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ASIS (기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ASIS는 1993년 SGML Open으로 설립된 국제적인 기술 표준 개발 컨소시엄이다. SGML 도구 공급업체 협회로 시작하여 XML로 중심을 옮기면서 OASIS Open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기술 사양 개발에 주력했다. UN/CEFACT와 협력하여 ebXML을 개발, ISO 15000으로 승인받았으며, 현재는 메시징, 클라우드 컴퓨팅, 전자 문서,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OASIS는 회원제로 운영되며, RAND 정책 도입으로 특허 관련 논란이 있었고, ODF 표준 관리와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 서비스 - 빅쿼리
    빅쿼리는 구글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드레멜을 기반으로 수조 행의 데이터에 대한 빠른 쿼리를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관리, 쿼리 실행, 서비스 통합, 접근 제어, 기계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 웹 서비스 - 시맨틱 웹
    시맨틱 웹은 컴퓨터가 정보를 스스로 처리하도록 웹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차세대 웹 기술로, RDF, OWL, XML 등의 표준 기술과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 통합, 정보 검색, 지식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웹 3.0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사물인터넷 -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스피커는 음성 명령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로, 여러 기업이 경쟁하며 액정 모니터 탑재 제품도 출시되고 있지만, 개인 정보 보호, 보안 취약점, 디지털 격차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 사물인터넷 -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는 신체에 착용하는 전자 장치 및 기술로, 시계에서 시작하여 스마트워치 등으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OASIS (기관)

2. 역사

매사추세츠주 벌링턴에 있는 OASIS 사무실 입구.


OASIS는 1993년 "SGML Open"으로 설립되어 1998년에 OASIS Open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2000년 7월에는 새로운 기술 위원회 프로세스를 도입했고, 1999년에는 UN/CEFACT와 ebXML 공동 이니셔티브를 시작하여 2004년에 ''ISO 15000''으로 승인되었다.[3]

2007년 현재 OASIS에는 600개 이상의 단체와 개인 회원을 포함해 세계 100개국에서 5,000명 이상이 참가하고 있다. 주요 참가 단체로는 BEA 시스템즈, Electronic Data Systems, Primeton, IBM, SAP,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등이 있다.

OASIS의 본사는 매사추세츠주 우번에 있다.[4] 2020년 12월, OASIS는 현재 위치인 400 TradeCenter Drive로 이전했다. 이전 사무실 위치로는 매사추세츠주 벌링턴의 25 Corporate Drive Suite 103 및 35 Corporate Drive, Suite 150이 있었다.[4]

2. 1. 설립 초기 (SGML Open)

1993년, OASIS는 "SGML Open"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SGML 도구 공급업체의 무역 협회로서, 주로 교육 활동을 통해 SGML의 채택을 장려했다.[3] CALS 테이블 모델 사양 업데이트, 조각 교환 및 엔터티 관리에 대한 사양을 포함한 일부 기술 활동도 수행했다.[3]

2. 2. OASIS Open으로의 변화

1998년, 업계가 XML로 이동하면서 SGML Open은 OASIS Open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중심을 SGML에서 XML로 변경하고, 기술 작업 및 표준의 범위를 확대했다. 컨소시엄 활동의 초점 또한 (XML이 자체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채택 장려에서 기술 사양 개발로 이동했다.[3]

2. 3. 기술 위원회 프로세스 도입

2000년 7월, 새로운 기술 위원회 프로세스가 승인되었다. 이 프로세스 채택으로 기술 위원회의 생성, 운영 및 작업 진행 방식이 정규화되었다. 프로세스 도입 당시 5개였던 기술 위원회는 2004년까지 거의 70개로 증가했다.

