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1 모터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 모터웨이는 1972년 리즈 남동부 도시 고속도로 개통을 시작으로, 잉글랜드 전역을 잇는 주요 고속도로이다. 동적 갓길 운영(DBW) 및 가변 속도 제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있으며, M1/M10, M1/M25, M1/M45, M1/M6, M1/A57 등 여러 분기점을 통해 다른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닛구의 교통 - 노던선
    런던 지하철 노선인 노던선은 시티 & 사우스 런던 철도와 차링크로스, 유스턴 & 햄스테드 철도에서 시작되어 1920년대 초 터널 연결로 통합 운영 후 에지웨어, 모던, 배터시 발전소까지 확장되었다.
  • 바닛구의 교통 - 하이 바닛역
    하이 바닛역은 1872년 개통된 런던 지하철 노던선의 역으로, 핀즈베리 파크에서 에지웨어까지 연결되는 노선의 지선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현재 노던선 열차가 운행되고 런던 버스 여러 노선이 경유한다.
  • 영국의 고속도로 - 모터웨이
    모터웨이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고속 주행을 위해 설계된 도로를 지칭하며, 영국은 원칙적으로 무료 통행을 유지하고 그레이트브리튼 섬과 북아일랜드에 주요 도시와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이 존재한다.
  • 영국의 고속도로 - M6 톨
    M6 톨은 1997년 개통된 영국의 유료 고속도로로, 초기 논란과 교통량 변화를 겪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특징을 지니며 성공과 실패 요인을 동시에 가진 도로로 평가받는다.
M1 모터웨이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junction 37을 향해 북쪽으로 향하는 M1 모터웨이
junction 37을 향해 북쪽으로 향하는, 3차선으로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구간 중 하나
노선 번호M1
대체 명칭런던 – 요크셔 모터웨이
총 연장311.4 km
개통1959년
완공1999년
남쪽 기점스테이플스 코너, 런던 (A406)
북쪽 기점훅 무어, 웨스트요크셔 주 (A1(M))
주요 경유지런던
브렌트 크로스
왓퍼드
세인트올번스
헴el 헴스테드
루턴
밀턴 케인스
노샘프턴
럭비
레스터
러프버러
노팅엄
더비
맨스필드
체스터필드
셰필드
로더럼
반즐리
웨이크필드
리즈
주요 연결 도로M25 모터웨이
M45 모터웨이
M6 모터웨이
M69 모터웨이
M18 모터웨이
M62 모터웨이
M621 모터웨이
A1(M) 모터웨이
관리내셔널 하이웨이스
E-로드E13
노선 정보
방향 (남)남쪽
방향 (북)북쪽
경유 카운티그레이터 런던
하트퍼드셔 주
베드퍼드셔 주
버킹엄셔 주
노샘프턴셔 주
레스터셔 주
노팅엄셔 주
더비셔 주
요크셔 주 (남, 서)
역사
개통 연도1959년
완공 연도1999년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영국에는 고속도로 네트워크 구축 계획이 있었다. 몬태규 경이 1923년 런던-버밍엄 간 도로 건설을 추진하기도 했으나,[4][57] 실제 법적 기반은 1949년 특별 도로법 통과 이후 마련되었다. 이 법은 특정 차량 분류로 제한된 도로 건설을 허용했으며, 1950년대에 영국 최초의 고속도로 건설이 정부 승인을 받았다.

영국 최초의 고속도로 구간 자체는 1958년에 개통된 랭커셔의 프레스턴 우회로(현재 M6 고속도로의 일부)였지만,[3][56] M1은 영국 최초의 전체 길이 고속도로로서 1959년에 개통되었다.[58]

2. 1. 초기 계획 및 법률 제정

세계적으로는 1920년대 초부터 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는데, 이탈리아에서는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 하에 아우토스트라다가, 독일에서는 1921년 나치 정권 하에 아우토반이 건설되었다. 영국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고속도로망(모터웨이) 정비를 위한 계획이 있었다. 1923년, 몬태규 경은 런던에서 버밍엄까지 '고속도로와 같은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회사를 설립했지만,[4][57] 실제 법적 기반이 마련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본격적인 고속도로 건설은 1949년 특별 도로법이 통과되면서 가능해졌다. 이 법은 특정 종류의 차량만 통행할 수 있는 도로 건설을 허용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1950년대에 영국 최초의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고속도로의 첫 번째 구간은 랭커셔 프레스턴에 건설된 프레스턴 우회로로, 1958년에 개통되었다. 이 도로는 현재 M6 고속도로의 일부이다.[3][56] M1은 영국 최초의 전 구간 고속도로로서 1959년에 개통되었다.[58]

