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위아는 1976년 기아산업의 공작기계 및 자동차 부품 생산 부문으로 시작하여, 1999년 현대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이후 위아(주)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09년 현재의 현대위아(주)로 변경되었으며, 2011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현재 기계 사업, 자동차 부품 사업, 방위 산업, 모빌리티 솔루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2024년에는 주차 로봇을 상용화하여 새로운 기술을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 마그네티 마렐리
마그네티 마렐리는 1919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제조 회사로,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개발, 생산했으며, 2018년 KKR에 인수되어 칼소닉 칸세이와 합병, 2019년 마렐리가 되었다. -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 EXEDY
EXEDY는 1950년 다이킨제작소로 설립되어 클러치, 변속기 부품 등을 생산하여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 공급하는 일본의 자동차 부품 제조 회사이다. - 1976년 설립된 제조 기업 - CJ씨푸드
CJ씨푸드는 위키백과 페이지 본문 내용이 없어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 1976년 설립된 제조 기업 - STX (기업)
STX는 1976년 쌍용중기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디젤 엔진 생산을 시작, 쌍용중공업을 거쳐 2001년 STX로 사명을 변경하고 조선업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으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경영난으로 그룹 해체 수순을 밟았으며 현재는 무역 사업을 주요 사업 분야로 영위하고 있다. - 창원시의 기업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설비, 담수 플랜트 등을 제작하는 중공업 기업으로, 두산그룹 인수 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 사명 변경을 거쳐 에너지 전환 시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했으며, 원자력 발전소 기자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창원시의 기업 - SNT다이내믹스
SNT다이내믹스는 195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방위산업 및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국군의 총포류, 변속기 등을 개발, 생산해왔으며, 2023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현대위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현대위아 주식회사 |
로마자 표기 | Hyeondae Wia |
한글 표기 | 현대위아 |
한자 표기 | 현대위아 |
이전 회사명 | 삼원공장 (1976–1977) 기아기공 (1977–1996) 기아중공업 (1996–2001) WIA (2001–2009) |
설립일 | 1976년 3월 29일 |
본사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사업 지역 | 전 세계 |
산업 분야 | 자동차 산업 방위 산업 기계 산업 |
주요 제품 | 항공기 부품 자동차 엔진 및 모듈 등속 조인트 대구경 포병 공작 기계 사륜구동 시스템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
고용 인원 | 2,886명 (2022년 7월 기준) |
모회사 | 현대자동차그룹 |
경영진 | |
대표이사 | 정재욱 (사장) |
재무 정보 | |
매출액 | 8조 2,076억 원 (2022년) |
영업이익 | 2,121억 원 (2022년) |
순이익 | 435억 원 (2022년) |
자산 | 7조 5,465억 원 (2022년) |
자본 | 3조 7,337억 원 (2022년) |
주식 정보 | |
주요 주주 | 현대자동차 (40.74%) 국민연금 (9.96%) 자사주 (2.02%) 종업원 지주 (0.03%) 기타 (0.03%) |
기타 정보 | |
기업 종류 | 주식회사 |
2. 역사
현대위아는 1976년 기아산업의 자회사인 기아기공으로 출발하여 공작기계와 자동차용 변속기 생산을 시작했다.[12] 설립 이후 국내외 생산 거점을 확장하고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성장했다. 1996년 기아중공업, 2000년 위아(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1999년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된 후 2009년 현재의 사명인 현대위아(주)가 되었다.
주요 성장 과정에서 중국, 인도 등 해외 법인 설립을 통해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2014년에는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인 현대위스코와 현대메티아를 흡수 합병하여 사업 경쟁력을 강화했다.[13] 이후 터보차저 양산, 세계 최초 기능 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 개발 등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2. 1. 설립 초기 (1976년 ~ 1999년)
1976년 기아산업은 공작기계와 자동차용 변속기를 생산하여 그룹 내 주요 부품 공급을 지원하기 위해 기아기공을 설립하였다.[12] 설립 직후인 같은 해 5월에는 미국 현지법인을 세우며 해외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이후 생산 능력을 꾸준히 확장하여 1990년 1월에는 안산시에 반월공장을, 1993년 4월에는 광주공장을 준공하였다. 1993년 12월에는 국내 최초로 상용차용 변속기 누계 생산 100만 대를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여 1994년 4월 항공기 랜딩기어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1997년 6월에는 일본 히타치세이키와 공작기계 수직선반(CX-1)을, 1998년 3월에는 프랑스의 Messier-Dowty|메시에-도티fra와 민항기 착륙장치를 공동 개발하였다.
