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wiz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t wiz는 2015년 KBO 리그에 참가한 프로 야구단으로, 2013년 창단되어 2015년부터 퓨처스 리그를 거쳐 1군 리그에 합류했다. 2021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2023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조범현, 김진욱, 이강철 감독이 팀을 이끌었으며, 이강철 감독은 2020년 팀을 포스트시즌에 진출시키고 2021년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T 위즈 - 수원케이티위즈파크
수원케이티위즈파크는 1989년에 개장하여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3년 리모델링을 거쳐 2015년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을 개최한 대한민국 수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KT스포츠 - 수원 KT 소닉붐
수원 KT 소닉붐은 1997년 창단하여 여러 차례 인수 및 팀명 변경을 거쳐 2021년 수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정규리그와 컵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으며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KT스포츠 - Olleh배 바둑 오픈 챔피언십
Olleh배 바둑 오픈 챔피언십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바둑 기전으로, 통합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기사들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국을 진행하여 우승자를 가렸으며, 아마추어 선수들은 이 기전 성적을 통해 프로 기사 입단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Kt wiz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창단 | 2013년 1월 |
연고지 | 수원시 |
리그 | KBO 리그 (2015년~현재) |
홈구장 | 수원KT위즈파크 (2015년~현재) |
이전 홈구장 | 해당 없음 |
구단주 | KT |
감독 | 이강철 |
단장 | 나도현 |
웹사이트 | KT 위즈 공식 웹사이트 |
팀 정보 | |
모기업 | KT |
연고지 변천 | 수원시 (2013년~) |
이전 팀명 | 해당 없음 |
약칭 | KT |
색상 | 검정, 빨강, 하양 |
퓨처스리그 | KBO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
2군 홈구장 | 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2016년~) |
마스코트 | 빅, 또리 |
역대 성적 | |
리그 우승 | 1회 (2021년) |
한국시리즈 우승 | 1회 (2021년) |
플레이오프 진출 | 2회 (2020년, 2023년) |
준플레이오프 진출 | 2회 (2022년, 2024년) |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 2회 (2022년, 2024년) |
관련 정보 | |
KT 스포츠 | 야구 농구 e스포츠 사격 필드 하키 스포츠 |
2. 역사
KT 위즈는 한국야구위원회(KBO)의 10번째 구단으로, 2013년 1월 11일 KBO 리그 참가가 공식 승인되었다.[1] 창단 당시 구단 가입금 및 예치금은 각각 30억원 및 100억원이었고, 야구발전기금으로 200억원을 납부했다.
KT 위즈는 2013년 시즌을 KBO 퓨처스 리그 북부리그에서 보냈고,[1] 2014년 시즌에는 퓨처스 리그 챌린지리그에 소속되었다.[2] 2015년 KBO 리그에 새로 합류하면서, 위즈는 매 시즌 4명의 외국인 선수(일반적인 3명과는 반대)를 보유할 수 있었다.[3] 2017년부터는 다른 팀과 동일하게 3명으로 축소되었다.
초대 감독은 조범현 (2013년 8월 2일 ~ 2016년 10월 12일) 이었으며, 2015년 1군 리그에 진입하였으나 최하위를 기록하였고, 2016년에도 부진하였다. 2대 감독은 김진욱 (2016년 10월 14일 ~ 2018년 10월 18일) 이었으나, 2017년 3년 연속 최하위, 2018년 처음으로 승률 4할대를 기록하며 9위를 기록했지만, 김진욱 감독은 사임했다. 3대 감독은 이강철 (2018년 11월 18일 ~ 현재)으로 2019년에 처음으로 승률 5할을 기록하며 6위를 기록했다.
5시즌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지만, 2020년에 81승 62패 1무로 2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다.[4] 그러나 준결승에서 두산 베어스에게 패배했다.[4] 2021년에는 삼성 라이온즈와의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하여 정규 시즌 챔피언이 되었고,[5] 2021년 한국시리즈에서 두산 베어스를 꺾고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6]
2022년 에는 키움 히어로즈와 동률 3위였으나, 직접 대결에서 열세여서 와일드카드 결정전부터 출전하여 KIA 타이거즈에 승리 후 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키움에 패하여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정규 시즌 2위, 플레이오프에서 NC 다이노스에 승리하여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LG 트윈스에 패했다. 2024년에는 SSG 랜더스와의 5위 결정전에서 승리, 두산 베어스와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2승을 거두고 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LG 트윈스에 패했다.