2. 2. 초기 구간 개통 (1959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영국에는 고속도로 네트워크 구축 계획이 있었다. 보리외의 몬태규 경은 1923년 런던-버밍엄 간 '고속도로 같은 도로' 건설을 위해 회사를 설립했으나,[4] 실제 법적 기반은 1949년 특별 도로법 통과 이후 마련되었다. 이 법은 특정 차량 통행을 제한하는 도로 건설을 허용했으며, 1950년대에 영국 최초의 고속도로 건설이 정부 승인을 받았다.

영국 최초의 고속도로 구간은 1958년에 개통된 랭커셔의 M6 고속도로 일부인 프레스턴 우회로였다.[3] M1은 영국 최초의 전체 길이 고속도로로 계획되었으며, 1959년에 첫 구간이 개통되었다.

찰턴에서 B579 교량 북쪽 방향 모습. 선던의 옛 시멘트 공장이 오른쪽에 보인다 (1958년 5월)


M1 고속도로의 첫 구간 건설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0번 분기점에서 18번 분기점까지의 북부 구간은 존 레잉이,[2][55] 5번 분기점에서 10번 분기점까지의 남부 구간(세인트앨번스 우회로)은 타막 건설이 담당했다.[10][61] 1958년 5월에는 가장 남쪽 구간인 알덴햄-비치트리(M10 분기점) 구간에 대해 150만파운드 규모의 계약이 체결되었으며,[8] 같은 해 7월에는 이 구간에 큰 홍수가 발생하기도 했다.[9] 허트퍼드셔 구간 일부 건설에는 증기 롤러가 사용되었다.[6][59]

토딩턴 서비스 지역 남쪽 비슷한 위치에서 북쪽 방향 모습 (1959년 7월)


1959년 11월 2일, M1 고속도로의 첫 번째 구간인 5번 분기점(왓퍼드)부터 18번 분기점(크릭/럭비)까지가 개통되었다. 이와 함께 두 개의 지선 고속도로인 M10(7번 분기점에서 세인트앨번스 남쪽, 초기 A1 연결)과 M45(17번 분기점에서 A45 및 코번트리 연결)도 동시에 개통되었다.[59]

개통식은 루턴 근처 슬립 엔드에서 열렸으며, 마을 옆 다리에 기념 석판이 설치되었다. 이 석판에는 London-Yorkshire Motorway - This slab was sealed by the Rt Hon Harold Watkinson M.P. Minister of Transport inauguration day, 24th March 1958|런던-요크셔 고속도로 - 이 슬래브는 해롤드 워트킨슨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에 의해 봉인됨, 개통일 1958년 3월 24일eng이라고 새겨져 있었다.[7][60] 석판에 명기된 날짜(1958년 3월 24일)는 실제 개통일(1959년 11월 2일)과 차이가 있는데, 이는 착공일 또는 별도의 기념 행사일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석판은 2007-08년 확장 공사 중 10번 분기점 동쪽으로 이전되었다.[7]

개통된 M1 구간은 대체로 A5의 북서쪽 노선을 따라간다. 도로는 왓퍼드 우회로(A41)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A1과 만나고, 북서쪽으로는 크릭의 A5에서 끝났다. 지선인 M10은 M1을 노스 오비탈 로드(A405/A414, M25의 전신)와 연결했다. 이 도로는 다시 A5(현 A5183) 및 A6(A414 경유, 약 3.22km 동쪽, 이후 M25 일부)과 연결되었다.

초기 M1 고속도로에는 속도 제한, 중앙 충돌 방지 울타리, 조명이 없었으며, 갓길은 포장되지 않은 연약한 상태였다. 당시에는 교통량이 적어, 롤링 스톤스와 같은 런던의 음악가들이 심야에 24시간 운영되던 왓퍼드 갭 고속도로 서비스 지역까지 빠르게 이동하는 데 이용했다는 일화도 있다.[5]

2. 3. 확장 공사 (1965년 ~ 1968년)

18번 출구에서 요크셔 방향으로의 고속도로 연장은 1965년부터 1968년 사이에 일련의 확장 공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A5 도로에서 갈라져 나온 고속도로는 이스트 미들랜즈 지역을 지나며 레스터, 러프버러, 노팅엄을 거쳐 셰필드로 이어지는 더 북쪽 노선을 따르게 되었다. 셰필드에서는 32번 출구에서 M18 고속도로가 M1에서 분기되어 돈캐스터 방향으로 향한다.

