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GM-118 피스키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GM-118 피스키퍼는 1980년대 미국이 개발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소련의 핵 공격에도 생존하여 반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높은 정확도와 다탄두 독립 목표 재돌입체(MIRV) 기술을 통해 여러 목표물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50기가 배치되었으나, 냉전 종식과 전략무기 감축 협정에 따라 2005년에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SM-65 아틀라스
    SM-65 아틀라스는 냉전 시대 미국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개발되어 핵전력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이후 우주 발사체로 개조되어 유인 우주선 발사에도 성공했다.
  • 미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HGM-25A 타이탄 I
    HGM-25A 타이탄 I은 마틴 마리에타가 개발한 미국의 최초 다단계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지하 사일로에 배치되어 냉전 초기 미국의 핵 억지력 강화에 기여했지만, 기술적 문제와 고체 연료 ICBM의 등장으로 짧은 기간 운용된 후 퇴역했다.
  • 미국의 핵무기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1945년 8월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한 원자폭탄은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내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엄청난 인명 피해와 장기적인 방사능 피해를 야기하여 전쟁의 참상과 핵무기의 위험성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남아있다.
  • 미국의 핵무기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 미국의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토마호크 미사일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1983년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며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GPS, TERCOM, 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대지 및 대함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개량형과 변종이 존재하며, 최신형 블록 V는 향상된 정밀도와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최신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LGM-118 피스키퍼
기본 정보
이름LGM-118 피스키퍼
종류대륙간 탄도 미사일
사용 국가미국 공군
제작사보잉
마틴 마리에타
TRW
덴버 항공우주
생산 시작1986년
퇴역2005년 9월 12일
단가7000만 미국 달러 (1986년)
엔진3단 고체 연료 로켓
1단: 티오콜 SR118 고체 연료 로켓 모터
2단: 에어로젯 SR119 고체 연료 로켓 모터
3단: 허큘러스 항공우주 SR120 고체 연료 로켓 모터
추진 후 단계: 로켓다인 재점화 가능 액체 추진 로켓 모터; 저장 가능한 하이퍼골릭 연료
엔진 추력1단: 500,000 lbf (2.2MN)
발사 중량87,750 kg
길이21.8 m
직경2.34 m
속도마하 20 (약 15,000 mph)
사거리9,600km - 14,000 km
탄두최대 11개 아브코 Mk21 재진입체 (각각 300kt W87 핵탄두) 또는 12개 제너럴 일렉트릭 Mk12A 재돌입체 (각각 335–350kt W78 핵탄두)(미배치) + 기만체
유도 방식관성 항법 장치 (AIRS)
정확도40m - 90m CEP
폭발 방식지상 폭발 및/또는 공중 폭발 모드
발사 플랫폼고정 사일로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LGM-118 Peacekeeper

2. 개발 및 배치

기술자들이 피스키퍼의 Mk-21 재돌입장치를 적재창에 고정하고 있다.


1970년대 후반 소련이 SS-18 미사일과 같이 더욱 크고 정확해진 다량의 MIRV ICBM을 배치하자 사일로에 배치된 미니트맨III 미사일이 핵전쟁시에 살아남을 수 있을지에 대한 강한 의문이 제기되었다.[20] 만일 소련이 미국의 핵미사일들과 전략폭격기들을 선제 핵 공격으로 제거할 수 있다면 미국은 소련에 대한 반격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포세이돈과 트라이던트I SLBM은 정확도가 낮고 탄두가 작아 핵공격의 반격에 사용하기에 성능이 부족했다. 만일 소련이 핵공격시에 민간지역을 공격하지 않았다면, 소련이 재반격 할 때 민간인을 공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반격시에 소련의 민간지역을 피해서 공격할 수 있어야 했다. 그러므로 미국은 소련의 선제 핵공격에도 살아남을 수 있으며 한번의 반격으로 소련의 핵공격 능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무기가 필요했다.