1996년 3월에는 사명을 기아중공업(주)로 변경하였으며, 1999년 3월 현대그룹에 인수되어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연도 | 월 | 내용 |
---|---|---|
1976년 | 3월 | 기아기공(주) 설립 |
5월 | 미국 현지법인 설립 | |
1990년 | 1월 | 안산반월공장 준공 |
1993년 | 4월 | 광주공장 준공 |
12월 | 국내 최초 상용차용 변속기 누계생산 100만대 돌파 | |
1994년 | 4월 | 항공기 랜딩기어 국산화 개발 |
1996년 | 3월 | 기아중공업(주)로 사명 변경 |
1997년 | 6월 | 공작기계 수직선반(CX-1) 한일공동 개발 (일본 히타치세이키) |
1998년 | 3월 | 민항기 착륙장치 공동개발 (프랑스 Messier-Dowty|메시에-도티fra) |
1999년 | 3월 | 현대그룹 계열사 편입 |
2. 2. 사명 변경 및 성장 (2000년 ~ 2010년)
2000년 1월, 기아중공업은 위아(주)로 사명을 변경하며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12] 이는 1999년 3월 현대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이후 이루어진 조치이다. 이후 위아는 해외 시장 진출과 사업 확장을 통해 성장을 지속했다.2004년 1월에는 중국에 주물 생산을 위한 현지 법인 'Jiangsu Hyundai Wia Co.ltd'를 설립하고, 이듬해인 2005년 1월에는 공장을 준공하여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갔다. 2007년 4월에는 중국 산둥성 일조시에 엔진 생산 법인의 공장을 준공하고 양산을 시작하며 중국 내 생산 거점을 확대했다.
2009년에는 두 차례의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3월에는 캐나다의 자동차 부품 회사인 마그나와 합작하여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주)를 설립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현재의 사명인 현대위아(주)로 다시 한번 상호를 변경했다.
2010년 3월에는 인도에 현지 법인 'Hyundai Wia India Private Ltd'를 설립하며 신흥 시장 공략에도 나섰다.
연도 | 월 | 주요 내용 |
---|---|---|
2000년 | 1월 | 기아중공업(주)에서 위아(주)로 상호 변경 |
2004년 | 1월 | 중국 주물법인 (Jiangsu Hyundai Wia Co.ltd) 설립 |
2005년 | 1월 | 중국 주물공장 준공 및 양산 시작 |
2007년 | 4월 | 중국 엔진법인 공장 준공 및 양산 개시 (산둥성 일조시) |
2009년 | 3월 |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주) 법인 설립 (마그나 합작) |
2009년 | 8월 | 위아(주)에서 현대위아(주)로 상호 변경 |
2010년 | 3월 | 인도 현지법인 (Hyundai Wia India Private Ltd) 설립 |
2. 3. 발전 및 확장 (2011년 ~ 현재)
2011년 2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신규 상장하며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2014년 9월에는 자동차 부품 단조 및 주조 제품 전문업체인 현대위스코와 현대메티아를 같은 해 11월 1일부로 흡수 합병한다고 발표하며, 자동차 부품 일관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13] 이는 현대위아의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주요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주요 내용 |
---|---|
2011년 2월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신규 상장 |
2012년 | 창원3공장 변속기 신축공장 준공 |
2013년 | 인도법인 CVJ 신축공장 준공 |
2014년 | 자동차 부품 일관 생산 체제 구축 (현대위스코, 현대메티아 흡수 합병)[13] |
2015년 | 터보차저 사업 진출 및 양산 개시 |
2016년 | 현대위아 서산공장 (다목적 엔진 공장) 신축 및 양산 개시 |
2018년 | 유럽기술지원센터 (Tech Cube) 준공 |
2019년 1월 | 세계 최초 기능 통합형 드라이브 액슬 (IDA) 개발 |
현대위아는 크게 자동차 부품, 공작 기계, 방위 산업, 중장비, 그리고 모빌리티 솔루션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3. 사업 분야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는 자동차 엔진, 변속기, 등속 조인트, 터보차저 등 핵심 부품 및 모듈을 생산한다. 공작 기계 분야에서는 CNC 선반, 머시닝센터 등 다양한 기계와 FA(Factory Automation) 시스템, 산업용 로봇 등을 제작한다.
방위 산업 분야에서는 화포, 함포, 항공기 부품 등 다양한 무기 체계와 부품을 생산하며 국가 방위에 기여하고 있다. 중장비 분야에서는 자동차 생산 라인 등에 사용되는 대형 프레스 설비와 플랜트 설비 등을 공급한다.
