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0 박격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30 박격포는 미국에서 개발된 107mm 구경의 박격포로, M2 107mm 박격포의 후계 모델이다. 1951년 미국 육군에 채용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M2와 동일한 포탄을 사용하지만 강선이 있는 포신과 더 긴 포신으로 사거리가 연장되었다. M30은 무게 때문에 M416A1 트레일러에 탑재하거나 M106 자주 박격포에 탑재되어 운용되었으며, 미국 해병대는 M116 곡사포의 포가에 장착하여 M98 하우타로 사용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은 1977년 KM30 박격포로 면허 생산했으며, 현재는 퇴역을 앞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M30 박격포 | |
---|---|
M30 박격포 | |
![]() | |
![]() | |
일반 정보 | |
종류 | 박격포 |
원산지 | 미국 |
사용 기간 | 1951년–현재 |
사용 국가 | 사용자 참조 |
참전 | 한국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베트남 전쟁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레바논 내전 과테말라 내전 걸프 전쟁 |
개발 정보 | |
설계 | 미국 화학전 부대 |
제원 | |
무게 | 305 kg (672.25 lb) |
길이 | 1.524 m (5 ft) |
구경 | 106.7 mm (4.2 in) |
발사 속도 | 최대 18 rpm, 지속 3 rpm |
사거리 | 770 m ~ 6,840 m (840 yd ~ 7,480 yd) |
최대 사거리 | 6,840 m (7,480 yd) |
2. 역사
M30 107mm 박격포는 M2 107mm 박격포의 후속 모델이다. M30은 무게 때문에 지상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포판을 설치할 구덩이를 파고, 모래주머니로 포판을 안정시키고 탄약을 보호해야 했다. 또한, 발사 반동으로 포판이 움직여 정확도가 떨어져, 사격 중단 후 조준을 다시 해야 했다.
2. 1. 개발 및 도입
베트남 전쟁 파병을 계기로 미국에서 M30 모델을 국내에 들여와 1977년 KM30 박격포로 라이선스 생산했다.[1] K242 장갑차는 4.2인치 박격포, K281 장갑차는 81mm 박격포를 탑재하고 있다.미군의 M30 박격포는 이전의 M2 박격포를 대체하기 위해 1951년부터 실전 배치되었다.[1] M30은 한국 전쟁 중 1951년에 정식 채용되었으며, 베트남 전쟁에도 투입되었다.[2][3] 미국 육군에서는 1990년에 이스라엘제 솔탐 K6 120mm 박격포를 라이선스 생산한 M120 120mm 박격포로 대체되어 퇴역했으며, 많은 국가에서 120mm 박격포로 교체가 진행 또는 계획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KM30을 비롯한 4.2인치 박격포를 신형으로 교체하지 않고 퇴역시킬 예정이다.
M30 박격포는 M2 박격포와 동일한 포탄을 사용하며, 총포신에는 강선이 새겨져 있다. M2 박격포보다 포신이 길어 사거리가 연장되었고, 포의 무게가 M2 박격포의 약 2배(305kg)가 되어 포격 시 안정성도 향상되었다.[1] 포판은 원형이 채용되었으며, 포신 및 지지각과는 전용 회전 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360도 전방위 선회가 가능하다.
그러나 무게 증가로 인해 설치나 인력으로 운반하는 것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이동 시에는 분해한 뒤 M416A1 1/4t 트레일러에 탑재하여 지프로 견인해야 했다.[26] 또한 기갑 사단 · 기계화 보병 부대를 위해, M113 장갑차의 캐빈에 M30 박격포와 그 포탄을 탑재한 M106 자주 박격포도 제조되었다. M113 계열 궤도식 박격포 수송차량에 탑재된 박격포는 5명의 승무원(궤도 사령관, 사수, 부사수, 탄약 운반병, 차량 운전병)으로 구성되었다.
사우디 아라비아 육군은 1990-1991년 걸프 전쟁 동안 M30을 배치했다.[4] M30은 또한 1996년 조인트 엔데버 (Operation Joint Endeavor) 작전 동안 보스니아에서도 사용되었다.[5]
2. 2. 운용 및 퇴역
대한민국은 베트남 전쟁 파병을 계기로 미국에서 M30 모델을 도입, 1977년에 KM30 박격포로 라이선스 생산했다.[1] K242 장갑차는 4.2인치 박격포를, K281 장갑차는 81mm 박격포를 탑재한다.M30 박격포는 1951년 미국 육군에 배치되어 이전의 M2 106.7mm 박격포를 대체했다.[1] 그러나 미국 육군은 1990년에 이스라엘제 솔탐 K6 120mm 박격포를 라이선스 생산한 M120 120mm 박격포로 대체하면서 M30은 퇴역했다. 대한민국 역시 KM30을 비롯한 4.2인치 박격포를 신형으로 교체하지 않고 퇴역시킬 예정이다.
