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RIM-116 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IM-116 램(Rolling Airframe Missile, RAM)은 근접 방어용 미사일로, 대함 미사일 방어를 위해 개발되었다. 1976년 제너럴 다이내믹스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여러 국가의 참여와 기술 발전을 거쳐 실전 배치되었다. 램은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블록 0, 블록 1, 블록 2, HAS 모드, SeaRAM 등이 있다. 유도 방식은 패시브 레이더 호밍과 적외선 호밍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SeaRAM은 팰렁스 CIWS와 결합된 자율 시스템이다. 현재 미국, 대한민국,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며, 함정의 주요 방공 화력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지대공 미사일 - RIM-66 스탠더드
    RIM-66 스탠더드는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공 미사일로, 다양한 파생형을 거쳐 함대 방공 및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을 제공하는 핵심 무기 체계이다.
  • 독일의 지대공 미사일 - MEADS
    MEADS는 미국, 독일, 이탈리아가 공동 개발한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중심의 개방형 아키텍처를 통해 광범위한 방어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독일은 MEADS 기반의 전술 방공 시스템을 채택하는 등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 CIWS - 기관포
    기관포는 19세기 개틀링 기관총에서 시작되어 20mm 이상의 구경을 가진 자동화된 화포를 의미하며, 1, 2차 세계 대전에서 널리 사용된 후 현대에는 육상, 해상, 공중에서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 CIWS - 팰렁스 CIWS
    팰렁스 CIWS는 함정의 최종 방어선 역할을 하는 근접 방어 무기 체계로, M61 벌컨포와 사격 통제 레이더 시스템을 연동하여 표적을 자동 탐색, 추적, 교전하며 통합 표적 시스템이 없는 함정에서도 운용 가능하다.
  • 미국의 지대공 미사일 - FIM-92 스팅어
    스팅어는 미국의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로,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다양한 개량형이 있으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사용되었고, 헬리콥터 탑재형과 함대공형으로도 사용된다.
  • 미국의 지대공 미사일 - AN/TWQ-1 어벤저
    AN/TWQ-1 어벤저는 보잉에서 개발하여 험비 차대에 탑재된 이동식 단거리 방공 시스템으로, FIM-92 스팅어 미사일을 사용하여 다양한 공중 위협에 대응하며 여러 실전에 배치되었고 현재는 IM-SHORAD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RIM-116 램
개요
2013년 USS 뉴올리언스 (LPD-18)에서 발사되는 RIM-116 미사일
2013년 USS New Orleans (LPD-18)에서 발사되는 RIM-116 미사일
종류근접 방어 미사일
개발 국가독일
미국
사용 시기1992년–현재
개발 시기1976년
제작 정보
설계제너럴 다이내믹스 (현재 레이시온) 및 디엘 BGT 디펜스
제조사제너럴 다이내믹스 (현재 레이시온) 및 디엘 디펜스
생산 시기1985년–현재
비용
단가 (2014 회계연도)미화 998,000 달러
단가 (2021 회계연도, 평균)미화 905,330 달러
제원
무게5,777 kg (발사대)
73.5 kg (미사일)
길이2.79 m (미사일)
직경5 in (블록 1 미사일)
6.25 in (블록 2 미사일)
탄두폭발 파편형 탄두
탄두 중량11.3 kg
추진체Hercules/Bermite Mk. 36 고체 연료 로켓
날개폭434 mm
사거리9 km
속도마하 2 이상
유도 방식
유도 방식수동 무선 주파수/적외선 호밍
적외선 전용
적외선 이중 모드 활성화 (무선 주파수 및 적외선 호밍)
정확도95% 이상
발사 플랫폼Mk 49 유도 미사일 발사 시스템 (GMLS)의 Mk 144 유도 미사일 발사기 (GML)
기타

