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Dram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o More Drama》는 메리 J. 블라이지의 5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1년에 발매되었다. 블라이지의 혼란스럽고 힘든 삶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알코올 및 약물 남용, 학대적인 관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이 앨범은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2위로 데뷔하고 여러 국가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또한, "Family Affair"를 포함한 여러 싱글과 함께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후보로 지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닥터 드레가 프로듀싱한 음반 - 오스틴 파워: 골드멤버
오스틴 파워: 골드멤버는 마이크 마이어스가 다역을 맡고 비욘세 놀스가 합류한 오스틴 파워 시리즈 세 번째 영화로, 닥터 이블과 골드멤버의 음모를 막는 오스틴의 활약을 그린 패러디 영화이다. - 닥터 드레가 프로듀싱한 음반 - Blood Money
2006년 맙 딥이 G-Unit Records와 계약 후 발표한 첫 앨범인 Blood Money는 G-Unit 멤버들이 참여했으며, 음악 평론가들의 엇갈린 평가 속에서 빌보드 200 차트 3위, 톱 랩 앨범 차트 1위로 데뷔했다. - MCA 레코드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MCA 레코드 음반 - 허리케인 카터
허리케인 카터는 1966년 살인사건으로 억울하게 종신형을 선고받은 복서 루빈 "허리케인" 카터의 실화를 바탕으로, 그의 무죄 주장과 자서전을 읽고 감명받아 그의 무죄를 입증하려는 흑인 청소년의 노력을 그린 영화다. - 2001년 음반 - Game (박진영의 음반)
Game은 박진영이 1998년에 발표한 4집 음반으로, 자작곡 외에 유재하, 김창훈의 곡이 수록되었고 방시혁, 김형석이 편곡에 참여하여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 2001년 음반 - Discovery (쥬얼리의 음반)
쥬얼리의 데뷔 앨범인 《Discovery》는 박정아, 이지현, 정유진, 조은미 4인조의 사랑스럽고 귀여운 이미지를 강조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며 낮은 평가를 받아 멤버 교체를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No More Drama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형식 | 스튜디오 |
장르 | R&B 소울 힙합 소울 R&B 발라드 |
레이블 | MCA 레코드 |
발매 정보 | |
발매일 | 2001년 8월 28일 |
녹음 기간 | 1999년 - 2001년 |
길이 | 72분 46초 |
참여자 | |
프로듀서 | 메리 J. 블라이지 닥터 드레 미시 엘리엇 어브 고티 지미 잼 & 테리 루이스 (K-1 밀리언) 더 넵튠스 스위즈 비츠 |
싱글 | |
싱글 1 | 패밀리 어페어 |
싱글 1 발매일 | 2001년 7월 24일 |
싱글 2 | 노 모어 드라마 |
싱글 2 발매일 | 2001년 10월 30일 |
싱글 3 | 댄스 포 미 |
싱글 3 발매일 | 2002년 1월 28일 |
싱글 4 | 레이니 데이즈 |
싱글 4 발매일 | 2002년 3월 11일 |
차트 성적 | |
빌보드 200 (미국) | 2위 |
빌보드 R&B/힙합 앨범 (미국) | 1위 |
UK R&B 앨범 차트 (영국) | 1위 |
UK 앨범 차트 (영국) | 4위 |
인증 | |
미국 | 더블 플래티넘 |
영국 | 플래티넘 |
일본 | 골드 |
프랑스 | 골드 |
캐나다 | 더블 플래티넘 |
이전/다음 음반 | |
이전 음반 | 메리 (1999년) |
다음 음반 | 러브 & 라이프 (2003년) |
관련 음반 | |
관련 음반 | 댄스 포 미 (2002년) |
2. 제작 배경
《No More Drama》는 메리 J. 블라이즈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 블라이즈는 인터뷰를 통해 알코올 및 약물 남용, 학대적인 관계 등으로 혼란스러운 삶을 살았으며, 이러한 악순환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이 앨범에 반영되었다고 밝혔다.[6]
이 앨범은 스타일 면에서 《메리》의 블루스 R&B에서 1990년대 초반 힙합 비트로 전환되었으며, 첫 싱글 "Family Affair"에서 두드러진다.