역대 감독과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비고 |
---|---|---|---|---|---|---|---|---|
1 | 조범현 | 2013년 8월 2일 ~ 2016년 10월 12일 | 88 | 41 | 10 | 37 | 0.526 | 퓨처스리그 북부 리그 3위 |
288 | 105 | 3 | 180 | 0.368 | 첫 1군 데뷔 시즌 | |||
2 | 김진욱 | 2016년 10월 14일 ~ 2018년 10월 18일 | 288 | 109 | 3 | 176 | 0.378 | |
3 | 이강철 | 2018년 11월 18일 ~ 현재 | 288 | 152 | 3 | 133 | 0.528 | 2020 시즌 첫 포스트시즌 진출 (플레이오프) 2021 시즌 정규리그 우승 한국 시리즈 우승 (통합우승 V1) |
KT Wiz의 연도별 성적은 다음과 같다.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 rowspan="2"| 연도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 rowspan="2"| 순위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 colspan="9"| 정규 시즌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rowspan="2"| 포스트시즌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rowspan="2"| 수상 |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순위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경기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승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패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무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승률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타율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홈런 |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width="40"|평균자책점 | ||||
2015 | 10/10 | 10/10 | 144 | 52 | 91 | 1 | .364 | .273 | 129 | 5.56 | 진출 실패 | |
2016 | 10/10 | 10/10 | 144 | 53 | 89 | 2 | .373 | .276 | 116 | 5.92 | 진출 실패 | |
2017 | 10/10 | 10/10 | 144 | 50 | 94 | 0 | .347 | .275 | 119 | 5.75 | 진출 실패 | |
2018 | 9/10 | 9/10 | 144 | 59 | 82 | 3 | .418 | .275 | 206 | 5.34 | 진출 실패 | 강백호 (신인상) |
2019 | 6/10 | 6/10 | 144 | 71 | 71 | 2 | .500 | .277 | 103 | 4.29 | 진출 실패 | |
2020 | 3/10 | 2/10 | 144 | 81 | 62 | 1 | .566 | .284 | 163 | 4.54 | 플레이오프 두산 베어스 (1–3) 패 | 멜 로하스 주니어 (최우수 선수) 소형준 (신인상) |
2021 | 1/10 | 1/10 | 144 | 76 | 59 | 9 | .563 | .265 | 106 | 3.67 | 우승 한국시리즈 vs. 두산 베어스 (4–0) | |
2022 | 4/10 | 4/10 | 144 | 80 | 62 | 2 | .563 | .254 | 119 | 3.51 | 와일드카드 KIA 타이거즈 (1–0) 승 준플레이오프 키움 히어로즈 (2–3) 패 | |
2023 | 2/10 | 2/10 | 144 | 79 | 62 | 3 | .560 | .265 | 89 | 3.94 | 플레이오프 NC 다이노스 (3–2) 승 한국시리즈 LG 트윈스 (1–4) 패 | |
2024 | 5/10 | 5/10 | 144 | 72 | 70 | 2 | .507 | .279 | 145 | 5.11 | 와일드카드 두산 베어스 (2–0) 승 준플레이오프 LG 트윈스 (2–3) 패 |
2. 1. 창단 과정
KT는 2007년 말 현대 유니콘스 인수를 추진했으나, 사외 이사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0] 현대 유니콘스는 결국 해체되었고, 우리 히어로즈라는 이름으로 재창단되었다.2012년 초, KT는 수원시를 연고로 하는 10번째 프로야구단 창단을 선언했다. 수원시와 KT 연합은 전주시, 완주군, 군산시, 익산시를 공동 연고지로 하는 전라북도-부영 연합과 유치 경쟁을 벌였다. KBO 평가위원회 프리젠테이션 결과, 2013년 1월 11일 이사회에서 KT와 수원시 연합이 10구단 운영 주체로 사실상 결정되었고, 1월 17일 구단주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의결되었다.[10] 구단 가입금 및 예치금은 각각 30억 원 및 100억 원이었고, 야구발전기금으로 200억 원을 납부하기로 했다.[10]
2013년 5월 7일, 공모전을 통해 구단명을 '''kt wiz'''로 확정했다. 'wiz'는 '비상한 솜씨와 재능을 가진 사람, 달인'을 의미하며, '마법사'를 뜻하는 영어 단어 'wizard'의 축약형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이니셜 로고를 홈과 원정 두 가지 버전으로 구분하고, 마스코트 인형도 빅(Vic)과 또리(ddory) 두 가지로 제작했다.
