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larking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kylarking"은 1986년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XTC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앤디 파트리지와 콜린 몰딩이 곡을 썼으며, 토드 런드그렌이 프로듀싱했다. 이 앨범은 1960년대 사이키델릭 음악의 영향을 받아 아트 록, 아트 팝, 뉴 웨이브, 사이키델릭 팝, 포스트 펑크 등 다양한 장르로 묘사된다. 앨범은 발매 당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밴드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Dear God"라는 곡은 종교적 주제로 인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음반 - I Dreamed a Dream (음반)
《I Dreamed a Dream》은 수잔 보일의 데뷔 음반으로, 2009년 발매되었으며, 영국과 미국에서 높은 판매고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 영국의 음반 - The Book of Taliesyn
The Book of Taliesyn은 1968년에 발매된 딥 퍼플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프로그레시브 록, 사이키델릭 록, 하드 록 스타일을 혼합하여 딥 퍼플의 음악적 성숙을 보여준다. - 1986년 음반 - 천공의 성 라퓨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 영화 《천공의 성 라퓨타》는 하늘에 떠 있는 전설의 섬 라퓨타를 찾아 떠나는 시타와 파즈의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첨단 과학 기술과 자연의 조화, 순수함과 탐욕의 대비되는 주제를 다룬다. - 1986년 음반 - Bedtime for Democracy
데드 케네디스가 1986년에 발표한 네 번째 앨범인 Bedtime for Democracy는 젤로 비아프라를 포함한 멤버들이 작사 및 제작에 참여한 21곡이 수록된 앨범으로, 영국 인디 차트 1위를 기록하고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Skylarking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XTC |
발매일 | 1986년 10월 27일 |
녹음 기간 | 1986년 4월 – 6월 |
장르 | 팝 록 사이키델릭 |
길이 | 45분 47초 |
레이블 | 버진 (영국) 게펜 (미국) |
프로듀서 | 토드 런그렌 |
싱글 | |
싱글 1 | Grass / Dear God |
싱글 1 발매일 | 1986년 8월 16일 |
싱글 2 | The Meeting Place / The Man Who Sailed Around His Soul |
싱글 2 발매일 | 1987년 2월 2일 |
싱글 3 | Dear God / Big Day |
싱글 3 발매일 | 1987년 6월 1일 |
싱글 4 | Earn Enough For Us |
싱글 4 발매일 | 1987년 (오스트레일리아 및 캐나다) |
관련 앨범 | |
이전 앨범 | 25 O'Clock |
이전 앨범 발매일 | 1985년 |
다음 앨범 | Psonic Psunspot |
다음 앨범 발매일 | 1987년 |
녹음 장소 | |
녹음실 | 유토피아 사운드 스튜디오 (Woodstock, New York) 더 사운드 홀 스튜디오 (San Francisco, California) |
2. 배경
1980년대에 XTC는 사운드와 이미지에 점진적인 변화를 겪었다.[5] 밴드의 앨범은 점점 더 복잡해졌고, 리드 싱어이자 작곡가인 앤디 파트리지가 콘서트 전에 공황 발작을 겪은 후 투어를 중단했다. 1984년 발매한 "The Big Express"는 판매 부진과 함께 비평가들의 주목도 거의 받지 못했다.[6] 파트리지에 따르면, 그룹의 사이키델릭 음악적 영향은 멜로트론, 페이징, 역재생 기법 등의 사용을 통해 "새어 나오기" 시작했다.[7]
25 O'Clock 발매 후 다음 앨범을 준비하던 XTC는 Virgin Records로부터 다음 앨범 판매량이 7만 장 미만일 경우 계약을 해지하겠다는 통보를 받았다.[28] 레이블은 XTC의 음악이 "너무 영국적"이라 미국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한다고 판단했고[9], 미국 프로듀서 목록을 제시했다. 밴드는 목록에서 토드 룬드그렌을 선택했다. 기타리스트 데이브 그레고리는 그의 팬이었고[31], 앤디 파트리지는 룬드그렌이 프로듀싱한 뉴욕 돌스의 앨범을 좋아했기 때문이다. 룬드그렌은 테이프, 스튜디오 임대, 숙박, 프로듀싱 비용을 포함한 총 15만달러의 일괄 계약을 제안했고, 밴드는 이를 수락했다.
이후 영국에서만 발매된 미니 앨범 "25 O'Clock"은 1985년 만우절에 "the Dukes of Stratosphear"라는 가명으로 발표되었다. 이 앨범은 1960년대 사이키델리아에 대한 보다 명확한 오마주였으며, '듀크스'가 XTC임이 밝혀지기 전에도 "The Big Express"보다 더 많이 팔렸다. 파트리지는 "사람들이 우리 본 모습보다 이 가짜 정체성을 더 좋아한다는 사실에 약간 속상했다... 그들은 우리에게 무언가를 말하려 하고 있었다"고 회상했다.[8]
1986년 초, 소속 레이블인 Virgin Records는 정기 회의에서 다음 앨범이 7만 장 이상 판매되지 않으면 밴드를 해고하겠다고 위협했다.[28] 레이블 측은 XTC가 충분한 앨범 판매량을 기록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그들의 음악이 "너무 영국적"으로 들리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9] 이전 앨범들과 마찬가지로, 레이블은 파트리지가 이미 다른 아티스트의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밴드가 직접 프로듀싱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0]
대신 레이블은 미국 프로듀서 목록을 제시했고, 밴드 멤버들이 유일하게 아는 이름은 토드 룬드그렌이었다. 멤버였던 데이브 그레고리는 '미국에서 팔릴 만한 사람을 골라야 했는데 아는 미국 뮤지션이 토드 룬드그렌뿐이었다.'라고 회고했다. 버진 레코드 입장에서 룬드그렌은 배드핑거의 "Straight Up"(1971)이나 미트 로프의 "Bat Out of Hell"(1977)처럼 문제 있는 프로젝트를 정해진 일정과 예산 안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던 경험이 있어 XTC에게 이상적인 선택으로 보였다. 룬드그렌 본인도 XTC에 대해 "내가 밴드의 이전 작업에 익숙하면서도, 작곡에 관여할 필요가 없었던 드문 경우"라고 언급했으며, 1980년 XTC의 "Black Sea" 투어 중 시카고 공연을 관람한 적도 있었다.[67]
기타리스트 데이브 그레고리는 룬드그렌의 음악, 특히 1978년 앨범 "Hermit of Mink Hollow"의 팬이었다. 하지만 다른 멤버들은 룬드그렌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베이시스트 콜린 몰딩은 "TV에서 유토피아 공연을 봤는데 너무 과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데이브가 몇 곡을 들려주었고, 'I Saw the Light'를 듣고 '정말 좋은 곡이네!'라고 생각했다. 그에게 그런 면이 있는지 몰랐다"고 말했다.[31] 파트리지가 룬드그렌에 대해 아는 것은 솔로 앨범 "Something/Anything?"(1972)뿐이었다. 그레고리는 멤버들에게 룬드그렌과의 작업을 설득하며 "앤디에게 토드가 그가 가장 좋아하는 뉴욕 돌스 레코드 [''New York Dolls'', 1973] 중 하나를 프로듀싱했다고 상기시켰다. 더 나은 대안이 없었기에 그도 동의했다."고 밝혔다.