2. 개발

RIM-116 램은 1970년대 중반, 미국서독의 주도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덴마크도 참여했으나 중도에 탈퇴했다. 1987년에 양산에 대한 양해각서(MOU)가 체결되었고, 1992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Mk 49 발사기는 1980년대 후반 구축함 에서 평가되었다.[3] 최초의 미사일 30기는 FY85년에 제작되었다.[3]

2. 1. 개발 배경

RIM-116 램은 1976년 7월 제너럴 다이내믹스 포모나 및 밸리 시스템 사업부에서 서독 및 덴마크와의 계약에 따라 개발이 시작되었다.[3] 1975년 5월 개발 요구가 발령되었고, 1977년에는 선행 양산에 관한 양해각서(MoU)가 체결되었다. 초기에는 미국서독의 양자간 협정이었으나, 1979년에 덴마크가 개발에 참여했다. 요소 기술이나 기본 설계는 기존 미사일에서 가져온 부분이 많아, 1978년에는 이미 첫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이후 개발 과정에서 덴마크가 이탈하는 등 여러 차례 위기가 있었지만, 이를 극복하고 1987년 8월 양산에 관한 양해각서(MOU)가 체결되었다. 덴마크는 이후 프로그램에서 탈퇴했지만, 미국 해군이 주요 파트너로 합류했다.

SeaRAM은 현대적인 초음속 대함 미사일에 대한 함포 기반 시스템의 성능 우려에 대응하여 개발되었으며, 팰렁스 CIWS의 보조 자체 방어 시스템으로 설계되었다.[4]

2. 2. 대한민국 개발

대한민국은 2008년 5월 레이시온과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여 국산화에 성공했다.[32] LIG넥스원은 2009년 10월 19일 구미공장에서 양산 1호기를 출고했으며, 자체 수출도 가능한 라이센스를 획득했다.[32] 최대 사거리는 12km이다.[32]

2011년까지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세종대왕급 구축함, 독도함, 인천급 호위함에 실전 배치되었다.

3. 설계

램은 단거리, 빠른 응답 시간, 발사 후 망각 능력을 갖춘 대함 미사일 방어(ASMD)용 미사일로 개발되었다. 비용 절감과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탄체는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의 것을, 시커는 FIM-92 "스팅어" 단거리 방공 미사일의 것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3]

3. 1. 특징

램은 4장의 후방 날개를 통해 탄체를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비행하는데, 이것이 미사일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이를 통해 사이드와인더에서 4장이었던 전방 날개를 2장으로 줄일 수 있었고, PRH 유도 시스템도 2개의 로드 안테나만으로 충분한 주사가 가능하게 되었다.[7] 다만 운동 성능 향상을 위해 블록 2(RIM-116C)에서는 전방 날개도 4장으로 늘어났다.[8]

비행하는 미사일


ASMD라는 용도에서 발사 직후 유도는 AN/SLQ-32 전파 탐지 장치에 의한 탐지 정보를 바탕으로 한 패시브 레이더 호밍(PRH)에 의해 이루어지며, 적외선 센서로 목표를 포착한 후에는 적외선 호밍(IRH)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기본으로 채택되었다. 다만 날씨가 좋지 않아 IRH에 의한 목표 포착이 어려울 경우, 전 항정 동안 PRH 유도를 할 수도 있다.[7]

IRH 유도 시스템은 처음에는 스팅어 미사일의 것이 도입되어 1차원식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 레티클 회전형이었으나, 2000년부터 양산에 들어간 블록 1(RIM-116B)에서는 80픽셀의 선형 어레이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수신 대역의 확대와 감도 증대에 의해 전방위 교전 능력이 부여되었으며, 발사 직후부터 PRH에 의존하지 않고 전 항정 동안 IRH 유도를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블록 2(RIM-116C)에서는 적외선 영상(IIR) 유도 방식이 도입되어, 이를 통해 동일 목표에 대한 복수 탄 동시 발사가 가능해졌다. 기존의 IRH 유도 시스템을 사용한 RAM에서는 일제 사격(Salvo) 시 동일 발사기에서 발사된 1발째 로켓 모터가 바로 뒤의 동일 궤도를 비행하는 2발째 이후에 재밍 소스(노이즈)가 되기 때문에, 첫 탄의 로켓 모터가 연소를 완료할 때까지 다음 탄을 발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IIR 유도의 도입으로 이것이 해결되었으며, 2012년 10월 22일에 실시된 일제 사격 테스트에 성공했다.[10][11]