그리하여 피스키퍼 미사일은 건조물에 대한 반격용 무기로 개발되었으며, 한번의 공격으로 방어설비를 갖춘 적의 미사일 사일로를 무력화시키려는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서는 미니트맨III에서 불가능한 높은 정확도, 생존성, 사정거리 및 운용상의 유연성이 필요했다. 또한 열핵폭탄의 위력은 폭발지점에서 거리에 비례하여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방어설비를 갖춘 소련의 미사일 사일로를 한번의 공격으로 파괴하기 위해서는 정확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카터는 미국 핵능력의 다른 한 축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현대화에도 적극적이었다. MX 미사일이 그것이다. 400억달러짜리 프로젝트였다. 현재 원화가치로 하면 최소 200조원은 될 거다. 카터는 200기의 MX 미사일 생산을 결정했다. 안보에 무능하다고 카터를 공격한 레이건은 당선 후에 이 프로그램을 그대로 받았다. 오히려 미사일 생산량을 절반으로 줄였다. 의회의 반대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사일 명칭을 피스키퍼(Peace Keeper)로 바꿨다. 그의 매파 이미지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20]

피스키퍼의 설계는 1972년에 시작되었으나, 사일로를 지상에 배치하는 컨셉이 기존의 미사일과 생존성에서 차이가 없다는 이유로 의회가 1976년에 예산 배정을 거부했다. 1979년에는 사일로 사이를 지하도로로 연결하는 "경주장" 컨셉이 제시되어 카터 대통령이 이를 승인했으나, 레이건 대통령이 이를 루브 골드버그 머신이라며 다시 취소하였고 1981년에 "밀집 배치" 컨셉을 승인하였다. 이 "밀집 배치" 컨셉은 10,000 psi (70 MPa)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사일로를 매우 가깝게 550m 간격으로 설치한다는 개념이다. 이것은 핵공격이 밀집된 공간에 집중될 경우, 먼저 폭발한 핵탄두의 열과 압력이 동시에 투하된 다른 핵탄두를 폭발 전에 파괴하여 핵공격의 위력을 크게 감소시킬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 이 "형제 살해 이론"은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한 설계가 매우 쉽다(예를 들면 시간차를 둔 공격을 들 수 있다)는 이유로 의회가 또다시 예산 배정을 거부하였다.

1983년 중반에 이에 대한 절충안으로 100개의 새로운 미사일을 기존의 미니트맨 미사일 사일로에 신속히 배치하는 것과 사고에 취약한 액체연료 타이탄II ICBM을 폐기하고 새로운 이동형 단일탄두 ICBM(MGM-134 미지트맨)을 개발하는 계획이 개발되었다.

피스키퍼 재돌입체의 시험 발사 장면(콰잘레인 환초). 하나의 미사일에서 발사된 8개의 재돌입체가 모두 포착되었다.


이 새로운 미사일은 처음에 "피스메이커"로 불릴 계획이었으나 이후에 피스키퍼로 변경되었다. 이 미사일의 첫 번째 테스트는 1983년 6월 17일에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진행되어 7800km 떨어진 태평양의 목표물에 명중하였다. 총 50번의 테스트가 있었으며 처음의 8번은 지상의 캐니스터에서 발사되었다. 1984년 2월에 미사일의 양산이 시작되어 1986년 12월에 개조된 미니트맨 미사일 사일로에 배치되기 시작하여 1988년 12월에 50기의 배치가 완료되었다. 애초의 계획은 100기의 미사일을 배치하는 것이었으나 1985년 7월에 국회가 또다시 생존성의 문제를 들어 50기의 생산만을 허용하였다.

미국 공군 국립 박물관에 전시된 퇴역한 피스키퍼 철도 기지 차량 시제품.


이 생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기의 미사일을 실은 25대의 열차로 미국 각지로 미사일을 은폐시키겠다는 "철도 요새" 계획이 제시되어 1992년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나 예산의 제한과 소련의 해체로 중단되었다. 개발중이던 철도의 프로토타입은 미국 공군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개발중이던 장치들이 반덴버그 공군기지에 아직도 남아있다.

이 프로젝트는 1998년까지 200억 달러의 비용이 들었고 114기의 미사일이 생산되었다. 각 미사일의 가격은 4억 달러(약 5천억원)에 이르며 조달비용은 2천만 달러에서 7천만 달러로 추산된다. 피스키퍼 미사일 114기의 화력을 모두 합치면 TNT 342메가톤의 위력에 달한다.