원래 M1 고속도로는 돈캐스터에서 끝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어 "리즈와 셰필드 스퍼(spur, 지선)"가 주 노선이 되었다. 이에 따라 돈캐스터 남쪽의 A1(M) 고속도로까지 이어지는 약 약 17.70km 구간은 M18이라는 별도의 고속도로 번호를 부여받았다.

32번 출구 이후, 고속도로는 셰필드, 로더럼, 반즐리, 웨이크필드를 지나 리즈 동쪽에 위치한 (원래 계획상의) 44번 출구에서 종점에 도달한다. 초기에는 M1을 42번 출구 바로 남쪽에서 M62 고속도로와 교차시킨 후 리즈 서쪽을 돌아 디쉬포스의 A1 도로까지 연결하는 계획도 있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리즈 동쪽을 지나는 현재의 노선이 선택되었다. M1은 M62 및 M621 고속도로와 함께 리즈 남쪽을 둘러싸는 고속도로 순환망의 일부를 형성한다.

2. 4. 리즈 남동부 도시 고속도로 개통 (1972년)

M1과 M621의 인터체인지로, 리즈 북쪽 방향 차선이다.


1972년, M1의 연장선이 리즈 시내 방향으로 개통되었다. 이 연장선은 리즈 남서부의 M621 고속도로가 M62의 3번 교차로에서 북동쪽으로 이어지는 지점과 연결되었다.

2. 5. 런던 연장 (1966년, 1967년, 1977년)

M1은 3단계에 걸쳐 원래의 5번 출구에서 시작하여 런던 남쪽으로 연장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1966년에 개통되었으며, A41과 평행하게 남동쪽으로 뻗어 엘스트리 남쪽의 4번 출구에서 A5와 만났다.

두 번째 단계는 1967년에 개통되어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스크래치우드(런던 게이트웨이 서비스 지역)까지 도달했다. 이 서비스 지역은 미완성된 3번 출구 위치에 있으며, 원래 계획대로라면 이곳에서 북동쪽 스털링 코너의 A1으로 연결되는 지선이 있었을 것이다. M1은 그 후 미들랜드 메인 선 철도를 따라 남쪽으로 달려 헨던으로 향하며, 이곳에서 급격하게 곡선으로 된 고가 구간을 통해 2번 출구에서 다시 A1과 만난다. A1에서 연결되는 이 고가 도로는 원래 북쪽으로 가는 차량을 위한 것이었는데, 왼쪽은 M1으로의 진입로이고 오른쪽은 아래 A1/A41 교차로 위를 지나 북쪽으로 향하는 A1과 다시 합류하는 구조이다. 2번 출구는 원래 계획된 3번 출구에서 남쪽으로 약 약 4.02km 떨어져 있다. 2번 출구가 완공되기 전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차량이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슬립 로드를 통해 고속도로를 벗어나 A41/A1 밀 힐 바이패스 아래를 통과하여 Fiveways Interchange에서 합류했다. 이 슬립 로드는 2번 출구 약 약 594.36m 전에 남쪽으로 향하는 차선에서 여전히 볼 수 있었으며, 교통 접근이 차단되었음에도 2000년대 초반까지 남아 있었다. A1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슬립 로드의 일부는 현재 소매 공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로 사용되고 있다.

M1의 마지막 구간은 1977년 스테이플스 코너의 1번 출구까지 개통되었다. 그곳에서 고속도로는 분리 교차로와 원형 교차로에서 노스 서큘러 로드(A406)와 만난다. 1960년대의 실현되지 않은 계획에 따르면, 고속도로는 이 교차점을 통과하는 고가 도로를 따라 웨스트 햄스테드에서 끝나고, 그곳에서 런던 중심 지역 주변의 도시 고속도로망인 런던 링웨이의 북쪽 구간, 노스 크로스 루트와 만날 예정이었다. 스테이플스 코너 교차로의 구조는 원래 이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지만, 런던 링웨이 계획의 대부분은 1973년까지 취소되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당시 M10과 5번 출구 사이의 구간은 원래 2차선에서 3차선으로 확장되었다.

