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25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D-250은 우크라이나 유즈마쉬에서 생산된 액체 로켓 엔진으로, 1965년 시험 발사되었다. 이 엔진은 러시아의 SS-18 사탄 핵미사일 및 상업용 우주 발사체에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RD-250 엔진은 여러 개를 묶어 모듈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북한으로의 기술 이전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로켓 엔진 - RD-120
RD-120은 1976년에 개발되어 1985년 초도 비행에 성공한 NPO 에네르고마쉬의 액체 로켓 엔진으로, 제니트 로켓의 2단 추진에 사용되며, RD-170 계열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소련의 로켓 엔진 - RD-263
RD-263은 SS-18 ICBM의 1단 엔진으로, 우크라이나에서 설계 및 생산되었으며, 파생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미사일에 사용되었고, 2020년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드네프르 로켓에 사용된다. - 러시아의 로켓 엔진 - RD-180
RD-180은 러시아 NPO 에네르고마쉬가 개발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RP-1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미국의 아틀라스 로켓에 사용되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판매 및 지원이 중단되었다. - 러시아의 로켓 엔진 - RD-120
RD-120은 1976년에 개발되어 1985년 초도 비행에 성공한 NPO 에네르고마쉬의 액체 로켓 엔진으로, 제니트 로켓의 2단 추진에 사용되며, RD-170 계열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단계식 연소 사이클 로켓 엔진 - RD-180
RD-180은 러시아 NPO 에네르고마쉬가 개발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RP-1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미국의 아틀라스 로켓에 사용되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판매 및 지원이 중단되었다. - 단계식 연소 사이클 로켓 엔진 - SCE-200
SCE-200은 인도가 우크라이나의 RD-810 엔진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 중인 2MN급 추력의 액체 로켓 엔진으로, 케로신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2단 연소 사이클 방식을 채택하여 LVM3 로켓 업그레이드에 사용될 예정이다.
RD-250 | |
---|---|
기본 정보 | |
![]() | |
일반 | |
명칭 | RD-250 (РД-250) |
종류 | 액체 로켓 엔진 |
원산지 | 소련 |
제작 시기 | 1965년 12월 16일 |
상태 | 생산 종료 |
관련 로켓 | R-36, 치클론-2, 치클론-3 |
설계 | OKB-456 |
제작사 | PA 유즈마쉬 |
기술적 특징 | |
연료 | UDMH |
산화제 | N2O4 |
혼합비 | 2.6 |
사이클 | 가스 발생기 사이클 |
연소실 | 2개 |
추력 (진공) | 882 kN |
추력 (해면) | 788 kN |
연소실 압력 | 8.33 MPa |
비추력 (진공) | 301초 (2.95 km/s) |
비추력 (해면) | 270초 (2.6 km/s) |
크기 및 무게 | |
건조 중량 | 788 kg |
사용 로켓 | R-36, 치클론-2, 치클론-3 1단 |
2. 역사
우크라이나 국영 우주로켓 제조업체 유즈마쉬에서 생산되었다. 1965년 12월 16일 최초로 시험발사되었으며, 2개의 로켓 엔진을 묶은 형태이다.[1]