2. 1. 미니트맨 미사일의 한계

미니트맨 ICBM은 1962년냉전 중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약 0.6~0.8 nmi (1.1~1.5 km)의 원형 공산 오차(CEP)와 1메가톤(TNT) 미만의 소형 탄두를 가진 초기형 미니트맨은 미사일 사일로와 같은 강화된 목표물을 공격할 수 없었다. 초기 모델은 도시, 항구와 같은 전략적 표적 공격으로 제한되었고, 대응타격 무기로서의 능력은 거의 없었다. 미국 공군은 강화된 표적 공격을 위한 주요 무기로 유인 폭격기에 의존했고, ICBM은 폭격기 함대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생존 가능한 억제력으로 간주했다.

소련의 미사일은 미국 미사일 사일로를 직접 공격하기에는 정확도가 매우 낮았지만, 미국 폭격기 기지를 공격할 수 있는 정확도와 위력을 갖추고 있었다. 이로 인해, 미국 폭격기 기지에 대한 미사일 공격과 미사일 기지에 대한 폭격기 공격이 결합될 경우, 미국이 불리한 입장에 처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존 F. 케네디 행정부와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예산 절감과 동시에 미 군사력을 강화하고자 했으며, 이에 따라 미사일 함대의 생존 가능성은 더욱 중요해졌다. 맥나마라는 폭격기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1964년까지 핵 경계 태세에 있는 미국 ICBM의 수를 폭격기보다 많게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미사일은 미국의 주요 전략 무기가 되었다. 그러나 소련이 미사일을 개량하면서 다양한 전쟁 시나리오에 대한 우려가 발생했다. 소련 미사일 발사 시 미국은 즉시 미사일을 발사할지, 아니면 소련 미사일의 표적을 확인할 때까지 기다릴지 결정해야 했다. 조기 발사는 소련이 군사 시설만 표적으로 했을 때 민간 표적을 타격할 수 있으며, 이는 유연 대응 전략의 일부로서 미국 정치인들에게 심각한 문제로 간주되었다. 소련이 폭격기만 공격하더라도, 해군과 공군 미사일은 큰 표적만 공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미국은 대응타격 접근 방식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미국 해군UGM-27 폴라리스 함대의 은밀성과 기동성이 어떤 상황에서도 대응타격(countervalue) 능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핵전쟁에서 공군의 우위를 위협했다. 대응타격 공격의 경우에도 폭격기는 임무 완료에 몇 시간이 걸리고, 그 동안 소련은 나머지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었다. 공군은 랜드 연구소의 조언에 따라 1962년 미니트맨이 대응타격 임무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책으로 결정했다.

1970년대 후반, 소련은 SS-18과 같은 정확도가 향상된 다탄두 미사일(MIRV)을 장착한 중량급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다수 배치했다. 이 미사일들은 최대 10개의 탄두와 최대 40개의 관통 보조 장치를 탑재하여 소수의 발사만으로도 공군의 ICBM 함대에 위협이 될 수 있었고, 상당한 예비 전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소련이 선제 핵 공격을 감행하고 미국이 즉각 대응하지 않으면 미국의 대부분의 미사일과 전략폭격기는 지상에서 파괴될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두 가지 선택지에 직면했다. 남은 소련 미사일 함대를 공격하면 소련이 즉시 미국의 도시를 공격할 경우 대응 수단이 거의 없을 것이고, 민간 목표물을 공격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뿐만 아니라 공표된 정책에도 위배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우려는 우수한 대응전력 무기로 필요한 정확성, 소련의 선제 공격을 흡수할 수 있는 생존성, 그리고 소수의 생존자라도 남은 소련 미사일 함대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MIRV 기능을 갖춘 새로운 ICBM을 개발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졌다.

미니트맨은 발사 시간이 비교적 빨랐고, 조기 경보 위성은 소련의 발사에 대한 거의 즉각적인 경고를 제공했다. 그러나 지상 기반 레이더가 들어오는 개별 탄두를 추적하고 목표물을 판별하는 것은 사건 순서의 훨씬 후반부가 되어서야 가능했다. 제한적인 대응전력 공격의 경우, 표적이 된 개별 사일로가 확인될 때까지 기다리고, 발사되지 않은 소련 미사일을 확인한 후, 표적이 된 미사일만 발사하여 발사되지 않은 소련 미사일을 공격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실용적인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시스템의 개발은 핵 전력 균형을 변화시켰다. 초기 모델인 UGM-27 폴라리스UGM-73 포세이돈은 소련 사일로를 공격할 만한 정확도가 없어 대응 전력 능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주로 민간 목표물을 대상으로 하는 신뢰할 수 있는 보복 공격 능력을 제공했다. SLBM 정확도의 향상은 대응 전력 역할도 처리할 수 있게 하고, 전체 지상 기반 ICBM 함대를 불필요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2. 2. 새로운 ICBM 개발 노력