결국 룬드그렌에게 연락이 닿았고, 그는 테이프 비용, 스튜디오 임대료, 숙박비, 그리고 자신의 프로듀싱 비용을 모두 포함하여 총 15만달러의 일괄 금액으로 앨범 전체 녹음을 진행하겠다고 제안했다. 밴드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고, 1986년 초 뉴욕 우드스탁에 있는 룬드그렌의 유토피아 사운드 스튜디오에 도착하면서 앨범 작업이 시작되었다.
3. 컨셉 및 스타일
1986년 1월, 앤디 파트리지와 콜린 몰딩은 앨범 발매를 위해 모아둔 20개 이상의 데모 테이프를 프로듀서 토드 룬드그렌에게 보냈다. 룬드그렌은 이 곡들을 통해 "콜린의 '목가적' 멜로디와 주제, 앤디의 '팝 찬가'와 교활한 시"를 연결하는 컨셉트 앨범[72][20]을 만들 수 있다고 밴드를 설득했다. 그는 임시 제목으로 ''Day Passes''를 제안하며, 앨범이 '... 하루, 1년 또는 평생에 관한 것이 될 수 있다. ... 삶의 중요한 이정표, 즉 탄생, 어린 사랑, 가족, 노동, 질병, 죽음을 나타내는 노래들이 있었고, 경이로운 순간들이 뿌려져 있었다. 이 틀을 사용하여 나는 노래의 순서와 그 배치에 대한 정당성을 생각해냈고 그것을 밴드에게 가져갔다'고 설명했다.
선정된 곡들은 이전보다 부드러운 분위기를 가졌으며, 템포, 조, 주제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배치되었다.[4] 파트리지는 선정된 곡 자체는 마음에 들어 했지만, 작업 초기에 트랙 리스트와 곡 순서가 확정된 것에 대해 불만을 가졌다. 그는 "그 사람(룬드그렌)과 3분도 이야기하지 않았는데, 그는 이미 당신의 작품을 훼손하고 쓰레기통에 던져버리고 있었다"고 회상했다.[71] 앨범의 가제로는 ''All Day Life'', ''Rite'', ''Rite Things'', ''Leftover Rites'', ''Summer Good'', ''Pink Things Sing'' 등이 고려되었다. 최종적으로 앨범 제목은 종달새와 "장난치다"라는 의미의 영국 해군 용어 "skylarking"을 모두 가리키는 ''Skylarking''으로 결정되었다. 파트리지는 이 앨범이 "장난스럽고 성적인 뜨거운 여름...여름에 대한 것이고, 탁 트인 곳에서 서투르고 십 대적인 방식으로 섹스를 발견하는 것에 관한 것"과 같은 느낌을 담고 있다고 언급했다.[4]
이전의 사이드 프로젝트 앨범 ''25 O'Clock''처럼, ''Skylarking''의 음악은 1960년대 사이키델릭 시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11] 하지만 이 앨범은 이전 XTC의 작업들과는 상당히 다른 면모를 보였다. 음악 평론가 A.D. Amorosi는 "가사적으로 더 성숙하고, 풍부하며, 이전 앨범보다 부드럽게 사이키델릭한 ''Skylarking''은 언덕이 많고 신성한 느낌의 ''Mummer''와 비틀즈풍의 울림을 ... ''The Big Express''에서 빌려왔지만 부드럽게 휩쓸리는 우아함과 섬세한 오케스트라의 소용돌이를 더했다"고 평가했다.[17] 이 앨범은 아트 록,[12] 아트 팝,[13] 뉴 웨이브,[15][14] 사이키델릭 팝,[15][57] 사이키델릭 록,[16] 네오 사이키델리아,[47] 포스트 펑크,[14] 챔버 팝[61] 등 다양한 장르로 묘사된다.