최근에는 로봇 기술을 활용한 주차 로봇, 배송 로봇 등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이 외에도 사업 초기부터 이어온 부품·소재 및 금형 사업 등도 주요 사업 영역에 포함된다.
3. 1. 자동차 부품
1976년 기아`(당시 기아산업)`는 공작기계와 자동차용 변속기를 생산하여 기아산업의 주요 부품을 지원하기 위해 기아기공을 설립했다.[12] 1993년에는 국내 최초로 상용차용 변속기 누계 생산 100만대를 돌파했다.[7]
회사는 자동차 부품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해왔다. 2007년에는 중국 산둥성 일조시에 엔진 공장을 준공하고 양산을 시작했으며,[7] 2009년에는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주) 법인을 설립했다.[7] 2012년에는 창원3공장에 변속기 신축 공장을 준공했고,[7] 2013년에는 인도법인에 등속 조인트(CVJ) 신축 공장을 준공했다.[7]
2014년 9월에는 자동차 부품 단·주조제품 전문업체인 현대위스코와 현대메티아를 흡수 합병하여 자동차 부품 일관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13][7] 이후 2015년에는 터보차저 사업에 진출하여 양산을 시작했으며,[7] 2016년에는 충청남도 서산에 다목적 엔진 공장을 신축하고 양산을 개시했다.[7] 2019년에는 세계 최초로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을 개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7]
주요 생산품으로는 자동차 엔진, 변속기, 등속 조인트(CVJ), 터보차저,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 등 다양한 자동차 핵심 부품 및 모듈이 있다.
3. 2. 공작 기계
현대위아에서 생산하는 주요 공작 기계 및 관련 제품은 다음과 같다.[8]3. 3. 방위 산업
현대위아는 다양한 분야의 방위 산업 제품을 생산한다.[9]
포병
제품명 | 구경/길이 | 탑재/관련 정보 | 개발/도입 정보 |
---|---|---|---|
KH178 | 105mm 38구경 | 견인곡사포 | 1978년 개발 |
KH179 | 155mm 39구경 | 견인곡사포 | 1979년 개발 |
CN98 | 155mm 52구경 | K9 자주포 탑재 자주곡사포 | 1998년 개발 |
KM256 | 120mm 44구경 | K1A1 전차 탑재 활강포 | 기술 도입 생산 |
CN03 | 120mm 44구경 | K1A2 전차 탑재 활강포 | 2003년 개발 |
CN08 | 120mm 55구경 | K2 전차 탑재 활강포 | 2008년 개발 |
박격포
제품명 | 구경 | 개발 연도 | 비고 |
---|---|---|---|
KM181 | 60mm | 1985년 개발 | |
KM187 | 81mm | 1996년 개발 | |
KMS114 | 81mm | 2019년 개발 | |
XKM120 | 120mm | 2019년 개발 | 자주박격포 |
무반동포
원격조종 무장 시스템
- RW01K
함정 무장 시스템
제품명 | 구경/길이 | 개발/도입 정보 |
---|---|---|
K-76L/62 | 76mm L/62 | 2007년 개발[10] |
5"/54구경 Mark 45 | 5인치/54구경 | 기술 도입 생산 |
OTO Melara 76mm | 76mm | 기술 도입 생산 |
Bofors 57mm L/70 | 57mm L/70 | 기술 도입 생산 |
Bofors 40mm L/70 | 40mm L/70 | 기술 도입 생산 |
골키퍼 CIWS | - | 기술 도입 생산 |
항공우주 시스템
- 주 및 전방 착륙장치
- 주 회전익 제어장치
- 조종석
- 민항기 부품
3. 4. 중장비
현대위아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기계 및 설비를 제작, 공급하고 있다. 주요 생산 품목 중 하나는 자동차 차체 생산 등에 사용되는 대형 프레스 라인이다.[1][2] 또한, 플랜트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핵심 설비와 공장 자동화 시스템 구축 관련 사업도 수행하고 있다.[3][4]3. 5. 모빌리티 솔루션
IoT 및 자율 주행 기술을 접목한 로봇 기술을 활용하여 주차로봇, 배송로봇 등을 개발하고 있다.[14]2024년 6월 20일에는 자체 개발한 주차로봇을 공개하고, 이지스자산운용의 로봇 친화형 오피스 빌딩인 '팩토리얼 성수'에 적용했다. 이는 고객이 업무용 차량을 지정된 장소에 두면 로봇이 자동으로 주차하거나, 필요시 차량을 지정된 장소로 가져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차 로봇이 실제 상용화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15]
이 주차 로봇은 얇고 넓은 로봇 한 쌍이 차량 하부로 들어가 바퀴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로봇의 두께는 110mm로 다양한 차종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장착된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차량 바퀴의 크기와 위치를 스스로 인식하여 정확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16] 로봇은 최고 초속 1.2m의 속도로 이동하며, 최대 2.2ton 무게의 차량까지 자동으로 주차할 수 있다. 또한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주차가 어려운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차량을 옮길 수 있어, 같은 면적 대비 더 많은 주차 공간을 확보하며 공간 활용성을 크게 높인다.
