기가 ‘가상의 적’으로 활동…한·미 ‘프리덤 플래그’ 훈련
공군, ‘민가 오폭 사고’ 부대 지휘관 2명도 형사 입건
‘전투기 오폭 사고’ 전대장·대대장도 입건…공군작전사령관은 ‘경고’ 조치
무기 수출 ‘반대급부’ 축소 의도…미 방산업계 뜻 반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