파트리지는 앨범의 가사 내용이 더 세속적으로 변한 이유에 대해 '13년간의 발륨 중독에서 갑자기 벗어난' 결과라고 추측했다. 또한 그는 최근 아버지가 되었고, 이전에는 싱글로만 접했던 비치 보이스의 앨범들을 깊이 듣기 시작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17] 몰딩은 핑크 플로이드의 1967년 데뷔 앨범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을 처음 듣고 시드 바렛의 '자유 형식' 작곡 스타일에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31] 앨범에서 몰딩이 작곡한 곡이 5곡이나 포함된 것은 밴드에게 이례적인 일이었다. 파트리지는 '나는 이미 버진 레코드에 의해 약간 밀려나는 느낌을 받고 있었다. ... 그러나 솔직히 그것은 콜린이 지금까지 제안했던 최고의 자료였다'고 말했다. 몰딩은 '토드(룬드그렌)가 곡을 선택했다. 그가 그러지 않았다면, 내 기여도는 확실히 줄었을 것이다. 나는 밴드에 독립적인 중재자가 있다는 것에 그저 감사했다'고 덧붙였다.[17]
4. 녹음 과정
1986년 초, 밴드는 뉴욕주 우드스톡에 있는 룬드그렌의 유토피아 사운드 스튜디오에 도착하여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17] 파트리지는 스튜디오를 숲 가장자리에 있는 "개조된 통나무집" 같다고 묘사했다. 밴드는 근처 게스트 하우스에 머물렀고, 룬드그렌은 길 건너편 본채에 살았다.[34] 룬드그렌은 밴드가 보낸 35개의 데모곡 중 14곡을 골라 직접 트랙 순서를 정했다. 밴드는 룬드그렌이 어차피 곡 구조를 바꿀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별도의 리허설 없이 스튜디오 작업에 들어갔다.[31]
모든 기본 트랙은 앨범에 수록된 순서대로 녹음되었으며, 이후 드럼 오버더빙이 이루어졌다. 전체 녹음은 단 세 개의 테이프 릴만으로 진행되었다. 사이드 1과 사이드 2에 각각 하나씩 사용되었고, 나머지 하나는 추가 트랙과 남은 부분을 위해 사용되었다. 룬드그렌은 15 ips 속도로 녹음하며 작업을 빠르게 진행하여 두 번째 테이크를 녹음하는 경우는 드물었다.[17] 파트리지는 이러한 방식이 비용을 절약하기 위한 룬드그렌의 책략이라고 생각했다.[17][71]
룬드그렌은 앨범 사운드 디자인과 드럼 프로그래밍에 크게 기여했으며, 현악기 편곡과 금관악기 편곡도 직접 제공했다. 또한 페어라이트 CMI, 야마하 DX7, E-mu 에뮬레이터, 사전 MIDI 방식의 린 드럼, 그리고 앨범 작업을 위해 특별히 구입한 프로펫-10 신시사이저 등 다양한 장비를 제공했다. 밴드가 미국에 가져온 악기는 기타 몇 대뿐이었다.[17] 그레고리는 스튜디오에 방치된 챔벌린을 직접 수리해 사용하기도 했다.[34] 녹음 첫 주는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테이프 공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고, 이후 3주는 페어라이트를 이용해 퍼커션과 기타 시퀀스를 프로그래밍하는 데 할애되었다.
초기 녹음에서는 린 드럼을 임시 퍼커션으로 사용했으나, "매우 뻣뻣하고 생명이 없어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9] 실제 드럼 파트는 샌프란시스코의 사운드 홀 스튜디오에서 더 튜브스의 드러머 프레리 프린스가 오버더빙으로 녹음했다. 그레고리는 프린스의 드럼 연주가 더해지면서 앨범이 비로소 생기를 찾기 시작했다고 말했다.[9] 프린스는 파트리지의 리듬 감각을 "정말 놀랍다"고 평하기도 했다.[29] 오케스트라 편곡과 콜린 몰딩의 베이스 파트 일부도 샌프란시스코 사운드 홀에서 녹음되었다.[31] 이후 밴드는 나머지 녹음을 위해 다시 우드스톡으로 돌아갔다.[31]
프로듀서 토드 룬드그렌과의 작업 과정에서, 특히 앤디 파트리지를 중심으로 의견 충돌이 잦았다.[72]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세션 문제' 참조)
녹음 완료 후, 밴드는 룬드그렌에게 믹싱 지침이 담긴 직접 만든 책을 전달했고, 룬드그렌은 이를 따랐다. 그는 밴드와 레이블의 요청으로 총 세 가지 버전의 믹스를 제출했지만[71], 첫 믹스는 다이내믹 레인지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두 번째 믹스는 잡음과 디지털 오류가 많아 거부되었다. 최종 믹스 역시 밴드와 레이블 모두 만족하지 못했으며, 파트리지는 "베이스가 약하고 고음도 부족하며 중음은 탁하다"고 비판했다.[49]
수십 년 후, 앨범 마스터 테이프의 사운드 극성(polarity)이 반대로 잘못 녹음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9] 2010년 마스터링 엔지니어 존 덴트가 이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했으며[53], 극성이 수정된 마스터는 파트리지의 개인 레이블 APE 하우스를 통해 바이닐과 CD로 재발매되었다.[54][56] 룬드그렌은 이 문제에 대해 자신과는 관련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55]
4. 1. 세션 문제
런드그렌과의 협업은 특히 앤디 파트리지에게 어려움을 안겨주었으며, 드럼 패턴, 곡 선택 등 여러 세부 사항에서 의견 충돌이 잦았다.[72] 파트리지는 런드그렌의 음악적 취향이 "내 것과 완전히 상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파트리지가 퍼즈 기타 오버더빙을 제안했을 때 런드그렌은 만돌린을 원했다.[19] 콜린 몰딩은 이전까지 파트리지가 XTC 앨범 제작에서 사실상 "총괄 프로듀서" 역할을 하며 실제 프로듀서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경우가 많았다고 인정했다. 런드그렌에 따르면, "본질적으로, 레코드가 어떻게 될지는 저에 의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었고, 그들은 이전에 그런 경험을 한 적이 없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콜린과 데이브]는 저를 신뢰했지만, 앤디는 결코 그러지 않았죠."[20] 데이브 그레고리는 "토드와 앤디는 성격이 너무 달라서 처음부터 잘 맞지 않았고, 상황은 점점 더 나빠졌다"고 회상했다.[21]