2013년 1월 11일, 한국야구위원회(KBO)는 KT 야구단의 KBO 리그 참가를 공식 승인하여, 2015년 KBO 리그 시즌부터 참여하게 되었다.[1]
2. 2. 2010년대
2013년 8월 2일, 초대 감독으로 KIA 타이거즈 감독 출신의 조범현을 선임했다.[11] 2014년 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 2015년, 1군 리그에 진입하였으나 최하위의 성적을 기록하였고, 2016년에도 부진한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결국, 2016년 10월 12일 조범현 감독과 재계약을 포기했다.[12]2016년 10월 14일 2대 감독으로 전 두산 감독 김진욱을 선임했다.[13] 2018년 10월 18일 김진욱 감독이 성적 부진을 이유로 자진사퇴하였다.[14]
kt wiz는 2014년 11월 28일, 기존 9개 팀에서 20명의 보호 선수 외 1명씩을 선택할 수 있는 특별 지명 제도로 김상현, 이대형 등을 지명했다(전 소속 구단에 1인당 10억원의 이적료를 지불). 2015년 FA 선수였던 박기혁, 김사율, 박경수 3명과 계약하는 등 전력 보강에 힘썼다.
2015년 3월 28일, 첫 1군 공식 경기인 사직 야구장에서의 롯데 자이언츠 경기, 3월 31일, 홈 구장인 수원 KT 위즈 파크에서의 첫 공식 경기 삼성 라이온즈 경기를 실시했다. 개막 후 11연패 뒤, 같은 해 4월 11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첫 승을 기록했지만, 2015년에는 10개 구단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2016년에는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같은 해 10월에 조범현 감독이 퇴임하고 김진욱이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7년에는 3년 연속 최하위에, 승률 3할대를 기록했다.
2018년에는 처음으로 승률 4할대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쳐 9위를 기록했지만, 김진욱 감독은 사임했다. 같은 해 10월, 이강철이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9년에는 처음으로 승률 5할(71승 71패 2무)을 기록하며 6위를 기록했다.
2. 3. 이강철 감독 시대 (2018년 ~ 현재)
2018년 10월 20일, kt wiz는 두산 코치였던 이강철을 3대 감독으로 선임했다.[15] 부임 첫 시즌, 이강철 감독은 만년 하위권이었던 kt를 가을야구 경쟁에 참여시키며 "'''강철매직'''"이라는 별명을 얻었다.2020년, KT 위즈는 정규시즌 2위로 창단 첫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플레이오프에 직행했으나, 두산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중심타선 부진으로 1승 3패로 패하며 KBO 한국시리즈 진출은 좌절되었다.
2021년 시즌 초반, 로하스의 공백으로 부진이 예상되었지만, 강백호의 활약으로 상위권을 유지했다. 알몬테의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투타 밸런스를 맞추고 호잉을 영입하여 팀 전력을 강화했다. 2021년, KT 위즈는 정규리그 우승에 이어 한국시리즈에서 두산을 상대로 4승 무패를 기록, 구단 최초로 통합우승을 달성했다.[16]
2024년에는 5위 SSG와의 타이브레이커 경기에서 승리하여 와일드카드 결정전에 진출, 4위 두산을 상대로 2승을 거두며 와일드카드 팀 사상 최초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비록 준플레이오프에서 LG에 패했지만, 끈질긴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3. 역대 성적
한국시리즈 : LG 전 1-4 패
준플레이오프 : LG 전 2-3 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