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HERPA/RoMEO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HERPA/RoMEO는 지적 재산권 보호 및 사용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학술 연구 논문에 대한 권리 정보를 표현하며, 권리 메타데이터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OAI 프로토콜 하에서 공개된 연구 논문의 권리 정보를 제공하고, 아카이빙 정책을 색상 코드로 구분하여 출판사의 정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Zetoc, DOAJ, Entrez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저널 정보를 제공하며, RoMEO 저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타이틀만을 브라우징 목록에 표시한다. SHERPA/RoMEO는 RoMEO 뉴스, 특별 페이지, 추가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기관 레포지토리를 통한 학술 연구자들의 셀프 아카이빙과 관련된 저작권 문제를 연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픈 소스 - 클램윈
    클램윈은 ClamAV 엔진 기반의 오픈 소스 백신 소프트웨어로,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 멀웨어 등 다양한 악성 위협 분석 자료를 제공하며 예약 검사, 수동 검사, 컨텍스트 메뉴 통합 등의 기능을 지원하지만 실시간 감시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 오픈 소스 - VP9
    VP9는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비디오 코덱으로, VP8보다 압축 효율을 높이고 HEVC보다 나은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WebM 형식으로 사용되고 주요 웹 브라우저와 넷플릭스, 유튜브 등에서 지원했으나 AV1의 등장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오픈 액세스 - 오픈 소스
    오픈 소스는 제품 설계 및 재배포를 장려하는 모델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시작하여 개방형 협업을 장려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와 같은 단체가 운동을 지원한다.
  • 오픈 액세스 - DOAJ
    DOAJ는 과학 및 학술 저널의 오픈 액세스 가시성을 높이고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접근성과 영향력을 확대하며, 피어 리뷰를 거친 학술지를 엄격하게 심사하여 수록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디렉토리이다.
  • 메타데이터 - DOAJ
    DOAJ는 과학 및 학술 저널의 오픈 액세스 가시성을 높이고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접근성과 영향력을 확대하며, 피어 리뷰를 거친 학술지를 엄격하게 심사하여 수록하고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디렉토리이다.
  • 메타데이터 - 해시태그
    해시태그는 2007년 트위터에서 관심 주제를 묶기 위해 제안되어 마이크로블로깅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언어학적 분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SHERPA/RoMEO
기본 정보
명칭SHERPA/RoMEO
유형웹사이트
목적저작권 정책 요약
오픈 액세스
언어영어
소유주Jisc
운영 주체노팅엄 대학교
URLSHERPA/RoMEO 웹사이트
상세 정보
SHERPASecuring a Hybrid Environment for Research Preservation and Access의 약자
영국 Jisc 자금 지원을 받음
목표영국의 고등 교육 기관 및 연구 기관의 연구물 저장소 개발 지원
연구 데이터 관리, 저장 및 공유에 대한 모범 사례 제공
RoMEORights Metadata for Open archiving의 약자
출판사의 저작권오픈 액세스 정책 요약 제공
기능출판사 정책 검색 엔진 제공
특정 출판사의 오픈 액세스 정책 빠르게 확인 가능
연구자가 자신의 논문을 오픈 액세스 저장소에 제출할 수 있는지 여부 확인 가능
관련 정보
기타 SHERPA 프로젝트SHERPA Data
SHERPA Fact
SHERPA Juliet
SHERPA Open Access Infrastructure Observatory (OAI-O)

2. 주요 목표

SHERPA/RoMEO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주요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었다.[5]


  • OAI 프로토콜 하에서 공개된 지적 재산권 관련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 이해.
  • ODRL 등을 활용한 학술 오픈 액세스 논문의 권리 정보 표현을 위한 '간단한 권리 메타데이터'(simple rights metadataeng) 요소 집합 개발.
  • OAI-PMH로 수집된 메타데이터 내에 권리 요소를 통합하는 방법 개발.
  • 권리 요소 생성 및 최종 이용자 대상 표시 방법을 시연하는 데모 시스템 및 지침 생성.
  • 프로젝트 자문 및 추진을 위한 '권리 실무 그룹'(Rights Working Groupeng) 설립.