파트리지는 런드그렌의 편곡 자체에는 만족했지만, 세션 동안 프로듀서의 "거만하고" "젠장, 비꼬는" 태도 때문에 좌절감을 느꼈다. 파트리지의 회상에 따르면, 런드그렌은 "보컬을 어떻게 할 거냐고 물었고, 당신은 마이크 앞에 서서 목을 풀기 위해 한 번의 연습을 했을 텐데, 그는 '그건 엉망이었어. 내가 내려가서 내가 노래하는 걸 녹음하고, 당신은 그걸 들으면서 따라 부를 수 있어.'라고 말하곤 했다"고 한다. 또한 파트리지는 런드그렌이 "원한다면 몇 시간 동안 네 방식대로 [트랙]을 가지고 놀아봐. 난 집에 갈 거야. 네 방식대로는 안 된다는 걸 알게 되면, 전화해. 그럼 내 방식대로 녹음할 테니까."[22] 라고 말했다고 기억했다. 파트리지는 프로듀서의 역할이 "우리를 통제하는 것"이었으며 런드그렌이 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생각했다.[23] 당시 갈등 상황에 대해 파트리지는 "그때는 마치 두 명의 히틀러가 있는 벙커 같았다. 우리는 서로 머리를 들이받는 수컷 양 같았다"고 비유했다.[18] 싸움의 정도에 대해 런드그렌은 "앤디가 내 머리를 도끼로 반으로 갈라버리고 싶다고 말했던 순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물리적인 폭력은 없었습니다. 언어적 학대만 있었죠."[24]
반면, 그레고리는 "앤디 대신 토드의 지시를 받는 것이 꽤 행복했다"고 말했으며, 런드그렌이 "앤디가 자만한다고 생각하면 의도적으로 그를 깔봤고, 앤디는 매번 미끼를 물었다"고 덧붙였다.[28] 몰딩 역시 "토드에게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며, 오히려 파트리지가 "매우 불행해했고, 나에게 약간 화풀이를 하는 것 같았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런드그렌은 이전 앨범인 ''The Big Express''를 듣고 그룹이 스튜디오에서 과도하게 탐닉하여 "길을 잃었다"고 판단했다.[25] 런드그렌은 기술적인 실수를 용납하고 멤버들에게 수정할 기회를 주지 않는 방식을 고수했는데, 이는 또 다른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파트리지는 이것이 런드그렌이 비용을 절약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자주 주장했지만, 몰딩은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 "저는 그것이 유일한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그의 작업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는 그가 그렇게 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그 이유는 제 생각에도 최고의 테이크는 엔지니어가 사운드를 잡으려고 애쓰는 동안 밴드가 연주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게 녹음되어야 할 테이크죠."[31] 파트리지가 음악 일부 개선을 원할 때, 런드그렌은 "앤디, 꼭 '더 나아질' 필요는 없어 – 그냥 달라질 뿐이야."라고 응수하곤 했다. 런드그렌은 파트리지의 아이디어가 "더 많은 공기를 제거하고, 더 많은 소리로 공간을 채우는 것"이라며, 이는 "스펙트럼에서 본다면, 완전히 평평할 것"이지만 "얼마나 듣기 어려운지 깨닫지 못한다"고 지적했다.[25]
밴드는 런드그렌이 스튜디오에 도착할 때마다 습관적으로 TV 시리즈 ''The Munsters''의 테마곡을 연주했다. 파트리지에 따르면 런드그렌은 그 농담이 허먼 먼스터와 자신의 외모가 닮았다는 점을 겨냥한 것임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런드그렌은 앨범이 "결국 ... 우리가 그것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때때로 우리는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회상했다.[72] 그러나 ''Skylarking'' 제작 과정에 대한 이야기 때문에 파트리지는 함께 일하기 어려운 사람이라는 평판을 얻게 되었다.[26] 파트리지는 처음에는 자신의 인식이 잘못되었을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나중에 런드그렌과 함께 작업했던 다른 아티스트들과 이야기해본 결과 "열 번 중 아홉 번은 '젠장, 그도 우리한테 그랬어!'라고 말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주장했다.[27] 베이스 파트에 대한 논쟁 후, 몰딩은 파트리지가 자신의 파트를 녹음하는 동안 스튜디오 출입을 금지시켰다.[28] 1997년 몰딩은 이를 밴드 역사상 자신과 파트리지 사이의 "유일한 진짜 싸움"이라고 언급했다.
5. 곡 목록
XTC는 앨범 작업을 시작하기 전, 작곡했던 35개의 곡을 프로듀서 토드 런드그렌에게 전달했다. 런드그렌은 이 중에서 14곡을 직접 선별하여 앨범의 트랙 순서를 구성했다.
이 앨범의 곡들은 특정 주제에 맞춰 쓰인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독립적으로 작곡된 곡들이었다. 이 덕분에 개별 곡의 매력을 잘 살리면서도 앨범 전체의 구성 또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주제를 위해 개별 곡의 완성도를 희생하는 다른 콘셉트 앨범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앨범의 구체적인 트랙 목록과 각 곡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5. 1. 초판 (LP)
''Skylarking'' 앨범의 초판 LP는 "Dear God"가 수록되지 않은 상태로 발매되었다. 이 곡은 원래 싱글 "Grass"의 B사이드 곡이었으나, 예상치 못한 히트를 기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버진 레코드는 "Dear God"의 인기에 힘입어 기존 LP에서 "Mermaid Smiled"를 제외하고 그 자리에 "Dear God"을 넣어 새로운 판본을 출시했다. 이 때문에 초판과 이후 판본 간에 트랙 목록 차이가 생겼다.2001년 XTC 앨범들이 리마스터링되어 재발매될 때는 "Mermaid Smiled"가 원래 자리를 되찾았고, "Dear God"은 앨범 후반부에 추가되었다.
이후 2010년, 멤버 앤디 파트리지가 자신의 레이블 'Ape House'를 통해 앨범 재발매를 준비하던 중, 엔지니어와의 작업을 통해 앨범 믹싱 당시 케이블 결함으로 인한 음원 위상(polarity) 오류가 있었음을 발견했다. 파트리지는 현대 음향 기술을 이용해 이 오류를 수정하고 새로운 리마스터링을 거쳐 음질이 개선된 버전을 출시했다. 이 과정에서 트랙 순서도 재조정되어 "Dear God"이 13번 트랙으로 옮겨졌고, "Sacrificial Bonfire"가 다시 앨범의 마지막 곡이 되었다.[80] 또한, 트랙 간 전환 부분이 조정되면서 일부 곡들의 재생 시간도 변경되었다.
