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to Roue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oad to Rouen은 2005년에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슈퍼그래스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프랑스 루앙의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밴드는 다양한 악기를 실험적으로 사용했다. 앨범 커버는 A16 고속도로를 건너는 소 다리의 사진으로, 믹 퀸과 폴 윌슨이 촬영했다. Road to Rouen은 발매 당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메타크리틱에서 73점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앙 - FC 루앙
FC 루앙은 1896년 럭비 유니온 클럽으로 시작하여 축구 부서를 도입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노르망디 챔피언십 5연패와 쿠프 드 프랑스 준우승을 기록하고, 프로화 이후 디비시옹 1에서 활약했으나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2024년 쿠프 드 프랑스 8강에 진출했다. - 팔로폰 음반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의 데뷔 음반으로, 라이브 공연 세트리스트 기반의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30주간 차지하는 등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은 명반이다. - 팔로폰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 2005년 음반 - Super Star (쥬얼리의 음반)
2005년 발매된 쥬얼리의 네 번째 정규 앨범인 Super Star는 타이틀곡 "Super Star"의 성공과 서인영의 '털기춤' 유행에 힘입어 쥬얼리에게 데뷔 후 첫 1위를 안겨주었다. - 2005년 음반 - 나방의 꿈
이선희 데뷔 20주년 기념 음반 《나방의 꿈》은 이승기의 데뷔곡 〈내 여자라니까〉를 타이틀곡으로, 싸이가 작사, 작곡 및 랩 피처링에 참여한 후속곡 〈나방의 꿈〉과 〈아버지〉, 그리고 이선희의 대표곡 〈J에게〉 리메이크 버전을 수록했다.
Road to Roue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음반명 | Road to Rouen |
종류 | 스튜디오 음반 |
아티스트 | 슈퍼그래스 |
발매일 | 2005년 8월 15일 |
녹음 기간 | 2004년 – 2005년 |
녹음 장소 | 스튜디오 생 마르, 루앙, 프랑스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아트 록 사이키델릭 음악 |
길이 | 35분 19초 |
레이블 | 팔로폰 레코드 |
프로듀서 | 슈퍼그래스 |
이전 음반 | Supergrass Is 10 |
이전 음반 발매일 | 2004년 |
다음 음반 | Diamond Hoo Ha |
다음 음반 발매일 | 2008년 |
싱글 | |
싱글 1 | St. Petersburg |
싱글 1 발매일 | 2005년 8월 8일 |
싱글 2 | Low C |
싱글 2 발매일 | 2005년 10월 24일 |
싱글 3 | Fin |
싱글 3 발매일 | 2006년 1월 2일 |
관련 링크 | |
참고 자료 | "New Supergrass LP: Born in a Barn, Literally" MTV 뉴스 "The Strange Ones Supergrass Site" 스트레인지 원스 슈퍼그래스 사이트 "Official Charts Company – Supergrass" 오피셜 차트 컴퍼니 "Supergrass – Road to Rouen Review" rocknworld |
2. 음반 녹음
2004년, 슈퍼그래스는 이전 세 앨범을 녹음했던 콘월의 소밀스 스튜디오 대신 프랑스 노르망디 루앙에 위치한 개조된 헛간인 스튜디오 라 마르델(Studio La Mardelle)에서 앨범 작업을 진행했다. 밴드는 시골 환경과 다소 조악한 녹음 장비 속에서도 오히려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앨범에서는 전통적인 악기 구성 외에도 지터, 우쿨렐레, 금관악기, 현악기, 드럼 머신 등 다양한 악기를 실험적으로 사용했다.[2]
표지 사진은 프랑스 르포 근처의 A16 고속도로를 건너는 소 다리를 묘사하고 있으며, 이 다리는 불로뉴와 루앙 사이의 경로의 일부이다. 이 사진은 어두워질 무렵, 믹 퀸과 폴 윌슨이 캐논 EOS 350D를 사용하여 10초 노출로 촬영하였으며, 다리 아래로 트럭이 지나가는 모습이 담겨 있다. 내부 사진은 스튜디오 엔지니어인 피에르 올리비에 마제랑이 촬영했으며, 스튜디오 생 마르드의 라이브 룸에 설치된 키보드와 드럼 세트를 보여준다. 앨범 전체 디자인은 그래픽 회사 트래픽과 믹 퀸이 담당했다.