M1의 런던 연장이 완료되면서 M6를 통해 런던과 버밍엄 사이의 빠른 연결 도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해당 지역의 런던 루턴 공항과의 연결성을 제공했으며, 1967년에 지정된 밀턴 케인스 신도시 부지와 가깝다는 점은 곧 또 다른 주요 지역으로의 중요한 교통 연결을 제공하게 되었음을 의미했다.

2. 6. 최근 개발

2006년, 레스터에서 리즈까지(21-42번 출구)의 약 146.45km 구간을 왕복 4차선으로 확장하는 계획이 발표되었다.[1]

M1 프로젝트를 포함한 도로청(Highways Agency) 전체 프로그램의 비용이 증가하여 51억파운드까지 치솟았고, 주요 도로 확장에 대한 반대 여론이 커졌다. 이에 따라 운송 선거 위원회와 국립 감사원의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도로청 프로젝트 비용에 대한 광범위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2][3] 확장 공사는 이미 진행 중이던 6A~10번 출구 구간과 노팅엄 및 맨스필드(25~28번 출구) 구간으로 축소되었고, 다른 구간에는 갓길 차로제 방식이 도입될 예정이었다.[4][5]

이후 M1 고속도로에는 스마트 고속도로 계획을 포함하여 여러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전 갓길 운영 구간에서의 사고 및 사망 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모든 차로 운영(all-lane running) 방식의 스마트 고속도로 확장에 대한 중단 및 검토가 이루어졌고, 관련 보고서가 2021년 7월에 발표되었다.[6]

3. 주요 경유 구간


4. 시설 현황

스탠스테드 공항 M11, M20, M25J6a
M1 - M25 인터체인지출구만36.2
36.6세인트 올번스, 해트필드 A414J7출구만37.8
38.3헤멜 헴프스테드J8헤멜 헴프스테드 A41444.9
45.6레드본 A5183J9던스터블 A5, 레드본 A518348.8
49.2루턴 공항 A1081J10루턴 공항 A108154.3
54.7루턴, 던스터블 A505J11루턴, 던스터블 A50562.6토딩턴 서비스서비스토딩턴 서비스62.0
62.6플릿윅, 호턴 레지스 A5120J12플릿윅, 워번 A512072.7
73.1밀턴 케인스 (남쪽), 베드퍼드 A421
워번, 앰트힐 A507J13밀턴 케인스 (남쪽), 베드퍼드 A421
앰트힐 A50780.0
80.8밀턴 케인스 (중앙), 뉴포트 패널 A509J14밀턴 케인스 (중앙), 뉴포트 패널 A50986.5뉴포트 패널 서비스SA뉴포트 패널 서비스99.4
100.2노샘프턴 A45
밀턴 케인스 (북쪽) A508J15노샘프턴 A45
밀턴 케인스 (북쪽) A508103.5
104.5노샘프턴, 옥스퍼드 A43 (M40)
노샘프턴 서비스J15a
SA노샘프턴, 옥스퍼드 A43 (M40)
노샘프턴 서비스109.2
109.9노샘프턴 A4500J16데이븐트리 A45120.8워트퍼드 갭 서비스SA워트퍼드 갭 서비스123.3
123.8출구만J17코번트리 M45126.3
126.9데이븐트리, DIRFT A428J18힝클리 A5
러그비 A428
DIRFT132.4
133.1노스 웨스트 M6
펠릭스토우, 코비, 케터링 A14J19
M1 - M6 - A14 인터체인지노스 웨스트 M6137.6
138.5러터워스, 러그비 A4303J20러터워스 A4303
마켓 하버러 A4304154.6
155.4코번트리, 버밍엄 M69
레스터 A5460J21코번트리 M69
레스터 A5460157.2레스터 포레스트 이스트 서비스SA레스터 포레스트 이스트 서비스159.8
160.1출구만J21a레스터, 뉴어크 A46167.8
168.5레스터 A50, 콜빌 A511J22콜빌, 애시비 드 라 주시 A511175.1
175.8러프버러, 애시비 드 라 주시 A512J23러프버러, 애시비 드 라 주시 A512182.5
182.8사우스 웨스트, 탬워스, 버밍엄,
애시비 드 라 주시, A42 (M42)J23a
SA사우스 웨스트, 탬워스, 버밍엄 A42 (M42)
이스트 미들랜즈 공항 A453
도닝턴 파크 서비스184.9
185.7러프버러 A6
이스트 미들랜즈 공항 A453
도닝턴 파크 서비스J24스토크 A50
더비 A6
노팅엄 남/중앙 A453186.3
187.0스토크 A50, 더비 A6J24a출구만193.2
193.9노팅엄 남, 더비 A52J25더비, 노팅엄 서/중앙 A52199.8트로웰 서비스SA트로웰 서비스''202.8
203.7노팅엄, 일케스턴 A610J26리플리, 이스트우드, 노팅엄 북/중앙 A610211.7
212.4헤이너, 헉널 A608J27만스필드 A608217.2
218.0매틀록 A38J28만스필드, 매틀록 A38222.5팁스헬프 서비스SA팁스헬프 서비스228.1
229.0만스필드, 매틀록 A617J29체스터필드 A617마컴 베일 A6192
볼소버 (A632)J29a마컴 베일 A6192
볼소버 (A632)238.9
239.5체스터필드, 뉴어크 A616J30셰필드, 워크솝 A6135243.5우달 서비스SA우달 서비스247.5
248.2워크솝 A57J31셰필드 (SE) A57251.6
252.1북쪽, 돈캐스터, M18J32
M1 - M18 인터체인지북쪽, 돈캐스터, 헐 M18255.6
256.2셰필드 (중앙), 로더럼, A630J33셰필드 (중앙), 로더럼, A630259.9
260.3메도우홀, 로더럼 A6109:J34메도우홀, 셰필드, 로더럼 A6178:265.4
266.2로더럼 A629J35로더럼 A629268.2
268.6출구만J35a맨체스터 A616270.3
271.2셰필드 A61J36반즐리 A61276.9
277.8반즐리, 맨체스터 A628J37반즐리, 맨체스터 A628283.9
284.7허더즈필드, 반즐리 A637J38허더즈필드, 반즐리 A637287.2울리 에지 서비스서비스울리 에지 서비스289.5
290.4덴비 데일 A636J39덴비 데일 A636293.8
294.5웨이크필드, 듀즈버리 A638J40웨이크필드, 듀즈버리, 배틀리 A638297.9
298.7웨이크필드, 모리 A650J41웨이크필드, 모리 A650300.1
301.0헐, 맨체스터 M62J42
M1 - M62 인터체인지헐, 맨체스터, 브래드퍼드, 리버풀 M62303.2
304.1출구만J43리즈 M621304.8
305.6리즈 A639J44리즈 A639307.1
307.7리즈 A63J45리즈 A63311.7
312.2리즈 A6120J46리즈 A6120