초기 앨범 제목은 《Mary Jane: No More Drama》로, 1999년 앨범 《메리》의 속편이자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으로 기획되었다. 제이 지가 랩을 하고 레니 크라비츠가 기타를 연주하는 "Rock Steady"가 첫 싱글로 예정되었으나, 믹스테이프 유출로 인해 최종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7][8] 초기 홍보용 음반에는 복제 방지를 위해 "Mary J. Blige, No More Drama!"라는 보컬 루프가 반복적으로 삽입되었다.[9]
2. 1. 콘셉트 (일본어판)
앨범 전체의 콘셉트는 다양한 것에 대한 "분노(anger)"를 없애고 단순한(심플한) 마음이 되고 싶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분노"가 테마이며, 지금까지 겪어온 애증극에 종지부를 찍고 "더 이상 고통은 느끼고 싶지 않아, 이대로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으니까"라는 메리 J. 블라이즈의 마음이 담겨있다.[73][71] 일본판 띠지 문구는 "'''완전무결. 나는 언제나 오리지널.'''"이다.[70]3. 음악 스타일
스타일 면에서 이 앨범은 이전 앨범 《메리》의 블루스 R&B에서 1990년대 초반 힙합 비트로 전환되었다. 이는 닥터 드레가 프로듀싱한 리드 싱글 "Family Affair"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래퍼 이브가 참여한 "Where I've Been" 등 앨범 전반에 걸쳐 도시적인(urban) 영향을 느낄 수 있다.
4. 평가
《No More Drama》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1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77점을 받았다.[18]
올뮤직의 리아나 조나스는 블라이즈의 공감력 있는 가사 작성 능력을 칭찬하며, "그녀는 거칠고 묵직하며 소울이 넘치는 R&B 음악을 만드는 데 뛰어난 본능을 가지고 있다"라고 평했다.[19]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데이비드 브라운은 "드레가 프로듀싱한 "Family Affair"의 연극적 연출부터 세련된 펑크와 선명한 콰이어트 스톰 R&B까지, 여러 프로듀서의 편곡은 광범위하면서도 따뜻하며, 블라이즈의 거친 목소리는 그 어느 때보다 훌륭하게 들린다"라고 평가했다.[10] 가디언에서도 호평을 받았다.[84]
롤링 스톤의 로버트 매리엇은 "블라이즈가 자신의 뿌리에 더 깊이 연결되어 있고, 더 안정되어 있으며, 음악적으로나 그 외의 모든 면에서 다음 도전에 대한 준비가 더 잘 되어 있다"라고 평가했다.[21]
반면,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다소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며, "긍정적인 태도는 짜증 나는 일이며, 게다가 지루하다"라고 평했다.[24] 뉴욕 매거진의 이선 브라운은 "불행할 때 블라이즈는 날카롭고 심오할 수 있지만, 행복할 때는 평범하고 단조롭게 느껴진다"라고 썼다.[25]
4. 1. 수상 및 후보
《No More Drama》와 이 앨범의 싱글들은 메리 제이 블라이즈에게 수많은 상과 후보 지명을 안겨주었다. 제44회 그래미상에서 이 앨범은 최우수 R&B 앨범 후보에 올랐으나, 앨리샤 키스의 《Songs in A Minor》에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31] 앨범의 리드 싱글인 "Family Affair"는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지만, 역시 앨리샤 키스의 "Fallin'"에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31]2002년 《No More Drama》 재발매 버전에 수록된 "He Think I Don't Know"는 제45회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 부문에서 블라이즈에게 첫 번째 그래미상을 안겨주었다.[31] 이 앨범은 또한 2003 소울 트레인 뮤직 어워드와 2003 레이디 오브 소울 어워드에서 각각 최우수 R&B/소울 앨범 - 여성 후보에 올랐지만, 각각 애샨티의 동명의 데뷔 앨범에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32][33]
시상식 | 연도 | 후보 | 부문 | 결과 |
---|---|---|---|---|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2002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최우수 소울/R&B 여성 아티스트상 | 후보 |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2003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최우수 소울/R&B 여성 아티스트상 | 수상 |
BET 어워드 | 2002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최우수 여성 R&B 아티스트상 | 후보 |
제44회 그래미상 | 2002 | No More Drama | 최우수 R&B 앨범상 | 후보 |