소련 미사일의 지속적인 성능 개선은 미국에 큰 위협이 되었다. 제한된 수의 탄두를 가진 소련의 선제 공격은 미국의 미니트맨 사일로를 무력화시킬 수 있었다. 이는 미니트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공군에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공군은 ICBM 개발 초기부터 TRW의 지원을 받았으며, 1960년 TRW 엔지니어들은 항공우주공사를 설립하여 ICBM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1964년, 공군은 이들에게 "골든 애로우(Golden Arrow)"라는 생존 가능한 ICBM 개발을 위한 연구를 의뢰했다.

이 프로젝트는 도로, 철도, 잠수함, 공중 발사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했다. 공중 발사 탄도 미사일터보프롭 항공기에서 미사일을 투하하는 방식이었다. C-141 스타리프터 항공기에 탑재 가능한 소형 미사일과 바퀴 달린 발사대 조합도 고려되었다. 또한, 산 남쪽에 매설된 "초고강도" 사일로에 기존 미사일을 배치하는 방안도 연구되었다.

이들은 100개의 미사일을 3개의 기지에 분산 배치하고, 각 미사일에 20개 이상의 탄두를 탑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기존 미니트맨보다 훨씬 큰 "ICBM-X"라는 새로운 설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골든 애로우"는 막대한 비용 문제로 인해 미국 국방부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미니트맨 II로 대체되었다.

1966년과 67년, 미국 국방부는 STRAT-X 연구를 통해 ICBM-X의 축소판인 WS-120A(이후 BGM-75 AICBM)를 제안했다. WS-120A는 원형 공산 오차(CEP)가 약 이고, 신속한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했다.

하지만 WS-120A 역시 미니트맨 III의 등장으로 경쟁력을 잃었다. 미니트맨 III는 새로운 관성 항법 장치(INS)와 3개의 탄두, 대탄도탄 공격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1970년대 후반, 소련은 SS-18과 같은 다탄두 미사일(MIRV)을 장착한 중량급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배치하여 미국의 ICBM 함대에 위협을 가했다. 이는 미국이 대응전력 무기로 필요한 정확성과 생존성, MIRV 기능을 갖춘 새로운 ICBM 개발을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등장은 핵 전력 균형을 변화시켰다. 초기 SLBM은 정확도가 낮아 대응 전력 능력이 부족했지만, 이후 정확도가 향상되면서 지상 기반 ICBM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공군은 전략적 역할을 해군에 넘기는 것을 원치 않았고, 생존 가능한 ICBM 개발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2. 3. MX 미사일 (피스키퍼) 개발



1970년대 후반 소련이 SS-18 미사일과 같이 더 크고 정확한 다량의 MIRV ICBM을 배치하면서, 사일로에 배치된 미니트맨III 미사일의 생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20] 소련의 선제 핵공격에 대비하여, 미국은 생존 가능하고, 반격으로 소련의 핵 능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무기가 필요했다.[20] 이에 따라, 피스키퍼 미사일은 방어 시설을 갖춘 적의 미사일 사일로를 무력화하기 위한 건조물에 대한 반격용 무기로 개발되었다.[20] 이를 위해 높은 정확도, 생존성, 사거리 및 운용 유연성이 요구되었고, 특히 정확도는 핵탄두의 위력이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1972년 피스키퍼 설계가 시작되었으나, 사일로 배치의 생존성 문제로 1976년 의회는 예산 배정을 거부했다. 1979년 카터 대통령은 사일로를 지하도로로 연결하는 "경주장" 배치를 승인했으나, 레이건 대통령은 이를 루브 골드버그 머신이라며 취소하고 1981년 "밀집 배치"를 승인했다.[20] "밀집 배치"는 10,000 psi (70 MPa) 압력을 견디는 사일로를 550m 간격으로 설치하는 개념으로, 핵 공격 시 먼저 폭발한 핵탄두가 다른 핵탄두를 파괴하여 공격 위력을 감소시키는 "형제 살해 이론"에 기반했다. 그러나 의회는 이 이론의 허점을 지적하며 다시 예산 배정을 거부했다.