5. 1. 1. 사이드 1
# | 제목 | 작사/작곡 | 길이 |
---|---|---|---|
1 | Summer's Cauldron | 앤디 파트리지 | 3:19 |
2 | Grass | 콜린 몰딩 | 3:05 |
3 | The Meeting Place | 몰딩 | 3:14 |
4 | That's Really Super, Supergirl | 파트리지 | 3:21 |
5 | Ballet for a Rainy Day | 파트리지 | 2:50 |
6 | 1000 Umbrellas | 파트리지 | 3:44 |
7 | Season Cycle | 파트리지 | 3:21 |
"Summer's Cauldron"은 앤디 파트리지가 쓴 시 "Drowning in Summer's Cauldron"을 확장한 곡이다. 곡은 스테레오 채널을 가로지르는 벌 소리 샘플로 시작하는데,[30] 이 샘플은 프로듀서 토드 런드그렌이 귀뚜라미, 개 짖는 소리 등 다른 "여름 소리"와 함께 제공했다. 이 곡은 드론 음악과 "흔들리는" 듯한 코러스 효과가 걸린 오르간 사운드가 특징인데, 파트리지는 후자가 비틀즈의 "Blue Jay Way"(1967)와 여름 분위기를 떠올리게 한다고 언급했다. 런드그렌은 멜로디카를 연주했으며, 파트리지는 "우리가 그를 귀찮게 해서 연주하게 했다"고 회상했다.[30] 드러머 프레리 프린스는 제스로 툴의 "Sweet Dream"(1969) 스타일처럼 "경련적인" 드럼 연주를 하도록 요청받았다.[30] 이 곡은 다음 트랙인 "Grass"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데, 파트리지는 런드그렌이 "'Summer's Cauldron'의 마지막 부분에서 악기 현을 뮤트하고 'Grass'의 시작 부분을 펀치 인하면 된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Grass"는 콜린 몰딩이 작곡했으며, 때때로 대마초에 관한 노래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스윈던에 있는 공원인 코트 워터에 대한 곡이다. 몰딩은 기타를 오픈 E 튜닝으로 맞추고 썬더클랩 뉴먼의 "Something in the Air"(1969)에서 코드 형태를 따와 곡의 화성 변화를 만들었다. 바이올린과 기타를 혼합하는 아이디어는 존 레논의 "How Do You Sleep?"(1971)에서 영감을 얻었다. 런드그렌은 이 조합에 티플 사운드를 더했다. 몰딩은 원래 낮은 키로 노래를 불렀으나, 런드그렌이 "성범죄자 같다"는 우려를 표하자 "보위처럼 한 옥타브 높여 불렀다"고 한다. 이 곡은 앞선 트랙 "Summer's Cauldron"의 "곤충 코러스"를 반복하며 마무리된다.
"The Meeting Place"는 몰딩이 어린이 프로그램 ''토이타운''을 떠올리게 하는 "원형적인" 기타 리프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그는 이 곡을 "아이 같고, 동요 같으며, 종소리 같은 작은 마을의 리프"라고 묘사하며, "마치 토이타운을 내려다보는 풍경 속에 내가 있고, 십 대 시절 공장 옆에서 아내를 만났던 기억과 같다"고 덧붙였다.[31] 곡 시작 부분의 산업 소음은 페어라이트 신시사이저로 시퀀싱된 샘플이었는데,[31] 그중 하나는 스윈던 공장(Swindon Works)의 실제 경적 소리로, 당시 노동자들에게 작업 시간을 알리는 신호로 사용되었다. 공교롭게도 스윈던 공장은 이 곡이 녹음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문을 닫았다. 몰딩은 이 곡에 영향을 준 음악가로 시드 배럿, 롤링 스톤스(특히 "Factory Girl"(1968)), 그리고 빌리 조 스피어스("Blanket on the Ground"(1975))를 언급했다.[31]
"That's Really Super, Supergirl"은 기타 팝 스타일의 곡이다.[14] 제목은 DC 코믹스의 캐릭터 슈퍼걸을 직접 언급하지만, 파트리지는 노래 속 "슈퍼걸"이 "나와 함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일을 하는 모든 여성을 합쳐 놓은 인물"이며 "약간의 익살과 풍자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32] 가사에는 크립토나이트와 슈퍼맨의 고독의 요새도 등장한다. 런드그렌이 키보드 파트를 연주했지만 앨범 크레딧에는 누락되었다. 기타리스트 데이브 그레고리는 "우리는 그 곡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그냥 B사이드 곡이었는데, 런드그렌이 그 곡의 가능성을 본 것 같다. 어느 날 오후, 우리는 그에게 맡겼다"고 말했다.[9] 곡에 사용된 스네어 드럼 소리는 런드그렌이 속했던 밴드 유토피아의 앨범 ''디페이스 더 뮤직''(1980)에서 샘플링한 것이다. 녹음 과정의 문제로 인해 드러머 프린스와 베이시스트 몰딩은 이 샘플 비트에 맞춰 연주해야 했다. 기타 솔로는 그레고리가 에릭 클랩튼이 사용했던 사이키델릭한 깁슨 SG 기타, 일명 더 풀(The Fool)을 사용하여 연주했는데, 이 기타는 당시 런드그렌이 소유하고 있었다.[32] 그레고리는 이 솔로를 연주하기 위해 몇 시간 동안 연습했다고 한다. 그는 몇 년 후, 자신이 유토피아의 앨범 ''라(Ra)''(1977)에 수록된 곡 "Magic Dragon Theatre"의 트럼펫 라인에서 들었던 "작은 5음표 프레이즈"를 무의식적으로 차용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5. 1. 2. 사이드 2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Earn Enough for Us | 앤디 파트리지 | 2:54 |
2 | Big Day | 콜린 몰딩 | 3:32 |
3 | Another Satellite | 파트리지 | 4:15 |
4 | Mermaid Smiled | 파트리지 | 2:26 |
5 | The Man Who Sailed Around His Soul | 파트리지 | 3:24 |
6 | Dying | 몰딩 | 2:31 |
7 | Sacrificial Bonfire | 몰딩 | 3:49 |
앨범 ''Skylarking''의 초판 LP에는 Dear God가 수록되지 않았다. 그러나 싱글 Grass의 B사이드로 발표된 "Dear God"이 예상치 못한 히트를 기록하자, 레코드사인 버진 레코드는 사이드 2의 "Mermaid Smiled"를 제외하고 그 자리에 "Dear God"을 넣어 새로운 LP 판본을 출시했다. 1987년 이후 발매된 판본에는 "Mermaid Smiled" 대신 "Dear God"이 수록되었으며, 2001년 이후 발매된 CD 리마스터 버전 등에는 두 곡이 모두 포함되기도 했다.
