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s of Te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owers of Ten은 1977년 제작된 단편 과학 영화로, 1957년 출판된 케이스 부크의 저서 '우주의 시각'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영화는 시카고 호숫가에서 시작하여, 10의 거듭제곱 단위로 시야를 넓혀 관측 가능한 우주의 끝까지 도달한 후, 다시 소풍 장소로 돌아오는 과정을 보여준다. 1968년에는 흑백으로 제작된 파일럿 버전이 존재하며, 1977년 최종판은 그래픽 개선, 색상 추가, 내레이터 변경 등의 변화를 거쳤다. 이 영화는 이후 여러 작품에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에서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체론 - 색채론
- 전체론 -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프랑스의 예수회 사제이자 철학자, 고생물학자, 지질학자로, 진화론적 관점에서 우주와 인간의 기원과 미래를 탐구하며 과학과 신학을 융합하려 했고, '노스피어'와 '오메가 포인트' 개념을 제시하여 기독교적 진화론 체계를 구축했다. - 1968년 영화 - 로미오와 줄리엣 (1968년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은 1968년 프랑코 제피렐리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몬태규 가문과 캐퓰릿 가문의 갈등 속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의 비극적인 사랑을 레너드 화이팅과 올리비아 허시가 출연하여 그려내며, 아카데미 촬영상과 의상상을 수상했다. - 1968년 영화 - 장군의 수염
장군의 수염은 1968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로, 사진기사의 의문사를 추적하는 형사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신성일, 윤정희, 김승호 등이 출연했고 이성구 감독이 연출하여 대종상, 한국연극영화상, 부일상 등에서 작품상, 감독상, 시나리오상 등을 수상했다. - 1977년 영화 - 스타워즈 (영화)
조지 루카스 감독의 1977년작 미국 우주 오페라 영화 《스타워즈》는 은하 제국에 맞서는 반란군과 제다이 기사의 이야기로, 혁신적인 시각 효과와 스토리텔링으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후속작을 낳았다. - 1977년 영화 - 공포의 휴가길
1977년 웨스 크레이븐 감독의 영화 《공포의 휴가길》은 휴가를 떠난 카터 가족이 네바다 사막에서 길을 잃고 식인 가족의 공격을 받는 이야기로, 잔혹한 묘사로 비판받았으나 독창성과 긴장감으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은 공포 영화의 고전이다.
Powers of Ten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파워 오브 텐 |
원제 | Powers of Ten |
구분 | 영화 작품 |
영화 정보 | |
감독 | 찰스 이임스, 레이 이임스 |
원안 | 키스 보크 |
제작 | 찰스 이임스, 레이 이임스 |
나레이터 | 필립 모리슨, 주디스 브론스키 (1968) |
음악 | 엘머 번스타인 |
제작사 | 찰스&레이 이임스 사무소 |
배급사 | IBM, 피라미드 필름 |
개봉일 | 1977년 9월 4일 |
상영 시간 | 9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원작 | 키스 보크의 《코스믹 뷰》 |
2. 역사 및 배경
10의 거듭제곱은 1957년 네덜란드 교육자 케이스 부크의 저서 《우주의 시각》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3] 1968년, 찰스 & 레이 밈즈 부부는 IBM의 의뢰를 받아 '10의 거듭제곱과 우주의 상대적인 크기를 다루는 제안된 영화의 대략적인 스케치'라는 제목의 첫 번째 버전을 제작했다.[1] 이후 1977년, '우주의 상대적인 크기와 다른 0을 추가하는 효과를 다루는 영화'라는 부제를 가진 최종판이 제작되었다.[2]
1977년 영화는 첫 번째 버전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변경 사항이 있는데, 전체 컬러로 제작되었고, 시작 위치가 마이애미에서 시카고로 변경되었으며, 그래픽이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상대론적 시간 차원이 제거되고, 각 극단에서 10의 거듭제곱이 두 개씩 추가되었으며, 내레이터가 필립 모리슨으로 변경되었다.[1]