1983년 중반, 100기의 미사일을 기존 미니트맨 사일로에 배치하고, 액체연료 타이탄II ICBM을 폐기하며, 이동형 단일탄두 ICBM(MGM-134 미지트맨)을 개발하는 절충안이 마련되었다. 1983년 6월 17일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첫 시험 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고, 1984년 2월부터 양산이 시작되어 1986년 12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50기가 미니트맨 사일로에 배치되었다. 당초 100기 배치 계획은 1985년 7월 의회에 의해 생존성 문제로 50기로 축소되었다.

생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기의 미사일을 탑재한 25대의 열차로 미국 전역에 미사일을 은폐하는 "철도 요새" 계획이 제시되었으나, 예산 제약과 소련 해체로 중단되었다. 개발 중이던 철도 프로토타입은 미공군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1998년까지 200억 달러가 소요되었고 114기의 미사일이 생산되었으며, 각 미사일 가격은 4억 달러, 조달 비용은 2천만 달러에서 7천만 달러로 추산된다.

고급 관성 기준 구(Advanced Inertial Reference Sphere)


1950년대 후반부터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연구소는 기계식 짐벌 대신 플루오르카본 유체에 떠 있는 구체를 사용하는 새로운 관성 플랫폼인 "플림벌(flimbal)"을 개발했다. 플림벌은 짐벌 잠금 문제없이 높은 정확도를 제공했지만, 개발 비용 문제로 진전이 더뎠다. 1960년대 후반, 케네스 페르티그는 "SABRE" INS 프로젝트를 통해 공군 자금을 조달하여, 재진입 환경에서도 정확도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1971년, 공군은 ICBM-X와 SABRE 개념을 통합하여 "실험용 미사일"(MX) 개발을 시작했다. MX는 정확도와 탄두 페이로드가 충분하여 소수의 미사일로도 소련군을 파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973년 말, 첨단 개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고, 드레이퍼 연구소는 SABRE를 고급 관성 기준 구(Advanced Inertial Reference Sphere, AIRS)로 발전시켰다. AIRS는 매우 낮은 드리프트율을 가져 탄두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1% 미만이었다. 공군은 오토네틱스(Autonetics)와 기계식 짐벌을 사용하는 백업 설계인 "고급 안정 플랫폼"(ASP) 계약도 체결했다. 1975년 5월, 최초의 수제 AIRS가 노스롭으로 이전되어 추가 개발이 진행되었다.

1976년 7월, 의회는 사일로 기반 시스템의 취약성을 이유로 MX 미사일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 이후 철도 차량, 메사 지하 사일로 등 다양한 배치 계획이 제시되었다. 1979년 6월, 카터 대통령은 프로그램을 재개하고, 네바다와 유타에 MX 미사일 200기를 배치하는 "경주로"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네바다 주민들과 폴 랙설트 상원의원의 반대에 부딪혔고,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지도부의 반대 성명 이후 유타에서도 반대 여론이 높아졌다.

레이건 대통령은 1981년 "경주로" 계획을 취소하고, 기존 타이탄 II 사일로에 초기 미사일을 배치하고 미니트맨 III 사일로를 개조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또한, 공중 투하, 능동 방어, 지하 깊숙한 곳이나 메사 남쪽에 새로운 사일로 건설 등 세 가지 추가 개념 개발을 지원했다. 1982년 11월, 레이건은 "밀집 배치(dense pack)"로 알려진 새로운 사일로 배치 계획을 발표하며, 피스키퍼(Peacekeeper)라는 이름을 처음 언급했다.

밀집 배치는 초고강도 사일로를 좁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핵 상호 살상" 효과를 유도하는 개념이었으나, 소련이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의회는 다시 한번 이 시스템을 거부했고, 레이건은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중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전략군위원회를 임명했다. 스코크로프트 위원회는 1983년 4월 보고서를 통해 "취약성의 창"은 존재하지 않으며, 기존 미니트맨 사일로에 MX 100기를 배치하고, 소형 단일탄두 이동식 ICBM 개발을 제안했다.