3. 2. 유도 방식

RIM-116 램 미사일은 발사 초기에는 패시브 레이더 호밍(PRH)으로 유도되며, 적외선 센서로 목표물을 포착한 후에는 적외선 호밍(IRH) 방식으로 전환된다.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전 비행 과정 동안 PRH 유도를 사용하기도 한다.[27][28]

'''블록 1'''(RIM-116B)은 능동 레이다 호밍 신호를 방사하지 않는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적외선 전용 유도 시스템을 추가했다. 블록 0의 레이다 호밍 능력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초기에는 FIM-92 "스팅어"의 1차원 적외선 센서를 사용했지만, 2000년부터 생산된 블록 1에서는 80픽셀 선형 배열 방식으로 변경되어 전방위 교전 능력과 발사 직후부터 IRH 유도가 가능해졌다.

'''블록 2'''(RIM-116C)는 적외선 영상(IIR) 유도 방식을 도입하여, 동일 목표에 대해 여러 발의 미사일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IRH 유도 방식에서는 일제 사격 시 첫 번째 미사일의 로켓 모터가 뒤따르는 미사일에 재밍을 일으켜 다음 미사일 발사에 문제가 있었으나, IIR 유도 도입으로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2012년 10월 22일에는 일제 사격 시험에 성공했다.[27][28]

3. 3. 시스템

미사일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 캐니스터(Mk.44 GMRP)에 밀폐된 상태로 공장에서 출하된다. 이 캐니스터는 미사일을 해수 등에 의한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유지 보수가 필요 없도록 한다.[29]

발사기는 21연장 Mk.49 GMLS가 주로 사용되며, 팰렁스 CIWS의 받침대를 유용하여 개발되었다.[29]

Mk.49 GMLS의 21연장 발사기


시램(SeaRAM)은 팰렁스 CIWS Mk-15 Block 1B(CRDC)의 레이더 및 전자 광학 시스템[3]과 11셀 RAM 발사기를 결합한 시스템이다. 시램은 자체적인 표적 탐지 및 추적 능력을 갖추고 있어, 외부 정보 없이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 시스템이다. 팰렁스와 마찬가지로 SeaRAM은 모든 종류의 선박에 장착할 수 있다. 레이시온에 따르면 SeaRAM은 "팰랭스의 정확한 선상 설치 공간에 맞고, 동일한 전원을 사용하며, 선상 개조를 최소화"하여 설치가 비교적 용이하다.[17]

SeaRAM

4. 파생형

RIM-116 램 미사일은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통해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 블록 0: AIM-9 사이드와인더를 기반으로 로켓 엔진, 신관, 탄두를 그대로 가져와 개발되었다. 초기 유도는 적 대함 미사일의 능동 레이다 호밍 신호를 역추적하고, 종말 유도는 FIM-92 스팅어의 적외선 탐색기를 사용, 시험 발사에서 95% 이상의 명중률을 기록했다.[3]
  • 블록 1: 능동 레이다 호밍 신호를 방사하지 않는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적외선 전용 유도 시스템을 추가하고, 블록 0의 레이다 호밍 능력은 그대로 유지했다.[3]
  • 블록 2: 향상된 기동성을 가진 대함 미사일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4축 독립 제어 액추에이터 시스템, 약 15.88cm 직경으로 확장된 로켓 모터, 향상된 수동 무선 주파수 탐색기 및 적외선 탐색기 구성 요소 업그레이드가 주요 개선 사항이다.
  • HAS 모드: 헬기, 항공기, 지상 목표물 공격이 가능하도록 블록 1에 소프트웨어 교체만으로 기능을 추가했다.[3]
  • 시램 (SeaRAM): 팰렁스 CIWS의 레이더와 광학 추적기를 연동, M61 벌컨의 Mk.72 마운트를 11연장 RAM 발사기로 교체하여 소형 함정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시스템이다.[3]