5. 2. 리마스터 CD (2001)
2001년 XTC 카탈로그가 리마스터링되어 출시되었을 때, "Mermaid Smiled"는 원래 의도했던 자리에 다시 수록되었고, "Dear God" 역시 앨범의 마지막 트랙으로 포함되었다.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Summer's Cauldron | 앤디 파트리지 | 3:19 |
2 | Grass | 콜린 몰딩 | 3:05 |
3 | The Meeting Place | 콜린 몰딩 | 3:14 |
4 | That's Really Super, Supergirl | 앤디 파트리지 | 3:21 |
5 | Ballet for a Rainy Day | 앤디 파트리지 | 2:50 |
6 | 1000 Umbrellas | 앤디 파트리지 | 3:44 |
7 | Season Cycle | 앤디 파트리지 | 3:21 |
8 | Earn Enough for Us | 앤디 파트리지 | 2:54 |
9 | Big Day | 콜린 몰딩 | 3:32 |
10 | Another Satellite | 앤디 파트리지 | 4:15 |
11 | Mermaid Smiled | 앤디 파트리지 | 2:26 |
12 | The Man Who Sailed Around His Soul | 앤디 파트리지 | 3:24 |
13 | Dying | 콜린 몰딩 | 2:31 |
14 | Sacrificial Bonfire | 콜린 몰딩 | 3:49 |
15 | Dear God | 앤디 파트리지 | 4:24 |
5. 3. Corrected Polarity Edition (2014)
2010년 자신의 레이블을 설립한 파트리지는 엔지니어와 함께 앨범 재출시 작업을 진행하던 중, 엔지니어로부터 믹싱 당시 케이블 문제로 음원의 위상(polarity)이 반전되는 오류가 발생했음을 발견했다. 이는 앨범 사운드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였다. 이후 첨단 음향 기술을 이용해 이 위상 오류를 수정하고 리마스터링도 새로 진행하여 'Corrected Polarity Edition'이라는 이름으로 앨범을 재출시하게 되었다.이 과정에서 트랙 배치도 변경되었는데, 기존 여러 판본에서 제외되거나 위치가 달랐던 "Dear God"이 13번 트랙으로 배치되었다.[80] 그 결과 "Sacrificial Bonfire"는 다시 앨범의 마지막 곡이 되었으며, 트랙 간의 전환 구간도 조정되어 일부 곡들의 길이도 달라졌다.
다음은 Corrected Polarity Edition의 트랙 목록이다.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Summer's Cauldron | 앤디 파트리지 | 3:19 |
2 | Grass | 콜린 몰딩 | 3:05 |
3 | The Meeting Place | 몰딩 | 3:14 |
4 | That's Really Super, Supergirl | 파트리지 | 3:21 |
5 | Ballet for a Rainy Day | 파트리지 | 2:50 |
6 | 1000 Umbrellas | 파트리지 | 3:44 |
7 | Season Cycle | 파트리지 | 3:21 |
8 | Earn Enough for Us | 파트리지 | 2:54 |
9 | Big Day | 몰딩 | 3:32 |
10 | Another Satellite | 파트리지 | 4:15 |
11 | Mermaid Smiled | 파트리지 | 2:26 |
12 | The Man Who Sailed Around His Soul | 파트리지 | 3:24 |
13 | Dear God | 파트리지 | 3:34 |
14 | Dying | 몰딩 | 2:31 |
15 | Sacrificial Bonfire | 몰딩 | 3:49 |
5. 4. 각 곡에 대한 설명
"Summer's Cauldron"은 앤디 파트리지가 쓴 시 "Drowning in Summer's Cauldron"을 확장한 곡이다. 이 곡은 스테레오 채널을 가로지르는 벌 소리 샘플로 시작하는데,[30] 이 샘플은 프로듀서 토드 런드그렌이 귀뚜라미, 개 짖는 소리 등 다른 "여름 소리"들과 함께 제공했다. 이 트랙은 드론 음악과 "흔들리는" 듯한 코러스 효과가 적용된 오르간 사운드가 특징이다. 파트리지는 후자의 사운드가 비틀즈의 "Blue Jay Way"(1967)와 여름 분위기를 연상시킨다고 생각했다. 런드그렌은 멜로디카를 연주했는데, 파트리지는 "우리가 그를 괴롭혀야 했다! 정말 멋졌다"고 회상했다.[30] 드러머 프레리 프린스는 제스로 툴의 "Sweet Dream"(1969) 스타일처럼 "경련적인" 드럼 필을 연주하도록 요청받았다.[30] "Summer's Cauldron"은 다음 트랙인 "Grass"로 매끄럽게 이어지는데, 이는 독특한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파트리지는 런드그렌이 "'Summer's Cauldron'에서 'Grass'로 어떻게 넘어갈 거냐"는 질문에 "악기에 손을 대서 현이 울리지 않게 한 다음 'Grass'의 시작 부분을 펀치 인 하면 된다"고 답했다고 전했다."Grass"는 때때로 대마초에 관한 노래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스윈던에 있는 공원인 코트 워터에 대해 콜린 몰딩이 쓴 곡이다. 몰딩은 오픈 E 튜닝을 한 기타로 이 곡을 작곡했으며, 썬더클랩 뉴먼의 "Something in the Air"(1969)의 코드 형태를 연주하며 화성 변화를 탐구했다. 바이올린과 기타를 혼합하는 아이디어는 존 레논의 "How Do You Sleep?"(1971)에서 영감을 얻었다. 런드그렌은 이 조합에 티플 사운드를 추가했다. 