UGM-133 트라이던트 II(Trident II) 개발은 MX 미사일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트라이던트 II가 MX 미사일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면, MX의 추가적인 능력은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1983년 중반, 기존 미니트맨 사일로에 100기 미사일 배치, 타이탄 II 미사일 퇴역, "철도 배치" 개념 재도입, MGM-134 미젯맨(Midgetman) 개발을 포함하는 타협안이 마련되었다.

'''피스키퍼 철도 기지'''(Peacekeeper Rail Garrison)는 1980년대 미국 공군이 50기의 MGM-118A 피스키퍼[15]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철도망에 배치하기 위한 계획이었다. 핵전쟁 위협 시, 철도 차량들은 국가 철도망에 배치되어 선제핵공격으로 인한 파괴를 피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냉전 종식 후 계획이 취소되었고, 피스키퍼 미사일은 미사일 사일로에 설치되었다.

LGM-118A 피스키퍼는 1983년 6월 17일 밴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처음 시험 발사되어 콰잘레인 시험장에 성공적으로 착탄했다. 총 50회의 비행 시험이 완료되었다. 운용 미사일은 1984년 2월 처음 제조되었고, 1986년 12월 와이오밍주 샤이엔의 프랜시스 E. 워렌 공군기지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AIRS 시스템 문제로 미사일은 비운용 유도 장치와 함께 배치되었다. AIRS는 19,000개 부품으로 구성되었고, 일부 부품은 11,000개 시험 단계가 필요했다. 노스롭은 납기 지연으로 벌금을 부과받았고, 공군은 배치된 미사일 중 일부가 작동하지 않음을 인정했다. 의회는 공군이 배치 날짜를 연기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최초의 AIRS 시제품은 1986년 5월, 양산 AIRS는 1987년 7월에 납품되었고, 1988년 12월에 50기 미사일 공급이 완료되었다. 이러한 지연과 UGM-133 트라이던트 II(UGM-133 Trident II) 성능 향상으로, 의회는 1985년 7월 100기 미사일 옵션을 취소하고, 피스키퍼 ICBM 배치를 50기로 제한했다. 철도 기지 시스템 개발은 병행되었으나, 예산 제약과 소련 해체로 폐기되었다. 1998년까지 프로젝트에는 약 200억 달러가 소요되었고, 114개 미사일이 생산되었다.

2. 4. 대한민국에 끼친 영향

3. 기술적 특징


  • 총길이: 21.6 m
  • 직경: 2.34 m
  • 발사중량: 88,450 kg
  • 엔진:
  • * 1단: 티오콜 SR118 고체연료 로켓 모터 추력: 2.2 MN (500,000 lbf)
  • * 2단: 에어로젯 로켓다인 SR119 고체연료 로켓 모터
  • * 3단: 허큘리스 SR120 고체연료 로켓 모터
  • * 4단: 록히드 마틴 재점화 가능 액체연료 로켓 모터, 저장 가능 자연 발화성 연료(히드라진 및 사산화질소)
  • 사정거리: 9,600 km
  • CEP: 100 m 이하


LGM-118 피스키퍼는 다탄두 독립 목표 재돌입체(MIRV) 기술을 적용하여 핵 억지력을 강화한 미사일이다. MIRV는 하나의 미사일에 여러 개의 핵탄두를 탑재하여 각 탄두가 독립적으로 다른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피스키퍼는 최대 10개의 W87 핵탄두 (각각 300kt 위력)를 탑재한 Mk.21 재돌입체를 사용하여, 단 한 발의 미사일로도 여러 개의 목표물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다. 이러한 다탄두 능력은 적의 방어 시스템을 무력화시키고, 핵 억지력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LGM-118 피스키퍼는 3단 고체 연료 로켓과 1단 액체 연료 로켓(버스)으로 구성된다. 1단은 티오콜 SR118 고체 연료 로켓 모터로, 2.2 MN (500,000 lbf)의 추력을 낸다. 2단은 에어로젯 로켓다인 SR119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3단은 허큘리스 SR120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한다. 마지막 4단은 록히드 마틴의 재점화 가능 액체 연료 로켓 모터로, 저장 가능한 자연 발화성 연료인 히드라진 및 사산화질소를 사용한다.