2. 4. UN/CEFACT와의 협력

1999년, OASIS는 비즈니스 표준을 다루는 국제 연합의 위원회인 UN/CEFACT로부터 전자 비즈니스에 대한 새로운 사양 세트를 공동 개발하자는 제안을 받았다.[3] ebXML 공동 이니셔티브는 1999년 11월에 처음 회의를 가졌고 3년 동안 진행되었다.[3] 빈에서 열린 원래의 헌장 하의 마지막 회의에서 UN/CEFACT와 OASIS는 남은 작업을 두 조직 간에 나누고 조정 위원회를 통해 작업 완료를 조정하기로 합의했다.[3] 2004년 OASIS는 완성된 ebXML 사양을 ISO TC154에 제출했고, 이는 ''ISO 15000''으로 승인되었다.[3]

3. 개발 중인 표준

OASIS 기술 위원회는 메시징 및 통신, 클라우드 컴퓨팅, 전자 문서 및 콘텐츠 관리,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 메시징 및 통신: AMQP, MQTT, STIX, TAXII 등
  • 클라우드 컴퓨팅: CAMP, TOSCA, CDP
  • 전자 문서 및 콘텐츠 관리: CMIS, DocBook, DITA, UBL, OpenDocument 등 (특히, UBL은 대한민국 전자세금계산서 표준으로 준용되고 있음)
  • 보안: CAP, CSAF, GeoXACML, KMIP, SAML, XACML, PKCS 11 등
  • 기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EDXL, Legal XML, oBIX, OData, OSLC, SPML, UDDI, [https://www.oasis-open.org/committees/virtio/ VirtIO], WebCGM, WS-BPEL, WSDM, XDI, XLIFF, XRI


OASIS에서 개발 중인 표준들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새로운 표준들도 계속 추가되고 있다.

3. 1. 메시징 및 통신

AMQP — '''고급 메시지 대기열 프로토콜'''은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용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5]

MQTT — '''메시지 큐잉 원격 측정 전송'''은 클라이언트-서버, 게시/구독 메시징 전송 프로토콜이다. 가볍고, 개방적이며, 간단하며, 구현하기 쉽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물 인터넷 (IoT) 컨텍스트와 같이 작은 코드 풋프린트가 필요하거나 네트워크 대역폭이 중요한 상황에서 사용하기에 이상적이다.[5]

STIX - '''구조화된 위협 정보 표현'''은 사이버 위협 및 관찰 가능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5]

TAXII - '''신뢰할 수 있는 자동화된 지표 정보 교환'''은 간단하고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사이버 위협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5]

3. 2.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Application Management for Platforms|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관리 플랫폼영어(CAMP)은 공용 및 사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API이다.[5] TOSCA(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토폴로지 및 오케스트레이션 사양)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비스 부분 간의 관계 및 서비스의 운영 동작을 설명하는 표준이다.[5] CDP(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은 GraphQL을 사용하여 웹 기반 API를 정의하여, 시스템 및 사일로 전반에서 고객 데이터 교환을 표준화한다.[5]

3. 3. 전자 문서 및 콘텐츠 관리


  • CMIS — '''콘텐츠 관리 상호 운용성 서비스'''는 엔터프라이즈 콘텐츠 관리 저장소 및 시스템 작업을 위한 도메인 모델 및 웹 서비스 표준이다.
  • DocBook — '''DocBook'''은 기술 문서를 위한 마크업 언어이다. 원래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기술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다른 종류의 문서에도 사용할 수 있다.
  • DITA — '''다윈 정보 타이핑 아키텍처'''는 온라인 도움말, 문서 및 교육과 같은 주제 기반 정보를 위한 모듈식 확장 가능한 XML 기반 언어이다.
  • UBL — '''유니버설 비즈니스 언어'''는 전자 비즈니스 문서(구매 주문, 송장, 운송장 등)의 로열티 없는 라이브러리를 정의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다. UBL 2.1은 '''ISO/IEC 19845:2015'''로 승인되었다. UBL은 전 세계 수많은 전자 상거래 네트워크 및 구현의 기반으로 사용되며, 대한민국 전자세금계산서 표준으로 준용되고 있다.
  • OpenDocument — '''OASIS 오픈 문서 형식'''은 스프레드시트, 메모, 차트 및 프레젠테이션과 같은 사무용 문서를 저장하기 위한 오픈 문서 파일 형식이다.