4. 1. 스마트 고속도로

2006년, 레스터에서 리즈까지(21-42번 출구) 약 146.45km 구간을 왕복 4차선으로 확장하는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M1 프로젝트를 포함한 도로청 전체 프로그램의 비용이 51억파운드까지 증가하고 주요 도로 확장에 대한 반대 여론이 커졌다. 또한 운송 선거 위원회 및 국립 감사원의 비판이 이어지면서 도로청 프로젝트 비용에 대한 광범위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결국 확장 공사는 이미 진행 중이던 일부 구간(6A~10번 출구, 25~28번 출구)으로 축소되었고, 다른 구간에는 스마트 고속도로의 일환인 갓길 차로제가 도입될 예정이었다.

이후 M1 고속도로에는 스마트 고속도로 계획을 포함한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이전 갓길 구간에서의 사고 및 사망 사고 발생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모든 차로를 주행 차로로 사용하는 스마트 고속도로 운영 방식 확대에 대한 중단 및 검토가 이루어졌고, 관련 검토 보고서가 2021년 7월에 발표되었다.

4. 1. 1. M1 확장 및 가변 속도 제한 (6A ~ 10번 분기점)

2006년 M25와 루턴(J6A-J10) 사이의 약 16.09km 구간 공사가 시작되어 2009년에 개통되었다. 이 공사에는 7번과 8번 교차로 사이에 새로운 평행 집산-분산 차선 건설이 포함되었다.