2. 3. 주요 참전 기록
M30 107mm 박격포는 미국 육군이 1951년에 채택하여 기존의 M2 106.7mm 박격포를 대체하였다.[1] M30은 M2 박격포보다 사거리가 길고 더 치명적이었지만, 무게가 305kg으로 151kg인 M2보다 훨씬 무거웠다.이러한 무게 때문에 M30 박격포는 주로 M113 계열 궤도식 박격포 수송차량(M106 박격포 수송차량)에 탑재되었다. 이 차량에는 5명의 승무원(지휘관, 사수, 부사수, 탄약수, 운전병)이 탑승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 해병대와 미국 육군 모두 M30 박격포를 사용했다.[2][3] 미 해병대는 M30 박격포를 M116 곡사포 포가에 장착하여 M98 하우타라고 불렀다.[3] 사우디 아라비아 육군은 1990-1991년 걸프 전쟁에서 M30을 사용했고,[4] 1996년 보스니아의 조인트 엔데버 작전에도 투입되었다.[5]
3. 설계
M30 박격포는 전체 무게가 305kg이며, 용접된 강철 회전체, M24A1 밑판, M53 조준경을 포함한다. 포판은 원형이며, 포신 및 지지각과는 전용 회전 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360도 전방위 선회가 가능하다.
3. 1. 강선 포신
M30 박격포의 포신에는 강선이 있다. 강선 포신은 탄이 강선에 맞물려 회전을 하도록 탄이 포신에 매우 꽉 맞아야 한다. 그러나 전장식 박격포는 탄이 앞쪽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포신 내에서 충분히 헐거워야 한다. 이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탄의 기저부에는 팽창 가능한 링이 있으며, 이 링은 탄을 추진하는 발사 장약의 압력으로 강선에 팽창한다.[1] 탄에 회전을 주면 비행 중 발사 방향에서 벗어나게 되며, 비행 거리가 길수록(표적까지의 거리가 클수록) 벗어나는 정도가 더 커지므로, 특정 표적을 겨냥하기 위한 방향 설정 계산에는 이를 고려해야 한다.[1]미국 탄약은 낙하 안전 및 포신 안전을 위해 설계되었다. 즉, 이 강선 박격포용 탄약의 신관은 탄이 일정 횟수 회전한 후에만 작동되며, 이는 탄이 회전하면서 포신을 벗어나 박격포 진지에서 안전한 거리를 이동한 후에야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
3. 2. 안전 설계
M30 박격포는 낙하 안전 및 포신 안전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 강선 박격포용 탄약의 신관은 탄이 일정 횟수 회전한 후에만 작동된다. 즉, 탄이 회전하면서 포신을 벗어나 박격포 진지에서 안전한 거리를 이동한 후에야 작동하는 것이다.[1]강선 포신은 탄에 회전을 부여하기 위해 탄이 포신에 매우 꽉 맞아야 한다. 그러나 전장식 박격포에서는 탄이 앞쪽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포신 내에서 충분히 헐거워야 한다. 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이 탄들은 기저부에 팽창 가능한 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탄을 추진하는 발사 장약의 압력 하에서 강선으로 팽창한다. 탄에 회전을 부여하면 비행 중 발사 방향에서 벗어나게 되며, 비행 거리가 길수록(표적까지의 거리가 클수록) 드리프트가 더 커지므로, 특정 표적을 향해 발사하기 위한 방향 설정 계산에는 이 드리프트를 고려해야 한다.[1]
4. 포탄 종류
종류 | 모델명 | 최대 사거리 | 무게 | 기타 |
---|---|---|---|---|
HE | M329A1 | 5650m | 12.3kg | |
HE | M329A2 | 6840m | 10kg | |
WP | M328A1 | 5650m | ||
ILLUM | M325A2 | 5490m | 연소시간 90초 | |
ILLUM | M335A2 | 5290m | 연소시간 70초 |
조명탄(ILLUM)은 정해진 시간에 점화되는 낙하산 조명탄이다. 지상에서의 전개 고도는 포의 고각과 추진 장약에 의해 결정된다.
고폭탄(HE) 및 백린탄(WP)은 사격 전에 지면 위 약 약 9.14m에서 폭발하도록 설정된 근접 신관을 장착하여 목표 지역을 최대화하고 참호에 파편을 흩뿌릴 수 있었다.