"Family Affair" |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상 | 후보 | ||
제45회 그래미상 | 2003 | "He Think I Don't Know" |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상 | 수상 |
NAACP 이미지 어워드 | 2003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우수 여성 아티스트상 | 후보 |
"No More Drama" | 우수 곡상 | 후보 | ||
"No More Drama" | 우수 뮤직 비디오상 | 후보 | ||
소울 트레인 뮤직 어워드 | 2003 | No More Drama | 최우수 R&B/소울 앨범상 - 여성 부문 | 후보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 2002 | "No More Drama" | 최우수 R&B 비디오상 | 수상 |
"Family Affair" | 최우수 안무상 | 후보 | ||
ASCAP | 2003 | "Family Affair" | 최우수 퍼포먼스 곡상 | 수상 |
5. 상업적 성과
''No More Drama''는 2001년 9월 6일 미국 ''빌보드'' 200에서 2위로 데뷔하여 정점을 찍었는데, 이는 Aaliyah의 동명의 세 번째 앨범에 이은 두 번째였다.[26] 이 앨범은 발매 첫 주에 294,351장의 판매고를 올렸다.[26] ''No More Drama''는 블라이지의 최고 데뷔 주 앨범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이후 2005년 발매된 ''The Breakthrough''가 첫 주에 72.9만달러의 판매고를 올리면서 기록을 갱신했다.[27] 2001년 말까지 이 앨범은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그 해 미국에서 73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다.[62]
이 앨범의 상업적 성과는 재발매를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 스페셜 에디션의 발매는 ''No More Drama''가 2002년 2월에 다시 10위권 안에 진입하는 데 기여했으며, 총 61,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200% 이상 판매량이 증가했다.[28] 같은 달, ''No More Drama''는 RIAA로부터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2009년 12월까지, 이 앨범의 일반판은 미국에서 190만 장, 재발매된 스페셜 에디션은 120만 장이 더 판매되어 총 31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29]
해외에서, ''No More Drama''는 블라이지의 앨범 중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2021년까지 이 앨범은 영국에서 578,500장 판매되었다.[66] 이 앨범의 전 세계 판매량은 약 6,500,000장으로 추정된다.[30]
이전 앨범인 ''What's the 411?''(1992), ''My Life''(1994), ''Share My World''(1997), ''Mary''(1999)는 각각 해외 음악 시장에서 다양한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지만, ''No More Drama''는 블라이지의 국제적인 상업적 돌파구를 마련했다.[34] 리드 싱글 "Family Affair"가 전 세계적으로 10위 안에 드는 성공을 거두면서, 여러 국가에서 최고 순위를 기록했고, 여러 나라에서 골드 또는 플래티넘 지위를 달성한 첫 번째 앨범이 되었으며,[34] 블라이지는 이를 계기로 첫 번째 월드 투어인 노 모어 드라마 투어와 미국 외 지역에서의 프로모션 일정을 소화했다.[34]
6. 곡 목록
《No More Drama》는 다양한 버전으로 발매되었으며, 각 버전마다 수록곡 구성에 차이가 있다.
- 미국 일반반: "Love", "Family Affair", "Steal Away", "Crazy Games", "PMS", "No More Drama", "Keep It Moving", "Destiny", "Where I've Been", "Beautiful Day", "Dance for Me", "Flying Away", "Never Been", "2U", "In the Meantime", "Forever No More", "Testimony" 수록.
- 일본반: 미국 일반반 곡 + 보너스 트랙 "Girl From Yesterday" 추가.
- 2002년 재발매반: "Love", "Family Affair", "Steal Away", "He Think I Don't Know", "PMS", "No More Drama", "Rainy Dayz", "Where I've Been", "Beautiful Day", "Dance for Me", "No More Drama (Remix)", "Flying Away", "Never Been", "2U", "In the Meantime", "Forever No More", "Testimony" 수록.
- 국제반: 2002년 재발매반 곡 + 보너스 트랙 "Dance for Me (Plutonium Remix)" 추가.