이전에는 M1으로 바로 이어지던 M10 지선은 비고속도로 교통이 M1에 접근하지 않고도 헤멜 헴프스테드의 A414와 파크 스트리트 로터리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A 도로로 등급이 조정되었고, A414의 일부로 지정되었다. 이 공사에는 11개의 지하차도(하나 또는 양쪽 차선)를 확장 또는 교체하고 7개의 육교[34]를 교체하는 작업도 포함되었으며, 총 비용은 2.94억파운드였다.[35] 가변 의무 속도 제한 시스템이 설치되어 M1에서 최초의 스마트 고속도로 계획이 되었다.

4. 1. 2. M1 동적 갓길 운영 (10 ~ 13번 분기점)

1972년 7월, 당시 영국 교통 산업부 장관이었던 존 페이튼은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영국 고속도로 약 138.40km 구간에 조명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작업은 1973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11] 조명이 설치될 구간에는 M1 모터웨이의 3번과 14번 교차로 사이, 그리고 16번과 24번 교차로 사이가 포함되었다.[11]

이후 2011년 8월, 고속도로청은 해당 구간이 스마트 고속도로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0번 교차로(루턴)와 15번 교차로(노샘프턴) 사이 구간의 조명을 소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도로 사용자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질 예정이었다. 다만, 고속도로 교차로와 진입로, 그리고 11번 교차로(루턴 북부) 양쪽의 M1 구간은 조명 기둥을 교체하고 계속해서 조명을 유지하기로 했다. 10번부터 14번 교차로까지 설치되었던 대부분의 조명 기둥은 진입/진출 램프 도로의 일부를 제외하고 완전히 제거되었다.[12]

4. 1. 3. M1 확장 및 가변 속도 제한 (25 ~ 28번 분기점)

(작성할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M1 확장 및 가변 속도 제한 (25 ~ 28번 분기점)'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4. 1. 4. M1 확장 및 가변 속도 제한 (13 ~ 16번 분기점)

1972년 7월, 당시 영국 교통 산업부 장관이었던 존 페이튼은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영국 고속도로 약 138.40km 구간에 조명을 설치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3번과 14번 교차로 사이, 그리고 16번과 24번 교차로 사이의 M1 구간이 포함되었으며, 1973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11] 그러나 2011년 8월, 고속도로청은 스마트 고속도로로 전환된 10번(루턴)과 15번(노샘프턴) 교차로 사이 구간의 조명을 소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도로 사용자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졌으며, 고속도로 교차로와 접근로, 그리고 11번 교차로(북 루턴) 양쪽의 M1 구간은 조명 기둥을 교체하고 계속 조명을 유지하기로 했다. 10번부터 14번 교차로까지의 조명 기둥은 진입로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제거되었다.[12]

한편, M1 고속도로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M1 13번 출구와 관련된 도로 개선 사업이 진행되었다. 베드퍼드셔의 M1 13번 출구와 밀턴 케인즈의 킹스턴 로터리 사이 A421 도로를 확장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M1 13번 출구와 세인트 네오츠 인근 A1 사이의 A421 이중화 계획과 연계된 것이었다.[30] 2005년 6월 열린 전시회에서는 도로를 새로 지정하는 대신 기존 도로를 확장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 채택되지 않았으며, 당시 프로젝트 총 예상 비용은 3300만파운드으로 추산되었다.[31]

이후 사우스이스트 미들랜드 지역 기업 파트너십의 "지역 성장 딜"을 통해 해당 공사에 대한 정부 자금 2350만파운드 지원이 확정되었다.[32] 정부의 병목 현상 감소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밀턴 케인즈의 A421 킹스턴 로터리를 개선하고 이곳에서 베드퍼드셔 경계 인근까지 구간을 이중화하는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공사에는 새로운 로터리 2개 건설과 별도의 자전거 도로 설치가 포함되었다.[33] 계획의 마지막 단계인 M1 13번 출구에서 이글 팜 로터리까지 이어지는 구간의 개선 작업은 2018년 9월에 시작되어 2020년 12월에 완료되었다.[33]

5. 사건 및 사고

루턴에서 밀턴 케인스 사이(J10-J13) 약 약 24.14km 구간에 동적 갓길 운영을 도입하는 작업이 2012년 12월 완료되었으며, 총 비용은 3.27억파운드이었다.[36] 이를 통해 교통량이 많을 때 갓길을 추가 차선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각 분기점에서 4개 차선 운영이 가능하도록 11번과 12번 분기점이 개선되었고,[37] 이 기간 동안 13번 분기점에서 베드퍼드 남부 순환도로까지 이어지는 A421 도로도 양방향 2차선으로 확장되었다.[38] 정부의 스마트 고속도로 검토 결과, 동적 갓길 운영 방식이 운전자에게 혼란을 준다는 지적에 따라, 해당 구간을 포함한 모든 동적 갓길 운영 구간은 2020년대에 전 차선 운영 방식으로 전환될 예정이다.[39]