2. 1. 1968년판 ('스케치')
첫 번째 버전은 구석에 두 개의 시계가 있는데, 각각 시청자가 보는 단위의 시간과 지구상의 시간을 비교해 보여준다. 단위가 증가할수록 지구 쪽 시계가 움직이는 속도도 빨라진다.[1]1968년판 영화는 1976년 스미소니언 협회의 국립항공우주박물관 '우주생명관' 개관 당시 설치 상영되었으며, 1978년 생명관이 문을 닫으면서 상영도 중단되었다.[1] 1968년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가 제작한 영화 코스믹 줌은 애니메이션을 이용해 똑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으나, 내레이션이 없고 원래 크기로 돌아갈 때 음악의 속도도 빨라지는 등의 효과를 사용했다.[1]
파일럿 버전은 인물 부분만 흑백 소재가 사용되었다. 무대는 시카고가 아닌 마이애미이다.[1]
또한 프레임 외부에 시야의 넓이를 나타내는 수치 외에, 지구 시간과 카메라 시간(운동하는 관측자의 계의 시간, 즉 본작에서 감상자가 가상 체험하는 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계나 카메라의 속도계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러프 스케치』의 큰 특징이다. 카메라는 멱지수가 1 이동할 때마다 10초에 다음 지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상승(후퇴) 방향의 이동에서는 10초당 이동 거리가 멱지수적으로 증가하여 속도가 빨라지므로,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게 되며,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감상자에게 있어서의 시간의 진행과 지구에서의 시간의 진행이 어긋나게 된다(시간 지연). 시계·속도계는 이것을 표현하기 위해 설정되었지만, 본작 제작 시에 "이 이상의 요소를 넣으면 이해하기 어려워진다"는 판단으로 제외되었다.[1]
2. 2. 1977년판 (최종판)
시카고 호숫가 공원에서 소풍을 즐기는 남녀의 항공 뷰에서 시작된다. 돗자리에는 음식과 책이 놓여 있으며, 그중 하나는 J.T. 프레이저의 ''시간의 목소리''이다. 남자는 잠이 들고, 여자는 책을 읽기 시작한다. 필립 모리슨의 설명과 함께 시점은 천천히 밖으로 확대되어 10m의 시야를 보여준다. 확대는 계속되어 (10초마다 10의 거듭제곱 속도로) 100m (여기서는 번햄 공원에서[5] 솔저 필드 근처에서 그들이 보인다), 그리고 1km (시카고 전체가 보임) 등으로 확대되어 시야가 1억 광년 너비에 이른다.[20]이후 카메라는 소풍 장면으로 2초마다 10의 거듭제곱 속도로 다시 확대되고, 다시 속도를 늦춰 남자의 손으로 돌아와 10의 음수 거듭제곱의 시야를 보여준다. 10cm에서 시작하여 백혈구를 거쳐 에서 탄소 원자의 양성자 안에 있는 쿼크에 도달한다.[15][1]
3. 관련 영화 및 작품
- 코스믹 줌(1968) -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서 제작한 8분 분량의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Powers of Ten''과 유사한 주제를 다룬다.[21][9]
- 코스믹 보야지(1996) - 미국 국립항공우주박물관 상영용으로 제작된 아이맥스 영화이다.[22][10]
- 콘택트(1997) - 영화 초반부에 지구에서 우주 전체로 시야를 넓혀나가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Powers of Ten''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23]
- Cosmic Eye (2012) - ''Powers of Ten''의 리메이크판으로, 앱스토어 어플로도 출시되었다.
- 세라 바렐리스의 곡 "Gravity" 뮤직비디오.
- 나고야시 과학관은 2000년에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3DCG)를 이용한 "Powers of Ten" 영상을 나고야 대학, 후지쯔와 공동 제작하여 상영했다.[13]
- ''우리 우주는 너무 커서 정신이 번쩍 들 정도예요!'' (2021)
4. 한국에서의 상영 및 평가
'10의 거듭제곱'은 레이저 디스크, VHS, DVD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일본어 더빙판과 일본어 자막판으로 소개되었다.