현대위아는 주차 로봇 도입과 더불어 최대 50대의 로봇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는 ‘스마트 주차 관제 시스템’도 함께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각 로봇이 최적의 경로로 움직이고 여러 대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하도록 지원한다.[17]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http://en.hyundai-wi[...]
Hyundai WIA
2022-09-16
[2]
웹사이트
HYUNDAI WIA 011210
https://comp.fnguide[...]
FnGuide
2022-12-01
[3]
웹사이트
현대위아(주)
https://www.saramin.[...]
Saramin
2022-07-01
[4]
웹사이트
Hyundai Wia launches smart factory solutions
https://www.mk.co.kr[...]
Maeil Business Newspaper
2018-04-04
[5]
웹사이트
Hyundai Wia likely to deploy smart robots at Georgia EV plant
https://www.kedgloba[...]
The Korea Economic Daily
2022-05-24
[6]
웹사이트
Hyundai WIA
https://www.hyundaim[...]
Hyundai Motor Group
[7]
웹사이트
Automobile Parts
http://en.hyundai-wi[...]
Hyundai WIA
[8]
웹사이트
Machine Tools
http://en.hyundai-wi[...]
Hyundai WIA
[9]
웹사이트
Defense Business
http://en.hyundai-wi[...]
Hyundai WIA
[10]
웹사이트
76mm Naval Gun
http://en.hyundai-wi[...]
2023-02-25
[11]
웹사이트
Hyundai Wia on the Forbes Global 2000 List
https://www.forbes.c[...]
2020-08-06
[12]
뉴스
미완으로 끝난 봉고·프라이드 신화
https://news.naver.c[...]
한경비즈니스
2014-07-04
[13]
뉴스
현대車그룹 부품회사 현대위아… 현대위스코-현대메티아 흡수합병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4-09-30
[14]
웹인용
유튜브 <현대위아 브랜드 필름 2024>
https://www.youtube.[...]
2024-06-18
[15]
웹인용
"성수동엔 이제 없는 게 없군"…'주차 대신해주는 로봇' 등장 [영상]
https://www.hankyung[...]
2024-06-20
[16]
웹인용
유튜브 <로봇이 자동으로 주차부터 출차까지! 주차 로봇>
https://www.youtube.[...]
2024-06-20
[17]
웹인용
"배달·주차 로봇이 합니다" 현대차그룹 '팩토리얼 성수'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2024-06-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현대위아, 폴란드 국제 방산전시회 첫 참가
[포토] 현대위아, 자율주행 물류로봇 1500㎏ 거뜬
현대위아, 자율주행 물류로봇 신제품 공개...산업현장 투입
현대위아, 물류 로봇 신제품 공개…“이동 로봇 시장 본격 진출”
현대위아·현대엘리베이터, ‘미래형 로봇 주차시장’ 선점 향해 맞손
현대위아-현대엘리베이터 손잡고 로봇 발렛파킹 솔루션 개발
[MK 골든크로스 돌파종목 : 현대위아(011210) &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
이번 주 한-미 무역협상 기대…한국 증시 상승세 이어갈까
현대위아, 자동차 공조 시스템 양산 개시
일본 품목별 관세 인하 합의에 기대감…한국 자동차주도 급등
일본차 상호관세 15%로 내리자, 한국 자동차주 반등
SNT, 스맥 인수 노리나 … 최대주주 재등극
SNT그룹, 스맥 인수 노리나… 최대주주 재등극
방산 붐 올라타는 현대위아...대구경 화포에 경량화 자주포까지
AI가 만든 ‘현대차 주차 로봇 영상’ 화제
현대위아,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2045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중진공-현대위아, 협력 중기 대상 동반성장 사업설명회
현대차그룹, ‘제로원 3호 펀드’ 조성…“유망 스타트업과 손잡고 미래 혁신 기술 발굴”
스맥, 유상증자 금감원 문턱 넘어···현대위아 공작기계사업부 인수 9부 능선 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