LGM-118 피스키퍼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미사일을 사일로에서 배출한 후 공중에서 점화하는 콜드 런치 방식으로 발사된다. 이 방식은 뜨거운 로켓 배기가스가 사일로 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사일로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발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미사일이 사일로 내부에서 폭발하는 위험을 줄여준다.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연구소의 엔지니어들은 1950년대 후반부터 플루오르카본(fluorocarbon) 유체의 얇은 층에 떠 있는 구체를 활용하는 새로운 유형의 관성 플랫폼인 "플림벌(flimbal)"을 개발해 왔는데,[6] 이는 전례 없는 정확도를 제공하고 기존의 "짐벌 잠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1960년대 후반 케네스 페르티그는 "자체 정렬 부스트 및 재진입"(Self-Aligning Boost and RE-entry, SABRE) INS 프로젝트를 통해 공군 자금을 조달하여, 재진입 중의 거친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 덕분에 피스키퍼는 100m 이하의 CEP를 달성할 수 있었다.[6]

3. 1. 다탄두 독립 목표 재돌입체 (MIRV)

LGM-118 피스키퍼는 다탄두 독립 목표 재돌입체(MIRV) 기술을 적용하여 핵 억지력을 강화한 미사일이다. MIRV는 하나의 미사일에 여러 개의 핵탄두를 탑재하여 각 탄두가 독립적으로 다른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피스키퍼는 최대 10개의 W87 핵탄두 (각각 300kt 위력)를 탑재한 Mk.21 재돌입체를 사용하여, 단 한 발의 미사일로도 여러 개의 목표물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다. 이러한 다탄두 능력은 적의 방어 시스템을 무력화시키고, 핵 억지력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3. 2. 고체 연료 로켓과 액체 연료 로켓

LGM-118 피스키퍼는 3단 고체 연료 로켓과 1단 액체 연료 로켓(버스)으로 구성된다. 1단은 티오콜 SR118 고체 연료 로켓 모터로, 2.2 MN (500,000 lbf)의 추력을 낸다. 2단은 에어로젯 로켓다인 SR119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3단은 허큘리스 SR120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한다. 마지막 4단은 록히드 마틴의 재점화 가능 액체 연료 로켓 모터로, 저장 가능한 자연 발화성 연료인 히드라진 및 사산화질소를 사용한다.

3. 3. 콜드 런치 방식

LGM-118 피스키퍼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미사일을 사일로에서 배출한 후 공중에서 점화하는 콜드 런치 방식으로 발사된다. 이 방식은 뜨거운 로켓 배기가스가 사일로 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사일로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발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미사일이 사일로 내부에서 폭발하는 위험을 줄여준다. 피스키퍼의 1단 로켓은 티오콜 SR118 고체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2.2 MN (500,000 lbf)의 추력을 낸다. 2단 로켓은 에어로젯 로켓다인 SR119 고체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3단 로켓은 허큘리스 SR120 고체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한다. 4단 로켓은 록히드 마틴의 재점화 가능 액체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며, 저장 가능한 자연 발화성 연료인 히드라진 및 사산화질소를 사용한다.

3. 4. 정확도 (CEP)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연구소의 엔지니어들은 1950년대 후반부터 플루오르카본(fluorocarbon) 유체의 얇은 층에 떠 있는 구체를 활용하는 새로운 유형의 관성 플랫폼인 "플림벌(flimbal)"을 개발해 왔는데,[6] 이는 전례 없는 정확도를 제공하고 기존의 "짐벌 잠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1960년대 후반 케네스 페르티그는 "자체 정렬 부스트 및 재진입"(Self-Aligning Boost and RE-entry, SABRE) INS 프로젝트를 통해 공군 자금을 조달하여, 재진입 중의 거친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 덕분에 피스키퍼는 100m 이하의 CEP를 달성할 수 있었다.[6]

4. 퇴역 및 해체

LGM-30 미니트맨에서 사용될 핵탄두와 미노타우르 5호로 전환되어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될 로켓을 제외한 피스키퍼 미사일은 냉전 종식 이후, 전략무기 감축 협정(START II, 모스크바 조약)에 따라 서서히 해체되었다. 2003년에는 17기가 해체되어 2004년 초에는 29기만이 사용가능했고, 2005년 초에는 10기만이 사용 가능했으며, 이들마저도 2005년이 지나기 전에 해체될 계획이었다. 마지막 피스키퍼 미사일은 2005년 9월 19일에 해체되었고, 동시에 제400 미사일 비행대대도 해체되었다. 이 의식에서 공군 차관은 피스키퍼가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제2차 전략무기 감축 조약(START II)에서 다탄두(MIRV) 방식 ICBM 전폐를 목표로 했기 때문에 피스키퍼가 감축 대상이 되었다.