5. 1. 주요 사건 및 사고 목록

6. 분기점

M1 고속도로의 첫 번째 구간은 현재의 5번 분기점(왓퍼드)부터 18번 분기점(크리크, 럭비 근처)까지로, 지선인 M10(7번 분기점에서 세인트올번스 남쪽까지) 및 M45(17번 분기점에서 코번트리 방향)와 함께 1959년 11월 2일에 개통되었다.[59] 이 초기 구간은 대부분 A5 도로와 나란히 건설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통량 증가와 도로망 변화에 맞춰 여러 분기점에서 개선 공사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19번 분기점인 캐소프 분기점은 M1, M6 고속도로, A14 도로가 만나는 중요한 지점으로, 2013년 7월 개선 계획이 발표되었다.[26] 1.91억파운드 규모의 이 3층 분기점 공사는 2014년 1월에 시작되어[28] 2016년 12월에 완료되었다.[29]

또한, 밀턴킨스와 노샘프턴 사이(13번 ~ 16번 분기점)의 약 37.01km 구간은 4차선 스마트 고속도로(ALR: All Lane Running)로 전환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공사는 양방향 모두 갓길 없이 운영되며, 3.73억파운드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2018년 1월에 시작되어 2023년 3월 9일 완전히 개통되었다.[45]