3. 4. 보안


  • CAP: 경고 기술 간에 공공 경고 및 비상 상황을 교환하기 위한 XML 기반 데이터 형식이다.[5]
  • CSAF: 보안 권고의 생성, 업데이트 및 상호 운용 가능한 교환을 지원하는 언어이다.[5]
  • GeoXACML: XACML 버전 2.0의 지리적 특정 확장이다.[5]
  • KMIP: 엔터프라이즈 키 관리 시스템과 암호화 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5]
  • SAML: 인증인가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한 표준 XML 기반 프레임워크이다.[5]
  • XACML: 액세스 제어 정책을 위한 표준 XML 기반 프로토콜이다.[5]
  • PKCS #11: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및 스마트 카드와 같은 암호화 토큰에 대한 플랫폼 독립적인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정의한다.[5]

3. 5. 기타 표준


  • BCM (Business-Centric Methodology):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를 가능하게 하고 엔터프라이즈 민첩성과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는 접근 방식이다.
  • CAM (Content Assembly Mechanism): XML 비즈니스 트랜잭션 콘텐츠의 템플릿과 관련 규칙을 사용하는 일반화된 조립 메커니즘이다.
  • CIQ (Customer Information Quality): 당사자 정보(예: 이름, 주소)를 정의, 표현, 상호 작용 및 관리하기 위한 XML 사양이다.
  • EML (Election Markup Language): XML 기반 정보 기록을 사용하여 민주적 선거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 표준 및 프로세스이다.
  • EDXL (Emergency Data Exchange Language): 정부 기관과 비상 관련 조직 간의 비상 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XML 기반 메시징 표준 모음이다.
  • Legal XML LegalDocumentML (Akoma Ntoso), LegalRuleML, 전자 법원 제출 및 eNotarization 표준.[5]
  • oBIX (Open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HVAC, 액세스 제어, 침입 탐지 등과 같은 건물 기반 제어 시스템과의 엔터프라이즈 상호 작용을 위한 확장 가능한 XML 사양이다.
  • OData (Open Data Protocol):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및 모바일 장치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공유를 단순화한다.
  • OSLC (Open Services for Lifecycle Collaboration):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 도구가 서로 데이터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이다.
  • SDD (Solution Deployment Descriptor): 다중 플랫폼 환경에서 수명 주기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 특성을 표현하는 표준 XML 기반 스키마이다.
  • SPML (Service Provisioning Markup Language): 서비스 프로비저닝 요청의 통합 및 상호 운용을 위한 표준 XML 기반 프로토콜이다.
  • 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회사와 개인이 웹 서비스를 나열할 수 있는 플랫폼 독립적 XML 기반 레지스트리이다.
  • [https://www.oasis-open.org/committees/virtio/ VirtIO]: 가상 I/O 장치 표준
  • WebCGM (Web Computer Graphics Metafile): 기술 일러스트레이션, 전자 문서, 지구 물리학 데이터 시각화 등에 최적화된 CGM 프로파일이다.
  • WS-BPEL (Web Services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 WSDM (Web Services Distributed Management)
  • XDI (XRI Data Interchange): XML 문서, XRI 및 링크 계약을 사용하여 여러 도메인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공유, 링크 및 동기화하기 위한 표준이다.
  • XLIFF (XML Localization Interchange File Format): 국제화 및 지역화를 표준화하기 위해 생성된 XML 기반 형식이다.
  • XRI (Extensible Resource Identifier): 도메인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리소스를 식별하고 공유하기 위한 추상 식별자에 대한 URI 호환 체계 및 확인 프로토콜이다.

4. 회원

컨소시엄 가입에는 연간 갱신해야 하는 수수료가 있으며, 회원 자격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진다.[6] 회원으로는 델, IBM, ISO/IEC, 시스코, KDE e.V.,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레드햇, 더 다큐먼트 재단 등이 있다.[7][8]

4. 1. 회원 가입 및 구성

컨소시엄 가입은 연간 갱신해야 하는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며, 가입하려는 회원 자격에 따라 달라진다.[6] 회원으로는 델, IBM, ISO/IEC, 시스코, KDE e.V.,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레드햇, 더 다큐먼트 재단, 대학교, 정부 기관, 개인 및 덜 알려진 다른 회사의 직원들이 있다.[7][8]

5. 회원 섹션

회원 섹션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춘 컨소시엄 내의 특별 관심 그룹이다. 이러한 섹션은 자체적인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며 작업 프로그램 및 의제를 정의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율성을 갖는다.[9] 회원 섹션의 표준화 프로세스 통합은 기술 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활성 회원 섹션으로는 Legal XML, IDTrust 등이 있다.

회원 섹션은 목표를 달성하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섹션에서 추진한 표준은 OASIS 내의 관련 기술 위원회에서 직접 관리한다. 예를 들어 고급 메시지 큐 프로토콜(AMQP), WS-I 등이 있다.