5. 운용 국가
국가 | 도입 수량 | 비고 |
---|---|---|
Austria영어[7] | ||
Belgium영어[6][7] | ||
Bolivia영어[8] | ||
Brasilpt[9] | ||
Cambodia영어 | ||
Canada영어[7] | ||
Colombia영어[10] | ||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프랑스어[7] | ||
Cyprus영어 | 20대 미만 (2016년 기준) | |
República Dominicanaes | 4대 (2016년 기준) | |
Ecuador영어[11] | ||
Ethiopia영어[12] | ||
Ελλάδαel[6][7] | 620대 (차량 탑재 231대 포함, 2016년 기준) | 그리스 육군에서 운용 |
Guatemala영어 | 12대 | 이스라엘 도입,[7] 2016년 기준 비축 |
ایرانfa[7] | ||
ישראלhe[7] | 50대 (2016년 기준) | |
Italiait[13] | ||
Jordan영어[14] | ||
대한민국[7] | 육군 및 해병대에서 사용. 육군 K242 자주 박격포[27], 해병대 K532 자주 박격포(Bv.206 후부 차체 탑재)[28] 운용. 현대위아 KM30 면허 생산[29]. | |
Kuwait영어 | 6대 (2016년 기준) | |
Lebanon영어 | ||
Liberia영어[7] | ||
Libya영어[15] | ||
Méxicoes[16] | ||
नेपालne[17] | ||
Nederlandnl[6][7] | ||
Norgeno[6][7] | ||
Oman영어[7] | 20대 (2016년 기준) | |
Paraguayes[18] | ||
Philippines영어[19] | 40대 | 필리핀 육군 운용, 필리핀 해병대 일부 부대 운용 (2016년 기준) |
Portugalpt[6][20] | 30대 (차량 탑재 20대 포함, 2016년 기준) | |
السعوديةar[21] | 약 150대 | 사우디 아라비아 육군 운용, 일부 차량 탑재 (2016년 기준) |
中華民國중국어[22] | 1969년부터 61병공창 면허 생산, 1970년 62식 4.2인치 박격포 정식 채용. CM-22 자주박격포[30] 탑재. 63식 120mm 박격포 교체 중. | |
تونسar[23] | ||
Türkiyetr[6][7] | 1,264대 (2016년 기준) | |
United States영어 | 미국 육군 및 미국 주 방위군[7] 운용. M106 자주박격포 운용. M120/M121 120mm 박격포 교체, 퇴역. | |
Uruguayes[24] | ||
South Vietnam영어[25] |
참조
[1]
웹사이트
4.2 inch M30 Mortar
http://www.rt66.com/[...]
2007-07-10
[2]
서적
The US Army in the Vietnam War 1965–73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8-04-02
[3]
서적
The US Marine Corps in the Vietnam War: III Marine Amphibious Force 1965–75
Osprey Publishing
2006-06-01
[4]
서적
Armies of the Gulf War
Osprey Publishing
1993
[5]
웹사이트
On the afternoon of May 21st, 1996, two soldiers from the Mortar Platoon, 4th Battalion, 12th Mechanized Infantry, do some fine tuning to their M-30, 107mm, Heavy Mortar during a live fire exercise in Glamoc, Bosnia-Herzegovina (XJ 641 886) in support of Operation Joint Endeavor
https://nara.getarch[...]
1996-05-21
[6]
서적
The armies of the NATO nations: Organization, concept of war, weapons and equipment
Herold Publishers
[7]
간행물
107 mm M30 rifled mortar
https://archive.org/[...]
2001-06-04
[8]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Bolivia
https://archive.org/[...]
2000-11-22
[9]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Brazil
https://archive.org/[...]
2000-11-22
[10]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Colombia
https://archive.org/[...]
2000-11-22
[11]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Ecuador
https://archive.org/[...]
2000-11-22
[12]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Ethiopia
https://archive.org/[...]
2000-11-22
[13]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Japan
https://archive.org/[...]
2000-11-22
[14]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Jordan
https://archive.org/[...]
2000-11-22
[15]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Libya
https://archive.org/[...]
2000-11-22
[16]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Mexico
https://archive.org/[...]
2000-11-22
[17]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Nepal
https://archive.org/[...]
2000-11-22
[18]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Paraguay
https://archive.org/[...]
2000-11-22
[19]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Philippines
https://archive.org/[...]
2000-11-22
[20]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Portugal
https://archive.org/[...]
2000-11-22
[21]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Saudi Arabia
https://archive.org/[...]
2000-11-22
[22]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Taiwan
https://archive.org/[...]
2000-11-22
[23]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Tunisia
https://archive.org/[...]
2000-11-22
[24]
간행물
National inventories, Uruguay
https://archive.org/[...]
2000-11-22
[25]
서적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1955–75
Osprey Publishing
2010
[26]
웹사이트
http://www.mortarsin[...]
[27]
웹사이트
日本周辺国の軍事兵器(朝鮮半島編)
https://w.atwiki.jp/[...]
[28]
웹사이트
日本周辺国の軍事兵器(朝鮮半島編)
https://w.atwiki.jp/[...]
[29]
웹사이트
HYUNDAI WIA - Military/Land
http://en.hyundai-wi[...]
[30]
웹사이트
日本周辺国の軍事兵器(中国・台湾編)
http://wiki.lived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