4. 1. 블록 0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로켓 엔진, 신관, 탄두를 그대로 가져왔다. 초기 유도는 적 대함 미사일이 발사하는 능동 레이다 호밍 신호를 포착해 역추적하며, 종말 유도는 FIM-92 스팅어 대공미사일의 적외선 탐색기를 사용한다. 시험 발사에서 95% 이상의 명중률을 기록했다.[3]

4. 2. 블록 1

블록 1(RIM-116B)은 RAM 미사일의 성능을 향상시킨 버전이다. 능동 레이다 호밍 신호를 방사하지 않는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도록 적외선 전용 유도 시스템을 추가했다.[3] 블록 0의 레이다 호밍 능력은 그대로 유지했다.

4. 3. 블록 2

RIM-116 램 블록 2(RIM-116C)는 향상된 기동성을 가진 대함 미사일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주요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4축 독립 제어 액추에이터 시스템
  • 약 15.88cm 직경으로 확장된 로켓 모터
  • 향상된 수동 무선 주파수 탐색기
  • 적외선 탐색기 구성 요소 업그레이드


2007년 5월 8일, 미국 해군은 레이시온 미사일 시스템과 1.05억달러 규모의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개발은 2010년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이었으며, 2012년에 저율 생산(LRIP)이 시작되었다.[9] 초기 주문량은 51기였다.

2012년 10월 22일, RAM 블록 2는 세 번째 유도 시험 비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 시험에서 두 발의 미사일이 일제 사격되어 표적을 직접 명중시켰으며, 시스템의 지휘 및 통제 능력, 운동 성능, 유도 시스템, 기체 능력이 검증되었다. 레이시온은 통합 시험 단계에서 25기의 블록 2 미사일을 인도할 계획이었다.[10][11]

2014년 8월, 블록 2 RAM이 미국 해군에 인도되었으며,[12]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02기가 추가 획득될 예정이었다.[13] 2015년 5월 15일, 블록 2 RAM은 초도 작전 능력(IOC)을 달성했다.[14]

2018년 초, 미국 국무부는 멕시코 해군에 대한 RIM-116 블록 II 판매를 승인했다. 멕시코 해군은 다멘 쉴데 해군 조선소와 공동 건조한 시그마급 설계 프리깃에 이 미사일을 탑재할 예정이며, 첫 번째 함선은 2018년 11월에 진수되었다.[15][16]

4. 4. HAS 모드

독일과의 협정에 따라, 헬기, 항공기, 지상 목표물에 대한 공격이 가능해졌다. 블록 1에 소프트웨어 교체만으로 가능하다.[3] 1998년, 독일과 미국 국방부는 이 시스템이 "HAS" 모드, 즉 헬리콥터(Helicopter), 항공기(Aircraft), 수상 목표물(Surface)도 공격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HAS 업그레이드는 모든 블록 1 RAM 미사일에 소프트웨어 수정만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15][16]

4. 5. 시램 (SeaRAM)

팰렁스 CIWS의 레이더와 광학 추적기를 연동하여, 소형 함정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시스템이다.[3]

SeaRAM은 팰랭스 CIWS Mk-15 Block 1B(CRDC)의 레이더 및 전자 광학 시스템[3]과 11셀 RAM 발사기를 결합하여, 외부 정보 없이도 스스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 시스템이다. 팰랭스와 마찬가지로 SeaRAM은 모든 종류의 선박에 장착할 수 있다. SeaRAM은 공통 장착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레이시온은 SeaRAM이 "팰랭스의 정확한 선상 설치 공간에 맞고, 동일한 전원을 사용하며, 선상 개조를 최소화한다"고 말한다. 2008년, 첫 번째 SeaRAM 시스템이 USS 인디펜던스에 설치하기 위해 인도되었다.[17]