5. 1. 회원 섹션 개요

회원 섹션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춘 컨소시엄 내의 특별 관심 그룹이다. 이러한 섹션은 자체적인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며 작업 프로그램 및 의제를 정의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율성을 갖는다.[9] 회원 섹션의 표준화 프로세스 통합은 기술 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활성 회원 섹션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Legal XML
  • IDTrust


회원 섹션은 목표를 달성하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섹션에서 추진한 표준은 OASIS 내에서 관련 기술 위원회에서 직접 관리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5. 2. 활성 회원 섹션


  • Legal XML
  • IDTrust
[9]

5. 3. 완료된 회원 섹션

회원 섹션은 목표를 달성하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섹션에서 추진한 표준은 OASIS 내에서 관련 기술 위원회에서 직접 관리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9]

6. 특허 공개 논란

ECMA[10] 등 많은 오픈 표준을 생산하는 단체들처럼, OASIS는 2005년 2월에 정책에 RAND 조항을 추가하면서 논란이 발생했다.[8] 이 조항은 표준에 포함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발명 공개와 소프트웨어 특허 신청 의사를 공개하도록 요구했다. W3C와 달리, OASIS는 로열티를 면제하는 방식 외에도 RAND 조건에 따른 로열티를 허용하는 방식을 제공하여, 기업이 소유한 특허에 대해 덜 제한적이었다.[11]

이러한 라이선스 정책은 조용히 추가되었고, 특허 보유자가 표준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라이선스 수수료를 요구할 수 있게 하여 논란이 되었다.[12] 이는 해당 표준을 자유/오픈 소스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여자가 처음에는 특허 사용을 로열티 없이 제공하겠다고 제안한 후, 표준이 채택된 뒤에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6. 1. RAND 정책 도입과 논란

2005년 2월, OASIS는 정책에 RAND(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 Licensing) 조항을 추가했다.[8] 이 수정안은 참가자들이 표준에서 고려 중인 기술에 대해 발명 공개와 소프트웨어 특허 신청 의도를 공개하도록 요구했다. W3C와 달리, OASIS는 RAND 조건에 따른 로열티 면제 모드와 위원회를 위한 RAND 모드, 그리고 제한 조건에 따른 로열티 면제 모드를 함께 제공하여 특허 보유자에게 더 유리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1]

이러한 정책 변화는 표준의 자유/오픈 소스 구현 가능성을 제거하고, 기여자에게 특허 사용료를 부과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었다.[12]

2005년 4월 11일, ''뉴욕 타임스''는 IBM이 모든 특허를 OASIS 그룹에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약속했다고 보도했다.[13] 그러나 RAND 정책은 아직 삭제되지 않았고, 다른 상업 회사들은 OASIS에 대해 그러한 무상 선언을 발표하지 않았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 OASIS의 회장이자 CEO였던 패트릭 개넌은[14] 회사가 표준이 확립되었을 때 로열티를 요구하기 위해 표준을 악용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한다고 말했다.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OpenOffice.org의 전 마케팅 리드인 샘 하이저는 그러한 특허가 오픈 표준에 대해 비생산적이고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IBM마이크로소프트가 미래에 그들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활용하기 위해 표준화 노력을 W3C에서 OASIS로 옮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이저는 이러한 RAND 변경을 OASIS 정책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책임으로 돌렸다.[15]

6. 2. IBM의 특허 무상 제공 선언과 그 영향

2005년 4월 11일, ''뉴욕 타임스''는 IBM이 OASIS 그룹에 모든 특허를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약속했다고 보도했다.[13] 소프트웨어 법률 전문가이자 OASIS가 정책에 RAND 조항을 포함했을 때 일어난 반발을 이끈 래리 로젠은 이 계획을 환영하며, 다른 관련 회사들이 따라갈 경우 OASIS가 해당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RAND 정책은 삭제되지 않았고, 다른 상업 회사들은 IBM과 같은 무상 선언을 발표하지 않았다.