각 곡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収録曲 해설 (일본어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収録曲 해설 (일본어판)
収録曲일본어 해설; 통상반
- 1번 트랙 "라브"(Love영어)는 앨범 《No More Drama》의 시작에 어울리는 힘찬 리듬과 메리의 뛰어난 랩이 인상적인 곡으로, 2번 트랙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Bruce Allen Miller영어는 메리의 친동생이다.
- 2번 트랙 "패밀리 어페어"(Family Affair영어)는 닥터 드레가 작곡과 프로듀싱을 모두 담당하여 특유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곡이다. 묵직한 비트와 멜로디가 메리의 음색과 융합되었다. 선행 싱글로 발매되어 메리 싱글 중 최고 히트를 기록했다(2019년 8월 기준).
- 3번 트랙 "스틸 어웨이"(Steal Away영어)는 더 넵튠스가 프로듀싱했으며, 퍼렐 윌리엄스가 보컬로, Marshane Smith영어(No Malice영어)가 랩으로 참여했다.
- 4번 트랙 "크레이지 게임스"(Crazy Games영어)는 마이너조의 블루지한 곡으로, 신진 프로듀서 Kenny Dickerson영어(케니 프레이브)를 기용했다.
- 5번 트랙 "PMS"는 2집 《마이 라이프》(My Life영어) 이후 함께 해 온 Chucky Thompson영어이 프로듀싱했으며, 알 그린의 "Simply Beautiful"(Simply Beautiful영어)을 샘플링했다.[64] 레니 크라비츠의 기타 솔로가 메리의 애수 어린 보컬을 돋보이게 한다.
- 6번 트랙 "노 모어 드라마"(No More Drama영어)는 앨범 대표곡으로, 3집 《셰어 마이 월드》(Share My World영어) 이후 잼 & 루이스 콤비가 작곡과 프로듀싱을 담당했다. 인상적인 피아노 인트로와 반주에는 Barry De Vorzon영어과 Perry Botkin Jr.영어의 "나디아의 테마"(Nadia's Theme영어)가 샘플링되었다.[64]
- 7번 트랙 "킵 잇 무빙"(Keep It Moving영어)은 메리가 작곡하고 Rockwilder영어가 프로듀싱한 곡이다. 음악 활동을 하며 겪었던 일들과 배신했던 사람들에 대한 마음을 가사에 담았다.
- 8번 트랙 "데스티니"(Destiny영어)는 운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담은 가사가 특징이다. 4집 《메리》(Mary영어)에 참여했던 Kiyamma Griffin영어이 프로듀싱했다.[64] 니나 시몬의 "슬픈 소망"(Don't Let Me Be Misunderstood영어)이 샘플링되었다.[64]
- 9번 트랙 "웨어 아이브 빈"(Where I've Been영어)은 이브와 콜라보한 미디엄 템포 곡이다. 가난했던 소녀 시절과 7살 때 표현자가 될 것을 느꼈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스위즈 비츠가 프로듀싱하여 경쾌한 비트와 이브의 랩이 돋보인다.
- 10번 트랙 "뷰티풀 데이"(Beautiful Day영어)는 메리 남동생 브루스 밀러가 작곡한 곡으로, 밝은 가사와 동생을 생각하는 메리의 보컬이 특징이다.
- 11번 트랙 "댄스 포 미"(Dance for me영어)는 브루스 밀러와 Ahkim Miller영어가 작곡과 랩을 담당했다. 재발매반에는 코먼으로 크레딧이 바뀌었으나, 곡은 동일하고 래퍼의 음색과 랩만 다르다. Ahkim Miller영어는 메리 동생과 친척 관계로 추측된다. 스팅의 "혼자 있는 밤"(The Bed's Too Big Without You영어)이 샘플링되었다. 메리는 2004년 스팅과 "웬에버 아이 세이 유어 네임"(Whenever I Say Your Name영어)으로 콜라보한다.
- 12번 트랙 "플라잉 어웨이"(Flying Away영어)는 슬로우 템포 발라드로, 브렌다 러셀의 가스펠 넘버 "갓 블레스 유"(God Bless You영어)가 샘플링되었다. "''flying Away''"는 "''being free''"를 의미하며, R&B와 가스펠의 관념을 포함한다.
