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RD-26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D-263은 세계 최대 ICBM인 SS-18의 1단 엔진으로,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에서 설계하고 유즈마쉬 기계국에서 생산했다. RD-263 계열 엔진은 RD-263, RD-268, RD-273의 파생형이 있으며, R-36M, MR-UR-100 등 다양한 미사일의 1단계에 사용되었다. 2020년 기준으로 생산은 중단되었지만, ICBM을 우주발사체로 개조한 드네프르 로켓에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과거 SS-18 미사일의 엔진을 밀수입한 적이 있으며, 북한은 이 엔진의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로켓 엔진 - RD-120
    RD-120은 1976년에 개발되어 1985년 초도 비행에 성공한 NPO 에네르고마쉬의 액체 로켓 엔진으로, 제니트 로켓의 2단 추진에 사용되며, RD-170 계열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소련의 로켓 엔진 - RD-250
    RD-250은 우크라이나 유즈마쉬에서 생산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2개의 엔진을 묶은 형태로 SS-18 사탄 핵미사일에 사용되어 세계 최대 ICBM 개발에 기여했으며, 사산화 이질소와 UDMH를 추진제로 사용하여 싸이클론 로켓 등 상업용 우주발사체에도 활용되었고, 북한의 ICBM 개발 관련 기술 획득 의혹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 러시아의 로켓 엔진 - RD-180
    RD-180은 러시아 NPO 에네르고마쉬가 개발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RP-1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미국의 아틀라스 로켓에 사용되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판매 및 지원이 중단되었다.
  • 러시아의 로켓 엔진 - RD-120
    RD-120은 1976년에 개발되어 1985년 초도 비행에 성공한 NPO 에네르고마쉬의 액체 로켓 엔진으로, 제니트 로켓의 2단 추진에 사용되며, RD-170 계열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RD-263
개요
이름RD-263 (РД-263, 라케트니 드비가텔-263)
종류액체 로켓 엔진
제작 국가소련
개발 기간1969년-1975년
상태생산 종료
개발 및 제조
설계에네르고마쉬, V. 글루슈코
제조PA 유즈마쉬
기술적 특징
용도R-36M 및 드네프르
연소 사이클산화제 과잉 단계식 연소
산화제N₂O₄
연료UDMH
혼합비2.67
연소실 개수1
짐벌
성능
진공 추력1128 kN
해면 추력1040 kN
연소실 압력20.6 MPa
진공 비추력318 s (3.12 km/s)
해면 비추력293 s (2.87 km/s)
물리적 제원
길이2150 mm
직경1080 mm
건조 중량870 kg
사용
사용된 곳R-36M 및 R-36MUTTKh 코어 스테이지 (15А14 및 15A18)

2. 역사

2020년 현재 세계 최대 ICBM인 SS-18의 1단 엔진으로 유명하다. 지상 추력 100톤으로 단일 노즐이다.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에서 설계해서, 유즈마쉬 기계국에서 생산했다.

SS-18 ICBM은 러시아 이름으로는 R-36이다. 7가지 버전이 있다.

버전지상 추력추력 노즐총 추력엔진
R-36 (8K67)40ton6개240tonRD-250 계열
R-36P (8K68)40ton6개240tonRD-250 계열
R-36-O (8K69)40ton6개240tonRD-250 계열
R-36M (15A14)100ton4개400tonRD-263 계열
R-36MUTTKh (15A18)100ton4개400tonRD-263 계열
R-36M2 (15A18M)100ton4개400tonRD-263 계열
R-36M2 (15A18M2)100ton4개400tonRD-263 계열



2020년 기준으로, RD-263 계열 엔진은 생산은 하지 않지만, ICBM을 우주발사체로 개조해서 드네프르 (로켓)은 발사하고 있다. 북한이 우크라이나 유즈마쉬에서 SS-18 엔진을 수입한 것이 백두엔진이라고 한다. 미국 국방부, 의회, 유엔의 공식 보고서에서 SS-18의 RD-250 엔진을 북한이 수입했다고 언급되고 있다. 백두엔진을 1단으로 사용한 미사일은 화성 12호, 화성 13호, 화성 14호, 화성 15호이다.

그러나, 백두엔진은 추력 80톤이어서, 추력 40톤인 R-36의 RD-250 엔진 보다는, 추력 100톤인 R-36M의 RD-263 엔진의 기술을 도입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미국 정보당국의 분석은, R-36과 R-36M을 혼동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크게 보면, 여하튼 우크라이나에서 SS-18 ICBM 1단 엔진을 북한이 수입한 것은 동일하다.

1998년, 한국 국정원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의 ICBM 기지에서 SS-18 사탄 미사일을 고철로 분해해서 밀수입했다. 추력 100톤 RD-263 계열의 액체연료 엔진 4개가 1단으로 사용되는 모델이다.

아리랑 5호는 2013년 8월 22일에, 아리랑 3A호는 2015년 3월 25일에 드네프르 로켓으로 발사했다. 2021년에는 누리호를 발사할 계획이며, 드네프르 로켓과 제원이 거의 유사하다.

3. 파생형

RD-263 엔진은 여러 파생형을 가지고 있으며, 각 파생형은 서로 다른 미사일에 사용되었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RD-263 계열 엔진
엔진별칭추진 모듈개발 기간탑재 기기상태
RD-26315D117RD-2641969년 ~ 1975년R-36M (15А14) 및 R-36MUTTKh (15A18)제조 종료
RD-26815D1681970년 ~ 1976년MR-UR-100 (15А15) 및 MR-UR-100UTTKh (15A16)퇴역
RD-273RD-263FRD-2741982년 ~ 1988년R-36M2 (15A18M) 및 (15A18M2)퇴역



이 엔진들은 모두 액체식 산화제 리치 2단 연소 사이클을 사용하며, N2O4/UDMH 추진제를 사용한다. 추진제 O/F 비는 2.67이다.