피스키퍼 로켓은 오비탈 사이언스에 의해 미노타우르 IV(OSP-2)로서 위성 발사체 역할로 전환되었고, 탄두는 기존의 미니트맨 III 미사일에 재배치되었다.

5. 운용

미국 공군은 LGM-118 피스키퍼를 운용한 유일한 군사 조직이었다.[17] 프랜시스 E. 워런 공군기지의 제400 전략 미사일 비행대(이후 제400 미사일 비행대)는 1987년부터 2005년까지 피스키퍼를 운용했다.[17] 공중 발사 제어 시스템을 탑재한 공중 발사 제어 센터 항공기의 공중 미사일 요원들은 지하 발사 제어 센터가 작동 불능 상태일 때 피스키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발사할 수 있는 생존성을 제공했다.[17]

6. 북한과의 관계

2020년 10월 10일, 북한이 화성 16호를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했다. 탄두중량 4.35톤 러시아 SS-19와 매우 닮았다. 피스키퍼의 탄두중량이 3.6톤으로, 북한이 북한판 피스키퍼를 최초로 공개한 것이다. 물론 화성 16호, SS-19는 2단 액체연료이고, 피스키퍼는 3단 고체연료인데, 셋 다 무게 100톤에, 탄두중량이 3.6톤 이상이라는 점은 동일하다.

7. 대중문화

퓨처 워 198X년에서 LGM-118 피스키퍼는 "MX 전략핵미사일"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기브슨 대통령의 보복 핵공격 명령에 따라 철도 차량형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된다. 디지몬 어드벤처 우리들의 워 게임!에서는 디아볼로몬의 계략에 의해 도쿄를 향해 발사되지만, 주인공들의 활약으로 강에 추락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eacekeeper Missile http://www.markfrank[...] 2015-09-05
[2] 웹사이트 LGM-118 Peacekeeper https://www.weapontr[...] 2024-08-01
[3] 웹사이트 Peacekeeper Missile http://www.markfrank[...] 2015-09-05
[4] 웹사이트 LGM-118 Peacekeeper https://www.weapontr[...] 2024-08-01
[5] 논문 The Yields of the Hiroshima and Nagasaki Nuclear Explosions http://www.nuclearpa[...]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1985-09-01
[6] 서적 Non-linear servo drive for a flimbal https://books.google[...] MIT 1959-01-01
[7] 서적 Seize the High Ground: The U.S. Army in Space and Missile Defense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5-01-01
[8] 웹사이트 Advanced Inertial Reference Sphere http://nuclearweapon[...] FAS 1997-10-22
[9] 웹사이트 The MX Missile Project https://historytogo.[...] State of Utah 2012-06-09
[10] 간행물 News of the Church: First Presidency Statement on Basing of MX Missile https://www.church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2012-06-09
[11] 보고서 The MX Basing Debate: The Reagan Plan and Alternatives https://apps.dtic.mi[...]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Library of Congress 1981-02-11
[12] 보고서 Congress Rejects MX Dense Pack Deployment: Prelude to the Strategic Policy Decisions of 1983 https://books.google[...]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Library of Congress 1983-01-01
[13] 잡지 Comment https://www.newyorke[...] 1983-04-25
[14] 잡지 The Future of the ICBM https://www.airforce[...] 1987-07-01
[15] 문서 Parsch 2006
[16] 웹사이트 The Peacekeeper ICBM http://nuclearweapon[...] The Nuclear Weapon Archive 1997-10-10
[17] 웹사이트 ALCS 50thAnniversary: Celebrating a Proud Heritage http://afmissileers.[...] Air Force Missileers 2017-07-02
[18] 웹사이트 Martin Marietta LGM-118 Peacekeeper http://www.designati[...]
[19] 웹사이트 PEACEKEEPER ICBM http://www.hill.af.m[...]
[20] 뉴스 안보 무능 찍혔던 카터의 아이러니 한국일보 2020-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