몰딩은 원래 더 낮은 음역으로 노래를 불렀으나, 런드그렌이 그 소리가 "성범죄자"를 연상시킨다는 우려를 표하자 "보위처럼 한 옥타브 높여 불렀다"고 밝혔다. 이 트랙은 "Summer's Cauldron"의 "곤충 코러스"를 반복하며 곡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The Meeting Place"는 몰딩에게 어린이 프로그램 ''토이타운''을 떠올리게 하는 "원형" 기타 모티프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그는 이 곡을 "아이 같고, 동요 같으며, 종소리 같은, 작은 마을의 리프"라고 묘사하며, "마치 토이타운을 내려다보는 듯한 느낌, 내가 풍경 속에 있고, 십 대 시절 공장 옆에서 아내를 만나는 것과 같은 느낌"이라고 설명했다.[31] 곡 시작 부분에 들리는 산업 소음은 페어라이트 신시사이저로 시퀀싱된 샘플이었는데,[31] 그중 하나는 스윈던 공장(Swindon Works)의 경적 소리였다. 이 경적은 공장 노동자들에게 시간을 알리는 신호로 사용되었으며, 스윈던 공장은 이 곡이 녹음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문을 닫았다. 몰딩은 이 곡에 영향을 준 음악가와 곡으로 시드 배럿, 롤링 스톤스의 "Factory Girl"(1968), 그리고 빌리 조 스피어스의 "Blanket on the Ground"(1975)를 언급했다.[31]
"That's Really Super, Supergirl"은 기타 팝 곡으로,[14] DC 코믹스의 캐릭터 슈퍼걸을 언급하지만, 파트리지에 따르면 노래 속 "슈퍼걸"은 "나와 함께 있기보다 더 좋은 일을 하는 모든 여성을 합쳐 놓은 것... 약간의 익살과 풍자가 담겨 있다"고 한다.[32] 가사에는 크립토나이트와 슈퍼맨의 고독의 요새도 등장한다. 런드그렌이 키보드 파트를 연주했지만, 앨범 크레딧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기타리스트 데이브 그레고리는 "우리는 그 곡을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몰랐다. 그냥 'B'면 곡이었는데, 그(런드그렌)는 분명히 그 곡의 가능성을 꿰뚫어 본 것 같았다. 어느 날 오후, 우리는 그에게 그 곡을 맡겼다"고 말했다.[9] 스네어 드럼 소리는 런드그렌의 밴드 유토피아의 앨범 ''디페이스 더 뮤직''(1980)에서 샘플링되었다. 녹음 과정 중 문제로 인해 프린스와 몰딩은 드럼 비트에 맞춰 연주해야 했다. 기타 솔로는 데이브 그레고리가 에릭 클랩튼이 사용했던 사이키델릭한 깁슨 SG 기타인 더 풀을 사용하여 연주했는데, 이 기타는 당시 런드그렌이 소유하고 있었다.[32] 그레고리는 이 솔로를 연주하기 위해 몇 시간 동안 연습했다. 몇 년 후, 그는 자신이 유토피아의 앨범 ''라''(1977)에 수록된 곡 "Magic Dragon Theatre"의 트럼펫 라인에서 들리는 "작은 5음표 연주"를 무의식적으로 차용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6. 참여자
토드 룬드그렌과의 협업은 특히 앤디 파트리지에게 어려움을 안겨주었으며, 드럼 패턴, 곡 선택, 세부 사항 등 여러 면에서 의견 충돌이 잦았다.[72] 파트리지는 룬드그렌의 음악적 취향이 자신과 "완전히 상반되는" 것으로 묘사했는데, 예를 들어 룬드그렌이 만돌린을 원할 때 퍼즈 기타 오버더빙을 제안하는 식이었다.[19] 콜린 몰딩은 이전까지 파트리지가 XTC 앨범 제작에서 사실상의 "총괄 프로듀서" 역할을 하며 실제 프로듀서의 권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많았다고 인정했다. 룬드그렌에 따르면, 앨범의 방향이 자신에 의해 어느 정도 정해졌고 이는 밴드가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방식이었다. 그는 "[콜린과 데이브]는 저를 신뢰했지만, 앤디는 결코 그러지 않았죠."라고 말했다.[20] 데이브 그레고리는 "토드와 앤디는 성격 면에서 마치 딴판이어서, 처음부터 잘 맞지 않았습니다. 상황은 점점 더 나빠졌습니다."라고 언급했다.[21] 파트리지는 당시 상황을 "마치 두 명의 히틀러가 있는 벙커 같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서로 머리를 들이받는 수컷 양 같았죠."라고 비유했다.[18]
파트리지는 룬드그렌의 편곡 자체에는 만족했지만, 세션 동안 보여준 프로듀서의 "거만하고" "젠장, 비꼬는" 태도에 좌절했다. 그는 룬드그렌이 보컬 연습을 한 번만 듣고도 "그건 엉망이었어. 내가 내려가서 내가 노래하는 걸 녹음하고, 당신은 그걸 들으면서 따라 부를 수 있어."라고 말하거나, "원한다면 몇 시간 동안 네 방식대로 [트랙]을 가지고 놀아봐. 난 집에 갈 거야. 네 방식대로는 안 된다는 걸 알게 되면, 전화해. 그럼 내 방식대로 녹음할 테니까."[22]라고 말했다고 회상했다. 파트리지는 프로듀서의 역할이 "우리를 통제하는 것"이라고 믿었으며, 룬드그렌이 그 점에서 성공했다고 생각했다.[23] 갈등의 정도에 대해 룬드그렌은 "앤디가 내 머리를 도끼로 반으로 갈라버리고 싶다고 말했던 순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물리적인 폭력은 없었습니다. 언어적 학대만 있었죠."라고 말했다.[24] 반면 그레고리는 "앤디 대신 토드의 지시를 받는 것이 꽤 행복했다"고 말했으며, 룬드그렌이 "앤디가 자만한다고 생각하면 의도적으로 그를 깔봤다. 앤디는 매번 미끼를 물었다"고 생각했다.[28] 몰딩 역시 "토드에게 아무런 문제가 없었으며", 대신 파트리지가 "매우 불행해했고, 나에게 약간 화풀이를 하는 것 같다"고 느꼈다.