북한이 우크라이나 유즈마쉬에서 SS-18 엔진을 수입하여 백두엔진을 개발했다는 주장이 있다. 미국 국방부, 의회, 유엔의 공식 보고서에서는 SS-18의 RD-250 엔진을 북한이 수입했다고 언급하고 있지만, 백두엔진의 추력(80톤)을 고려할 때, RD-250 엔진(추력 40톤)보다는 RD-263 엔진(추력 100톤) 기술을 도입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는 분석도 있다.

3. 1. RD-263 (15D117)

RD-263(GRAU 색인: 15D117)은 R-36M 및 R-36MUTTKh의 1단(15А14 및 15A18)에 사용된 초기 버전이다. 2020년 현재 세계 최대 ICBM인 SS-18의 1단 엔진으로 유명하다. 지상 추력 100톤으로 단일 노즐이며,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에서 설계하고 유즈마쉬 기계국에서 생산했다.

2020년 기준으로, RD-263 계열 엔진은 생산하지 않지만, ICBM을 우주발사체로 개조한 드네프르 (로켓)은 발사하고 있다.

RD-263 엔진 제원
항목내용
별칭15D117
추진 모듈RD-264
개발 기간1969년 - 1975년
엔진 종류액체식 산화제 리치 2단 연소 사이클, N2O4/UDMH (추진제 O/F 비: 2.67)
연소실 압력20.6MPa
추력 (진공)1130kN
추력 (해수면)1040kN
비추력 (진공)318s
비추력 (해수면)293s
길이2150mm
너비1080mm
건조 중량870kg
사용처R-36M (15А14), R-36MUTTKh (15A18) 코어 단계
상태생산 중단


3. 2. RD-268 (15D168)

'''RD-268'''(GRAU 지수: '''15D168''')은 MR-UR-100 (15А15) 및 MR-UR-100UTTKh (15A16) 1단계에 사용된 엔진이다. 1970년부터 1976년까지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퇴역하였다.

RD-268 엔진 제원
항목내용
별칭15D168
개발 기간1970-1976
엔진 종류액체 산화제 풍부 다단 연소 방식, N2O4/UDMH 추진제 사용, O/F 비율 2.67
연소실 압력22.6MPa
추력 (진공)1240kN
추력 (해수면)1130kN
I (진공)318.5s
I (해수면)295.6s
길이2150mm
너비1083mm
건조 중량770kg
사용MR-UR-100 (15А15) 및 MR-UR-100UTTKh (15A16) 1단계
상태퇴역


3. 3. RD-273 (RD-263F)

RD-273(별칭 RD-263F)은 RD-263F 개량형으로, R-36M2 (15A18M) 및 (15A18M2) 1단계에 사용되었다.

RD-273 엔진 정보
항목내용
별칭RD-263F
추진 모듈RD-274
개발 기간1982-1988
엔진 종류액체 산화제 풍부 다단 연소 방식, N2O4/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 추진제 사용, O/F 비율 2.67
연소실 압력22.6MPa
추력 (진공)1240kN
추력 (해수면)1130kN
I (진공)318s
I (해수면)296s
길이2150mm
너비1080mm
건조 중량알 수 없음
사용R-36M2 (15A18M) 및 (15A18M2) 1단계
상태퇴역


4. 모듈

RD-263 엔진은 여러 개를 모듈로 묶어 사용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모듈은 다음과 같다.


  • '''RD-264''' (GRAU 색인 15D119): RD-263 엔진 4개로 구성된 모듈이다.
  • '''RD-274''' (GRAU 색인): RD-273 엔진 4개로 구성된 모듈이다.

4. 1. RD-264 (15D119)

RD-264(РД-264|RD-264ru)는 RD-263 엔진 4개로 구성된 모듈로, GRAU 색인 15D119로도 알려져 있다. R-36M 및 R-36MUTTKh 미사일의 1단계 추진 모듈(15А14 및 15A18)에 사용되었다.

4. 2. RD-274

'''RD-274''' (GRAU 색인)는 RD-273 엔진 4개로 구성된 모듈이다. R-36M2 (15A18M) 및 (15A18M2) 1단계 추진 모듈에 사용되었다.

5. 대한민국과의 관계

1998년, 한국 국가정보원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의 ICBM 기지에서 SS-18 사탄 미사일을 고철로 분해해서 밀수입했다. 해당 미사일은 추력 100톤 RD-263 계열의 액체연료 엔진 4개가 1단으로 사용되는 모델이다.

드네프르 로켓아리랑 5호(2013년 8월 22일), 아리랑 3A호(2015년 3월 25일) 발사에 사용되었다.

2021년에는 누리호를 발사할 계획이며, 드네프르 로켓과 제원이 거의 유사하다.

6. 북한과의 관계

북한은 우크라이나 유즈마쉬에서 SS-18 엔진을 수입했는데, 이것이 백두엔진이라고 알려져 있다. 미국 국방부, 의회, 유엔의 공식 보고서들은 북한이 SS-18의 RD-250 엔진을 수입했다고 언급한다. 백두엔진은 화성 12호, 화성 13호, 화성 14호, 화성 15호 미사일의 1단 엔진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백두엔진의 추력은 80톤으로, 40톤 추력의 R-36 RD-250 엔진보다는 100톤 추력의 R-36M RD-263 엔진 기술을 도입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

미국 정보당국의 분석은 R-36과 R-36M을 혼동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넓게 보면 북한이 우크라이나에서 SS-18 ICBM 1단 엔진을 수입했다는 사실은 동일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