2. 1.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이해


  • OAI 프로토콜 하에서 공개된 지적 재산권의 보호와 사용에 관한 이해관계자(저작권자, 출판사, 데이터제공자, 서비스제공자 등)의 요구사항 이해.
  • ODRL과 같은 기존 표준을 사용하여 학술 오픈 액세스 연구 논문에 대한 관련 권리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공동이용이 가능한 '간단한 권리 메타데이터'(simple rights metadata) 요소 집합 개발.
  • OAI-PMH로 수집된 문서(문헌)의 메타데이터 집합 내에 권리요소를 통합시킬 방법 개발.
  • 권리요소를 저자에 의해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 그리고 최종 이용자에게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나타내는 데모시스템과 지침 생성.
  • 이 프로젝트를 이끌어나가고 충고해줄 'Rights Working Group' 설립에 두고 진행.[5]

2. 2. 권리 메타데이터 개발


  • OAI 프로토콜 하에서 공개된 지적재산권의 보호와 사용에 관한 이해관계자(저작권자, 출판사, 데이터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등)의 요구사항 이해.
  • ODRL과 같은 기존 표준을 사용하여 학술 '오픈 액세스 학술 논문'(Open-access research paperseng)에 대한 관련 권리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공동 이용이 가능한 '간단한 권리 메타데이터'(simple rights metadataeng) 요소 집합 개발.
  • OAI-PMH로 수집된 문서(문헌)의 메타데이터 집합 내에 권리 요소를 통합시킬 방법 개발.
  • 권리 요소를 저자에 의해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 그리고 최종 이용자에게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나타내는 데모 시스템과 지침 생성.
  • 이 프로젝트를 이끌어 나가고 조언해 줄 '권리 실무 그룹'(Rights Working Groupeng) 설립.[5]

2. 3. 메타데이터 통합 방법 개발


  • OAI 프로토콜 하에서 공개된 지적재산권 보호와 사용에 관한 이해관계자(저작권자, 출판사, 데이터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등)의 요구사항을 이해한다.
  • ODRL과 같은 기존 표준을 사용하여 학술 오픈 액세스 연구 논문에 대한 관련 권리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공동 이용이 가능한 '간단한 권리 메타데이터' 요소 집합을 개발한다.
  • OAI-PMH로 수집된 문서(문헌)의 메타데이터 집합 내에 권리 요소를 통합시킬 방법을 개발한다.
  • 권리 요소를 저자가 어떻게 생성하고 최종 이용자에게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를 나타내는 데모 시스템과 지침을 생성한다.
  •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조언할 '권리 워킹 그룹'(Rights Working Group)을 설립하여 진행한다.[5]

2. 4. 데모 시스템 및 지침 생성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권리 요소를 저자가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지, 그리고 이를 최종 이용자에게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를 시연하는 데모 시스템과 관련 지침을 생성하는 것이었다.[5]

2. 5. 'Rights Working Group' 설립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었다.[5]

  • OAI 프로토콜 하에서 공개된 지적재산권의 보호와 사용에 관한 이해관계자(저작권자, 출판사, 데이터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등)의 요구사항 이해.
  • ODRL(Open Digital Rights Language)과 같은 기존 표준을 사용하여 학술적인 오픈 액세스 연구 논문에 대한 관련 권리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공동 이용이 가능한 간단한 권리 메타데이터(simple rights metadata) 요소 집합 개발.
  • OAI-PMH로 수집된 문헌의 메타데이터 집합 내에 권리 요소를 통합시킬 방법 개발.
  • 권리 요소를 저자가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 그리고 최종 이용자에게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나타내는 데모 시스템과 지침 생성.
  •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자문 역할을 할 'Rights Working Group' 설립.