현재, 각 ''인디펜던스''급 함선에 SeaRAM이 1기씩 장착되어 있다.[18] 2014년 말, 해군은 SeaRAM을 소형 수상 전투함 LCS 후속 함선에 설치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19] 2015년 11월부터 해군은 미국 제6함대 내에서 순찰하는 4척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중 첫 번째 구축함에 SeaRAM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20] SeaRAM은 프리덤급을 기반으로 한 사우디 왕립 해군의 다목적 수상 전투함(MMSC)에 장착될 예정이다.[21]

Mk.15 Mod.31 '''SeaRAM'''은 팰렁스 CIWS의 설계를 보다 광범위하게 답습하여, M61 벌컨의 Mk.72 마운트를 11연장 RAM 발사기로 교체한 것이다. 발사기 자체가 포착 레이더, 적외선 센서, 전파 탐지 장치를 갖춘 독립·완결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대공 FCS를 갖지 않은 함에 대한 간이적인 방공 병기로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인디펜던스급은 Mk.15 Mod.31 SeaRAM을 탑재하고 있다.

5. 운용 국가

LIG넥스원레이시온의 기술이전으로 램의 국산화를 완료했으며, 자체 수출도 가능하도록 라이센스를 받았다.[32] 2011년까지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세종대왕급 구축함, 독도함, 인천급 호위함에 실전배치 되었다.[5]

미 해군은 74척의 함정에 장착하기 위해 총 1,600여 발의 RIM-116 램과 115기의 발사기를 구매할 계획이다.[6]

국가함급
미국키티호크급 항공모함, 니미츠급 항공모함,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알레이 버크급 미사일 구축함, 프리덤급 연안 전투함, 인디펜던스급 연안 전투함, 아메리카급 강습 상륙함, 컨스텔레이션급 미사일 프리깃, DDG(X), 타라와급 강습 상륙함, 와스프급 강습 상륙함, 휘드비 아일랜드급 도크형 상륙함, 하퍼스 페리급 도크형 상륙함, 샌 안토니오급 도크형 수송 상륙함, 원자력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
아랍에미리트[30]바누나급 코르벳
이집트
카타르알 쭈바라급 프리깃[31]
대한민국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세종대왕급 구축함, 독도급 상륙함 "독도", 인천급 호위함
그리스루센급 미사일정
독일뤼첸스급 구축함, 브레멘급 프리깃, 브란덴부르크급 프리깃, 작센급 프리깃, 브라운슈바이크급 코르벳, 게파르트급 미사일정, 바덴뷔르템베르크급 프리깃, 니더작센급 프리깃
튀르키예아다급 코르벳, 강습 상륙함 "아나돌"
일본[22]이즈모형 호위함, 모가미형 호위함, 신형 FFM
멕시코[23]


6. 제원 (블록 1)