- 13번 트랙 "네버 빈"(Never Been영어)은 미시 엘리엇이 작곡, 프로듀싱, 백 보컬을 담당했다. TLC를 연상시키는 섹시한 분위기다. McFadden & Whitehead영어와 제럴드 코헨의 "와이 오 와이"("Why Oh Why")가 샘플링되었다.
- 14번 트랙 "투 유"(2U영어)는 메리가 작곡하고 Kiyamma Griffin영어이 프로듀싱했다. Montina Cooper영어가 참여한 메리의 다중 백 코러스가 감동적인 러브 송이다.
- 15번 트랙 "인 더 민타임"(In the Meantime영어)은 Terri & Monica영어의 테리 로빈슨이 작곡, 백 보컬에 참여하고, Rich Harrison영어이 프로듀싱한 80년대 R&B 소울풍 발라드다.
- 16번 트랙 "포엠~포에버 노 모어"(Forever No More - Poem영어)는 메리의 시 낭독이다. 경쟁 사회, 과도한 자존심으로 인한 내면의 질식 등을 비판하는 메시지를 담았다.
- 17번 트랙 "테스티모니"(Testimony영어)는 Michelle Bell영어이 작곡, 백 보컬 편곡을 담당했고, 보컬은 모두 메리가 불렀다. 인생의 고난과 허무함을 극복하고 신에게 교훈을 얻었다는 내용으로 용기를 주는 곡이다.
- 18번 트랙(일본반 보너스 트랙) "걸 프롬 예스터데이"(Girl From Yesterday영어)는 Chucky Thompson영어이 작곡·프로듀싱한 재지한 슬로우 넘버다. Cecil Ward영어는 4집 《메리》에도 참여했던 인물이다. 아이즐리 브라더스의 "센슈얼리티"(Sensuality (Part 1 & 2)영어)가 샘플링되었다.
; 2002년 재발매반 신곡
- 4번 트랙 "히 씽크 아이 돈트 노"(He Think I Don't Know영어)는 슬로우 템포지만, 바람피우는 상대를 향한 가사를 담고 있다. Gérald Isaac (musician)영어이 작곡·프로듀싱했으며, 제45회 그래미상 "최우수 여성 R&B 보컬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Gérald Isaac영어은 4집 《메리》의 "유어 차일드"(Your Child영어)를 제작했다.
- 7번 트랙 "레이니 데이즈"(Rainy Dayz영어)는 자 룰과 콜라보한 곡으로, 자 룰과 Irv Gotti영어가 작곡했다. 빌보드 12위를 기록했으며, 자 룰은 9.11 테러의 충격에서 가사를 썼다고 한다.
- 10번 트랙 "댄스 포 미"는 버전이 약간 다르고 짧으며, 코먼이 피처링 및 작곡에 참여했다. (통상반에는 Ahkim Miller영어 참여)
- 11번 트랙 "노 모어 드라마 리믹스"(No More Drama Remix영어)는 션 콤즈와의 콜라보로, 차기작 《 러브 & 라이프》(Love & Life영어)에서 다시 션 콤즈가 프로듀싱을 맡게 되는 계기가 된다. 원곡과 다른 곡조로, P. 디디의 랩을 들을 수 있다. Bernard Edwards영어와 나일 로저스의 "유 캔트 두 잇 어론"(You Can't Do It Alone영어)이 샘플링되었다.
- 19번 트랙(일본반 보너스 트랙) "체키신 포 미"(Checkin' for Me영어)는 Chucky Thompson영어과 Cecil Ward영어가 작곡하고, Chucky Thompson영어이 프로듀싱한 곡이다.
7. 차트 기록
''No More Drama''는 여러 국가에서 상위권 차트에 진입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2위, 톱 R&B/힙합 앨범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며 메리 제이 블라이즈의 대표적인 앨범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41] 영국 앨범 차트에서는 4위를 기록했으며, 그 외에도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등 여러 국가에서 40위권 안에 진입했다.[41]
(하위 섹션인 "주간 차트"와 "연말 차트"의 상세한 내용은 중복되므로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