2016년 기준으로, RD-250 계열은 세계 최대 ICBM인 러시아 SS-18 사탄 핵미사일의 엔진이다. SS-18 사탄 핵미사일은 싸이클론 1호, 싸이클론 2호, 싸이클론 3호, 드네프르 로켓 등 상업용 우주발사체로도 사용되었다.[1]
3. 버전
3. 1. RD-250 계열
RD-250 엔진은 여러 가지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엔진 | RD-250 | RD-250P | RD-250M | RD-250PM | RD-252 | RD-262 |
---|---|---|---|---|---|---|
GRAU | 8D518 | 8D518P | 8D518M | 8D518PM | 8D724 | 11D26 |
모듈 | RD-251 | RD-251P | RD-251M | RD-261 | N/A | N/A |
GRAU 표기의 모듈 | 8D723 | 8D723P | 8D723M | 11D69 | N/A | N/A |
개발 기간 | 1962-1966 | 1967-1968 | 1966-1968 | 1968-1970 | 1962-1966 | 1968-1970 |
추진제 | N2O4/UDMH | |||||
연소실 압력 | 8.336MPa | 8.924MPa | ||||
진공에서의 추력 | 881.6kN | 881.6kN | 881.6kN | 881.7kN | 940.8kN | 941.4kN |
해면 고도에서의 추력 | 788.5kN | 788.5kN | 788.5kN | 788.7kN | N/A | N/A |
진공에서의 비추력 | 301초 (2.95 km/초) | 301초 (2.95 km/초) | 301초 (2.95 km/초) | 301.4초 (2.956 km/초) | 317.6초 (3.115 km/초) | 318초 (3.12 km/초) |
해면 고도에서의 비추력 | 270초 (2.6 km/초) | 270초 (2.6 km/초) | 270초 (2.6 km/초) | 269.6초 (2.644 km/초) | N/A | N/A |
전체 길이 | 2600mm | 2600mm | 2600mm | N/A | 2190mm | 2190mm |
직경 | 1000mm | 1000mm | 1000mm | N/A | 2590mm | 2590mm |
건조 중량 | 728kg | 728kg | 728kg | N/A | 715kg | 715kg |
탑재 기종 | R-36 (8K67) 1단 | R-36P (8K67P) 1단 | R-36-O (8K67-O) 와 사이클론-2 1단 | 사이클론-3 1단 | R-36, R36P, R-36-O, 사이클론-2 2단 | 사이클론-3 2단 |
3. 2. 모듈
- RD-251 (GRAU 지수: 8D723): RD-250 세 개로 구성된 모듈이다. R-36 (8K67) 1단계 추진 모듈이다.
- RD-251P (GRAU 지수: 8D723P): RD-250P 세 개로 구성된 모듈이다. R-36P (8K68) 1단계 추진 모듈이다.
- RD-251M (GRAU 지수: 8D723M): RD-250M 세 개로 구성된 모듈이다. R-36-O (8K69) 및 사이클론-2 1단계 추진 모듈이다.
- RD-261 (GRAU 지수: 11D69): RD-250PM 세 개로 구성된 모듈이다. 사이클론-3 1단계 추진 모듈이다.
4. 기술 사양
RD-250 엔진은 우크라이나 국영 우주로켓 제조업체 유즈마쉬에서 생산되었으며, 1965년 12월 16일에 최초로 시험 발사되었다. 이 엔진은 두 개의 로켓 엔진을 묶은 형태이다.
2016년 기준, 세계 최대의 ICBM인 러시아 SS-18 사탄 핵미사일의 엔진이 RD-250 계열이다. SS-18 사탄은 상업용 우주발사체인 싸이클론 1호, 싸이클론 2호, 싸이클론 3호, 드네프르 로켓으로도 사용되었다.
RD-250은 연료로 사산화 이질소(N2O4)를, 산화제로 UDMH를 사용하며, 추력은 90톤이다. 북한 최초의 ICBM인 화성 14호의 1단이 RD-250 1개를 사용하며, 북한은 이를 백두엔진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RD-250은 노즐당 추력이 45톤 정도인데, 백두산 엔진은 노즐당 추력이 40톤이다. 화성 14호는 노즐 1개를 사용해 추력이 45~50톤, 화성 15호는 2개를 사용해 추력 80톤이다.