''Road to Rouen''은 발매 당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를 종합하여 점수를 매기는 메타크리틱에서는 2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73점을 기록했다.[7][20] 앨범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는 다양한 매체에서 이루어졌으며,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앨범의 첫 싱글인 〈St. Petersburg〉는 별도의 오버더빙 없이 한 번의 테이크로 녹음되었다.[2] 드러머 대니 고피는 앨범의 어쿠스틱하고 간결한 사운드에 대해 "우리는 3분짜리 싱글이 없는 앨범, 좀 더 부드러운 분위기의 앨범을 만들고자 의식적으로 결정했다. 이전 앨범들에는 사람들이 잘 듣지 못했던 곡들이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 싱글만 구매하거나 라디오 차트에서만 우리 노래를 접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우리의 그런 면모를 좀 더 드러내고, 라디오 친화적인 곡을 일부러 고르지 않으려 했다"고 설명했다.[5]
2008년 인터뷰에서 베이시스트 믹 퀸은 앨범의 내성적인 분위기와 오케스트레이션 사용이 콤스 형제(개즈 콤스와 롭 콤스)의 어머니가 돌아가신 일과 드러머 대니 고피가 타블로이드 언론 때문에 겪었던 개인적인 시련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었다고 언급했다. 퀸은 "앨범의 분위기는 여러 나쁜 일들에 대한 반응이기도 했다"며, "그 누구도 'Alright' 같은 밝고 경쾌한 팝송을 만들 기분이 아니었다. 모두 매우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었다. 대니는 타블로이드 때문에 개인적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고 정말 엉망이었다. 하지만 나쁜 상황 속에서도 최선을 다해야 하고, 음악을 통해 자신을 표현해야 한다. 그 시점에서 밝은 음악을 하는 것은 거짓말이었을 것이다. 가사 내용은 상업적으로는 자살 행위였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앨범이 잘 팔리지 않았지만... 나는 이 앨범이 존재하지 않는 것보다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에 더 자부심을 느낀다"고 덧붙였다.[6]
3. 앨범 커버
4. 평가
4. 1. 언론 평가
''Road to Rouen''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를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기는 메타크리틱에서는 2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73점을 기록했다.[7][20]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이 앨범에 5점 만점에 4.5점을 주며, "밴드는 따뜻하고, 몽환적이며, 늦은 밤의 분위기를 조성하며 9곡의 노래 내내 이를 유지하는 톤의 숙련도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앨범을 "훌륭한 작은 레코드"라고 칭찬하며, "슈퍼그래스는 자의식적으로 성숙하거나 중산층 취향으로 변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사운드로 새로운 시도를 찾았다"고 덧붙였다.[8][21] MusicOMH의 존 머피 또한 앨범을 호평하며, ''Road to Rouen''이 "그들을 처음으로 위대하게 만들었던 것을 결코 잊지 않으면서, 밴드가 멋지게 발전하고 성숙해가는 사운드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다.[17]
반면, BBC의 잭 스미스는 다소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그는 "슈퍼그래스는 그들의 동시대 사람들 대부분보다 오래 살아남았고, 여전히 진정으로 놀라운 걸작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불행히도, ''Road to Rouen''은 아직 그 정도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18]
매체 | 점수 |
---|---|
올뮤직 | 4.5/5[8][21] |
드라우니드 인 사운드 | 3/10[9][22] |
가디언 | 5/5[10][23] |
모조 | 4/5[11][24] |
NME | 7/10[12][25] |
피치포크 | 7.2/10[13][26] |
팝매터스 | 7/10[14][27] |
Q | 3/5[15][28] |
언컷 | 4/5[16][29] |
5. 곡 목록
모든 곡은 슈퍼그래스가 작사/작곡하였다.
5. 1. 트랙 목록
모든 곡은 슈퍼그래스가 작사/작곡하였다.# | 제목 | 길이 |
---|---|---|
1 | Tales of Endurance (Parts 4, 5 & 6) | 5:31 |
2 | 세인트 피터스버그 | 3:09 |
3 | Sad Girl | 3:37 |
4 | Roxy | 6:17 |
5 | Coffee in the Pot | 1:49 |
6 | Road to Rouen | 3:51 |
7 | Kick in the Teeth | 3:36 |
8 | Low C | 4:16 |
9 | Fin | 3:11 |
6. 참여
- 가즈 쿰스 - 보컬, 기타
- 믹 퀸 - 베이스, 보컬
- 대니 고피 - 드럼
- 로브 쿰스 - 키보드
- 슈퍼그래스 - 작사 및 프로듀싱
- 피에르 올리비에 마게랑(Pierre Olivier Margerand) - 엔지니어링
- 마이클 일버트(Michael Ilbert) - 믹싱 (아래 트랙 제외)
: 트랙 1, 4: 마이클 일버트와 슈퍼그래스 공동 믹싱
: 트랙 5: 피에르 올리비에 마게랑 믹싱
- 사이먼 헤일(Simon Hale)과 슈퍼그래스 - 현악 및 금관악기 편곡
- 사이먼 헤일(Simon Hale) - 지휘
- 앤디 러브그로브(Andy Lovegrove), 로라 카필레르(Laura Capillaire), 줄스 프란시스(Jules Francis) - "Low C" 백 보컬
- 앤디 러브그로브(Andy Lovegrove) - "Low C" 편곡 및 녹음
- P. 윌슨, M. 퀸, 피에르 올리비에 마게랑(P.O.M.) - 사진
7.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