M1 고속도로의 전체 분기점 목록과 각 분기점의 상세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분기점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Driving directions to M1 https://maps.google.[...] Google Maps 2013-10-13
[2] 웹사이트 Motorway archive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Highways and Transportation 2008-01-20
[3] 웹사이트 Key facts about England's motorways and trunk roads https://web.archive.[...] Highways Agency 2008-01-20
[4] 서적 The motorway achievement volume 1 https://books.google[...] Thomas Telford
[5] 뉴스 Watford Gap: M1 services that hosted Stones and Beatles faces demoliti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11-03
[6] 웹사이트 Tri-tandem roller 45655 of 1930 https://web.archive.[...] The Robey Trust
[7] 웹사이트 The Slab https://web.archive.[...] 2008-01-20
[8] 뉴스 Luton News and Bedfordshire Chronicle 1958-05-22
[9] 뉴스 Luton News and Bedfordshire Chronicle 1958-07-03
[10] 웹사이트 list of material held by Northamptonshire CC https://web.archive.[...] 2008-01-20
[11] 간행물 News: Motorway lighting 1972-07-13
[12] 웹사이트 HA press release M1 J10-13 lighting https://web.archive.[...] Nds.coi.gov.uk 2011-12-31
[13] 간행물 Motorweek: More M1 barriers 1973-03-31
[14] 웹사이트 A1(M) Bramham to Wetherby – One Year After Study http://assets.highwa[...] Highways Agency 2015-11-04
[15] 뉴스 Protesters unfurl anti-M1 banners http://news.bbc.co.u[...] 2010-05-12
[16] 웹사이트 Campaigners outraged at escalating costs of road widening https://theecologist[...] 2007-07-31
[17] 뉴스 M1 widening to cost £21m per mile http://observer.guar[...] 2008-01-28
[18] 웹사이트 Smart motorway evidence stocktake and action plan https://www.gov.uk/g[...]
[19] 웹사이트 A5-M1 Link (Dunstable Northern Bypass) https://web.archive.[...] 2014-11-25
[20] 웹사이트 Dunstable Town Centre Masterplan https://web.archive.[...] 2014-11-25
[21] 웹사이트 Woodside Link road http://www.centralbe[...] 2014-11-25
[22] 웹사이트 M1/M69 Public Consultation Information – The new solution https://web.archive.[...] Highways Agency 2010-01-07
[23] 웹사이트 M1/M69 Public Consultation Information – what happens now https://web.archive.[...] Highways Agency 2010-01-07
[24] 웹사이트 M1 Junctions 21 to 31 Improvements https://web.archive.[...] Highways Agency 2012-07-09
[25] 웹사이트 M69 (M1 J21) Whetstone Interchange https://www.roads.or[...]
[26] 웹사이트 M1 Jct 19 https://web.archive.[...] 2008-02-28
[27] 웹사이트 Press release:Go ahead for two new road schemes in the Midlands https://www.gov.uk/g[...] Department for Transport 2013-10-13
[28] 뉴스 Catthorpe: £191 million M1/M6/A14 junction improvement work to begin https://web.archive.[...] 2014-07-13
[29] 웹사이트 M1 Junction 19 Improvement Scheme https://web.archive.[...] Highways Agency 2017-01-11
[30] 웹사이트 A421 Miton Keynes to M1 http://webarchive.na[...] South East England Regional Assembly 2009-07-22
[31] 웹사이트 Bedfordshire Local Transport Plan 2006/07 – 2010/11 – Major projects https://web.archive.[...] Bedfordshire County Council 2008-12-09
[32] 뉴스 £23.5million project unveiled to upgrade A421 to dual carriageway http://www.miltonkey[...] 2015-01-27
[33] 뉴스 Multi-million pound project improving road link between Bedford and Milton Keynes complete https://www.miltonke[...] 2020-12-14
[34] 웹사이트 M1 Jct 6a to 10 Widening https://web.archive.[...] Highways Agency
[35] 웹사이트 9 Mar 2009 : Column 10W—continued https://publications[...]
[36] 웹사이트 M1 Junctions 10–13 Improvements http://www.highways.[...] Highways Agency
[37] 웹사이트 M1 Jct 10 to 13 Improvements http://www.highways.[...] Highways Agency
[38] 웹사이트 A421 Bedford to M1 Junction 13 http://www.highways.[...] Highways Agency
[39] 웹사이트 Action plan announced to boost smart motorway safety https://www.gov.uk/g[...] 2020-06-19
[40] 웹사이트 M1 widening J25-28: work to reduce congestion and improve safety starts in earnest http://www.highways.[...] Highways Agency 2008-01-20
[41] 웹사이트 £340m M1 contract to MVM consortium http://www.emcbe.com[...]
[42] 뉴스 M1 works speed cameras will stay http://news.bbc.co.u[...] 2010-01-03
[43] 뉴스 MPs to gather in Westminster to call for improvements to M1 junction near Mansfield https://www.chad.co.[...] Chad 2023-12-27
[44] 뉴스 M1: New plans for junction 28 upgrade to be sent to government https://www.bbc.co.u[...] BBC News 2023-12-27
[45] 웹사이트 M1 junction 13 to junction 16: smart motorway https://nationalhigh[...] National Highways 2023-01-09
[46] 웹사이트 Motorways to trial 60mph limits to cut pollution https://www.bbc.co.u[...] BBC News 2020-09-12
[47] 뉴스 Motorway speed limit of 60mph to cut pollution https://www.thetimes[...] 2020-09-12
[48] AV media Crimewatch UK January 1991 https://www.youtube.[...] BBC 1991-01
[49] 웹사이트 Road death toll mounts https://www.telegrap[...] 2003-07-13
[50] 뉴스 Five killed in M1 crash http://news.bbc.co.u[...] BBC News
[51] 뉴스 Blast demolishes landmark towers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8-24
[52] 뉴스 M1 is fully reopened after Mill Hill scrapyard fire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4-26
[53] 뉴스 Eight dead in M1 horror crash after two lorries collide with minibus 'carrying children' http://metro.co.uk/2[...] Metro 2017-08-26
[54] 뉴스 Eight Indians die in worst UK road crash in 24 years http://timesofindia.[...] 2017-08-28
[55] 웹사이트 Motorway archive http://www.iht.org/m[...] Institute of Highways and Transportation
[56] 웹사이트 Key facts about England's motorways and trunk roads http://www.highways.[...] Highways Agency
[57] 서적 The motorway achievement volume 1 https://books.google[...]
[58] 웹사이트 Motorway Database - M1 http://www.cbrd.co.u[...]
[59] 웹사이트 Tri-tandem roller 45655 of 1930 http://www.therobeyt[...] The Robey Trust
[60] 웹사이트 The Slab http://www.slipend.c[...]
[61] 웹사이트 list of material held by Northamptonshire CC http://www.iht.org/m[...]
[62] 웹인용 Driving directions to M1 https://maps.google.[...] Google 2013-10-13
[63] 웹인용 Motorway archive http://www.iht.org/m[...] Institute of Highways and Transportation 2008-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