엔진 | RD-250 | RD-250P | RD-250M | RD-250PM | RD-252 | RD-262 |
---|---|---|---|---|---|---|
GRAU | 8D518 | 8D518P | 8D518M | 8D518PM | 8D724 | 11D26 |
모듈 | RD-251 | RD-251P | RD-251M | RD-261 | N/A | N/A |
GRAU 표기의 모듈 | 8D723 | 8D723P | 8D723M | 11D69 | N/A | N/A |
개발 기간 | 1962-1966 | 1967-1968 | 1966-1968 | 1968-1970 | 1962-1966 | 1968-1970 |
추진제 | N2O4/UDMH | |||||
연소실 압력 | 8.336MPa | 8.924MPa | ||||
진공에서의 추력 | ||||||
해면 고도에서의 추력 | N/A | N/A | ||||
진공에서의 비추력 | ||||||
해면 고도에서의 비추력 | N/A | N/A | ||||
전체 길이 | N/A | |||||
직경 | N/A | |||||
건조 중량 | N/A | |||||
탑재 기종 | R-36 (8K67) 1단 | R-36P (8K67P) 1단 | R-36-O (8K67-O) 와 치클론-2 1단 | 치클론-3 1단계 | R-36, R36P, R-36-O, 치클론-2 2단 | 치클론-3 2단 |
5. 북한으로의 기술 이전 의혹
2017년 8월 14일,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선임연구원은 "어떤 국가도 그렇게 짧은 시간에 중거리 미사일 기술에서 ICBM으로 전환한 적이 없다"면서 "북한은 외부로부터 고성능 액체추진 엔진(LPE)을 획득했으며, 불법적인 방법으로 우크라이나에서 왔을 것으로 보인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6] 그는 2015년 파산 위기까지 맞았던 우크라이나 국영 유즈마쉬가 SS-18 ICBM의 RD-250 엔진을 암시장을 통해 북한에 팔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엘먼 연구원은 유즈마쉬와 연계된 러시아 미사일 기업 에네르고마쉬도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상당수의 RD-250 엔진 재고가 러시아에도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2011년 7월, 벨로루시 주재 북한 무역대표부 직원인 류성철과 이태길이 우크라이나 드니프로에서 유즈노예의 직원을 매수, 기밀 논문들을 차고에서 촬영하다가 우크라이나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8년형을 선고받았다.[7] 이 사건은 SS-18 ICBM 설계도 유출로 알려졌으며, 초기에는 촬영 중 체포되어 유출되지 않았다고 알려졌으나, 2017년 8월 언론 보도에 따르면 설계도들이 북한으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8]
북한 최초의 ICBM인 화성 14호는 1단에 RD-250 1개를 사용하며, 북한은 이를 백두엔진이라고 부른다. RD-250은 노즐당 추력이 45톤 정도이지만, 백두산 엔진은 노즐당 추력이 40톤으로, 이는 북한이 엔진을 일부 개량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우크라이나 정부와 관련 회사들은 북한과의 협력을 부인하지만, 미국 측은 파산 위기에 처했던 회사들이 비공식적으로 엔진을 수출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여러 전문가들은 RD-250 엔진 기술이 우크라이나에서 북한으로 이전되어 화성-12와 화성-14 개발에 기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4] 이러한 종류의 기술은 복잡하여 역설계가 어렵기 때문에, 완전한 엔진이 암시장을 통해 북한으로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2] 그러나 북한이 R-36 미사일 엔진이나 미사일 자체를 러시아 또는 소련으로부터 획득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5]
참조
[1]
웹사이트
The RD-250 engine at the center of an international storm
https://www.russians[...]
2023-01-03
[2]
웹사이트
The secret to North Korea’s ICBM success
http://www.iiss.org/[...]
2017-08-15
[3]
간행물
North Korean Missile Engines: Not from Ukraine
http://www.atlanticc[...]
Atlantic Council
2017-09-12
[4]
웹사이트
The secret to North Korea’s ICBM success
http://www.iiss.org/[...]
2017-08-15
[5]
간행물
North Korean Missile Engines: Not from Ukraine
http://www.atlanticc[...]
Atlantic Council
2017-09-12
[6]
뉴스
"北 ICBM 엔진 암시장서 조달…우크라이나 공장 배후 의심"(종합2보)
연합뉴스
2017-08-15
[7]
뉴스
'미사일 기술'빼내려한 북한인 2명 징역
MBN
2012-06-09
[8]
뉴스
우크라 전문가 "탄도미사일 기술 北 유출 가능성 배제 못 해"(종합)
연합뉴스
2017-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