- 레이저 디스크 "영상의 선구자 시리즈 찰스 & 레이 임스의 세계" (파이오니아 LDC SS098-6016)
- VHS "EAMES FILMS 찰스 & 레이 임스의 영상 세계" (카도카와 엔터테인먼트 A38H320)
- DVD "찰스 & 레이 임스 영상 작품집 DVD-BOX" (NBC 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 GNBW-7565)
- 상기 VHS는 DVD로도 출시되었다. (아스믹 AEBW-10061)
니가타 현립 자연과학관과 카츠시카 구 향토와 천문의 박물관에서 자체 더빙판을 상영했었으나, 현재는 종료되었다.[1]
2024년 5월 현재, 사이타마 시 청소년 우주과학관의 상설 전시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상영되고 있다.[2]
1987년 후지 TV의 프로그램에서 '파워스 오브 텐 러프 스케치'의 일부가 방송되었다.[3]
교육 영화로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4] 당시 CG가 없던 시절, 실사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부드럽게 전환되는 기술은 관객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5]
참조
[1]
웹사이트
Loop: AIGA Journal of Interaction Design Education - Three Information Design Lessons
http://loop1.aiga.or[...]
2012-08-07
[2]
뉴스
Philip Morrison, 89, Builder of First Atom Bomb, Dies
https://www.nytimes.[...]
2015-03-25
[3]
서적
Cosmic View: The Universe in 40 Jumps
John Day Co.
1957
[4]
서적
Powers of Ten: About the Relative Size of Things in the Universe
Scientific American Books
1990
[5]
뉴스
The Power of Powers of Ten
http://www.slate.com[...]
2012-12-04
[6]
웹사이트
'Je moet afleren om aan onbelangrijke dingen te werken'
https://www.volkskra[...]
2023-04-15
[7]
문서
Films Selected to The National Film Registry, 1989-2010
https://www.loc.gov/[...]
[8]
웹사이트
About Powers of Ten
http://www.powersof1[...]
Eames Office
2015-03-25
[9]
영상
Cosmic Zoom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1968
[10]
영상
Cosmic Voyage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Smithsonian Institution
1996
[11]
문서
Powers of Ten (1977年) - Eames Office
http://eamesoffice.w[...]
[12]
문서
Powers of Ten (A Rough Sketch) (1968年) - Eames Office
http://www.eamesoffi[...]
[13]
간행물
『情報文化学会誌』8巻1号(2001年12月) - 毛利勝廣、鈴木雅夫、山本晃裕、安田孝美「天文教材『パワーズ オブ テン』C.G.の制作と活用」
"国立国会図書館のデジタル化資料:104[...]
[14]
문서
パワーズオブテン
http://www.ncsm.city[...]
名古屋市科学館
[15]
웹인용
Loop: AIGA Journal of Interaction Design Education - Three Information Design Lessons
http://loop1.aiga.or[...]
2012-08-07
[16]
뉴스
Philip Morrison, 89, Builder of First Atom Bomb, D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15-03-25
[17]
서적
Cosmic View: The Universe in 40 Jumps
John Day Co.
1957
[18]
문서
Films Selected to The National Film Registry, 1989-2010
http://www.loc.gov/f[...]
[19]
웹인용
About Powers of Ten
http://www.powersof1[...]
Eames Office
2015-03-25
[20]
문서
솔즈필드 부근의 번햄 공원 (시카고)으로 추정된다
[21]
영상
Cosmic Zoom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1968
[22]
영상
Cosmic Voyage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Smithsonian Institution
1996
[23]
웹인용
Milestones in Film History: Greatest Visual and Special Effects and Computer-Generated Imagery (CGI) - Part 16
http://www.filmsite.[...]
2009-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