룬드그렌은 XTC의 이전 앨범 ''The Big Express''를 듣고 그룹이 스튜디오에서 과도하게 탐닉하며 "길을 잃었다"고 결론지었다.[25] 그는 기술적인 실수를 용납하고 멤버들에게 수정할 기회를 주지 않는 스타일로 작업했는데, 이 또한 갈등의 원인이었다. 파트리지는 종종 이것이 룬드그렌이 가능한 한 돈을 적게 쓰고 싶어했기 때문이라고 말했고, 몰딩은 "저는 그것이 유일한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그의 작업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는 그가 그렇게 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그 이유는 제 생각에도 최고의 테이크는 엔지니어가 사운드를 잡으려고 애쓰는 동안 밴드가 연주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게 녹음되어야 할 테이크죠."라고 말했다.[31] 파트리지가 음악의 일부를 개선하고 싶어할 때, 룬드그렌은 "앤디, 꼭 '더 나아질' 필요는 없어 – 그냥 달라질 뿐이야."라고 응답하곤 했다.
밴드는 룬드그렌이 스튜디오에 도착하는 것을 볼 때마다 습관적으로 ''The Munsters''의 테마를 연주했다. 파트리지에 따르면 룬드그렌은 그 농담이 허먼 먼스터와 그의 닮은 점을 지적하는 것이라는 것을 결코 깨닫지 못했다.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룬드그렌은 앨범이 "결국 ... 우리가 그것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때때로 우리는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죠."라고 회상했다.[72] ''Skylarking''에 관해 쓰여진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파트리지는 함께 일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6] 처음에 그는 세션에 대한 자신의 인식이 틀렸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나중에 룬드그렌과 함께 일했던 다른 예술가들과 상담했고, "열 번 중 아홉 번은 '젠장, 그도 우리한테 그랬어!'라고 말할 거예요."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27] 베이스 파트에 대한 논쟁 후, 몰딩은 파트리지가 자신의 파트를 녹음하는 동안 스튜디오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규정했다.[28] 1997년에 몰딩은 이를 밴드의 역사에서 그와 파트리지 사이의 "유일한 진짜 싸움"이라고 불렀다.
실제 드럼은 더 튜브스의 프레리 프린스가 샌프란시스코의 사운드 홀 스튜디오에서 오버더빙했다. 그레고리는 "그때서야 앨범이 살아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9] 파트리지는 프린스에게 그의 파트를 연주하는 방법을 지시했지만, 프린스는 때때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프린스는 나중에 파트리지의 "리듬 감각... 그 사람은 정말 놀랍습니다. 그가 실제로 앉아서 드럼을 연주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그는 아마도 훌륭한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훌륭한 드럼 프로그래밍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9] 오케스트라 편곡 또한 사운드 홀에서 녹음되었다.
앨범 크레딧에는 XTC 멤버들 외에 프로듀서 토드 룬드그렌, 세션 드러머 프레리 프린스, 퍼커셔니스트 밍고 루이스, 그리고 오케스트라 연주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자세한 참여자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XTC
- 앤디 파트리지 – 보컬, 기타
- 콜린 몰딩 – 보컬, 베이스 기타 (또한 "bonfire"로 크레딧 됨)
- 데이브 그레고리 – 보컬, 기타, 피아노, 신시사이저, 챔벌린, "1000 Umbrellas"와 "Dear God"의 스트링 편곡, 티플
슬리브에는 "the Beech Avenue Boys"에게 "백 보컬" 크레딧이 부여되었는데, 이는 사실 가명으로 활동한 XTC였다. 이 크레딧은 비치 보이스와 스윈던의 한 거리를 언급하는 농담이다.
6. 2. 추가 참여자
크레딧은 오리지널과 2016년 슬리브에서 발췌했습니다.[77][78]'''XTC'''
이름 | 역할 |
---|---|
앤디 파트리지 | 보컬, 기타 |
콜린 몰딩 | 보컬, 베이스 기타 (bonfire로도 크레딧됨) |
데이브 그레고리 | 보컬, 기타, 피아노, 신시사이저, 챔벌린, "1000 Umbrellas"와 "Dear God"의 스트링 편곡, 티플 |
'''추가 인원 및 기술 스태프'''
이름 | 역할 |
---|---|
토드 룬드그렌 | 프로듀서, 엔지니어, "Summers Cauldron"의 멜로디카, "Grass"와 "Thats Really Super, Supergirl"의 신시사이저, 백 보컬, 오케스트라 편곡, 컴퓨터 프로그래밍 (continuity concept으로도 크레딧됨) |
프레리 프린스 | 드럼 ("the part of the time bomb"으로 크레딧됨) |
밍고 루이스 | 퍼커션 |
재스민 베이에트 | "Dear God" 보컬 |
킴 포스카토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조지 코완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데이브 드래곤 | 슬리브 드로잉 |
신디 팔마노 | 사진 |
켄 앤셀 | 타이포그래피 |
'''오케스트라 연주자'''
이름 | 역할 |
---|---|
존 테니 | 바이올린 |
에밀리 반 발켄버그 | 바이올린 |
레베카 세브링 | 비올라 |
테레사 아담스 | 첼로 |
찰리 맥카시 | 알토 및 테너 색소폰, 플루트 |
밥 페레이라 | 테너 색소폰, 피콜로 플루트, 베이스 클라리넷 |
데이브 벤디기트 | 트럼펫 |
딘 허바드 | 트롬본 |
슬리브에는 "the Beech Avenue Boys"에게 "백 보컬" 크레딧이 부여되었는데, 이는 사실 가명으로 활동한 XTC였다. 이 크레딧은 비치 보이스와 스윈던의 한 거리를 언급하는 농담이다. 더 튜브스에게 "그들의 앰프를 사용하도록 해줘서" 특별한 감사를 표했으며, 스트라토스피어 공작에게 "그들의 기타를 빌려줘서" 감사를 표했다.
7. 차트 순위
순위