6. 3. RAND 정책에 대한 다양한 관점

ECMA처럼 오픈 표준을 생산하는 단체인 OASIS는 2005년 2월에 정책에 합리적이고 비차별적인 라이선스(RAND) 조항을 추가했다.[8] RAND 조건은 더 많은 회사를 컨소시엄에 유치하고 잠재적 참가자의 기여를 장려하기 위해 추가되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 OASIS의 회장이자 CEO였던 패트릭 개넌은[14] 회사가 표준이 확립되었을 때 로열티를 요구하기 위해 표준을 악용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OpenOffice.org의 전 마케팅 리드인 샘 하이저는 그러한 특허가 오픈 표준에 대해 비생산적이고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IBM마이크로소프트가 미래에 그들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활용하기 위해 표준화 노력을 W3C에서 OASIS로 옮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이저는 이러한 RAND 변경을 OASIS 정책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책임으로 돌렸다.[15]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주요 행위자들이 압력을 가하고 컨소시엄에 참여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RAND 조항을 만들었을 수 있으며, 그러한 조항이 없으면 표준을 위협/보이콧했을 수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7. 비판

OASIS의 표준 제정 및 관리 과정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ISO/IEC 26300 (ODF v1.0)에 대한 OASIS의 대응 속도와 SC 34 회원들의 참여 부족에 불만을 제기했다.[16] 그러나 OASIS 측은 이러한 불만에 대해 실제로는 결함 보고서가 충분히 제출되지 않았고, 보고서 제출자도 결과에 만족했다고 반박했다.[17]

7. 1. ODF 표준 관리 관련 비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근무하며 Office Open XML 홍보를 담당했던 더그 머휴(Doug Mahugh)는 "많은 국가에서 ISO/IEC 26300(ODF v1.0)에 대해 제출된 결함 보고서에 대한 OASIS의 대응 속도와 SC 34 회원들이 ODF 유지 관리에 참여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 불만을 표명했다"고 주장했다.[16]

하지만, OASIS ODF 기술 위원회 공동 의장인 롭 와이어(Rob Weir)는 "당시 ODF TC는 일본 외 다른 ISO/IEC 국가 기구로부터 결함 보고서를 전혀 받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원래 일본 결함 보고서 제출자인 무라타 모코토가 정오표 준비에 만족했다고 덧붙였다.[17] 그는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ODF 및 OpenXML 위키백과 문서의 정확성을 개선하고 수정하기 위해 사람들을 참여시켰다고 비난하는 블로그 게시물을 직접 게재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Staff https://www.oasis-op[...] 2015-08-10
[2]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oasis-op[...] 2020-11-25
[3]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oasis-op[...] 2015-08-10
[4] 웹사이트 OASIS Headquarters Moving https://lists.oasis-[...] 2015-08-10
[5] 서적 Model-Driven Development of Akoma Ntoso Application Profiles - A Conceptual Framework for Model-Based Generation of XML Subschemas Sprinter Nature
[6] 웹사이트 Categories and Dues https://www.oasis-op[...] 2015-08-10
[7] 웹사이트 OASIS Open Document Format for Office Applications (OpenDocument) TC Technical Committee https://www.oasis-op[...] 2015-08-10
[8] 웹사이트 Larry Rosen et al. vs. OASIS on licensing http://archive09.lin[...] 2015-08-10
[9] 웹사이트 Member Section Policy {{!}} OASIS https://www.oasis-op[...] 2020-07-19
[10] 웹사이트 Ecma Code of Conduct in Patent Matters http://www.ecma-inte[...] 2015-08-10
[11] 웹사이트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 Policy https://www.oasis-op[...]
[12] 웹사이트 OASIS open standards not open enough· The Register https://www.theregis[...] 2005-02-23
[13] 웹사이트 No RAND in OASIS https://www.ietf.org[...] 2015-08-10
[14] 웹사이트 Bio –Patrick J. Gannon https://www.oasis-op[...] 2015-08-10
[15] 웹사이트 Linux.com :: OASIS: Meaningful open standards or mirage? http://archive09.lin[...] 2013-06-27
[16] 웹사이트 SC 34 Plenary, Jeju, Korea - Doug Mahugh - Site Home - MSDN Blogs http://blogs.msdn.co[...] 2013-06-27
[17] 웹사이트 Further comment on ODF_1.0_Errata_draft_3 https://lists.oasis-[...] 2015-08-10
[18] 웹사이트 ODF Lies and Whispers http://www.robweir.c[...] 2013-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