주 용도함대공 미사일
제작사레이시온, Diehl BGT Defence
길이2.79m
직경127mm
날개 폭434mm
속도마하 2.0 이상
탄두 중량11.3kg 파편 폭풍형 탄두
발사 중량73.5kg
사거리9km
유도 시스템3가지 모드 (패시브 레이다/적외선 유도, 적외선 유도, 패시브 레이다와 적외선의 듀얼 모드)
단가444000USD
실전 배치1992년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Fiscal Year 2015 Budget Request Program Acquisition Cost By Weapon System http://comptroller.d[...]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se 2014-03
[2] 웹사이트 Rolling Airframe Missile: Development, Test, Evaluation, and Integration https://www.jhuapl.e[...] 2021-03-09
[3] 서적 Ships and Aircraft of the U.S. Fleet The Naval Institute
[4] 간행물 SeaRAM datasheet http://www.raytheon.[...] Raytheon
[5] 웹사이트 PGM—Precision Guided Munitions http://www.lignex1.c[...] LigNex1.com 2014-10-31
[6] 웹사이트 Enterprise Sailors onload a RAM launcher https://www.youtube.[...] U.S. Navy 2012-03-17
[7] 웹사이트 RIM-116 Rolling Airframe Missile (RAM) https://www.navy.mil[...] 2022-10-13
[8] 웹사이트 Navy Declares IOC On Rolling Airframe Missile Block 2 https://news.usni.or[...] 2015-06-11
[9] 웹사이트 Raytheon's RAM Strikes Twice During Back-to-Back Tests https://www.prnewswi[...] 2012-01-30
[10] 웹사이트 RAM Block 2 Missile Successful in Double-fire Test https://www.deagel.c[...] 2012-10-22
[11] 웹사이트 Rolling Airframe Missile Block 2 completes initial fleet firing http://www.defenceta[...] 2013-08-12
[12] 웹사이트 Raytheon delivers first Block 2 Rolling Airframe Missiles to US Navy https://raytheon.med[...] 2014-08-27
[13] 웹사이트 Navy to Accept New Rolling Airframe Missile https://www.military[...] 2014-05-19
[14] 웹사이트 US Navy Declares 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for New Rolling Airframe Missile RAM Block 2 http://www.navyrecog[...] 2015-05-16
[15] 웹사이트 US approves sale of missiles, torpedoes and ammunition to Mexico for new Dutch-built naval vessel https://thedefensepo[...] 2018-01-08
[16] 웹사이트 SEMAR Commemorates the ''Day of the Navy of Mexico'' with the Launch and Flagging of the First Long Range Oceanic Patrol Ship https://www.defense-[...] 2018-11-26
[17] 웹사이트 Raytheon Delivers SeaRAM to USS Independence https://raytheon.med[...] 2010-09-15
[18] 웹사이트 Littoral Combat Ship (LCS) High-Speed Surface Ship http://www.naval-tec[...] 2013-12-14
[19] 웹사이트 Hagel Approves Navy’s Proposal to Build More Lethal LCS Variant https://www.military[...] 2014-12-11
[20] 웹사이트 Navy Integrating SeaRAM on Rota-Based DDGs; First Installation Complete In November https://news.usni.or[...] 2015-09-15
[21] 웹사이트 US OKs Potential $11.25B Saudi Deal for LCS Variant https://www.defensen[...] 2015-10-20
[22] 웹사이트 SeaRAM, Close-In Weapon System—Japanese Example Ship http://www.military-[...] military-today.com 2013-08-13
[23] 웹사이트 Raytheon delivers RAM launcher for Mexican Navy POLA OPV https://navaltoday.c[...] navaltoday.com 2018-10-23
[24] 웹사이트 Germany Approves Sale of RAM to Qatar https://missilethrea[...] 2019-01-28
[25] 뉴스 Dutch Navy replacing Goalkeeper CIWS with RAM missile, DART projectile combo https://defbrief.com[...] 2023-10-06
[26] 웹사이트 River-Class Destroyer Fact Sheet https://www.canada.c[...] 2024-07-03
[27] 문서 RAM Block 2 Missile Successful in Double-fire Test http://www.deagel.co[...] Deagel.com 2012-10-22
[28] 문서 Rolling Airframe Missile Block 2 completes initial fleet firing http://www.defenceta[...] 2013-08-12
[29] 웹사이트 Raytheon: Rolling Airframe Missile (RAM) Guided Missile System http://www.raytheon.[...] 2015-07-15
[30] 문서 Defeating complex threats http://www.janes.com[...]
[3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Routledge 2023-02-15
[32] 뉴스 LIG넥스원, 함대공 유도탄 국내 최초 국산화 https://news.naver.c[...] 전자신문 2009-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