3. 아카이빙 정책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함)

3. 1. 색상 구분

RoMEO는 검색 시 출판사의 아카이빙 정책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색상을 사용한다.[4]

색상아카이빙 정책
GREEN심사전 논문 (pre-print) 및 심사후 논문 (post-print)의 셀프아카이빙 가능
BLUE심사후 논문 (post-print) 셀프아카이빙 가능
YELLOW심사전 논문 (pre-print) 셀프아카이빙 가능
WHITE아카이빙 불가능


4. 저널 정보 제공 및 브라우징

SHERPA/RoMEO는 다양한 외부 출처로부터 저널 정보를 제공받는다.[6] 주요 정보 제공처로는 영국 도서관의 Zetoc 서비스[7], 룬드 대학교 사서들이 운영하는 DOAJ[8], NCBI의 Entrez 저널 리스트[9] 등이 있다.

또한, RoMEO 웹사이트에서는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저널 제목을 브라우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10] 다만, 이 브라우징 목록에는 Zetoc, DOAJ, Entrez 등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추가적인 저널 제목은 포함되지 않는다.[10]

4. 1. 정보 제공 서비스

SHERPA/RoMEO의 저널 정보는 다음 출처들로부터 제공받는다.[6]
저널 정보 브라우징[10]

RoMEO 웹사이트의 저널 브라우징 기능은 RoMEO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저널 제목만을 보여준다. Zetoc, DOAJ, Entrez와 같이 RoMEO가 연동하여 사용하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추가적인 저널 제목은 이 브라우징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4. 2. 저널 브라우징

저널 정보는 다음 기관 및 서비스에서 제공한다.[6]

  • 영국 도서관의 Zetoc 서비스(Zetoc):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의 MIMAS에서 운영하며, 국제적 연구 간행물의 모니터링과 검색을 담당한다.[7]
  • 룬드 대학교 사서들이 운영하는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DOAJ, DOAJ): 오픈 액세스 저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8]
  • NCBI의 Entrez 저널 리스트: 생물학 관련 저널 검색을 돕는다.[9]


저널 정보 브라우징 기능은 RoMEO 자체 저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제목만 보여준다.[10] RoMEO가 참조하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인 Zetoc, DOAJ, Entrez의 추가적인 저널 제목은 이 기능을 통해 직접 찾아볼 수는 없다.

5. 기타 SHERPA RoMEO 서비스


  • RoMEO 뉴스
  • 특별 RoMEO 페이지
  • 추가 및 업데이트 사항
  • 기타 SHERPA 서비스

6. 오픈 액세스 저작권 관리를 위한 해외 연구 사례: RoMEO Project

RoMEO 프로젝트는 오픈 액세스 환경에서 지적 재산권 보호와 이용에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저작권자, 출판사, 데이터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 또한, ODRL과 같은 기존 표준을 활용하여 학술적인 오픈 액세스 연구 논문에 대한 권리 정보를 표현하고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간단한 권리 메타데이터 요소 집합을 개발하고자 한다.[5] OAI-PMH 프로토콜을 통해 수집된 문헌의 메타데이터 집합 내에 이러한 권리 요소를 통합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저자가 권리 요소를 쉽게 생성하고 최종 이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데모 시스템과 지침을 만드는 것도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5]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자문 역할을 할 'Rights Working Group'을 설립하여 운영한다.[5]

RoMEO 프로젝트는 학술 연구자들이 기관 레포지토리를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물을 셀프 아카이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지적 소유권 문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출판사의 저작권 기본 정책을 정리하여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이 정보를 통해 자신이 투고하려는 저널이나 출판사의 저작권 정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11] 더 나아가, RoMEO 프로젝트는 오픈 액세스 전자 학술 정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저작권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고, 연구자들이 셀프 아카이빙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저작권 관련 문제들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12]

참조

[1] 논문 RoMEO studies 1: the impact of copyright ownership on academic author self-archiving
[2] 서적 대학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 대학원 2011
[3] 웹사이트 http://www.sherpa.ac[...]
[4] 웹사이트 http://www.sherpa.ac[...]
[5] 논문 오픈액세스를 위한 저작권관리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한 dCollection 라이선스관리시스템 분석 2005
[6] 웹사이트 http://www.sherpa.ac[...]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05-05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05-05
[9] 웹사이트 http://www.ncbi.nlm.[...]
[10] 웹사이트 http://www.sherpa.ac[...]
[11] 간행물 오픈 액세스 기반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12] 학위논문 오픈 액세스 환경에서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연구: 생물정보학 연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